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달리 미술관의 미로같은 내부를 헤매다 보면 사람들이 길게 줄을 서 있는 방에 도달한다.

 

유명한 '메이 웨스트의 방 Mae West Room'. 메이 웨스트(1893~1980)는 흑백영화시대 할리우드의 유명 여배우. 1920~30년대의 섹스 심벌이다. 실제 발음은 분명 '메이' 인데, 많은 한국인들이 Mae라는 철자 때문에 이 배우를 '매 웨스트'라고 부른다. 뭐 일본에선 '마에 웨스트'라고 부를 지도 모르겠다.

 

 

 

이렇게 보면 의도가 보이긴 하지만 그냥 방이다. 도시 풍경을 찍은 흑백 사진 작품이 벽에 걸려 있고, 약간 코믹하게 생긴 벽난로가 있다. 마지막으로 입술 모양의 소파가 놓였다.

 

 

 

사람들이 긴 줄을 서서 그 방을 입술 각도에서 바라본다. 물론 전체를 조망하는 큰 돋보기 앞에는 거대한 금발 모양의 가발이 걸려 있다. 사실 줄이 너무 길어서 직접 돋보기를 통해 들여다 보는 건 포기하고, 달리가 의도한 형상을 찍어 왔다. 그러니까 위 광경이 이렇게 보이도록 하는게 달리의 의도였다. 

 

 

 

 

메이 웨스트의 실제 모습. 아마도 이 사진을 모델로 한 듯 한데, 달리의 시도에 대해 웨스트 본인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었을까.

 

 

 

달리 극장미술관의 한 전시관은 이 미술관의 공동 설계자이며 달리 사후 관장을 지낸 화가 안토니 피초트(피쇼트라고 읽을 수도) Antoni Pitxot에게 헌정되어 있다. 그의 작품세계는 모든 세상을 저 색색깔의 조약돌로 환원시켰다는 데 있다. 해설에 따르면 그는 일단 조약돌로 자기가 원하는 형상을 만들어 놓고 그 다음에 다시 그걸 유화로 그리기를 즐겼다고.

 

...달리와 어울렸다니 뭐 일단 그것부터 정상인은 아니다.

 

 

가장 유명한 이 그림의 제목은 '기억의 우화 Allegory of the memory'. 이 그림의 변형만도 수십종이다. 아마도 기본 형태는 루벤스의 '삼미신(三美神) Three Graces'을 돌멩이로 재구성한 듯한 느낌이다.

 

 

 

이 유명한 그림 말이다. 물론 루벤스 시대의 취향에 따라 좀 굵으시긴 하다. 이 그림의 원본은 며칠 뒤 마드리드의 프라도 미술관에서 영접하게 된다. 아무튼 화면에 있는 세 여성 형상의 구도로 보아 이 그림을 변형시킨 것으로 느껴진다.

 

 

혹은 오른쪽에 남자로 보이는 형상이 있는 것으로 보아 루벤스의 또 다른 그림, '파리스의 선택 Judgement of Paris'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헤라, 아테네, 아프로디테의 세 여신이 셋 중 누가 가장 아름다운 여신인가를 놓고 파리스에게 판정을 요구한 그리스 신화의 유명한 광경이다. 여기서 파리스가 아프로디테를 선택하고, 그 댓가로 헬레네를 요구하면서 트로이 전쟁이 시작되는 것이다. 

 

여담이지만 유럽의 유명 미술관에 가서 시간낭비를 하지 않으려면 두 권의 책은 꼭 읽어야 한다. 바로 그리스 신화와 성경이다. 인상파 이전의 수많은 거장들이 그린 그림 중 80% 정도는 성경과 그리스 신화의 드라마틱한 장면들이다. 어느 정도나 보면 되냐고? 위 그림을 보고 투구와 방패가 있는 여자(아테네), 날개달린 꼬마 에로스를 거느린 여자(아프로디테), 공작을 거느린 여자(헤라), 유명한 지팡이 카듀케우스 Caduceus 를 들고 날개 달린 샌들을 신은 남자(헤르메스), 그리고 목동 형상을 하고 누구에게 사과를 줄까 고민하고 있는 남자(파리스)를 알아볼 수 있는 정도면 웬만한 그림은 즐기면서 읽을 수 있다.

 

(물론 이 정도면 다 된다는 뜻은 절대 아니다. 다만 이런 걸 알 수 있는 눈과 그렇지 않은 눈으로 루브르나 프라도, 우피치, 내셔널 갤러리 같은 유럽 굴지의 미술관을 갔을 때 누릴 수 있는 즐거움의 크기는 감히 비교할 수 없을 정도라는 얘기다. 어찌 보면 '최소한'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심지어 초현실주의의 거장, 달리의 극장 미술관에서도 고전에 대한 이해는 분명히 필요하다. 여담 끝.

 

 

 

이 달리 미술관은 엄청나게 규모가 큰 미술관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어느 구석 하나 빈 곳이 없다. 어디 한 군데라도 눈이 스칠 곳이 있으면, 그곳이 작품으로 꾸며져 있다. 그리고 구경할 수 있는 동선 역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짜여졌다.

 

 

 

제목도 알 수 없는 소품 하나. 반쯤 비치는 조명을 통해 '에일리언'에 나올 법한 형상이 슬쩍 드러나 보인다. 그냥 드러나 있다면 별 특이한 점이 없었겠지만, 이렇게 장막을 통해 보여주면서 호기심과 공포감을 극대화시킨다.

 

 

 

공들인 대작들만 있는 것도 아니고 이런 소품들도 즐비하다. 뭘 그렸는지 가장 궁금했던 그림. 메두사일까, 밥 말리일까.^^

 

 

 

그리고 매우 드문 생활형 그림. 갈라를 그리고 있는 달리 자신의 자화상(?)

 

전시실을 돌다 보면 바람의 궁전 Palace of Wind 이라는 매우 인상적인 방에 들어가게 된다.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를 연상시키는 웅대한 규모의 천정화가 일단 방문자를 압도한다.

 

 

 

도록 버전으로 빌려오면 이렇다. 물론 구상은 웅대하지만 내용은 코믹하다. 양쪽의 거상은 당연히 달리와 갈라(오른쪽 파란 바지 입은 사람의 콧수염을 주목하라^^). 양쪽 가장자리와 사방에는 숲속으로 쏟아지는 햇살을 바라보는 갈라와 달리, 그리고 피게레스에 내리는 금화의 비 등 얼핏 봤을 때 중세 종교화를 연상시키는 그림의 분위기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장난스러운 내용이 그려져 있다.

 

 

 

 

이 바람의 궁전의 한 구석을 차지하고 있는 조각. 위쪽은 메두사의 머리를 높이 든 페르세우스, 그리고 아래 쪽은 십자가 없는 예수다.

 

 

그리고 그 조각 아래의 받침대는 니케 여신상을 거울로 반사해 양쪽 날개를 모두 갖게 한 형상이 뒤집힌 모습이다.

 

...이미지의 폭격은 끝없이 이어진다.

 

 

 

 

바람의 궁전 한켠에 설치된 스튜디오. 유명한 '기억의 집착'이 태피스트리 버전으로 걸려 있다.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서재처럼 꾸며진 스튜디오. 가구에서는 가우디의 느낌이 나기도 한다.

 

 

 

갑자기 다른 화가의 그림이 보인다. 부게로 Bouguereau 의 그림이나,

 

 

 

달리에게 누구보다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거론되는 엘 그레코 El Greco의 작품.

 

 

 

바람의 궁전 한켠의 작품. 방 하나가 궁극의 여성성을 설명하는 요소들로 가득 차 있는데, 가장 눈에 띄는 건 위에 소개한 부게로의 그림과 미국 조각가 존 디 안드레아 John De Andrea의 이 작품. 존 디 안드레아는 실제 사람과 구별하기 힘들 정도로 하이퍼리얼한 누드 상(이라고 쓰고 마네킹이라고 읽어도 좋을 듯. 주 사용 제료가 '폴리에스터'다)을 즐겨 작품으로 내놓고 있다. 

 

 

 

미켈란젤로의 모세 위에 문어 한마리가 버티고 있는 이 작품의 제목은 모세와 일신교 Moses and Monotheism. 이런 작품이 꽤 많은데, 이걸 어디까지 달리의 작품이라고 해야 할지도 조금 의문이긴 하다. 

 

아무튼 박물관 구경도 막바지를 넘어섰는데,

 

 

이번 방문에서 또 하나 큰 충격을 받은 작품이라면 바로 이 작품. '사이버 공주 Cybernetic Princess'. 물론 이 작품에도 해설 같은 건 전혀 없다. 그냥 제목만 간신히 알 수 있을 정도다.

 

사연을 모르는 사람에게 이 작품은 그냥 갑옷을 입은 로보트처럼 보인다. 발바닥이며 온 몸에 회로도나 기판 같이 생긴 것이 새겨져 있어 제목과 뭔가 일맥상통한다는 느낌을 준다. 그런데 왜 이 작품의 제목이 '사이버 공주'일까.

 

중국이 자랑하는 한나라 때 유물 중에 금루옥의(金縷玉衣)라는 것이 있다.

 

 

 

바로 이것. 모르는 사람은 이게 달리의 작품인 줄 알 정도로 외양은 똑같다.

(물론 잘 보면 남성용과 여성용에 미묘한 차이가 있다. 달리의 작품은 당연히 여성용. 이 사진은 남성용.^^)

 

2000여장의 작은 옥판을 금실로 이어 붙여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옷을 만든 것이다. 당연히 산 사람이 입을 수는 없고, 죽은 뒤에 입는 수의다. 중국 한(漢)대에는 옥의 찬 기운과 금의 녹슬지 않는 기운이 사람의 시신을 썩지 않게 보관해 준다고 믿었고, 이런 수의를 입으면 언젠가 다시 살아나 영생불멸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현재 남아 있는 이 금루옥의의 주인은 한나라 경제(景帝)의 아들인 중산정왕 유승(中山靖王 劉勝)과 그의 아내인 두관(竇琯)이다. 경제는 열 세명의 아들을 왕으로 봉했는데 유승은 그중 중산국의 왕이 되었고, 정(靖)이란 시호를 받아 중산정왕이라 불린다. 1968년에서야 중국 하북성 능산(凌山)에서 발굴된 뒤 전 세계적인 화제가 됐다. 개인적으로 이 금루옥의를 처음 본 것은 국내에 개봉됐던 허관걸 주연 영화 '미스터 부'를 통해서였다(확인해 보니 이 영화는 미스터 부 시리즈 4편, '마등보표'였다^^). 물론 그 옷이 세계적인 보물이라는 걸 알게 된 건 한참 나중의 일이지만.

 

 

 

 

(여담이지만 '중산정왕 유승'이라면 어디선가 들어본 듯 한 분들이 꽤 있을 거다. 그렇다. 유비가 자신의 조상으로 꼽는 한나라의 황족이다. 유승은 무려 42년간이나 중산국의 왕으로 있으면서 부귀와 향락이 하늘에 달해 딸 아들 합해 120명을 두었다는, 한나라 때 '좋은 팔자'의 대명사처럼 불렸던 사람이다. 중산국은 유비가 살던 탁군 바로 옆이고, 그 수많은 아들들이 다 자손을 뿌렸을테니 후손 가운데 짚신 장수 하나 쯤 있다 해도 크게 이상할 게 없는 처지였을 것이다. 뭐 그건 그렇고.)

 

아무튼 저 금루옥의를 이역 만리 스페인 피게레스에서, 그것도 달리의 작품 속에서 보게 될 줄은 몰랐다.

 

새삼 감개가 무량.

 

 

 

 

 

 

 

2층의 휴게공간에서 눈길을 쓰는 사이프러스 소나무. 달리 미술관답게 나무 하나도 예사롭지 않다. 초자연적으로 보인다.

 

 

 

 

 

 

아쉬운 마음으로 미술관을 나섰다.

 

피게레스에서 1박 이상 할 사람이라면 모르겠지만 바르셀로나에서 당일 여행을 온 사람들은 시간 관리에도 신경을 좀 써야 한다.

 

소요시간은 AVE라서 얼마 안 걸리지만, 배차가 2시간에 한대 꼴이다. 미리 차 시간을 확인하지 않으면 역에서 하염없이 기다리는 일이 생긴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 시내에서 역으로 들어가는 것도 그냥 되지는 않는다. 일단 관광안내소를 찾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다.

 

'가까운데 뭐 택시 타고 들어가면 되지'라고 생각할 때가 가장 위험하다. 워낙 좁은 촌동네라 다운타운(스페인 도시들의 다운타운은 Gran Via라고 누차 얘기했다)으로 가지 않으면 택시 구경을 할 수가 없다. 달리 미술관을 관람하고, 피게레스 시내 구경을 마쳤다면 첫째 그란비아를 찾아 택시를 타거나, 둘째 버스 정류장 위치와 배차시간을 정확하게 확인하는게 상책이다. 버스도 2013년 10월 기준 배차 간격이 약 30분 정도이므로, 여차하면 기차를 놓칠 수도 있다.

 

아무튼 이렇게 해서 다시 바르셀로나로. 저녁에는 바르셀로네타 해변에서 해산물을 먹기로 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