뭘 좀 하다가/책도 좀 보다가

개취로 뽑아본 2019년 10권의 책

송원섭 2019. 12. 31. 11:26
728x90

내친김에 2019년에 읽은 책들 중 가장 기억에 남는 10권을 골라 보기로 했습니다. 고른 이유는 제각각. 어떤 책은 재미있어서, 어떤 책은 유익해서, 어떤 책은....

뭐 아무튼 가장 인상적이었던 책 열권인데 제대로 읽은 책이 이 10권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올해 본 책들 중에는 음식에 대한 책(이건 왜 그런지 다들 아실듯), 그리고 이 변화하고 있는 세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에 대한 책들이 꽤 많았던 것 같습니다. 지금 상황에서 '이렇게 돈을 벌자'는 책들은 좀 무의미한 것 같구요, 지금 이 세계가 변화하는 방향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조금이라도 풀어 주는 책을 찾고 싶었던 것 같네요.

아무튼 10권입니다. 순서는 무의미.

 

대도시의 사랑법 (박상영)

한국 소설을 거의 보지 않은 한해였지만 그중 발군.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었지만 일단 소재가 새롭고 필치는 재기발랄. 충분히 즐길 수 있었다. 비슷하게 읽히는 장류진의 첫 단편집도 처음 발표된(책 수록 순서 아님) 두 개의 단편은 좋았지만 나머지는 소설이라기보다는 지나치게 수필 같았다는 점에서, <대도시의 사랑법>을 더 인정하게 된다.

 

산 자들 (장강명)

소설이라기에는 약간 애매한 부분이 있지만 아무튼 좋았던 책. 여러 가지 입장을 볼 수 있어서 생각의 폭을 넓혀준다. 다만 이야기가 끝나는 부분에서 현실이 시작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조금 더 치열하게 파고 들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

안녕 인간 (해나 프라이)

알고리듬을 왜 한국에서는 알고리즘이라고 쓰는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알고리듬이라는 것의 실체를 좀 더 깊이 이해하게 해 주는 책. AI에 대한 지나친 기대도, 지나친 두려움도 사실은 알고리듬에 대한 무지에서 온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마음의 미래 (미치오 가쿠)

마음이란 내 것인가? 내 마음을 좌지우지하는 것은 나인가, 나의 뇌인가? 나는 앞으로 죽고 싶을 때 죽을 수 있을 것인가? 내가 원해도 죽지 못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을까? 미처 생각해보지 못한 문제들에 대한 신기한 이야기들. ‘를 구성하는 것은 무엇인가를 첨단 기술의 발달 위에 놓고 설명해주는 책.

 

컬처 쇼크 (존 브록만)

미래의 문화는 어떻게 될 것인가. 문화란 사회와 어떤 관계로 지속될 것인가? 브라이언 이노가 리처드 도킨스의 밈을 이야기하고, 그것을 통해 음악의 히트 과정을 설명하는 등 새로운 세계가 열리는 책. 존 브록만이 일련의 책들을 만들어 내는 과정 자체가 정말 놀랍다.

 

본격 한중일 세계사 (굽시니스트)

아편전쟁에서 한 중 일 3국이 외세와 부닥뜨리면서 1840년대 이후 풍운의 19세기를 헤쳐 나가는 이야기. 정말이지 칼날 끝에 서서 이를 악물고 뛰어야 했던 시기에 상황을 몰랐던 조상님들에 대한 안타까움이 피어나기도 하지만, 일단 무엇보다 너무나 보는 재미에 푹 빠져들게 하는 책.

숨(테드 창)

이 SF의 신에 대해 더 이상 어떤 찬사가 필요할까. 사실 중편으로 이미 출판됐던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주기>가 상당한 분량을 차지한다는 것이 약간 아쉽긴 했지만 <사실적 진실, 감정적 진실>의 통찰이나 <상인과 연금술사의 문>에 감춰진 엄청나게 폭넓은 사고의 흔적을 또 어디서 발견할 수 있으랴. 지존에게 경의.

 

앞으로의 교양 (스가쓰케 마사노부)

무엇이 달라질까에서, 어떤 점을 다르게 살아야 할 것인가 놀라운 인터뷰. 특히 교양부서 담당자로서 생각의 방향이 달라진다.

팩트풀니스 (한스 로슬링)

역시 다르게 보기의 일환으로 중요한 책. 세계는 성장하고 있고, 모든 것은 변화하고 있다. 생각을 바꾸지 않으면 곤란.

 

21세기 미국의 패권과 지정학/셰일가스와 미국없는 세계 (피터 자이한)

따로 떼놓고 생각할 수 없는 두 권의 책. ‘정통 국제정치학계에서는 사마외도 취급을 받는 책이라고 하지만, 트럼프 시대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에는 상당히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일본의 식문화사/ 음식의 문화를 말하다 (이시게 나오미치)

둘로 나누기 쉽지 않은 두 권의 책. “개발도상국에서는 음식문화에 대한 연구가 나오지 않는다는 말처럼 뭔가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된 이후에나 음식의 맛에 관심이 생기고, 그 다음에는 음식의 연원과 발전 원리에 대한 관심이 생긴다. 일본은 그 부분에선 한국보다 30년 정도 앞서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고르다 보니 13권이네요. 굳이 빼지 않는게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밖에 좋은 책들이었다는 생각을 주는 책들은

교수처럼 문학읽기 (토마스 포스터)

생각을 빼앗긴 세계 (프랭클린 포머)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오후)

외로운 사람끼리 배추적을 먹었다(김서령)

피로 물든 방(앤젤라 카터)

사라진 버려진 남겨진 (구정은)

등입니다. 특히 <피로 물든 방>은 페미니스트가 쓴 새로운 동화^^ 라는 면에서 매우 흥미로웠고 <사라진 남겨진 버려진>은 근래 읽은, 현직 기자가 쓴 책 중에는 최고였다고 생각합니다. 유능한 사진작가와 팀을 이뤄서 같이 책으로 내 봤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사실 1년동안 읽은 책을 정리해보기는 이번이 처음인데, 한번 해보고 나니 이것도 하는게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새해 복많이들 받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