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나라가 큰 일을 겪었습니다.

살아있는 사람은 누구나 말을 통해 자신의 의사를 피력합니다. 어떤 말들은 명언이 되어 남고, 어떤 말들은 망언으로 기록됩니다. 좋은 말이든 나쁜 말이든, 세상에 알려진 인물이 마지막으로 남긴 말은 오래도록 사람들의 기억에 남기 마련입니다.

'삼국지연의'에서도 유비는 육손에게 패해 죽기 직전, "새가 죽을 때가 되면 그 소리가 슬프고, 사람이 죽을 때가 되면 그 말이 선하다(鳥之將死, 其鳴也哀;人之將死, 其言也善)"고 말합니다. 세상을 떠나는 마지막 순간이 되면 누구든 자신이 어떤 말로 남겨진 사람들에게 기억될 것인가를 생각하기 마련입니다.

그의 마지막 말을 생각하면서 쓴 글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목: 마지막 한마디

오슨 웰스의 고전 명작 영화 ‘시민 케인’은 언론 재벌 케인이 숨을 거두는 순간 중얼거린 “로즈버드”라는 말의 의미를 찾는 미스터리 극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유명 인사들이 남긴 마지막 말은 유사 이래 수많은 사람의 관심사가 되어 왔다. 카이사르의 “브루투스, 너마저도” 이후 수많은 말이 때로는 교훈으로, 때로는 호기심의 대상으로 회자(膾炙)됐다.

마지막 말들은 망자의 일생을 압축해 보여주기도 한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좀 더 좋은 작품을 남겼어야 했다”며 마지막까지 겸손했고, 골프광이던 가수 빙 크로스비는 의사의 만류를 무릅쓰고 18홀을 돈 뒤 “이봐, 정말 멋진 게임 아니었나?”라고 말하고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빈센트 반 고흐가 자살하기 전 남긴 메모의 “슬픔은 끝없이 지속된다”는 말도 많은 사람의 가슴을 아프게 했다.

때론 죽음에 대한 태도도 엿볼 수 있다. 마르코 폴로는 “내가 본 것 중 절반도 얘기하지 못했다”고 아쉬워했지만, 카를 마르크스는 “마지막 말 따위는 살아서 할 말을 다 못한 바보들에게나 들으라고”라며 후회 없음을 피력했다.

해학으로 후인들을 위로한 사람도 있었다. 벤저민 프랭클린은 편하게 옆으로 누워 보라는 딸에게 “죽는 사람에게 쉬운 일이란 없단다”라는 말을 남기고 숨을 거뒀다. 버나드 쇼도 “죽는 게 웃기는 것보다 쉽군”이라며 위트를 발휘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마지막 순간까지도 에세이를 쓰고 있었다. 그가 완성하지 못한 문장의 첫머리인 ‘인용하자면(Citater fra)’은 끝없는 연구자의 자세를 가리키는 격언으로도 쓰인다. 위대한 과학자들에게도 죽음은 외경의 대상이었다. 찰스 다윈은 “나라고 죽는 게 겁이 안 날 리가 있나”라고 말했고, 지크문트 프로이트는 “이건 말도 안 돼!”라며 강한 의혹을 표현했다. 가끔은 가공의 한마디가 조작되기도 한다.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여러분, 희극은 끝났소. 박수를 치시오”라는 멋진 말을 남긴 것으로 전해지지만 사실 여부는 지금껏 논란의 대상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마지막 말은 “담배 있나?”로 기억되겠지만 유훈(遺訓)은 29일 영결식장에서 낭독된 14행의 유언 가운데서 찾아야 할 듯하다. 과연 그는 그 14행 중 어느 말이 가장 오래 기억되길 원했을까. 마지막 가는 길에도 “원망하지 말라”며 후인들의 화합을 꾀했던 그의 자세에 경의를 표한다. (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밖에도 수없이 많은 고인들이 수없이 많은 말들을 남겼습니다. 마지막 말이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갖는가는 굳이 보태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고려 태조 왕건이 남긴 마지막 말들은 '훈요십조'라는 이름으로 남았고, 어처구니없이 수백년 뒤 호남 사람들의 가슴에 못을 박는데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결국 그의 마지막 말들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의미를 찾으라면 화합의 한마디였을 것입니다. 주변 정황을 생각하면, 그런 말을 남기고 가는 것이 그리 쉽지는 않았을텐데 말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명언으로는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을 달변가 김제동이 이날도 명언 하나를 남겼습니다. "작은 비석 하나를 세워달라"는 유언에 대해 "우리 모두의 마음 속에 비석 하나씩을 세우겠다"고 한 것이죠. 그렇습니다. 전에도 말한 적이 있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기억하는 것입니다.

'화이트 크리스마스'로 유명한 빙 크로스비(알고보니 골프 명예의 전당에도 이름이 있다는군요)의 노래는 별로 적절하지 않은 것 같고, 베토벤 교향곡 7번의 2악장이 어울릴 듯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