728x90

사실 제목에는 프랑스 병이라는 이름만 소개했지만, 이 병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프랑스 병, 이탈리아 병, 스페인 병, 영국 병, 터키 병, 폴란드 병... 온갖 나라 이름이 이 병의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 어쩌면 당연한 얘기지만 - 결코 아무도 자기 나라 이름을 이 병에 붙이지는 않았다는 점입니다.

최근 돼지(Swine)이라는 뜻이 들어가는 SI라는 명칭이 폐기되고 신종플루, 인플루엔자 A, 혹은 H1N1이라는 약칭이 대신 사용되게 됐습니다. 이름이 왜 바뀌게 되었는지는 모든 분들이 너무나 잘 알고 계실 겁니다.

이 글을 쓴지도 벌써 2주째로 접어들었군요. 5월 1일, 세계보건기구(WHO)가 SI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천명한 날 쓴 글입니다. 어쩌다 보니 이리로 옮겨오는게 좀 늦었는데, 사실 더 늦어도 상관없을 글이지만 중간에 희한한 일이 있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분수대] 프랑스병

1492년 신대륙을 발견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탐험대는 황금과 함께 얄궂은 병(病) 하나를 유럽으로 가져왔다. 이 병은 16세기 초, 유럽 전역에서 맹위를 떨쳤다. 이탈리아와 독일에선 이 병을 ‘프랑스병’이라고 불렀지만, 반대로 프랑스에선 ‘이탈리아병’이란 이름을 붙였다. 동시에 네덜란드에서는 스페인병, 러시아에서는 폴란드병, 터키에서는 기독교도병으로 통했다. 멀리 타히티 섬에서는 영국병이라고 불렸다는 기록이 있다.

이렇게 다양한 이름이 발생한 이유는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다들 ‘몹쓸 병을 옮기는 책임’은 외국에 떠넘기고 싶었기 때문이다. 이탈리아 시인 지롤라모 프라카스토로가 1530년 이 병에 ‘시필리스(syphilis·매독)’란 새 이름을 지어 주지 않았다면 유럽 각국은 지금까지도 서로 상대국의 이름을 병 이름으로 부르며 감정다툼을 벌이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지난달 30일 유엔 산하 세계보건기구(WHO)는 현재 창궐하고 있는 국제 전염병에 대해 ‘SI(Swine Influenza)’ 대신 ‘인플루엔자 A형’ 또는 ‘H1N1’이란 명칭을 공식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이미 널리 쓰이는 SI를 굳이 새로운 이름으로 바꾼 건 불필요한 오해와 피해를 막기 위해서다. WHO는 “이 병은 인간들 사이에서만 전염됐으며, 돼지로부터 인간에게 전염된다는 흔적은 없다”고 밝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울러 돼지고기를 먹거나 만졌다고 전염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다시 확인됐다. 이집트 등지에서 일어난 돼지 살처분 논란과 세계적으로 일고 있는 돼지고기 기피 움직임에 경종을 울리는 발표인 셈이다.

병의 이름은 혐오와 공포감을 함께 옮긴다. 20세기 이후 사람들은 병의 이름이 주는 그릇된 인식을 방지하기 위해 증세나 원인을 노골적으로 설명하는 이름은 피하는 게 낫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래서 문둥병은 한센병으로, 노망은 알츠하이머병으로, 인간 광우병도 변형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으로 불리게 됐다. 정신분열증도 ‘도파민 항진증’으로 고쳐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이미 욕설이 된 ‘지랄’이라는 고유어 대신 간질(癎疾)이라는 한자 병명을 사용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

철없는 줄리엣은 로미오에게 “장미를 다른 이름으로 부른다고 향기롭지 않겠느냐”고 말하지만, 이름만 몇 자 바꿔도 아파트 가격이 천양지차가 되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보면 세상인심이 얼마나 이름에 민감한지를 새삼 깨닫게 된다. WHO의 결정이 어느 날 갑자기 날벼락을 맞은 양돈 농가들의 시름을 씻어주길 기대해 본다. (끝)


사용자 삽입 이미지


뭐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겠지만, SI와 프랑스 병이 연결되는 것은 이 두 병이 각각 신종 플루와 매독(syphilis)으로 이름이 바뀌면서 본래의 이름에 담겨 있던 불필요한 편견이나 공포, 증오와 같은 감정을 희석시켰기 때문입니다.

SI라는 이름이 사라지고 신종플루라는 이름이 그 자리를 대신하면서 '이 병과 돼지고기는 아무 상관이 없다'는 설명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듯 합니다. 재미있는 것은, SI라는 명칭이 사용되던 기간 중에 삼겹살집이나 족발집은 손님이 뚝 떨어졌다던데 중국집에는 여전히 손님이 많더군요.^^ 짜장면이며 탕수육, 모두 돼지고기 없으면 못 만드는 음식들일텐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롤라모 프라카스토로(Girolamo Fracastoro) 선생은 1478년 베로나에서 태어나 활동하신 분입니다. 당시의 지식인들이 대개 그랬듯 그냥 시인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파두바 대학의 논리학 교수였으며, 코페르니쿠스와 절친한 천문학자였고 또 의사였다고 합니다.

이 분은 Syphilis sive morbus gallicus라는 서사시에서 프랑스 병(morbus gallicus: gall은 프랑스의 옛 이름)이라는 병에 처음 걸린 사람으로 시필루스(Syphilus)라는 인물을 등장시키고, 거기서 병 이름인 Syphilis를 만들어냅니다. 뭐 지금은 이 병의 이름을 지은 것이 이분의 가장 큰 업적으로 기억되고 있지만, 당시에는 꽤 존경받는 전염병 연구가였던 모양입니다. 티푸스라는 이름도 이 분이 지은 거라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실 병으로서의 매독은 환자와 직접 신체 접촉을 하지 않으면 거의 걸릴 가능성이 없을 정도로 전염성이 미약하지만, 막상 걸리면 살더라도 신체 일부가 썩어들어가고 환자의 외양이 흉칙해지는 등 극악의 증상을 보였기 때문에 이 병에 대한 공포심은 대단했다고 합니다(사진도 여러개 구할 수 있지만 너무 끔찍해서 피하기로 했습니다). 게다가 생활 패턴상(?) 예술가들이 걸리기 쉬운 병이다 보니 근세 수많은 유럽 예술가들이 이 병으로 죽거나, 이 병을 치료하려고 수은을 마시다 죽었다는군요.

구한말이며 일제시대까지도 매독을 치료하기 위해 수은 증기를 들이마시는 위험천만한 시술을 하다가 죽은 사림이 꽤 있었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그 치료법 역시 프라카스토로에게서 비롯된 것이라니 참 유서가 깊습니다. 병에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만... 다른 효과가 더 빠를 수도 있겠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미친 짓은 독일의 파울 에를리히가 1910년 살바르산 606호(어쩐지 친숙한 이름입니다. 606회의 실험 끝에 만들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어린 시절 읽은 과학도감에 쓰여 있었습니다. 여명 808이 얼마나 어려운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는지 아시겠습니까?)를 만들 때까지 계속됐다고 합니다.

아무튼 대개는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가져온 병이라고 굳게 믿고 있었지만 일각에서는 오히려 유럽인들이 신대륙에 퍼뜨리고 다시 되돌아온 병이라고도 주장한다고 합니다. 뭐 500년 전의 일을 지금에서 알 길은 없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칼럼이 나간 뒤 어떤 분이 댓글로 노망이 알츠하이머 병과 다르며, 광우병과 크로이츠펠트-야코브 병도 다르다고 말씀을 해 주셨는데, 사실 전문가가 아니다 보니 어디가 어떻게 다른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두 병의 이름 모두 원래의 병 이름이 갖고 있는 멸시나 공포의 느낌을 함께 싣지 않는 효과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는 글의 취지에서 빗나가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아울러 '지랄'이라는 말이 본래 병의 이름이라는 것은 모르셨던 분도 꽤 있을 겁니다. 그러니까 '왜 지랄이야'라는 말이 생각보다는 훨씬 심한 욕이었던 셈이죠. 이 말이 본래의 의미와 살짝 떨어져서 아예 욕으로 굳어진 이상, 실제 환자에게 그 병 이름을 쓰는 건 대단히 모욕적이고 가혹한 일이겠죠. 그래서 간질, 혹은 전간이라는 이름이 주로 쓰이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너무나 유명한 줄리엣의 대사는 '로미오와 줄리엣' 2막 2장에 나옵니다. 유명한 발코니 신에서 로미오가 엿듣고 있는 줄 모르는 줄리엣이 '당신의 이름에서 몬테규라는 성만 지운다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며 읖조리는 말이죠. 원문은 "What's in a name? That which we call a rose /By any other name would smell as sweet."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설은 요란하지만 아무튼 결론은 이름 그거 함부로 지었다가 엉뚱한 사람이 애매하게 피본다. 그러니 이름 함부로 짓지 말자. 가능하면 아무 뜻도 없는 이름으로 짓는게 좋다는 얘깁니다. 저 칼럼은 5월2일자 신문에 실렸습니다.

그런데 지난 주말, 그러니까 5월9일자 조선일보에 이런 글이 실렸더군요.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5/08/2009050801610.html?srchCol=news&srchUrl=news2

서울대 주경철 교수님의 이름이 걸린 '주경철의 히스토리아'라는 연재물입니다. 뭐 천하의 주경철 교수님('테이레시아스의 역사'는 참 재미있게 읽었습니다)이 위의 저런 후줄근한 칼럼 따위에서 아이디어를 얻으셨을 리는 없고 그냥 묘한 우연이겠죠. 그냥 참 신기한 일도 있다 싶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s. 프라카스토로 선생의 고향은 로미오와 줄리엣의 고향인 베로나입니다. 그 분의 동상도 바로 베로나의 시뇨리 광장에 있다는군요. (그래서 뭘 어쩌라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