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0월의 마지막 날이 되면 당연히 여기저기서 흘러나오는 노래가 있습니다. 바로 이용의 '잊혀진 계절'입니다.

80년대를 기억하는 사람들에게 있어 가수 이용의 존재감은 절대적입니다. 81년 제5공화국 문화 정책의 야심작인 '국풍 81' 축제를 통해 가수로 데뷔한 이용은 다음해인 82년, 누구도 감히 넘보지 못한 조용필의 아성을 깨고 MBC TV '10대 가수 가요제'에서 가수왕을 차지했습니다.

사실 그 방송을 직접 본 저로서도 놀라운 일이었습니다. 요즘은 '10대 가수'라는 말을 들으면 당연히 샤이니나 원더걸스 같은 teenager 가수들을 가리키는 말로 생각하지만 90년대 까지만 해도 '10대 가수'라면 당연히 매년 연말 뽑는 MBC 10대 가수를 가리키는 말일 정도로, '10대 가수 가요제'의 중량감은 대단했습니다. 김흥국이 단 한번 10대 가수에 든 것으로 '안녕하세요, 10대 가수 김흥국입니다'라고 몇 해를 버틸 정도였으니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무튼 당시 이용은 데뷔곡 '바람이려오'와 '잊혀진 계절'로 누구도 부럽지 않을 인기를 자랑했습니다. 대부분의 남자 가수들이 트로트나 스탠다드 팝 스타일의 보컬을 고수하고 있는 환경에서, 당시만 해도 이렇게 쭉쭉 뻗는 성악적인 발성의 고음 가수는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죠. 부드러우면서도 힘이 넘치는 목소리가 당시의 대한민국을 사로잡았습니다.

물론 이용의 인기가 대단하긴 했지만 82년의 조용필 역시 대단했습니다. 이해 4집을 내놓은 조용필 역시 '못찾겠다 꾀꼬리'와 '기도하는~'이라는 가사로 너무나도 유명한 '비련', '자존심' 등을 히트시키며 정상을 굳게 지키고 있었기 때문이죠. 그래서 10대 가수 가요제에서 이용이 가수왕에 오른 것은 이변으로 여겨질 만 했습니다. 조용필 팬들은 "말도 안 된다"며 분통을 터뜨렸었죠.

(자, 당연히 이런 얘기들은 본론이 아닙니다.)

이 '잊혀진 계절'을 비롯해 가사나 제목에 날짜가 등장하는 노래들은 상당히 많습니다. 그런데 특이한 것, 이 날짜가 기쁜 날인 경우가 없더라는 것입니다.

일단 '잊혀진 계절'만 보더라도 그렇습니다.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10월의 마지막 밤을/ 뜻모를 이야기만 남긴채/ 우리는 헤어졌지요'로 시작합니다. 당연히 '10월31일'은 노래에 나오는 두 사람이 헤어진 날입니다. 그 이별의 아픔 때문에 노래를 부르고 있는 남자에게 10월 말은 잊혀진 계절이 되고 만 겁니다.


서태지의 유명한 '10월 4일' 역시 마찬가지죠.



왠지 요즘에 난 그 소녀가 떠올라
내가 숨을 멈출 때 너를 떠올리곤 해

내 눈가엔 아련한 시절의
너무나 짧았던 기억 말고는 없는데

넌 몇 년이나 흠뻑 젖어
날 추억케 해

네가 내 곁에 없기에
넌 더 내게 소중해

그렇습니다. 역시 그 소녀도 지금 옆에 없죠. 서태지는 한 인터뷰에서 "중2때 좋아했던 소녀의 기억을 담은 노래"라고 한 적이 있습니다.

비의 최신 앨범에 있는 '9월12일' 역시.

이별 앞에선 어느 누구도
당당해질수가 없겠죠
나도 그랬죠
마음 찢어지고
이를 악물고 대답했죠
헤어지자고 니 말대로 난 한다고

나는 멋지게 이별의 말 뱉었죠
나보다 좋은 사람을 찾아가라고 겉으론 그렇게..
이별 앞에선 어느 누구도
당당해질수가 없겠죠
나도 그랬죠
마음 찢어지고
이를 악물고 대답했죠
헤어지자고 니 말대로 난 한다고

아예 처음부터 대놓고 '이별 앞에선 어느 누구도 당당해질수 없다'고 나오는군요. 그래도 조금 낫습니다. 9월12일이 헤어진 날이 아니라 옛 애인을 처음 만난 날이라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목에 날짜가 들어가진 않지만 버즈의 '일기'라는 노래도 있죠.

12월 9일 목요일 사랑하는 사람과
마지막 하루를 보냈다고
4월에 나눌 인사를 미리 서둘러 하고
세상과도 이별한다고
눈을 감으면 깨어나지 못하면 매일 써오던 일기
내게 전해주라고

혼자 남은 나를 걱정했나요 많이 아파했나요
갚지 못할 그 사랑에 자꾸 눈물이 나죠
사랑했던 날을 모두 더하면 이별보다 길텐데
그댄 벌써 내게 제발 잊으라고만 하네요

4월에 내린 햇살을 만져보고 싶다고
힘없이 눌러쓴 그대 팔에
몇일동안 비가 내려 많이 아파하던 날
멈춰버린 4월 어느날
가지말라고 제발 눈을 뜨라고
이건 장난이라고 이럼 화낼거라고

버즈 멤버들은 아니지만 작사가의 개인적인 사연이 담긴 노래라고도 하는군요. 구체적인 사연은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행복한 사연은 아닌게 선명합니다.


날짜가 나오는 노래 중에서 가장 의미심장한 곡을 찾자면 아무래도 에픽하이의 '11월1일'을 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소중한 친구가 있었죠 내 숨소리 보다 가깝게 느꼈죠
피아노와 통키타 멜로디로 꿈을 채웠고
현실보다 그 사람은 음악을 사랑했었죠
오 그 지난 날 남다른 길에 발 딛고
무대위에서 내게 보내던 분홍 빛깔 미소
아직도 그때가 그립다 그땐 사랑과 열정이
독이 될 줄 몰랐으니까 괴리감은
천재성의 그림자 가슴이 타 몇 순간마다
술잔이 술이 차 내 친구가 걱정돼도
말을 못하고 가리워진 길로 사라지는
뒷모습 바라봤죠 그가 떠나가
남긴 상처 보다 깊은 죄가 비라며
내 맘속엔 소나기뿐 너무나 그립다
텅빈 무대끝에 앉아 붙들 수 없는
꿈의 조각들 쫓던 그대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뭐 볼 것도 없이 이 날은 소중했던 친구가 떠나간 날입니다. 그렇다면 그 소중한 친구란 누구일까요. 이 노래에 원티드의 김재석이 참여하고 있는 것은 당연히 교통사고로 숨진 원티드의 전 멤버 서재호를 추모하는 의미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에 한국 가요계의 두 거목에 대한 추모의 의미도 함께 담겨 있습니다. 바로 1987년 11월1일 사망한 유재하와 1990년 11월1일 사망한 김현식이죠. 에픽하이의 타블로도 "어려서부터 존경하던 유재하의 기일이 노래의 제목"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아무래도 이 대목에선 이 노래를 듣지 않으면 안될 것 같군요. 한국어가 남아 있는 한, 한국어 가요라는 것이 남아 있는 한 마지막까지 흘러나올 노래들 중 하나일겁니다.




팝 쪽으로 가봐도 미국 독립기념일인 7월4일 정도를 제외하면 날짜를 담은 노래 중에 밝은 사연을 담은 노래는 별로 없는 듯 합니다. 대표적인 노래로는 비지스의 'First of May'가 생각나는군요.

다 아시겠지만 소년 소녀의 사랑을 담은 영화 '멜로디'에 실렸던 노랩니다. 지금도 5월1일이면 신청이 폭주한다는 곡이죠.



When I was small, and christmas trees were tall,
We used to love while others used to play.
Dont ask me why, but time has passed us by,
Some one else moved in from far away.

Now we are tall, and christmas trees are small,
And you dont ask the time of day.
But you and i, our love will never die,
But guess well cry come first of may.

The apple tree that grew for you and me,
I watched the apples falling one by one.
And I recall the moment of them all,
The day I kissed your cheek and you were mine.

When I was small, and christmas trees were tall,
Do do do do do do do do do...
Dont ask me why, but time has passed us by,
Some one else moved in from far away.

듣고 있으면 참 가슴이 먹먹해지기도 합니다. 나이를 먹어 기억이 달력장에 덮여도 느낌은 그대로 남고, 다시 돌아오지 않는 순간들과 다시 오지 않을 느낌들이 어렴풋한 기억 속에서 사라져간다는 게 가끔 안타깝기도 합니다. 그래서 날짜가 제목에 담긴 노래들은 더할 나위 없이 애잔하게 들리는 것 같습니다.

이런 안타까움도 시간이 흐르면 하나씩 사라져 가겠지만.



p.s. 날짜를 명시하고 있는 좋은 노래들로는 또 어떤 게 있을까요? (별의 12월32일 빼고)

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북공고 1학년 1반 25번 서태지'가 방송됐습니다. 일단 느낀 점은 두가지. '(일부러 안 웃기는 건지는 몰라도)여전히 서태지는 웃기는 데에는 재능이 없구나', 그리고 '서태지가 참 친절해졌구나' 하는 겁니다.

물론 골수 팬들에게는 서태지만큼 재미있는 사람이 없고, 서태지만큼 친절한 사람이 없을 지 모르겠습니다. 일반인의 시각에선 그랬다는 얘깁니다. 아무튼 그러면서 더 보태지는 생각은 '이제 서태지도 나이를 먹었구나' 하는 겁니다.

외모상으로 서태지는 아직도 20대라 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그보다 윗세대, 혹은 동년배들에게 이렇게 젊어 보이는 서태지가 과연 그보다 훨씬 어린 10대-20대 팬들에게도 그렇게 젊어 보일까요. 그건 굉장히 다른 문제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 싱글 '모아이' 발매 이후 그런 징후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거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송원섭의 두루두루] 서태지도 늙는다

영화 '다크나이트'에서는 배트맨의 활약을 로마시대의 케사르와 비교하는 인상적인 대사가 나온다. "영웅일 때 죽을 것인가, 아니면 자신이 악당으로 변해 있는 걸 볼 때까지 오래 살 것인가."

젊었을 때의 케사르는 로마 공화정의 부패와 경제난을 해소한 구원자였지만 늙어서는 '괴물', '독재자'라는 비난을 받았다. 어느 시대든 영웅이 되는 건 쉽지 않지만, 그 영웅이 평생 동안 명성을 유지하는 건 그보다 몇 배나 어려운 일임을 지적한 얘기다.

서태지가 4년여만에 현역에 복귀했다. 팬들은 다시 환호하고 있다. 물론 예전같지는 않지만, 대한민국 대중문화 역사상 가장 충실한 팬들답게 화려한 팡파레를 울려 주고 있다.

서태지는 일반적인 대중 스타와는 다르다. 그는 언제나 왕이었고, 대통령이었고, 교주였다. 16년 동안 그의 말과 행동은 일개 연예인의 말을 뛰어넘는 힘과 위엄을 지녔고, 그를 비판하는 것은 상당한 용기를 필요로 하는 일이었다. 그와 맞서는 것은 '부패한' 기존 권력의 하수인들이나 하는 짓이라는 공감대가 젊은 층에게 당연하게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세월이 흘렀고, 예견할 수 없었던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서태지는 더 이상 젊음과 반항의 상징이 아니었다. 청소년기에 서태지를 접한 세대는 이미 30대가 됐고, 그보다는 H.O.T나 god가 친숙한 세대는 오랜만에 돌아온 '중년의 한때 잘 나가던 록 뮤지션'에 대해 그리 호의적이지 않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들의 눈에는  U.F.O 이벤트보다 인터넷을 휩쓰는 '빠삐놈' UCC가 훨씬 그럴싸하다. 이들에겐 한때 젊은이들을 대변했다던 서태지가 중산층을 겨냥한 중형차 모델이 되어 있는 '변절'도 불쾌한 일일 뿐더러, '딸랑 네 곡'이 들어 있는 싱글을 만원이 넘는 가격에 파는 것도 못마땅하다. 10년 전, 아니 5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던 반응이다.

물론 서태지야 억울할 수밖에 없다. 애당초 서태지는 사회 변혁을 부르짖지도 않았다. 빌딩과 자신의 이름을 딴 회사를 갖고 있는 갑부라는 사실 역시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싱글이든 앨범이든, 만원이든 10만원이든 사는 사람이 있는 한 사지도 않을 사람이 볼멘 소리를 할 일은 더더욱 아니다.

('싱글 만원이 웬말?'이라는 바보같은 이야기에 대한 내용은 이쪽)



이번 음반에서는 서태지의 고민이 읽힌다. 일반적으로 뮤지션은 팬들과 함께 늙어간다. 더 이상 신곡이 인기 차트 정상에 오르지 않아도, 10대들이 공연장에서 기절하지 않아도 충실한 팬들은 계속 자리를 지킨다.

하지만 서태지는 그걸로 만족하기엔 아직 너무 젊다. 아직 '새로운 친구들'을 받아들이고 싶은 욕구도 뜨겁다. 그렇다면 이제부터 그는 어떤 목소리를 내야 할까. 지금은 그렇다 쳐도 10년 뒤, 20년 뒤의 서태지는 어떤 모습이 되어 있을 것인가. 앞으로의 한발 한발에 더욱 눈길이 간다. 역시 영웅으로 늙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태지 팬들에게는 대단히 불편한 글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서태지에게 전에는 상상할 수 없던 이유로 반감을 갖고 있는 젊은 층의 목소리를 들어 본 분들이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일거란 생각이 듭니다.

'다크나이트'에 나오는 굵은 부분의 원문은 "You either die a hero or live long enough to see yourself become the villain" 입니다. '영웅으로 일찍 죽든가, 오래 오래 살아 자신이 악당이 되어 있는 걸 보든가'라는 말은 다양한 함의를 갖고 있습니다.

오래 전부터 수많은 '젊은 날의 영웅'들이 나이들어 젊은이들에게 비판받는 악당으로 변해왔습니다. 케사르는 말할 것도 없고, 나폴레옹이 황제가 되자 베토벤이 3번 교향곡의 표지를 찢었다는 얘기도 유명하죠. 한국에서도 멀리는 4.19세대, 가깝게는 386의 영웅들이 어딘가 비뚤어진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젊었을 때의 이상을 늙어서까지 간직하기가 쉽지 않다는 얘기가 되겠지만, 실제 함의는 그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이상을 말하기는 쉽지만 현실은 알수록 어렵다는 것, 혹은 비판하기는 쉽지만 실제로 책임을 맡아 보면 겉에서 보는 것과는 다르다는 뜻도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죠.

그리고 무엇보다, 아무리 스스로는 변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세상이 변해 버립니다. 1980년대에는 너무나 진보적이었던 생각이 21세기에는 케케묵은 구식 생각이 될 수도 있는 거니까요. 유행은 더 말할 것도 없습니다. 가끔 복고풍이라는 반발도 가능하지만, 한 시대의 첨단 유행일수록 시간이 흐르면 더 빨리 시들어버립니다.

뒤집어 말하면, 영웅으로 오래 오래 기억되려면 일찍 죽어야 한다는 뜻도 될 겁니다. 케네디가 되거나, 짐 모리슨이 되거나, 알렉산더 대왕이 되거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윗글은 '북공고...'가 방송되기 이틀 전에 쓰여진 글입니다. 그리고 '북공고...'를 보고 나니 서태지도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과연 40대가 된 서태지는 그 시기의 10대들에게 무엇일까, 또 50대의 서태지는 무엇이 되어 있을까. 혹시 '아무 것도 아닌' 존재가 된다면 다른 누구보다 그 자신이 견딜수 없을 테지요.

아무튼 지금까지의 모습만을 간직한다면 서태지는 '그 시절의 사람들이 무척이나 좋아했던, 그 시절의 젊은이들이 듣던 노래를 부른 뮤지션'으로 서서히 잊혀져 갈 겁니다. 그걸 거부하고 거기서 벗어나려면, 서태지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음악을 해야겠죠. 그것이 '더욱 더 가장 젊고 발랄한 세대의 취향'을 선도하려는 노력이 될지, '어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음악'을 하는 것이 될 지는 알수 없습니다.

이런 생각을 해 볼 수 있습니다. 세대를 뛰어 넘어 활약하는 뮤지션들은 나이가 들면 서서히 인생을 노래하기 시작한다는 겁니다. 사랑과 질투, 소녀와 이별의 아픔(물론 나이들어서도 이런 감정을 느낄 수 있지만 20대 초반에 이해할 수 있는 것과는 매우 다르죠^^)에서 벗어나 세계와 인간을 가사에 담기 시작하죠. 멜로디도 자연히 부드러워집니다.

이런 시각에서 볼 때 이번 싱글은 '중년 서태지'를 위한 시작이 아닌가 하는게 제 생각입니다. 물론 다른 생각인 분들도 많겠죠?



p.s. 어제 처음 공개된 '모아이' 뮤직비디오입니다. 칠레와 이스터섬에서 촬영됐다는군요. 가요계의 침체 이후 이렇게 공들인 뮤직비디오는 참 오랜만에 보는 터라, 감회가 새롭습니다.


이 글을 추천하시려면: 왼쪽 숫자를 누르시면 됩니다.




혹시나 해서: '다크나이트' 리뷰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