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하녀들] 서서히 인기에 불이 붙고 있는 JTBC 금토드라마 '하녀들'은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란 나라가 선 지 10년 남짓한 세월이 흐른 상황의 이야기입니다. 오늘날처럼 미디어가 발달한 사회가 아니고 보면 10년은 그리 긴 세월이 아닙니다. 좀 과장해서 말하자면 두메산골에서는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란 새 나라가 섰다는 사실도 최신 뉴스일 수 있는, 그런 상황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새로운 나라의 주역들이 가장 경계할 일은 아무래도 전 왕조의 후예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한 동태 파악입니다. 백제가 망한 뒤에도 백제의 강역에서 부흥운동이 펼쳐졌고, 고구려도 부흥운동이 일어난 데 이어 그 땅에서 고구려의 후신임을 주장하는 발해가 다시 일어났습니다.

 

자료를 보면 태조 이성계는 공양왕을 비롯한 고려 왕실의 후예들에게 상당히 관대한 듯 하지만 그 아랫사람들은 결코 그렇지 않았죠. 자신감의 차이일 수도 있겠지만.... 아무튼 조선이 망한 뒤 고려 왕씨들이 어떤 운명을 걸었는지는 그리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은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 대표적인 이름은 바로 '왕 거을오미' 입니다.

 

 

 

 

 

왕거을오미(王巨乙吾未, 1393~) [가장 극적으로 살아남은 고려의 후예]

 

드라마 하녀들에는 조선 초 태조 이성계와 태종 이방원이 반목하는 사이 고려를 수복하려는 왕씨들과 그 유신들로 구성된 만월당이라는 비밀 조직이 등장한다. 역사적으로 볼 때 고려가 망한 뒤 두문동에 들어간 72명의 고려 유신들이 끝까지 절의를 지켰다는 기록은 있으나, 누군가 조직적으로 고려를 다시 세우기 위해 운동을 펼쳤다는 이야기는 전해지지 않는다. 고구려의 안승이나 백제의 귀실복신 같은 인물은 고려가 망한 뒤에는 보이지 않는다는 얘기다. 그럼 고려 왕씨의 후손들은 조선 건국 이후 어떻게 되었을까.

 

집권 직후의 태조 이성계는 고려 왕손들에게 상당히 호의적이었다. 공양왕을 죽이지 않고 살려 둔 데 이어 태조 2(1393) 526일에는 거제도를 비롯한 낙도로 유배가 있던 공양왕의 후손들을 육지로 나오게 해 생업을 주고 안정시키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들 중 왕강은 위화도 회군 당시 이성계에게 동조한 공이 있어 조선 건국 뒤에도 벼슬을 유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성계 본인보다 정도전을 비롯한 공신들은 훨씬 더 강력하게 왕씨들을 처단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을 내버려 둘 경우 새로운 왕조에 해가 될 것이라는 상소가 빗발쳤고, 마침내 1394226일에는 이성계가 직접 보호하던 왕강와 왕승보 등도 귀양가는 몸이 되었다. 이어 414일 윤방경 등을 강화에, 손흥종 등을 거제에 보내 왕씨 일족을 단속하라는 명을 내렸다. 말인즉 파견되는 관리가 재량껏 단속하라는 것이었으나, 조정의 여론을 감안하면, ‘재량껏이란 씨를 말리라는 말이나 마찬가지였다. 삼척에 귀양 가 있던 공양왕도 이때 아들과 함께 처형됐다.

 

야담집 추강냉화에는 당시 학살의 풍경이 기록돼 있다. 파견된 관원들이 왕씨들에게 육지에서 떨어진 낙도에 모두 모여 살게 해 주겠다며 거짓 포고령을 내려 포구에 모은 뒤, 배에 싣고 가다가 가라앉혀 몰살시키는 방법을 썼다는 것이다. 이때 고려 태조 왕건이 이성계의 꿈에 나타나 죄없는 내 후손들을 몰살시키니 네 아들들도 뒤가 좋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는 전설이 있다.

 

 

 

이어 426일에는 아예 왕씨라는 성의 사용 금지령이 내려진다. 본래 왕씨면 어머니의 성을 쓰고, 사성(賜姓)으로 왕씨를 받은 자들도 본래의 성으로 복귀하라는 것이었다. 이때 왕씨들이 전()씨나 옥(), ()씨로 성울 바꾼 경우가 많았다고 전해진다. 다들 한자로 보면 자가 들어 있는 글자들이다.

 

공양왕의 형인 왕우는 태조의 8남 방번에게 딸을 시집보내고 귀의군에 봉해진 뒤, 이런 변란 속에서도 왕씨의 제사가 끊겨서는 안 된다는 이유로 목숨을 보존했다. 하지만 1397년 왕우가 죽고 장남 왕조가 귀의군의 칭호를 물려받은 뒤, 이듬해인 1398 826일엔 귀의군 왕조와 그 아우 왕관이 죽었다는 기록이 실렸다. 이날은 1차 왕자의 난으로 방번-방석 형제와 정도전, 남은 등이 주살당한 날이다. 방번이 죽었으니 그 처남들인 왕조와 왕관을 더 이상 살려 둘 명분이 없어진 것이다. 이렇게 해서 조선에서는 공식적으로 왕씨가 사라졌다.

 

하지만 태종 13(1413) 11, 고려 왕족인 왕휴의 서자 왕거을오미가 발견되어 조정이 발칵 뒤집혔다. 왕휴가 이밀충이란 사람의 누이를 첩으로 삼아 낳은 아들인데 20세가 되어 호패를 마련하려는 것을 지신사 김여지가 조정에 보고한 것이었다.

 

 

 

관계자들이 줄줄이 잡혀 들어가 공초가 있었으나 태종은 역성혁명이 일어나도 전조의 자손들을 아예 멸족시킨 경우는 없었다. 특히 태조의 경우 왕씨들을 몰살시킨 것이 본의가 아니었고, 당시만 해도 내가 나이 어려 그것을 막지 못한 것이 한이다, 이제 내가 왕씨의 자손들을 보호하겠다며 거을오미의 석방령을 내렸다. 이후 문종 1(1451)에는 왕씨의 사용 금지령을 해제하고 임금이 직접 "왕씨의 후손들을 찾아 조상의 제사를 지내게 하라"는 칙령을 내리면서 오늘날까지 개성 왕씨의 후손들이 전해지고 있다.

 

고려가 망한 뒤 부흥의 움직임이 공식 문서에 기록된 바 없는 것은 아마도 이런 가혹한 박해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극적으로 살아남은 왕거을오미도 왕씨에 대한 박해가 끝났음을 알린 인물이기는 하나, 관직이나 토지를 주어 잘 살게 했다는 기록 역시 없는 것을 보면 무슨 특전이 주어진 것은 아닌 듯 하다. 문종 때 왕씨의 사당인 숭의전을 짓고 왕우지를 발탁해 왕순례라는 이름을 내린 뒤 숭의전 부사로 봉해 토지와 집을 주어 조상의 제사를 모시게 한 것이 완전한 사면의 첫 기록이다.

 

이렇듯 조선 왕조가 왕씨를 받아들이는 데 대략 건국에서 60년이 걸렸다. 다시 한번 망국의 비애를 느끼게 된다.

 

P.S. 고려 왕씨에서 비롯된 성씨 중에는 위에서 거론한 성씨 외에 개성 내()씨가 있다. 일설에 따르면 조선 초 검문하던 군관이 무슨 성씨냐고 묻는 말에 당황한 왕씨 일족이 ?”하고 반문하는 바람에 내씨가 되어 살아남았다는 것인데, 믿을만한 이야기인지는 알 길이 없다.

 

 

 

 

 

개성 내씨 이야기는 참 코믹합니다만, 그렇게 해서라도 살아남았다니 다행이라는 생각.

 

뭐 역사의 만약이란 얘기해 봐야 그냥 재미를 위한 것일 뿐이지만, 왕우와 이성계가 사돈을 맺을 때 하필 방번과 왕우의 딸을 결혼시킨 것이 묘한 상황입니다. 이성계가 후계자로 삼으려 한 아들은 방번과 어머니가 같은 방석이었으니, 그대로만 됐으면 왕우의 집안은 누가 함부로 건드릴 수 없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아시다시피 왕자의 난으로 태종 방원이 방번-방석 형제를 처지했으니 왕우의 자손들은 두 겹의 역적이 된 셈이죠. 망국의 왕손인데다 난신적자의 집안... 이것이 팔자 소관이 아닐까 싶습니다.

 

가끔 전씨(全이든 田이든) 중에 고려 왕손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속설에 따르면 가능성은 꽤 있는 편입니다. 한때 전직 대통령 한 사람의 측근들도 넌즈시 그런 얘기를 하고 다녔다고 하더군요. 비슷한 경우를 부여 서씨의 경우에도 볼 수 있습니다. 백제의 왕성은 본래 부여(夫餘)씨인데, 나라가 망한 뒤 여(餘)자의 일부를 변형해 여(余)씨나 서(徐)씨로 성을 바꿨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왕씨의 후손들은 이렇게 경기도 연천의 숭의전(문종 때 세워진 왕씨들의 사당)에서 추모제를 지내고 있으니, 굳이 누가 진짜 고려의 후손인지를 따질 문제는 아닌 듯 합니다.

 

'하녀들'은 태종 초, 함흥차사가 왔다갔다 하는 상황에서 시작했으니 왕씨의 후예들은 모조리 참살당한 뒤의 상황입니다. 그래도 고려 부흥의 음모가 등장하니 왕씨가 아예 안 나올 수는 없겠죠. 그렇다면 '하녀들'의 등장인물 중에는 누가 고려 왕실의 후예일까요. 뭐 아직 미스터리로 남아 있지만 눈치 빠른 분들은 대략 짐작을 하실 듯 합니다. 당연히 비밀조직 만월당의 주역들 중에 있겠죠.^^

 

('하녀들' 보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미 김치권[김갑수]와 아들 은기[김동욱]가 고려 왕실의 자손이고, 무명[오지호]은 이방원의 아들이란 게 밝혀졌습니다. 이 글은 그 전에 쓰여진 글이라서...^^)

 

 

728x90

영화 '명량'의 주된 텍스트는 '난중일기'입니다. 특히 해전 당일의 진행은 난중일기에 기록된 1598년 음력 9월16일의 기록을 거의 그대로 옮겨 놓고 있습니다. 충무공 이순신 본인과 아들 이회, 그리고 송희립 나대용 안위 김억추 등 당일 전투에 참여한 부하 장수들은 물론이고 승려 혜희, 정찰꾼 임준영, 항복한 왜의 무사인 준사 등등 조연급의 인물들도 모두 '난중일기'에 등장하는 사람들로 채워졌습니다.

 

물론 영화는 영화, 실제 역사는 역사, 그래서 많은 부분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차이가 있어서 '명량'이 나쁜 영화라는 뜻은 절대 아닙니다. 단 '명량'을 실제 역사로 착각하는 일을 방지하거나, 혹은 그저 호기심에서 '명량'과 역사상의 기록이 어떻게 다른지 궁금해 하는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이순신(1545~1598)

 

한국인이라면 모를 수 없는 충무공 이순신의 일생을 간략하나마 한 페이지로 정리한다는 것은 감히 저지를 수 없는 불손한 짓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영화 명량에 기록된 ‘1598 9이란 제한한 시간 안에서, 각종 기록에 담긴 이순신의 전적을 다뤄보고자 한다.

 

1592년 발발한 임진왜란은 개전 한달만에 일본이 조선의 수도 한양을 빼앗는 등 파죽지세의 면모를 보였으나 이후 명의 원군이 참전하고 강화 논의가 시작되며 긴 교착상태에 빠졌다. 그러나 화의가 깨지며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격분했고, 1597년 정유재란이 시작됐다.

 

그해 3, 모함을 받아 삼도수군통제사에서 물러난 이순신은 7월 원균이 칠천량에서 대패하고 전사함에 따라 통제사에 복귀하게 된다. 하지만 남은 전선은 겨우 열 두척. 뭔가를 해 볼 수 있는 전력이 아니었다.

 

난중일기 9월은 우울하기만 했다. 가까스로 남해의 서쪽 끝, 벽파진에 본부를 차렸지만 언제 적이 쳐들어올 지 몰라 불안하기만 했다. 말단 병졸은 물론 지휘관들도 공포에 질렸다. 92, 전체 조선 수군의 서열 2위라고 할 수 있는 경상우수사 배설이 전투를 피해 탈영할 정도였다.

 

97일에는 왜 수군의 척후대가 방어 태세를 살피기도 했다. 14, 왜군이 마침내 한줌 남은 조선 수군을 섬멸하고 한양으로 진공하려 한다는 첩보가 들어왔다. 결전이 임박했다는 신호였다.

 

음력 916일의 기록도 평소보다 길지 않다. 130여척의 일본 함대는 명량해협으로 직진했다. 해류의 불리함이고 뭐고 압도적인 규모를 이용해 뭉개 버리겠다는 자세. ‘명량에서 류승룡이 연기한 구루지마가 선봉에 섰다.

 

전날 밤 이순신이 휘하 장수들을 모아 놓고 필생즉사, 필사즉생(必生卽死 必死卽生)”를 부르짖어 투지에 불을 질렀지만, 막상 일본의 대함대를 마주한 장졸들은 겁을 먹고 앞으로 나가지 못했다.  특히 이순신이 일기에서 저런 자가 어떻게…”하고 한탄했던 전라우수사 김억추는 800미터(두 마장)나 뒤쳐져 눈치만 보고 있었다.

 

하지만 홀로 최전방에 선 이순신은 대장선의 앞선 화력을 이용해 공격해오는 왜선들의 접근을 막으며 꿋꿋하게 버텼다. ‘명량에선 그리 강조되지 않았지만, 조선의 전투 과학 기술은 이순신의 전술과 울둘목의 해류 못잖게 이날 전투에서 큰 역할을 했다. 판옥선은 일본의 주력함인 세키부네에 견고함이나 규모에서 비교가 되지 않았고, 조선의 천지현황 총통도 사정거리나 파괴력에서 조총을 압도했다.

 

일본 수군은 갈고리를 걸어 상대 배에 뛰어드는 전술에 능했으나, 조선군은 현대전의 크레이모어를 연상시키는 대인살상병기 조란탄(鳥卵彈, 작은 탄두 수십개를 동시에 산탄처럼 쏘아 보내는 포탄)를 활용해 접근전을 원천봉쇄했다. 이순신의 눈부신 투지에 물러섰던 부하들도 하나둘씩 전선에 합류, 기적 같은 승리를 합작해냈다.

 

일본 수군은 구루지마가 전사하는 등 31척을 잃고 후퇴했다. 임진왜란 7년을 통틀어 다이묘(大名, 지방 영주)급 지휘관이 전사한 것은 명량의 구루지마가 유일하다. 반면 조선 수군은 단 1척도 잃지 않았고, 대장선에서는 사망자가 2, 부상자가 3명 나왔을 뿐이었다(이런 피해라면 대장선에선 명량에 그려진 백병전이 펼쳐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명량대첩의 개략적인 결과다.

 

 

 

1. 백병전이 줄기차게 벌어졌다?

영화 '명량'은 매우 충실하게 '난중일기'의 당일 기록을 재현하고 있습니다만 이 부분에서 결정적인 차이가 납니다. 위에서 밝힌 대장선의 피해 규모를 볼 때, 백병전은 일어나지 않았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입니다(물론 대장선이 아닌 안위의 배에서는 백병전이 펼쳐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시 말해, 대장선이 혼자 앞으로 나가 왜 수군 전체를 막을 수 있었던 것은 대장선과 왜 수군 선발대의 원거리 타격 능력이 이지스함과 일반 함선 정도로 차이가 났음을 보여주는 것이죠.

 

조금 더 들어가면, 조선 수군의 승리 뒤에는 조선의 뛰어난 선박 제조술과 화포 기술이 있었다는 점을 잊어선 안 됩니다. '명량'에서는 명량해전 후반에 조선 배가 일본 배를 들이받아 부수는 충파(衝破) 장면이 나오는데, 본래 이충무공전서에 나오는 용어는 당파(撞破)입니다(충파라는 용어는 이번에 처음 들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장면은 실제로는 없었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 좋습니다.

 

 

 

[기존의 많은 사람들은 이 당파를 '조선 배로 일본 배를 들이받아 깨뜨리는 전술' 이라고 생각해 왔습니다만, 최근의 해석으로는 이 당파가 직접 배와 배가 들이받는 것이 아니라는 쪽입니다. 일찌기 1985년 드라마 '조선왕조500년-임진왜란' 편에서는 원균이 이 당파전술의 창시자(?)이며, 조선의 판옥선이 일본 배보다 훨씬 견고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었던 전술이라고 설명하고 있었지만, 각종 문헌에서 사용된 '당파'를 해석해 본 결과 원거리 병기로 적함을 격침시켰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훨씬 적절하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결론입니다. ]

 

이 시기 해전의 전투 방법이라면 1) 배와 배끼리 동반 침몰을 각오하고 들이받는 것 2) 화포나 활 등 원거리 병기로 공격하는 것 3) 갈고리를 걸고 상대 배로 넘어가 백병전을 펼치는 것의 세 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을 듯 합니다.

 

조선 수군이 연전연승할 수 있었던 이유라면 일단 2)에서 압도적인 역량을 갖추고 있었다는 점을 꼽겠습니다. 반면 일본 수군의 당시 주된 전법은 3) 쪽에 기울어 있었기 때문에, 접근할 수 없으면 큰 힘을 발휘하지 못했던 것입니다. 육전에서는 왜군의 조총이 핵심 병기 역할을 했지만 해전에서는 조선군의 화포가 훨씬 더 큰 위력을 발휘했던 것입니다. 천지현황 총통과 위에서 말한 조란탄 같은 대량살상병기, 그리고 유명한 비격진천뢰처럼 목표물에 적중한 뒤 2차 폭발을 가져오는 신형 포탄이 큰 힘을 발휘했습니다.

 

 

 

 

2. 거북선이 동원될 수 있었나?

 

명량해전을 앞두고 거북선을 새로 건조중이었다거나, 배설이 그 배에 불을 질렀다거나 하는 것은 본래 기록에는 등장하지 않는 내용입니다. 물론 실제로 거북선을 건조하려 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배설은 그저 전투가 두려워 혼자 탈영을 했고, 뒷날 육지에서 체포되어 참수됐다는 기록만 전해집니다.

 

더구나 거북선은, 갑판 위에 창칼을 꽂은 지붕이 덮여 있어(이것이 철갑이든 아니든^^) 왜군이 3)의 전법을 아예 시도할 수도 없었다는 점에서 왜군들의 큰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아무튼 원거리 화력에서 뛰어난 조선 수군이 굳이 적의 강점인 백병전의 위협을 불사하고 배와 배끼리 들이받는 근접전을 선택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다만 거북선의 경우에는 적의 승선을 막을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보다 근접해서 화약무기를 활용할 수 있었을 거라는 추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명량'에서 배 만드는 노인이 감동에 찬 목소리로 "구선(龜船: 거북선)이 돌아왔다!"고 외치는 것은 사실 좀 공허합니다.

 

 

3. 일반 백성들은 어떤 역할을 했나

영화 '명량'이나 '난중일기'에는 나오지 않지만 상당히 의미 있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항복의 '고 통제사 이공유사(故統制使李公遺事)'나 윤휴 등이 작성한 이충무공의 행장에는 "백성들이 어선을 동원해 조선 수군이 일자진을 친 뒤에서 허장성세로 우리 함대의 수가 많은 것처럼 꾸몄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피란민들이 달아나지 않고 함대의 뒤에서 응원했다는 것은, 이 피란민들이 충무공에 대해 갖고 있던 절대적인 신뢰를 보여줍니다.

 

연전연승하는 스타라서 그루피처럼 따라다닌 것이었다면 이렇게 수세에 몰렸을 때에는 백성들부터 달아났어야 정상인데, 그렇지 않았던 것이죠. '명량'에서 백성들이 어선을 동원해 난류에 휘말린 대장선을 끌어 내 주는 장면이 나오는데 아마도 이런 기록을 기초로 상상력을 발휘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1976년작 영화 '난중일기'에는 울돌목 수중에 긴 쇠사슬을 설치하고, 수천명의 백성들이 이 사슬을 잡아 끌어 해전을 돕는 감동적인 장면이 나옵니다. 이는 '철쇄설'이라고 해서 한때 유행했던 전설입니다. 기원은 알 수 없으나 - 아마도 '삼국지연의'에 나오는 쇠사슬 수전 이야기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상상해 봅니다만 - 오랫동안 생명력을 갖고 있던 이야기이지만, 근래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강 싸움이라면 모를까, 울돌목에서 사용했을 만한 거대한 쇠사슬을 만들어 전투에 썼을 가능성은 0에 가깝다고 합니다

 

4. 구루지마 미치후사가 마다시인가?

 

'난중일기'에는 항복한 왜군 준사(영화에도 나옵니다)가 물 위에 뜬 비단 옷 입은 왜장의 시체를 보고 "저게 마다시(馬多時)"라고 했으므로 시체를 건져서 내걸어 적의 사기를 떨어뜨렸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그런데 영화에서 목을 잘라 높이 건 시체는 구루지마 미치후사의 것입니다.

구루지마는 임진왜란을 통틀어 전쟁 중 전사한 왜군 지휘관 중 최고위급의 지위관 (다이묘 전사자는 구루지마 뿐) 이므로 당연히 많은 사람들이 마타시가 이 구루지마의 별칭일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후대의 학자들은 역시 명량해전에서 전사한 왜장 간 마사카게(菅正陰)의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마사카게의 별명이 마타시로(又四郞)였다는군요.

 

 

5. 이순신은 왜 명장인가?

 

그럼 판옥선과 거북선이 우수하고, 조선의 화포가 뛰어나서 이건 거냐? 그게 다냐?

 

이런 질문을 하실 분들이 반드시 있을 듯 해서 덧붙입니다. 여기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 것: 충무공의 진정한 위대함은 비슷한 전력의 전투선단을 이끌고 용맹과 지략으로 적을 물리친 데서 오는 것이 아니라, 전쟁에 대비해 장기간에 걸쳐 이처럼 적과 비대칭의 전력을 구성하고, 교전시에는 압도적인 화력을 이용해 학살 수준의 전투를 벌여 적의 공포감을 극대화하는 전략가의 면모에서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 피난민 구제에도 힘써 백성들이 정보 제공과 식량 및 자원 조달에 자진해서 나서게 하는 총체적인 역량을 고려할 때 더욱 절실히 느낄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장기간의 시스템 구축, 단기전에서의 역량은 물론 심리전과 정훈병과의 역할까지 완벽하게 수행했던 것입니다. 수많은 '그냥 명장'들과는 분명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전략가이면서도 인간적으로도 휘하 장병들과 백성들을 끌어 안을 수 있는 인물이었다는 얘기죠. 그런 의미에서 '명량'의 이순신 묘사는 좀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이건 나중에 따로.

 

명량, 영웅만들기에 성공했나. http://fivecard.joins.com/1266

 

 

 

난중일기 130척으로 기록된 왜적 함대 규모는 점점 부풀려져 19세기의 이긍익은 “600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본 측은 전투에 참여한 장군들이 당시 거느렸던 병력 규모로 볼 때 다 해봐야 고작 수십척이라고 맞선다.

 

일본 측 해석에 따르면 명량해전은 대첩도 아니요, 전체 판세에 영향을 주지 못한 국지적 교전이다. 비록 일본이 선봉을 격파당했지만 조선 수군은 명량에서의 교전 직후 후퇴했고, 다음날 일본의 본진이 명량을 지나 서해로 진출하는 데 성공했으므로 전략적으로는 일본이 승리한 전투라는 것이다.

 

실제로 이순신은 전투 직후 일본의 추격을 피해 군산 앞바다까지(921) 일시 후퇴했다. 일본군이 물러난 뒤 군세를 회복해 이듬해 2월에야 고금도에 진을 치고 전남 서부 해안을 확보하게 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명량해전 이후 일본 수군이 서해를 통해 한양에 진출하려던 계획을 포기했다는 점, 이후 단 한번도 이순신 수군을 박멸하기 위한 군사 행동을 재개하지 못했다는 점 등은 이런 주장이 얼마나 억지인지를 보여준다 하겠다.

 

이순신의 전적은 한일간의 역사적 자존심이 가장 팽팽하게 맞서는 부분이다. 이순신이 전사한 노량해전 역시 한국 측은 승한 반면 충무공이 유탄에 맞아 서거했다고 보는 반면 일본 극우 세력은 이순신이 죽었고 일본군의 주력이 한반도 탈출에 성공했으니 일본의 승리라고 주장하고 있다. 앞으로 100년이 지나도 전혀 좁혀지지 않을 해석의 차이가 한-일간의 심리적 거리를 대변해 주고 있다. [끝]

 

일본이 생각하는 이순신에 대해선 나중에 짬을 내서 자세히 써 보도록 하겠습니다. 대개는 일본의 억지가 돋보입니다만, 도고 헤이하치로가 "나와 넬슨을 비교할 수는 있지만 이순신은 감히 비교할 수 없는 인물이다" 라고 했다는 얘기는 사실 여부를 놓고 논란이 꽤 거세더군요. 오늘은 여기까지.

 

 

728x90

임해군의 기행에 대해 두번째 이야기를 풀어가려 합니다. 앞에서 말한 유희서 청부살인 사건은 사실 빙산의 일각. 유희서가 명문가 출신의 공신이었기 때문에 유난히 부각된 것 뿐이고, 임해군의 세도에 희생된 사람들은 부지기수라고 봐야 할 듯 합니다. 오히려 나름 잘 나가던 유희서 같은 사람도 서슴없이 해치울 정도로 임해군의 행동은 안하무인이었다는.

 

임해군의 비행에 대한 첫번째 글은 이쪽입니다.

임해군, 소시오패스에 가까웠던 왕자 http://fivecard.joins.com/1155

 

그리고 임해군에 대한 기록을 살펴보다 보면 '오죽하면...'이란 생각이 드는 장면이 있습니다. 바로 임해군에 대한 정사의 기록에 대한 부분입니다.

 

 

 

 

임해군 (1574-1609) 2

 

임해군에 대한 기록을 살펴보다 보면 특이한 점이 발견된다. 광해군 때 편찬된 선조실록보다 인조 때 편찬된 선조수정실록에 더 임해군의 비리에 대한 내용이 많다는 점이다.

 

수정실록이 편찬된 이유가 광해군을 축출한 인조반정의 정당성을 강조하려는 것임을 생각하면 기이한 일이다. 이 목적에 충실하려면 수정실록 편찬자들은 임해군을 광해군에 의해 밀려난 피해자로 묘사할 수도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러지 않은 것을 보면, 반정의 주역들로서도 차마 임해군을 옹호할 수는 없었던 모양이다.

 

긴 왜란이 끝난 뒤에도 광해군은 정국 안정을 위해 안간힘을 썼고, 명나라도 세자 책봉을 정식으로 진행하자는 전갈을 보냈다. 하지만 이번엔 선조가 주저했다. 조정 대신들이 마치 광해군이 이미 왕이라도 된 양 대하는 모습을 용납할 수 없었던 모양이다. 1606년 영창대군이 태어나자 선조는 뛸 듯 기뻐했지만 시간은 광해군의 편이었다. 1607 10, 선조가 병으로 드러누웠다.

 

선조는 죽기 한달 전까지도 광해군에게 양위하라는 정인홍의 상소에 어찌 신하가 할 말이냐고 격분하는 등 의욕을 과시했으나 1608 21일 돌연 사망했다. 이이첨의 계략에 의해 동궁전에서 들여간 약밥을 먹고 숨이 끊어졌다는 독살설이 돌았으나 이미 광해군의 등극이 대세였다.

 

 

선조의 마지막 나날은 광해군에겐 상당히 위기의 연속이었습니다. 아버지 선조가 왕위를 물려줄 뜻이 없는 듯한 느낌. 영창대군의 출생. 그런데 그 선조가 병으로 쓰러진 뒤 마음이 약해졌는지 1607년 10월11일, 이런 전교를 내립니다.

 

“나는 본디 질병이 많아서 평일에도 만기(萬機)의 정무는 절대로 감당하기 어려웠다. 더구나 지금은 병에 걸린 지 1년이 다 되어가는데 조금도 차도가 없어 정신이 혼암하고 심병이 더욱 침중하다. 이러한데도 왕위에 그대로 있을 수 있겠는가? 세자 나이가 장성하였으니 고사에 의해 전위(傳位)해야 할 것이다. 만일 전위가 어렵다면 섭정(攝政)하는 것도 가하다. 군국(軍國)의 중대사는 이처럼 하지 아니할 수 없으니 속히 거행하는 것이 좋겠다.”

 

왕위를 물려주거나, 그렇지 않으면 섭정으로라도 임명해 정사를 돌보게 하겠다는 이야기. 하지만 이미 영창대군에게 정치적으로 기울어 있던 유영경 등이 필사적으로 저항합니다. 무슨 그런 말도 안 되는 말씀을 하시냐는 것이죠.

 

영의정 유영경(柳永慶), 좌의정 허욱(許頊), 우의정 한응인(韓應寅)이 회계하기를,
“신들이 삼가 비망기를 보고 서로 돌아보며 놀라고 황공하여 품달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상께서 여러 달 동안 조섭하시어 즉시 쾌복되지는 않았다고 하더라도 점차 수라를 드시어 원기가 회복되어 가니 온 나라 신민이 평복될 날을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그런데 천만 의외에 이번에 갑자기 이런 명을 내리시니 신들은 몹시 걱정스러운 마음 금할 수 없습니다. 군국(軍國)의 기무(機務)는 조섭중에 계시더라도 적체된 것이 없으니 바라건대 이런 점은 염려하지 마시고 심기를 화평하게 하여 조섭에 전념하시면 종묘와 사직이 은밀히 도와서 성후(聖候)가 저절로 강녕하게 될 것입니다. 이는 신들의 소원일 뿐만 아니라 군신(群臣)의 뜻이 모두 이와 같습니다. 황공하게 감히 아룁니다.”

 

이런 말이 몇번 오가더니 선조는 슬그머니 전위나 섭정 이야기를 거둬 들입니다. 어쩌면 애당초 처음부터 그럴 마음이 없이 신하들을 떠 본 것일 수도 있습니다. 아무튼 도마 위에 올랐다가 다시 내려온 광해군은 아슬아슬한 마음이었을텐데 이듬해 1월18일 정인홍이 상소를 올립니다. 

 

 

 

"신이 삼가 도로에서 듣건대 지난 10월 13일에 상께서 전섭(傳攝)한다는 전교를 내리자 영의정 유영경(柳永慶)이 마음 속으로 원임 대신을 꺼려 다 내어 쫓아서 원임 대신들로 하여금 참여하여 보지 못하게 하였고 여러번 방계(防啓)를 올리고 유독 시임 대신(時任大臣)과 공모하였으며 중전(中殿)께서 언서(諺書)의 전지를 내리자 ‘금일 전교는 실로 여러 사람의 뜻 밖에 나온 거사이니 명령을 받지 못하겠다.’고 즉시 회계(回啓)하여 대간으로 하여금 알지 못하게 하고 정원과 사관(史館)으로 하여금 성지(聖旨)를 극비로 하여 전출(傳出)하지 못하게 하였다 하니, 영경은 무슨 음모와 흉계가 있어서 이토록 남들이 알지 못하게 하는 것입니까. "

 

이 말에 선조는 대노합니다. 표면적으로는 유영경을 규탄하는 상소지만 내용은 왕 자신이 왜 이랬다 저랬다 하느냐는 지탄이었기 때문입니다. 가만 있으면 왕위를 넘본 역적 대접을 받게 된 광해군은 당장 진땀을 흘리며 죄를 청합니다.

 

"신이 못난 자질로 감당하지 못할 지위에 있으므로 밤낮으로 근심하며 당황하고 있었습니다. 지난번 상후(上候) 미령함으로 인하여 갑자기 전섭(傳攝)한다는 명을 내리시니 신은 죽으려 해도 되지 않았습니다. 대신의 회계는 어찌 신의 심정을 알지 못하고 그렇게 하였겠습니까. 뜻밖에 정인홍이 입에 담지 못할 말을 만들어 위로 천청(天聽)을 번거롭혔습니다. 성상의 하교에 ‘지친간에 부득불 이로 인해 의심하여 틈이 생기겠다.’고 하셨으니 천하에 어찌 이런 일이 있겠습니까. 신은 만 번 죽는 것 이외에는 다시 상달할 바가 없으니 땅에 엎드려 황공할 뿐입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선조가 당장 정인홍을 잡아다 목을 베라는 명을 내리지 않은 것이 좀 신기할 뿐입니다. 굳이 이유를 찾자면 정인홍에 대한 선조의 신뢰가 워낙 두터웠다는 점(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가는 정인홍을 도성에서 50리나 떠난 뒤 다시 불러들일 정도. 그리고 '정인홍이 여러 사람과 불편하게 지냈다'는 대신들의 말에도 그를 옹호할 정도), 그리고 정인홍이 이때 이미 73세의 고령이었다는 점 등이 있긴 합니다. 어쨌든 죽기 이틀 전, 1월29일 선조는 "정인홍을 가만 두지 않겠다"는 심정을 내비칩니다.

 

"소인의 성품은 남 해치기를 즐겨 하고 일 저지르기를 좋아하여 자신이 죽지 않으면 그치지 않으니 그러므로 악한 자 다스리는 법을 부득불 엄하게 해야 하는 것이다. 지금 만약 구차스럽게 임시 방편으로 처리하면 후일 다시 이보다 큰일이 있을지 어떻게 알겠는가. 만약 저들이 일시의 명사(名士)를 모두 모함한다면 비록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는가. 예로부터 신하가 임금을 이간시키고도 천벌을 면할 수 있었는가. 나는 진실로 가슴이 아프다. 이는 참으로 신하가 목욕하고 토죄(討罪)를 청할 일이다"

 

아무튼 정인홍이 옳다, 유영경이 옳다는 주장으로 조정이 들썩들썩하던 도중, 2월1일 선조가 갑작스레 승하합니다. 정인홍이 상소를 올리고 보름도 안 되었으니 잡아 죽일 새도 없었던 셈입니다. 이렇게 해서 광해군은 아슬아슬한 위기를 모면하고 왕위에 올랐습니다.

 

샛길로 빠졌지만 다시 임해군 이야기로 넘어갑니다.

 

 

 

이제 임해군을 지켜 줄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광해군이 등극한지 채 보름도 안 된 214, 이미 임해군이 몰래 장사를 모으고 병장기를 들이고 있다는 상소가 올라왔다. 광해군은 형이 그럴 리 없다며 신하들을 꾸짖었지만, 그 사이 임해군이 여자 옷을 입고 하인의 등에 업혀 동네를 빠져나가다 잡혀 들어왔다. 역모를 자백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임해군에겐 마지막 살 길이 남아 있었다. 1608년 6월, ‘공인되지 않은 세자광해군이 장남을 제치고 왕위에 오른 이유를 조사하겠다며 명나라 사신이 한양에 도착했다. 이들은 두 형제를 대질시켜야 하니 교동도(강화도 서쪽의 작은 섬)에 유배되어 있던 임해군을 데려오라고 억지를 부리고 있었다.

 

정인홍은 대로하여 임해군의 목을 베어 사신들에게 보여줘야 한다고 고함을 질렀지만, 조정의 중론은 사신을 잘 설득해야 후환이 없을 것이라는 쪽이었다. 국토의 2/3를 왜군에게 빼앗겼다가 명의 원군 덕분에 나라를 되찾은지 겨우 11. 명의 위세는 당당했다.

 

결국 이덕형이 나서 광해군은 사신들을 위무차 방문하는 정도로, 임해군은 서강(지금의 마포 근처)까지 나와 사신들과 면담하게 하는 선에서 타협이 이뤄졌다. 이때 흥미로운 것은 임해군이 일부러 미친 사람 시늉을 했다일월록의 내용이다. 어째서 명나라 사신의 바짓가랑이를 붙잡고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하지 않았는지는 알 길이 없다. 그대로만 해 주면 광해군이 최소한 자신을 죽이지는 않을 것이라는 굳은 믿음이 있었는지도 모른다.

 

 

 

사신들의 입을 막기 위해 막대한 뇌물이 동원됐다. 역관 홍순언은 왜란 때 원군을 요청하면서도 명나라 고관들에게 뇌물을 주지 않았거늘, 이제 버릇을 들였으니 대국 사신이 올 때마다 백성들이 더욱 괴로워 질 것이라며 탄식했다. 결국 이 예측은 그대로 실현됐다.

 

1년 뒤 교동도에서 임해군이 급사했다. 1609 429일자 실록에는, ‘유배된 임해군을 지키던 무관 이정표가 독을 먹이려다 반항하자 목을 졸라 죽인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고 되어 있다. 물론 광해군 당대에는 그저 소문으로만 돌던 이야기였다 이긍익은 연려실기술에서 이이첨이 교동 현감인 이현영을 설득해 임해군을 죽이려 했으나 실패하고, 후임인 이직을 시켜 흉수를 쓴 것이라는 주장을 전하고 있다. 자손은 없었다.

 

왕위에 오르지 못한 장남은 여럿 있었지만 임해군 만큼 악평에 시달리던 사람도 드물다. 그 본인도 문제였지만 너무 잘난 동생 광해를 둔 탓도 컸던 것으로 보인다.

 

사실 선조의 아들들 가운데 임해군만 평판이 나빴던 것은 아니다. 순화군은 이유 없이 죽인 사람이 1년에 10명이 넘는다’, 정원군은 임해군보다 악하면 악했지 나을 것이 없다는 혹독한 평가를 받았다. 다만 정원군은 죽고 난 뒤 아들 능양군이 공신들에 의해 인조로 추대되면서, 비록 이름만 왕이지만 원종으로 추존됐고 생전의 악행은 조용히 묻혔다. 만약 임해군도 아들이 있어 왕위에 올랐다면 이런 오명을 후세에 전하지 않았을 지도 모르겠다. []

 

 

순화군 이보의 졸기에는 "보는 왕자다. 성질이 패망(悖妄)하여 술만 마시면서 행패를 무렸으며 남의 재산을 빼앗았다. 비록 임해군이나 정원군의 행패보다는 덜했다 하더라도 무고한 사람을 살해한 것이 해마다 10여 명에 이르렀으므로 도성의 백성들이 몹시 두려워 호환(虎患)을 피하듯이 하였다. 이에 양사(兩司)가 논계하여 관직을 삭탈하고 안치시켰는데, 이 때에 이르러 죽었다. 상이 특별히 명하여 그의 직을 회복시켜 순화군이라 하고, 익성군 이향령(益城君李享齡)의 아들 이봉경(李奉慶)을 후사(後嗣)로 삼았다" 는 기록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밖의 사료에는 대부분 정원군에 대해선 좋은 이야기만 있습니다. 효성이 두터웠다, 선조의 총애를 받았다, 임금 감(?)으로 꼽혔던 아들 능창군이 역모에 휘말려 일찍 죽은 이후 속병을 앓아 폐인이 됐다... 이유는 장남인 능양군이 왕위에 올라 인조가 되었기 때문이죠. 임해군도 아들이 있었다면... 글쎄요.

 

 

P.S. 잊고 있는 사이 '불의 여신 정이'가 끝나 버렸네요. 아무튼 임해군에 대한 정리는 여기서 끝.

 

 

 

 

 

 

 

 

 

728x90

관상은 다 아시다시피 천재적인 관상가 내경(송강호)의 이야기입니다.

 

세상이 어지러울수록 사람들은 점이나 조짐, 팔자 등에 기대게 되어 있습니다. 모르면 몰라도 계유정난 당시, 각 진영엔 결정적인 판단을 할 때 의견을 묻던 점술가가 있었을 겁니다. 이 영화는 그런 상상에서 출발한 것이죠.

 

그럼 조선시대의 기록에 그와 비견할만한 역술가가 있었을까요. 조선 초기, '조선 왕조 500년을 통틀어 가장 뛰어난 역술가'로 불린 인물이 있었습니다. 물론 기록이 너무 기이하다 보니 실존 인물인지가 의심스러울 지경이고 문헌마다 살았다는 연도가 제각각이라 한 사람이라고 보기는 힘들 듯한 면이 있습니다. 반면, 그 정도로 유명한 인물이었다는 반증이 될 수도 있을 듯.

 

그의 이름은 홍계관입니다.

 

 

 

 

홍계관(洪繼灌, ?~?)

 

영화 관상은 관상의 대가 김내경이라는 가상의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실제 사건인 계유정난을 재해석한 영화다. 영화 속 내경(송강호)는 누구든 얼굴만 보면 내력과 속내, 그리고 장래의 운명까지 꿰뚫는 천재 관상가다. 누구든 이렇게 관상으로 사람을 알아보는 능력을 갖고 있다면 치세보다는 난세에 훨씬 더 출세하기 쉽겠지만, 불행히도 영화 속 내경의 행보는 그리 평탄치 않다.

 

실제로도 내경 같은 인물이 있었을까.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조선 초기에는 도성 안에 통명청(通明廳)을 두고 빼어난 점쟁이를 국복(國卜)으로 삼아 큰 일을 점치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여러 사서에 조선을 통틀어 최고의 점쟁이로 홍계관이라는 이름이 나온다. 어찌나 유명했던지 한양 도성 안에 홍계관골이라는 마을이 생길 정도였다.

 

관상의 내경이 관상가였던 반면 홍계관은 맹인이었다는 차이는 있다. 하지만 백발백중이었다는 점,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명을 어쩌지 못했다는 점에선 매우 유사하다 하겠다.

 

여러 문헌을 통해 전해지는 홍계관의 일화에는 계유정난을 전후로 한 세종~세조 시대를 배경으로 한 것과 명종 시대의 것이 뒤섞여 있다. 두 시대의 간격이 약 100년 정도이니 동일인일 가능성은 없고, 최소한 두 명 이상의 인물이 남긴 행적이 합쳐졌을 것이다.

 

세조 시대의 홍계관은 계유정난의 주역 중 하나인 홍윤성의 장래를 알아 본 것으로 유명하다.  젊은 시절 장안의 유명한 건달이었던 홍윤성이 점을 보러 오자 홍계관은 갑자기 자세를 고쳐 큰 절을 올렸다. 놀란 홍윤성이 연유를 묻자 공은 뒷날 정승의 자리에 오를텐데, 뒷날 제 아들이 누명을 쓰고 죽을 위기에 놓일 테니 그때 목숨을 구해 달라는 것이었다. 과연 홍윤성이 홍계관의 지시에 따라 세조와 인연을 맺고 승승장구, 벼슬이 형조판서에 이르렀는데 한 죄수가 윤성을 보고 저는 점쟁이 홍계관의 아들이니 목숨을 살려 주십시오하고 외쳤다. 홍윤성이 그의 목숨을 구해 주고 홍계관의 재주에 탄복했다는 이야기다.

 

 

 

 

부계기문(涪溪記聞)’엔 이렇게 전해지지만. 극작가 윤백남의 채록에 따르면 홍계관의 아들은 배은망덕한 홍윤성 때문에 결국 목숨을 잃는다. 권세를 남용하며 백성을 학대했다는 홍윤성에 대한 민간의 반감이 표현된 설화다.

(윤백남의 채록에 따르면 홍윤성은 홍계관의 아들임을 알고도 뇌물을 요구하고, 홍계관의 아들에게 뇌물로 줄 돈이 없자 그를 처형당하게 내버려 둡니다. 그러자 홍계관의 아들은 끌려나가며 "우리 아버지가 은혜를 원수로 갚는 자는 평생 후손이 없을 것이라 합디다"라고 울부짖었다는 것이죠. 윤백남에 따르면 홍윤성이 그 뒤로 절손을 당했다고 하나, 실제로 홍윤성에게 자손이 아주 없지는 않았던 듯 합니다.)

 

명종 시대의 홍계관은 젊은 날의 승려 보우(普雨)와 재상 상진(尙震)을 만나 앞날을 예언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가장 유명한 이야기는 그의 죽음에 대한 것이다.

 

어느날 자신의 운명이 궁금해진 홍계관은 모년 모월모일 자신이 죽는다는 사실과, 그 죽음을 피하기 위해서는 용상 밑에 엎드려야 한다는 점괘를 얻는다. 명종의 총애를 받고 있던 홍계관은 왕에게 사정해 한시간 동안 용상 아래 숨을 수 있게 되었다.

 

용상 아래 홍계관이 죽은 듯 엎드려 있을 때 갑자기 전각 안으로 쥐 한 마리가 후다닥 달려들어왔다. 갑자기 홍계관을 시험하고 싶어진 왕은 지금 들어온 쥐가 모두 몇 마리냐고 물었다. 그러자 홍계관은 점을 짚어 본 뒤 세 마리라고 답했다.

 

재차 확인해도 홍계관이 세 마리라고 말하자 왕은 불같이 화를 내며 네가 그 동안 사기로 점을 쳐서 민간의 재물을 함부로 취했으니 죽어 마땅하다며 당장 처형할 것을 명했다. 홍계관이 형장으로 끌려가 죽음을 기다리는데 혹시나 싶었던 왕이 쥐의 배를 갈랐다. 그 안에는 새끼 두 마리가 들어 있었다.

 

그제야 홍계관의 재주에 탄복한 왕은 급히 내시를 보내 형을 멈추려 했으나 이미 홍계관은 목이 잘린 뒤였다. 왕이 아차하고 탄식했다는 데서 이 곳의 지명이 아차산이 되었다는 전설이다. 이 아차산은 지금의 노량진 사육신묘 부근이란 설과 서울 광진구 아차산이라는 두가지 설이 있다.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도 비슷한 기록이 있지만, 이 이야기는 삼국유사에 전하는 고구려 때 추남(楸南)의 이야기와 사실상 같다. 역시 억울하게 죽게 된 점쟁이 추남이 고구려 왕에게 내가 신라 김서현의 아들로 다시 태어나 이 원한을 갚겠다고 한 뒤 김유신으로 태어났다는 설화다.

 

배경이야 어쨌든 이야기의 교훈은 유명한 점쟁이라 해도 제 죽을 날을 내다 보지 못한다는 것. 영화 속 내경의 경우에도 별 차이가 없었던 것을 보면, 운명을 예측한다는 것은 어느 시대에나 부질없는 짓으로 여겨졌음을 알 수 있다. (끝)

 

 

 

이렇습니다. 추남의 이야기란 삼국유사에 나오는 김유신의 젊은 시절 일화 중 하나입니다.

 

김유신이 국선(國仙)인 화랑(花郞)이 되었을 때, 백석(白石)이란 사람이 낭도(郎徒)로 있었다. 김유신이 삼국통일 계획을 세우는데, 백석이 고구려의 정세를 탐지한 뒤에 계획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 말을 옳게 여긴 김유신은 백석과 함께 고구려의 사정을 탐지하기 위해 길을 떠나 하루는 밤에 산 고개에서 쉬는데, 두 여자가 나타나 따라가겠다고 했다. 같이 일행이 되어 가는데, 골화천(骨火川)에 이르니 밤에 다시 한 여자가 나타나, 세 여자는 김유신에게 과일을 대접하며 즐겁게 얘기하고 놀았다.

 

김유신이 세 여인들을 따라 숲 속으로 들어가니, 여인들은 신(神)의 모습으로 변하여 자신들은 나라를 지키는 내림(奈林) 혈례(穴禮) 골화 등 세 지역 수호신인데, 김 공이 적국 사람에게 유인되어 가는 것을 막으려고 온 것이라고 말하고 사라졌다. 놀란 김유신은 나와서 골화관에서 자고, 중요한 문서를 잊고 왔으니 다시 돌아가야 한다고 하여 집으로 돌아와서 백석을 묶은 다음 문초를 했다. 백석은 원래 고구려 사람으로, 김유신이 전생에 원한을 품고 죽은 고구려의 추남이기 때문에 그를 잡으러 왔다고 했다.

 

추남은 고구려의 유명한 점쟁이였는데, 국경지역에 냇물이 거꾸로 흐르는 변고가 생겨 점을 치게 했더니 추남은 왕비가 왕과의 잠자리에서 음양을 거꾸로 하기 때문에 일어난 변고라고 대답했다. 이 말을 들은 왕비는 요망한 거짓말을 하니, 다른 것으로 시험해 보고 맞히지 못하면 벌을 가해야 한다고 임금에게 말했다. 임금이 상자 속에 쥐 한 마리를 넣고 봉한 다음, 무엇이 들었는지 맞혀 보라 했는데, 추남은 쥐 여덟 마리가 들었다고 대답했는데, 왕은 쥐 한 마리가 들었기 때문에 잘못 대답했다고 해 추남을 죽였다. 그런데 상자 속의 쥐를 꺼내 배를 갈라보니 새끼 일곱 마리를 배고 있었다.

 

추남은, 자신이 억울하게 죽으니 다른 나라 장군으로 태어나 고구려를 멸망시키겠다고 말하고 죽었는데, 이날 밤 임금의 꿈에 추남이 신라 서현공 부인 품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았다. 꿈 얘기를 들은 고구려 사람들은 모두 추남이 원수 갚기 위해 신라 김유신으로 태어났다고 믿고 있어, 김유신을 제거하려고 했던 것이다. 김유신은 이야기를 듣고 백석을 사형에 처한 후, 음식을 마련해 지역 수호신에게 제사를 모시니, 신들이 나타나 흠향했다.

 

 

그러니까 홍계관의 사망 관련 설화는 아무래도 삼국시대 추남의 이야기, 혹은 그 이전부터 전해오던 용한 점쟁이의 이야기가 슬쩍 변형되어 '홍계관'이란 유명한 점쟁이의 이름에 덧씌워진 것으로 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조선시대의 문헌이 '홍계관골이라는 지명이 있었다'는 기록을 전하고 있는 걸 보면 홍계관이라는 용한 점쟁이가 있었다는 건 사실인 듯.

 

 

 

아무튼 홍계관의 일화에서도 알 수 있듯 점쟁이와 관련된 모든 이야기는 점쟁이의 초인적인 능력을 인정하되,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운명의 힘이란 점 따위로 비껴갈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짚어 내고 있습니다. 결국 영화 '관상'의 결론도 그런 것이 아니었나 싶은데, 홍계관과 재상 상진(尙震)의 일화는 그 예외는 바로 '선행'이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결국 점쟁이 이야기를 후세에 전하는 뜻은 그런 교훈담이었다는 이야기.

 

상진 관련 설화를 마지막으로 전합니다. 출전은 '연려실기술'.

 

점쟁이 홍계관(洪繼灌)이 공의 일생을 점쳐 보니 길흉화복이 조금도 어긋나지 않았고, 죽을 해까지도 말하였다. 공이 지난 일이 다 맞았으므로 그해에 이르러 미리 초상에 쓸 것을 준비하고 기다렸다. 홍계관이 마침 일이 있어 호남에 가 있으면서, 서울에서 오는 이를 만나면 꼭 공의 안부를 물었는데 1년이 다 지나도 공은 탈이 없으니, 홍이 매우 이상하게 여겨서 서울에 오는 길로 곧 공을 찾아 인사하니, 공이, “내가 자네의 점을 믿고 명이 금년으로 다 된 줄 알았더니, 어찌 맞지 아니하는가.” 하였다.

 

홍이 말하기를, “대감의 명수를 보면 어긋남이 없을 것이오나, 예전 사람이 음덕으로 수명을 연장한 이가 있었으니, 대감께서 반드시 그런 일이 있었을 것입니다.” 하였다.

 

공이 말하기를, “어찌 그런 일이 있겠는가. 다만 내가 수찬으로 있을 때 퇴근하여 집으로 돌아오는데 노상에 붉은 보자기가 있어서 주워 보니, 순금 잔 한 쌍이라 가만히 간직해 두고 대궐 앞에 방을 붙이기를, ‘아무날 물건을 잃은 자는 나를 찾아오라.’ 하였더니, 이튿날 한 사람이 와서 말하기를, ‘소인은 대전 수랏간 별감(大殿水刺間別監)이온데 자질의 혼인이 있어 몰래 주방에 있는 금잔을 빌려 내왔다가 잃었으므로 이미 죽을 죄를 범하였으니, 후일 탄로가 나면 반드시 죽을 것입니다.대감께서 얻으신 것이 그 물건이 아닌지요.’ 하기에, ‘그렇다.’ 하면서 내어주었다.” 하니, 홍이 말하기를, “대감의 수명이 연장된 것이 반드시 이 때문입니다.” 하였는데, 15년 후에 죽었다.

 

결론: 착하게 삽시다.

 

 

 

 

728x90

한명회. 워낙 잘 알려진 인물인데다 드라마며 영화에도 한두번 등장한 인물이 아닙니다. 그래서 매우 친숙하게 느껴집니다.

 

아주 오래 전, 중학교 시절 김동인의 장편 '대수양'을 읽고 상당히 충격을 받았습니다. 한국인들이 갖고 있는 기본 상식은 이광수의 '단종애사'에 입각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어린 손자의 미래를 걱정하며 김종서 황보인 같은 중신들과 성삼문 박팽년 등 자신이 신뢰하는 집현전 학사들에게 단종을 보필할 것을 당부한 세종의 모습, 당연히 그 당부를 이행하기 위해 목숨을 버린 사람들은 '선인'의 영역에 들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 또 당연히 그 반대편에 있는 사람들, 즉 어린 조카를 죽이고 왕위에 오른 수양대군이나 그를 도와 피바람을 일으킨 한명회 신숙주 홍윤성 같은 사람들은 악인의 위치에 올 수밖에 없었죠.

 

하지만 '대수양'('수양대군'이란 제목의 판본도 있습니다)은 이런 시각과는 전혀 다릅니다. 오히려 이 책에는 김종서와 황보인이 역모까지는 아니지만 어린 왕을 볼모삼아 권력을 탐하는 무리들로 그려집니다. 정작 세종의 유지를 이어 왕권을 안정시키고 새 왕조를 탄탄하게 한 것이 바로 수양대군의 공이라는 쪽이죠.

 

실제로 세종의 눈부신 업적 때문에 잘 보이지는 않지만 조선이라는 새로운 나라가 반석 위에 놓인 것은 세조~성종 연간의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국대전을 비롯한 제도의 정비가 완성된 것이 이 무렵이기 때문입니다. 1392년에 건국한 조선이라는 나라가 그 첫 100년에 걸쳐 이룬 것들이 이후 400년을 지탱한 힘이 된 것입니다.

 

그리고 그 첫 100년을 이끈 사람들 중 '한명회'라는 이름은 단순히 업적만으로도 빼놓기 힘든 인물이더군요.

 

 

 

 

 

한명회(1415~1487)

 

권력에 눈이 먼 모리배인가, 시대의 경륜가인가. 한명회를 어떤 인물로 볼 것이냐 하는 문제는 16세기 이후 지식인들의 답 없는 숙제였다. 그를 정반대로 그린 이광수의 단종애사와 김동인의 대수양보여주듯, 한명회에 대한 평가는 그 사람의 역사관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기준이었다.

 

개국 공신의 후예였지만 가난한 집안의 칠삭동이로 태어난 인물. 변변찮은 외모에 과거에 번번이 떨어진 낙방거사가 하루 아침에 천하를 호령하는 권력자로 거듭난 신화는 많은 창작자들을 자극했다.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가 그를 소재로 만들어졌다.

 

그중 기억할 만한 한명회 연기자로는 1984 MBC ‘조선왕조 500시리즈 설중매의 정진을 빼놓을 수 없다. 최근엔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한가놈조희봉과 영화 관상의 김의성을 주목할 만 하다. 특히 관상의 김의성은 실제 출연하는 장면은 두세 신 뿐이면서도 영화 전체를 관통하는 존재감을 과시했다.

 

한명회에 대한 사적을 검토해 보면 다른 무엇보다 냉철한 판단력이 감탄을 자아낸다. 1453년 음력 1010, 뒷날 계유정난이라 불린 김종서 참살의 날 당일 낮까지도 수양대군의 측근들은 우왕좌왕하고 있었다. 수양은 이미 김종서 등이 불측한 마음을 먹었으니 내가 베어 나라를 바로잡겠다고 했으나 휘하 무장들은 임금(단종)에게 먼저 고하는 것이 좋겠다며 서로 눈치만 보고 있었다.

 

이때 한명회가 결정적인 한마디를 던진다. “큰길 옆에 집을 지으면 오가는 사람마다 훈수를 두어 3년이 지나도 완성하지 못한다(作舍道旁, 三年不成)고 합니다. 이제 공이 큰 뜻을 세웠으니 오직 실행이 있을 뿐입니다.” 이 말에 수양은 과감하게 따를 자는 따르고, 갈 자는 가라. 강요하지 않겠다(從者從, 去者去, 吾不汝强)”는 비장한 한마디를 던진 뒤 단신으로 김종서의 집에 달려가 일을 치른다.

 

(그러고 나서도 곧바로 '혼자 가게 내버려두어선 안된다'고 장사들을 수습해 뒤를 따르는 것도 한명회입니다.)

 

 

 

세조의 내심을 그만큼 잘 읽어내는 사람도 없었다. ‘소문쇄록에 전하는 일화 하나. 술자리에서 만취한 세조가 신숙주의 팔을 꺾으며 그대도 내 팔을 꺾으라고 장난을 쳤다. 역시 취한 신숙주가 대뜸 세조의 팔을 꺾자, 옆에서 보던 세자(뒷날의 예종)의 안색이 변했다. 다들 껄껄 웃으며 술자리를 파했지만, 한명회는 신숙주의 하인에게 신숙주는 아무리 취해도 집에 가면 일어나 앉아 책을 읽는다. 오늘은 절대 그렇게 하지 못하게 하라고 지시했다. 과연 밤에 세조가 내시를 보내 신숙주의 집을 정탐하게 했다. 한명회는 세조가 혹시 신숙주가 맨 정신이 아니었을까 의심하리라는 것을 내다 본 것이다.

 

(무슨 말인지 모르시는 분을 위한 해설. 그러니까 한명회는 '내시가 궁에 돌아가 "신숙주 대감은 귀가후 불을 켜고 한참 책을 읽다 잠이 들었습니다"라고 보고할 경우, 세조는 신숙주가 자신에게 무례한 행동을 한 것이 술에 취해서 실수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해코지를 할 것'이라고 예견한 것입니다. 세조가 겉으로는 호방하지만 속으로는 매우 의심이 많고 치밀한 성격임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던 한명회이니 이런 예측을 할 수 있었던 것이죠.)

 

그런 만큼 세조도 자신의 속내를 너무 잘 아는 한명회를 은근히 두려워했다. 1467, 이시애의 난 때 한명회와 신숙주가 내통한다는 소문이 돌자 세조는 즉시 두 사람을 의금부에 잡아들였다. 10여일만에 풀려나긴 했으나, 이들의 평생 관계를 생각하면 역시 권력의 비정함을 느끼게 한다..

 

관상의 한명회는 김내경(송강호)의 예언 때문에 평생 적을 만들지 않고 살았다고 했지만 사실은 좀 다르다. 그에게 도전한 신진 세력은 어김없이 철퇴를 맞았다. 귀성군과 남이의 옥사가 대표적인 예다. 김종직 이후 배출된 사림파는 한명회가 죽고 나서야 비로소 조정에서 일정 지분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래도 1487년 사망할 때까지 아무도 그의 권위에 도전하지 못했다.

 

하지만 죽은 뒤의 일까지 예측할 수는 없는 법.  1504, 연산군은 22년 전 아버지 성종이 폐비 윤씨를 사사하겠다 결정할 때 찬성한 사람들을 색출하기 시작했다. 사실상 당시 조정의 중신 전원에게 사형선고가 내려진 셈이다. 살아있던 사람들은 즉시 참수됐고, 이미 죽은 정창손 한명회 등은 관을 뻐개고(剖棺) 시신의 목을 치는(斬屍) 부관참시를 당했다. 중종반정과 함께 복권이 이뤄졌지만, 선조 이후 정권을 장악한 사림은 대의명분을 앞세워 그를 대표적인 간신으로 지목했다.

 

하지만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행정구역의 이름 면,(面里)제도를 포함해 조선시대의 문물과 제도 가운데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한명회의 이름이 나오지 않는 것이 드물다. 북방을 개척한 무인으로서의 공훈까지 생각하면, 조선 500년을 통틀어 그만한 업적을 가진 인물로 누구를 꼽을 수 있을까 싶을 정도다. 결과가 과정을 덮을 수 있을지 고민할 만 하다.

 

그는 한강변에 압구정(狎鷗亭)이란 정자를 세우고 하루 빨리 고된 조정 일을 떠나 낙향의 즐거움을 누리고 싶다고 입버릇 처럼 말했지만, 그가 압구정에서 베푸는 연회는 그에게 줄을 대려는 사람들이 들끓는 권력의 잔치였다. 공교롭게도 그 일대가 동네의 이름이 되어 오늘날에도 부귀공명의 상징이 됐다. 참 묘한 일이 아닐 수 없다<끝>

 

 

 

 

 

 

나이가 좀 드신 분들이 기억하고 있는 가장 선명한 한명회의 이미지는 과거 '조선왕조 500년'의 '설중매' 편에 등장한 정진 씨의 모습입니다. 당시 TV에선 사실상 무명이었다고 할 수 있는 정진씨는 이 드라마에서 '체구는 왜소하지만 꾀 많은 한명회'의 모습을 그럴싸하게 그려내면서 스타덤에 올랐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임진왜란' 편에서는 풍신수길 역으로 다시 등장했죠.

 

 

 

 

그리고서 기억할만한 한명회는 역시 또한번 '한명회의 틀'을 깬 '이덕화 한명회'. 한명회 역을 하기엔 너무 멀쩡한 외모 때문에 당나귀 귀 모양(혹은 스포크 귀^^)의 특수 분장을 하고 등장했습니다.

 

 

 

 

역시 최근의 모습 중에는 '뿌리깊은 나무'의 '한가놈'을 빼뜨릴 수 없죠. 끝까지 이름은 나오지 않고 '머리 좋고 임기응변에 능한 한가놈'이었던 조희봉은 마지막회에서야 '한명회'라는 실명을 드러냅니다. 작가진이 이 한명회가 주축이 되어 다시 밀본을 재건하는 내용의 속편을 준비중이라는 이야기가 있었죠.

 

 

 

 

이번 '관상'의 한명회는 목소리가 포인트라는 점이 특이합니다. 등장은 최소화하면서도 존재감을 강하게 느끼게 하는 목소리가 필요했던 것이죠. 그리고 나서 마침내 얼굴이 공개되는 장면, 이 장면의 긴장감은 정말 대단했습니다. 탁월한 발성 덕분에 '목소리만으로 공포감을 조성하는 한명회' 역할이 제대로 살았던 거죠. 기억나는 영화와 비교하자면 영화 '프롬 헬'에서 마지막 시퀀스, 이안 홀름의 눈동자 색이 바뀌는 장면과 비교할만 합니다.  

 

 

 

 

배우 김의성은 영화 '건축학개론'에서 두 주인공이 들은 건축학개론 수업의 교수님으로 잘 알려진 분입니다. 물론 기억을 되새겨 보시면 홍상수 감독의 출세작인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의 주인공이기도 했죠.

 

최근에는 연극 '우먼 인 블랙'의 주인공으로도 장기 출연중. 근래 몇년 사이 갑작스레 주목이 늘었지만 80년대부터 활동해온 원로 배우(물론 중간에 휴지기가 있었지만)에게 새삼 신 스틸러니 명품조연이니 하는 것도 적절치 않은 얘기라는 생각. 

 

아무튼 1980년대 이후 국사 교과서에서 훈구파와 사림파 중심의 내용이 나오면 '좋은 건 훈구파, 나쁜 건 사림파'로 쓰면 맞다는 우스개도 있었습니다. 사림파의 집권이 결국 지나치게 절의와 명분에 집중하고, 뒷날 당쟁의 기원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그렇기도 합니다만, 그 훈구파의 '좋은 점'들을 마지막으로 계승한 인물이 바로 한명회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대의명분과 역사의 정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정 반대의 답이 나오겠지요.

 

그래서 한명회라는 인물은 더욱 매력적으로, 그리고 한명회를 연기한 배우들을 더욱 명배우로 이끌어 내는 듯도 합니다.

 

 

 

728x90

50회를 달려온 '궁중잔혹사-꽃들의 전쟁'이 마침내 막을 내립니다.

 

조선 인조 시대. 인조반정과 병자호란이라는 대사건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오욕의 역사라는 점 때문에 이 시대를 그린 드라마는 그리 흔치 않았습니다. 특히나 병자호란 이후 인조 말년에 소현세자와 강빈이 죽음을 맞는 과정은 사극 소재로 인기있는 내용은 아니었죠.

 

'꽃들의 전쟁'은 그 시대를 주도했던 악녀 소용 조씨(드라마가 끝날 무렵엔 귀인 조씨)와 간신 김자점을 조명하는 신선한 시도였습니다. 숙종 시대의 장희빈과 인현왕후 이야기가 남인과 서인의 정국 변화에 따른 부침으로 오르락 내리락이 있는 이야기인 반면, 귀인 조씨는 너무나 견제받지 않는 권력을 휘둘러 드라마로는 흥미가 좀 떨어진다는 평가도 있었습니다만, 아무튼 숨가쁘게 달려온 50회는 여느 사극에 비해 정하연 작가 특유의 현실적 역사관이 반영되며 흥미로운 이야기를 끌어갔습니다. 여기에 젊은 노종찬 PD의 속도감 있는 연출도 새로운 사극의 개척이란 평을 들었습니다.

 

'꽃들의 전쟁'은 인조(이덕화), 김자점(정성모), 귀인 조씨-얌전이(김현주)의 죽음으로 한 시대의 끝을 맺고, 새로운 임금 효종(김주영)의 시대를 예고하면서 막을 내립니다. 인조의 둘째 아들 봉림대군으로 태어나 형 소현세자의 죽음으로 왕위에 오른 효종의 시대. 그는 어떤 왕이었을까요.

 

 

 

 

 

효종 이호(孝宗 李淏, 1619~1659)

 

TV에서 효종(봉림대군)의 일대기를 그린 최초의 드라마는 1981 KBS 사극 대명이다. 한국 방송이 본격적인 컬러TV 시대에 접어들었음을 알린 대하 사극 대명은 효종이 병자호란의 비극을 딛고 야침차게 북벌을 준비하는 내용을 그렸다. 효종 역을 맡은 배우 김흥기의 열연도 화제였다.

 

많은 사람들이 효종=북벌이라는 공식을 당연하게 여긴다. 그와 관련해 효종이 이완 대장과 함께 기해년 단옷날 대군을 일으키기로 약속하지만, 왕이 단오 전날인 음력 54일 급사하는 바람에 대망을 이루지 못했다는 전설도 있다. 이 때문에 효종의 갑작스런 죽음을 안타까워하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북벌의 성패 여부를 떠나 효종의 치세는 결코 실패가 아니었다.

 

1649년 왕위에 오른 효종은 두 가지의 장애를 극복해야 했다. 첫째는 아버지 인조를 왕위에 올려 놓은 반정 공신 세력이 건재하다는 것, 둘째는 형 소현세자의 세 아들을 제치고 왕위에 올랐다는 것이었다.

 

우선 효종은 아버지의 총희인 희빈 조씨와 김자점의 연합 세력부터 손을 댔다. 권신 김자점은 잇단 탄핵으로 귀양을 간 뒤 아들과 손자가 모반을 계획했다는 고변으로 멸문지화를 당했다.

 

 

 

 

하지만 이것이 두번째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들었다. 김자점을 역적으로 처단했으면 아버지 인조의 노염을 사 사약을 받은 소현세자빈 강씨는 복권을 시켜야 하는 것이 순리였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강빈의 죽음은 김자점의 음모 때문이라고 생각하던 터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종은 강빈에 대해 말하는 자는 역적으로 다스리겠다고 못을 박았다. 눈치 없이 강빈의 복권을 주장했던 황해감사 김홍욱은 장살(杖殺)을 면치 못했다.

 

이런 기록은 JTBC 드라마 꽃들의 전쟁에서 강빈을 살려내기 위해 왕위를 던질 각오까지 하는 의로운 봉림대군(김주영)의 모습과 엇갈리기도 한다. 하지만 효종으로선 어쩔 수 없었다. 강빈이 억울하게 죽었다면 자신이 조카가 올라야 할 왕위에 올랐다는 뜻이기 때문이었다. 이런 분위기를 대신들도 잘 알고 있었으므로 김홍욱의 죄에 이론을 제기하지 않았다.

 

효종과 강빈의 관계는 좀 묘한 구석이 있습니다. 위에서 말한대로 효종의 대의가 '간신 김자점' 등 난신적자를 처단하는 데 있었다면, 당연히 억울하게 죽은 세자빈 강씨의 원을 풀어 줘야 합니다.

 

그런데 그러자면 자신의 정통성이 흔들립니다. 게다가 소현세자의 세 아들 중 막내 석견은 살아있는 상황. 만약 강빈이 복권되면 왕위의 정통성은 석견에게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이미 왕위에 오른 자신은 그렇다 쳐도 자신의 아들(뒷날의 현종)은 어찌 될지 모르는 국면을 맞을 수도 있습니다. 혹은, 현종의 안전을 위해 불쌍한 석견을 죽여야 하는 일이 생길 지도 모르는 일입니다.

 

 

 

 

이미 죽은 어머니의 신원 때문에 살아있는 아들을 해쳐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는 것. 대의명분이 뭐건 냉정하게 생각할 때 이거야말로 부질없는 짓일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김홍욱의 죽음을 놓고도 당시 그 많은 사대부들이 임금을 탓하지 않은 것입니다.

 

반면 효종이 실제로 강빈에 대해서는 호의적이지 않았다는 근거도 있습니다. 아래 글에 1659년 3월11일 효종과 송시열의 대화 내용을 인용했는데 이날의 대화 속에는 강빈과 김홍욱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시열이 아뢰기를,

강빈(姜嬪)의 옥사(獄事)에 대해서 지금까지 인심이 평정되지 않고 있는데 상께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계십니까?”
하니, 상이 이르기를,
“매양 경과 함께 이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했으나 틈이 없어 하지 못했다. 강빈의 악행을 어찌 한 입으로 다 말할 수 있겠는가. 단지 한 가지 일을 가지고 말하겠으니, 경은 일단 들어보라.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은 비록 금수라도 있게 마련이다. 소현(昭顯, 즉 소현세자)의 상을 당했을 때 대조(大朝, 인조를 말함)께서 애통해 하면서 그를 책망하기를 ‘이는 밤에 잠자리를 삼가지 않은 소치이다.’ 하셨는데, 강빈이 발악하기를 ‘아무 달 이후에는 서로 가까이 하지 않았다.’ 하였다. 그 후 자식을 낳고서는 서로 가까이하지 않았다는 말을 실증하고자 즉시 스스로 죽여서 감추었다. 그 성질이 이와 같으니 역모한 것이 괴이할 게 뭐 있는가. 또 역모한 형상은 안에서나 알 뿐이지 밖의 사람이 어찌 알겠는가. 그 일이 낭자하여 완전히 의심이 없는데 밖의 사람들은 지금까지도 억울하다고 여기니, 내가 실로 마음이 아프다.”
하자, 시열이 대답하기를,
“그 역모한 자취를 밖에서는 참으로 모릅니다. (하략).”
하였다. 상이 가만히 한참 있다가 이르기를,
“이는 내가 생각하지 못하였는데 과연 경의 말과 같겠다. 그러나 역모는 참으로 의심이 없다.”
하니, 시열이 대답하기를,
“설령 이 참으로 역모를 했다고 하더라도, 김홍욱(金弘郁)이 어찌 역모한 사실을 알고서 구원할 리가 있겠습니까. 소견이 이와 같은 데 불과한 것이었는데 전하께서 너무 갑자기 죽였으므로 인심이 더욱 안정될 수 없는 것입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내가 이미 법령을 정하기를 만일 감히 말하는 자가 있으면 강과 같은 죄를 주겠다고 하였는데, 그가 어찌 감히 이 법을 무시하고 말을 한단 말인가. 이 때문에 내가 죽이지 않을 수 없었다.”

 

 

(갑자기 19금 스토리가 등장해서 좀 그렇습니다만...) 이상의 내용을 보면 효종이 강빈에 대해 갖고 있던 생각은 대단히 부정적이었다는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어찌 보면, 자신이 이렇게 강경한 입장을 표명해야 뒷날 석견을 두고 다른 말이 없을 것이라는 깊은 생각에서 나온 말일 수도 있을 듯 합니다.

 

 

아무튼 효종의 북벌론 이야기로 넘어갑니다.

 

 

정통성을 확보했으니 그 다음엔 국론을 하나로 묶을 이데올로기가 필요했다. 그것이 바로 북벌론. 국력을 길러 병자호란의 치욕을 씻자는 명분에 감히 반대할 사람은 없었다. 그 핵심에는 서인의 거두 송시열과 어영대장 이완이 있었다.

 

북벌을 전제로 실시한 부국강병책은 효과적이었다. 광해군 때부터 추진되어 온 대동법은 효종 때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실시됐다. 무기 개량 사업의 성공으로 1654년과 58년 두 차례에 걸친 나선정벌에서 조선의 조총 부대가 러시아군을 물리치는 데 기여하는 성과도 있었다.

 

나선정벌에 참여한 조선군의 병력은 1 150, 2 270명 수준이었지만 그 실력의 우수성은 효종을 매우 고무시킨 듯 하다. 1659311, 40세의 효종은 송시열과 독대한 자리에서 “10만 포수(조총수를 의미)을 길러 요동으로 쳐들어가면 명의 유민들과 포로로 잡혀간 우리 백성들이 내응할 테니 어찌 성공하지 못하겠느냐고 기염을 토했다. 하지만 석달 뒤, 종기가 덧난 왕은 돌연 숨을 거뒀다.

 

 

 

 

그 뒤에도 북벌론이 일시에 자취를 감추지는 않았다. 숙종 때인 1673, 윤휴는 오삼계 등 삼번(三藩)의 난으로 청이 혼란에 빠지자 이때야말로 북진해 심양을 함락시킬 기회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1681년 강희제가 삼번의 난을 제압하고 내정에 힘쓴 뒤로는 국력의 차이가 현격해졌다. 박지원, 박제가 등 북학파의 시대에 청은 이미 복수의 대상이 아니라 배워야 할 본보기였다.허생전에서 허생이 효종의 심복 이완을 꾸짖는 장면은 박지원이 얼마나 북벌론을 허황된 것으로 여겼는지 잘 보여준다.

 

어쨌든 북벌 정책을 통해 확고한 권력 기반을 확보한 효종은 형 소현세자에 대한 의리를 지켰다. 1656, 소현세자의 세 아들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석견을 귀양지 제주에서 불러 올려 경안군에 봉한 것이다.

 

효종이 귀인 조씨를 죽일 때 그 소생인 숭선군도 죽여야 한다는 주장이 끊이지 않았지만, 효종은 어린 아이가 무슨 수로 역모를 꾀했단 말이냐며 어린 이복동생을 지켰다. 권력 앞에 형제고 조카고 없었던 조선의 군왕 치고는 칭찬받아 마땅한 모습이 아닐 수 없다. 아울러 효종이 강화시킨 왕권은 효종-현종-숙종으로 이어지는 삼종의 혈맥을 거치며 영,정조 시대의 정치적 안정을 가져왔다. 이쯤 되면 효종을 역사의 승자로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끝>

 

 

 

 

허생전의 마지막 대목은 다들 읽어보셨을테니 여기서는 생략.

 

 

전에도 얘기한 바 있지만 숙종은 뒷날의 영조나 정조보다도 강력한 왕권을 휘두른 왕입니다. 남인과 서인을 자유자재로 조종한 정치젹 역량의 힘이기도 하지만, 그 근거에는 이른바 삼종의 혈맥이라는 탄탄한 정통성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삼종의 혈맥이란 효종-현종-숙종으로 이어지는 세 왕이 모두 임금의 정궁(정비)으로부터 태어난 대군으로 이어진 순도 높은 왕들이라는 것이죠. 그게 뭐냐 싶을 수도 있겠지만, 조선 초기를 제외하면 이렇게 3대를 잇기가 결코 쉽지 않습니다.

 

 

그런 면에서 북벌사업이 실제로 가능성이 있는 것이었는지, 그 주도 세력은 현실적인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지를 떠나 효종의 치세는 왕조를 이어가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뿌리를 내린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로 그는 매우 성공적인 왕이었다고 생각됩니다.

 

 

P.S. 강빈이 신원된 것은 숙종 때의 일입니다. 그리고 나서 영조 때, 소현세자의 증손이며 석견(경안군)의 손자인 밀풍군 이탄이 이인좌의 난에 연루되어 자결합니다. 만약 강빈이 더 일찍 신원됐다면 소현세자의 자손들에게는 더 일찍 비극이 찾아왔을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효종을 현명한 군주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어쨌든 이렇게 해서 악녀 얌전이와는 이별입니다.

 

 

 

 

 

 

 

아무튼 이 드라마의 소득 중 하나는 김주영이란 새로운 배우를 발굴한 것.

 

'꽃들의 전쟁'은 이렇게 끝나고, 다음주부터는 새 주말드라마 '맏이'가 방송됩니다. '그대 그리고 나'의 원로 김정수 작가가 집필하는, 가족애 넘치는 시대극입니다.

 

 

 

 

 

 

 

 

 

 

728x90

임해군은 그동안 사극 드라마든 영화든 크게 주목받은 적이 없는 인물입니다. 물론 등장하지 않은 건 아닙니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그동안 임해군 역을 맡은 배우들만 해도 정성모(조선왕조 오백년, 임진왜란), 임정하(조선왕조 오백년, 회천문), 임혁주(서궁), 김유석(왕의 여자), 그리고 이번 '불의 여신 정이'의 이광수까지 꽤 많습니다. 한마디로 영화 '광해'를 제외하고 광해군이 나오는 작품에는 거의 빠지지 않고 임해군의 역할이 있었다는 얘깁니다.

 

하지만 광해군만 해도 1980~90년대 이후에야 '똑똑했는데 제대로 안 풀린 비운의 군주'로 관심의 대상이 됐던 만큼, '광해군 때문에 왕위에 오르지 못한 비운의 형'에게까지 돌아갈 관심이 예전에 있었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조금 공부를 해 보니, 물론 '광해군이라는 똑똑한 동생'의 존재가 가장 큰 걸림돌이기도 했겠지만 임해군에게는 왕이 될 수 없었던 더 큰 이유가 있었습니다. 

 

 

 

 

 

 

임해군 (1574-1609) 1

 

선조의 장남이며 광해군의 형 임해군에 대해 널리 알려진 사실은 두 가지다. 하나는 임진왜란 때 백성들을 괴롭혀 조선 백성들의 손으로 왜군에게 포로로 넘겨졌다는 것, 또 하나는 광해군 때 명나라에서 왜 장남을 두고 차남이 왕이 되었는가 대한 엄격한 추궁이 있었다는 것 정도다.

 

두 가지 모두 를 묻는다면 한국사에서의 답은 이미 정해져 있다. 임금이 되기에는 심각한 결격사유가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역시 왕의 장남이면서 왕위에 오르지 못한 소현세자나 사도세자의 경우에도 공식 기록은 임금 감이 아니었다는 쪽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정사가 아닌 다른 사서로 넘어가면 얘기가 달라진다. 능력도 있고 뭔가 바꿔 보려는 의욕을 갖고 있던 왕자들이, 권신들의 음모에 휘말린 것이란 의심이 뭉클뭉클 일어난다. 

 

반면 임해군은 거의 모든 기록이 일치한다. 정사든 야사든 성품이 못되고 포악해서 임금이 될 수 없는 인물이었다는 서술이다. ‘불의 여신 정이에서 얄미운 행동으로 주목받고 있는 임해군(이광수)은 실제 기록에 비하면 많이 점잖은 편이다.

 

선조는 아들만 14형제를 두었는데 후궁인 공빈 김씨에게서 장남 임해군(1572년생), 차남 광해군(1575년생)을 얻었다. 14형제 중 정비에게서 태어난 아들은 1606년생인 막내 영창대군 뿐이었다.

 

물론 영창대군이 왕위 계승의 경쟁자로 고려되는 것은 한참 나중의 이야기고, 일단 임해-광해 형제는 임진왜란 이전부터 배다른 형제들과 소리 없는 전쟁을 벌여야 했다. 이들을 낳은 공빈이 일찍 죽고, 그 뒤 선조의 총애를 받은 인빈이 의안군(1577년생)부터 내리 4형제를 낳았기에 더욱 그랬다.

(요즘 '불의 여신 정이'에 나오는 신성군은 의안군의 동생. 인빈의 둘째 아들.)

  

 

그런 가운데서도 선조는 임진왜란 발발 15일만인 428, 대신들의 뜻에 따라 17세의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했다. 전란으로 나라가 어지럽고, 혹시 왕이 잘못될 수도 있으니 후사를 미리 정해야 다소나마 민심이 안정될 것이라는 이유였다. 피난길을 떠나기 직전 다급한 상황이었지만 대신들 사이에서도 반대가 없었다. 그만치 광해군은 임해군에 비해, 그리고 다른 왕자들에 비해 선조의 총애나 왕으로서의 자질 면에서 돋보였던 것이다. 이를테면 공사견문에는 이런 기록이 전한다.

 

(선조)이 여러 왕자에게 묻기를, ‘반찬 중에서 무엇이 으뜸이냐?’ 하니, 광해군이 소금이라 했다. 이유를 물으니 소금이 아니면 온갖 맛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라 했다. 임금이 또 묻기를, ‘너희들이 부족하게 여기는 것은 무엇이냐?’ 하니 광해가 모친이 일찍 돌아가신 것을 마음 아프게 생각합니다”했다. 왕이 이를 기특하게 여겼다.”

 

세자가 된 광해군은 평안도로, 임해군은 순화군과 함께 함경도로 향하게 되었다. 민심을 안정시키고 군사를 모아 적에게 대항하자는 의도였다. 하지만 임해군은 이런 의도에 적임자가 아니었던 모양이다.

 

북상하는 가토 기요마사의 군사에 쫓긴 임해군 일행은 함경북도 회령으로 달아나지만 여기서도 백성을 함부로 대하다 오히려 반란을 맞이한다. 난의 주역인 국경인 등은 두 왕자를 묶어 왜군에게 넘겼다. 의병장 정경운은 임진왜란 일기 고대일록(孤臺日錄)’에서 임해군의 체포를 출이반이(出爾反爾)’라며 한탄하고 있다. 이는 자업자득이라는 뜻. 오죽했으면 백성들이 들고 일어났겠느냐는 얘기다.

 

(함경도를 장악한 가토의 병력은 평안도로 넘어가 선조가 행재소를 차려 놓고 있던 의주를 공격해야 했겠지만 뜻하지 않게 이들을 가로막은 것은 여진족. 조선의 견제에서 벗어난 북동지방의 여진족들은 두만강 일대를 장악하려는 왜군을 물리치고 왜군이 함흥 언저리에서 머물게 만듭니다.

이어 정문부 - 아래 영정의 주인공 - 가 의병을 일으켜 국경인 등의 모반자들을 잡아 죽이고 가토 군을 무찔러(북관대첩) 함경도 일대를 회복합니다. 하지만 임해군 일행은 가토 군에 의해 이미 남쪽으로 옮겨진 뒤.

뒷날 임해군은 무사히 석방되긴 합니다만, 이후 평화회담이 오가던 시절 가토는 자기 명의로 임해군에게 편지를 보내기도 합니다. 포로로 있던 임해군과 가토는 비교적 관계가 원만했던 모양입니다. 하지만 우리 조정에선 '누가 대충 예의만 갖추고 알아서 회신해라' 정도의 반응.)

 

 

 

반면 광해군은 선조 일행과 갈라선 뒤 영변, 정주 일대를 돌며 백성과 군사들을 위로했는데 매우 반응이 좋았고, 심지어 신하들 중에는 대놓고 선조에게 아예 광해군에게 양위하라는 권고를 하는 사람까지 있었다. 자책감에 빠진 선조는 실제로 양위를 하려는 움직임까지 보였다.

 

하지만 1593, 명나라는 장남을 두고 둘째를 세자로 삼는 것은 상식에 어긋난다며 광해군의 세자 책봉에 이견을 제시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선조는 그렇다고 심병(心病, 마음의 병, 즉 정신병)이 있는 임해군을 세자로 삼을 수는 없지 않은가라고 답답해 했다. 광해군에 대한 신뢰도 신뢰지만 무슨 일이 있어도 임해군에게 왕위를 물려줄 수는 없다는 생각이 확고했다.

 

임해군에 대한 사서의 기록들을 살펴보면 이런 반응은 당연해 보인다. 포악하다, 탐욕스럽다, 백성의 재물을 함부로 갈취했다, 왜군이 한양으로 몰려왔을 때 백성들이 궁성을 노략질할 때에도 임해군의 집에 재물이 많다 하여 표적이 됐다(유성룡의 서애집에는 반면 광해군의 집에는 아무도 불을 지르지 않아 민심이 광해군에게 있음을 확인했다는 기록이 있다) 등등이다.

 

임진왜란 후에는 전 경기도관찰사 유희서의 첩을 빼앗기 위해 유희서를 청부 살인한 정황이 드러났다. 하지만 선조의 적극적인 옹호로 더 이상 파헤쳐지지는 않았다. 한마디로 소시오패스의 기록이라 해도 무리가 아니다. (2부로 이어집니다)

 

 

 

 

유희서 사건에 대한 연려실기술의 기록은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계묘년(1603) 6월에 전 참판 유희서와 전 부사 황극중(黃克中)이 암살되었다.
희서는 고 정승 전(㙉)의 아들로서 본래 행검(行檢)이 없었는데, 임해군(臨海君)이 유의 첩이 미색임을 듣고 비밀리 불러들인 후 도적을 시켜 살해 하였다. 《일월록》


○ 도적이 참판 유희서를 암살하였는데 범인을 잡지 못하여 포도대장 변양걸(邊良傑)이 이 옥사를 철저히 수사하던 중 죄를 얻어 귀양가고 희서의 아들도 또한 장을 맞고 귀양가니, 영의정 이덕형이 상소하여 논하다가 임금의 뜻에 거슬려 드디어 파면 당하였다.

이항복이 그 후임 갑진 에 임명되자 사양하기를, “양걸이 귀양간 것을 신도 실상 마음 아프게 여기는 바였는데 다만 미처 말을 못했을 뿐이니, 덕형은 바로 이미 말한 신(臣)이요 신은 바로 미처 말하지 못한 덕형입니다. 죄가 비록 드러나지 않았으나 신이 어찌 차마 본 정을 숨기겠습니까.” 하였다.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보면 더욱 심각합니다. 유희서가 죽은 뒤 선조는 "서울에서 하루 거리인 포천에서 30여명의 도둑떼가 고관을 죽였으니 철저히 조사하라"는 영을 내립니다. 하지만 여기서 캐면 캘수록 흉흉한 구석이 나타납니다. 일단 설수와 김춘배라는 용의자가 잡히지만 이들을 포함해 관련자가 잡혀 오면 잡혀 올 때마다 감옥 속에서 자백할 틈도 없어 죽어 나갑니다. 유희서의 아들 유일, 그리고 포도대장 변양걸은 이 사건과 임해군의 관계를 폭로했지만 오히려 '증거도 없이 왕자를 모함했다'며 역공을 당해 귀양 가는 몸이 됩니다.

 

진상은 유희서의 첩 애생을 임해군이 탐내면서 벌어진 치정사건. 임해군이 은근히 애생을 달라 청을 해 보지만 유희서 또한 나라 법을 어기면서 차지한 애생을 내줄 마음은 조금도 없었습니다. 생은 본래 관서의 관비라 유희서가 마음대로 데려올 수 없는 몸이었는데 나름 세도가인 유희서가 임의로 자기 집에 데려다 놓은 것이었습니다. 결국 임해군이 도적떼를 가장한 수하들을 보내 애생을 빼앗아 오게 한 것인데, 유희서가 기죽지 않고 맞서다 죽음을 당했다는 이야기.

 

수많은 관련자가 죽어 나가는 바람에 증인이 없는 상태가 되어 미궁에 빠지고 맙니다. 살아남은 박삼석 한 사람은 처음 체포됐을 때 임해군이 배후에 있다고 증언했으나, 막상 의금부에 와서는 고문에 의한 허위자백이라고 증언하고, 결국 이 사건은 선조 하대의 국가 기강이 얼마나 엉망이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가 되고 맙니다.

 

아무튼 왕자가 무장한 건달 패거리를 거느리고, 그 건달이 참판급 관리를 죽여도 유야무야되는 이런 사건은 조선시대의 다른 왕 때에 유례를 찾아 보기 힘듭니다.

 

2편으로 이어집니다.

 

 

@fivecard5를 팔로하시면 새글 소식을 바로 아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 손가락 그림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728x90

최근 종영한 드라마 '천명'은 마지막에 악인 문정왕후가 참회하고 인종이 왕으로서의 귄위를 회복하는 해피엔딩을 맞았습니다.

 

뭐 드라마야 시청자들이 행복한 결말에 만족했다면 그걸로 끝이겠습니다. 사실 사극이건 현대물이건,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가 만들어질 때 반드시 현실 그대로 끝을 내야 하는 건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불행히도, '천명'이 다루고 있는 공간은 실제 역사에서는 그냥 도입부 정도라고 생각할 수 있을 정도인 듯 합니다. 드라마는 문정왕후의 뉘우침으로 마무리됐지만, 진정한 '문정왕후의 시대'는 아직 시작도 하지 않은 셈이기 때문입니다.

 

 

 

 

 

문정왕후 윤씨(1501.10.22~1565.4.6, 음력)

 

조선 중종의 두 번째 아내이자 명종의 어머니. 조선 왕조를 통틀어 손꼽히는 독부(毒婦)로 꼽힌다. 그가 죽은 날 조선왕조실록에는 서경에 이르기를 암탉이 새벽에 울면 집안이 망한다 했으니, 바로 윤씨 같은 이를 가리킨 것이다(牝雞之晨, 惟家之索, 尹氏之謂也)’라는 극언이 등장한다. 물론 생전에는 감히 아무도 할 수 없었던 말이다.

 

중종의 첫 왕비(엄밀히 말하면 왕위에 오르기 전 진성대군일 때 혼인을 한 적이 있으니 아내로는 '두번째 아내'입니다) 장경왕후가 1515년 세자 호(, 뒷날의 인종)를 낳고 죽은지 2년 뒤, 문정왕후 윤씨는 만 16세의 나이로 왕비의 자리에 오른다. 당시 궁의 최강자는 중종의 총애를 한 몸에 받고 있던 경빈 박씨. 출생 연대는 분명치 않지만 흥청(興淸, 연산군이 즐기기 위해 선발한 미녀들) 출신이라는 점, 1509년 아들 복성군을 낳았다는 점 등으로 미뤄 볼 때 윤씨보다 열 살은 연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인자 희빈 홍씨도 아들을 다섯이나 낳을 정도로 총애가 두터웠다.

 

중종이 연산군을 내쫓고 왕위에 오른 것이 1506년. 이때 이미 경빈 박씨는 연산군이 고른 미녀들 중 하나였으니 대략 1500~1501년 전후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물론 연산군의 승은을 입지는 않았으니 중종에게도 차례(?)가 돌아왔을텐데, 1517년 문정왕후가 간택을 통해 궁에 들어올 즈음 경빈 박씨는 이미 궁 생활 10년을 넘긴 마녀 중의 마녀가 되어 있었을 겁니다.

 

경빈을 지원하던 쪽은 남곤 심정 등 훈구파의 구신들. 또 희빈 홍씨도 홍경주의 딸이었으니 아무리 문정왕후가 명문 파평윤씨가의 딸이라 해도 상대들이 그리 만만치 않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중종은 경빈을 아예 계비로 삼으려 했으나 조정 대신들이 미천한 집안 출신이라며 격렬하게 반대해 뜻을 접었다. 세자만 없다면 복성군이 왕위에 오른다 해도 놀랍지 않을 상황이었다.

 

문정왕후의 최선책은 아들을 낳는 것이었지만 그건 인력으로 어쩔 수 없는 일. 1521년 의혜공주부터 딸만 내리 셋을 낳았다. 살기 위해선 내가 세자의 어머니라고 주장하며 경빈 세력과 맞서야 했다. 이 파란의 시기를 그린 작품이 월탄 박종화 대하소설 여인천하. 2001 SBS TV에서 장장 150회에 걸쳐 방송되며 공전의 인기를 누린 사극 여인천하의 원작이다.

 

 

 

 

당시 여인천하를 열심히 본 시청자들에겐 요즘 KBS 2TV ‘천명의 문정왕후(박지영)가 영 낯설다. ‘여인천하의 문정왕후(전인화)는 악녀 경빈(도지원)의 세력으로부터 어린 세자를 보호하는 지혜롭고 따뜻한 여인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천명에서는 그 문정왕후가 인종(바로 그 세자)을 죽이지 못해 안달이다. 좀 이상하지만 둘 다 실제 문정왕후의 모습이다.

 

1527, 이른바 작서(灼鼠)의 변으로 경빈이 몰락한다. 누군가 세자의 생일에 맞춰 불에 지진 쥐의 시체를 나무에 매달아 놓은 사건이다. 당연히 경빈 모자가 범인으로 지목돼 귀양길에 오른다.

 

중종은 어떻게든 복성군만은 살려 보려 했으나 윤임, 김안로 등 세자 보위 세력과 문정왕후의 동맹군은 집요했다. 6년 뒤인 1533, 사약이 내려졌다. 사실 경빈이 주범이라는 확증은 없었다. 오히려 이종익 같은 이는 김안로의 아들 김희의 짓이라고 상소를 올리기도 했던 만큼 자작극일 가능성도 충분했다.

 

 

 

'여인천하' 방송 당시 장안의 화제였던 천재 소년 세자 역의 아역 스타 권오민. 이 친구에 대해서도 전에 뭔가 쓴 적이 있습니다. 1997년생. 한창 폭풍의 나날을 보내고 있겠군요.

 

아역스타, 그 성장의 위기   http://fivecard.joins.com/121

 

물론 권오민 군이 위기라는 뜻은 아닙니다.^^

 

 

1534, 문정왕후가 마침내 아들 경원대군(뒷날의 명종)을 낳으며 동맹이 깨졌다. 세자는 더 이상 내 아들이 아니었다. 1543년에는 동궁 처소에 원인 모를 화재가 일어나 세자 부부가 죽을 뻔 했으나 유야무야 됐다.

 

결국 1544, 중종이 승하하고 인종이 보위에 오르지만 즉위 8개월만에 사망한다. 문정왕후에 의한 독살설이 파다한 가운데 열한살의 명종이 왕위를 이었다.

 

그러니까 드라마와 역사가 갈리는 부분이 바로 이 지점입니다. 드라마 '천명'에선 '모든것이 정리되고 다들 행복하게 살았어요'라는 식의 마무리가 있었지만, 인종이 왕위에 머문 기간은 다 합해 8개월 뿐이기 때문입니다.

 

최원(이동욱)이 "밖에서 잘 살겠습니다"라고 했지만, 과연 인종이 죽고 문정왕후가 조정의 실권을 장악한 뒤 그가 잘 살 수 있었을까요.^^

 

 

 

'여인천하' 보시던 분들에겐 참 아쉬운 일이지만 바로 이 대목에서 이런 현명하고 냉철한 전인화 문정왕후는 사라지고,

 

 

 

아들과 윤씨 일족, 그것도 윤원형 일족의 안녕을 위해 모든 장애물을 몸소 제거하기로 마음 먹은 독한 박지영 문정왕후의 시대가 열리는 것입니다.

 

 

당시 권력 주변엔 윤씨 외척이 너무 많았다. 세조비 정희왕후, 중종의 어머니 정현왕후, 중종의 정궁인 장경왕후와 문정왕후가 모두 파평 윤씨였기 때문이다. 대동단결했다면 조선말의 안동 김씨가 부럽지 않았겠지만 윤씨들은 내부 경쟁을 선택했다. 특히 인종의 외숙 윤임을 중심으로 한 대윤(大尹)과 명종의 외숙 윤원형의 소윤(小尹)은 마침내 명종 1(1545) 을사사화로 충돌, 수백명의 피를 흘렸다. 여기서 승리한 윤원형은 문정왕후의 묵인 아래 친형인 윤원로까지 죽이고 권력을 독점했다.

 

문정왕후가 사관들에게 치열한 공격을 받은 것은 불교를 숭상했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있지만, 그보다는 윤원형의 독재를 비호한 잘못이 가장 컸다. 명종도 윤원형을 견제하려 했으나 어머니가 네가 누구 덕에 왕이 됐는지 아느냐고 윽박지르는 데에는 당할 수가 없었다.

 

20년 세도 끝에 문정왕후가 세상을 뜨자(1565) 곧바로 윤원형을 처단하라는 상소가 쏟아졌고, 궁지에 몰린 윤원형도 자결했다. 그의 부패와 만행이 얼마나 심했는지 실록은 오래도록 천벌을 면하다가 마침내 죽으니 조야가 모두 기쁘게 여겼다. (중략) 극형을 받지 않고 스스로 죽은 것이 안타깝다고 했을 정도다.

 

 

 

 

문정왕후와 윤원형을 거론할 때 빠질 수 없는 사람이 정난정(위 사진은 '여인천하' 때의 윤원형-정난정 커플)입니다. 천민 출신으로 윤원형의 소실이었던 난정은 문정왕후의 인정을 받으며 마침내 윤원형의 정실이 되어 정경부인의 칭호를 허락받습니다. 대단한 신분 상승인 셈이죠.

 

하지만 뒤를 봐 주던 문정왕후가 죽자 윤원형의 만행을 조장했다는 이유로 황해도로 귀양가는 몸이 되었습니다. 다가올 미래를 예감한 정난정은 지니고 있던 독약으로 바로 목숨을 끊었고, 난정의 죽음을 안 윤원형 역시 통곡하다가 따라 자살했습니다.

 

(이런 사연을 보면 비록 악인들이라고는 하지만, 정난정에 대한 윤원형의 마음은 참 진실했던;; 것 같기도 합니다.)

 

 

문정왕후와 윤원형 남매는 사후까지 악영향을 미쳤다. 다음 임금인 선조 때 사림은 심의겸의 서인과 김효원의 동인으로 갈라졌다. 동인은 심의겸이 외척(명종의 처남)이란 이유로, 서인은 김효원이 한때 윤원형의 식객이었다며 날을 세웠다. 서로 상대방을 타락한 구세력의 잔재로 규정하고 명분 싸움을 벌였으니, 당쟁의 기원이 바로 문정왕후의 정치적 유산이었던 셈이다.

 

윤원형은 본래 사림의 언관 출신이라 지식인들을 어떻게 억누르는지에 대한 노하우가 풍부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문관들의 인사권을 좌우하는 이조전랑직을 관리하면서 젊은 신진 관료들이 자신 앞에 스스로 줄을 서도록 한 것이죠. 유학 하는 선비로서 관직에 나가기 위해서는 윤원형에게 잘 보이지 않을 수 없는 분위기를 만든 것입니다.

 

그러고 나니 윤원형의 시대를 정리한 뒤에도 조정에 윤원형의 영향력에서 자유로웠던 사람이 별로 남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조차도 윤원형의 세도가 시퍼렇던 시절에 벼슬을 하고 과거에 장원을 했다는 이유로 '세상에 아부했다'는 비판을 받았을 정도입니다.

 

윤원형도 죽고, 명종도 죽으면서 사림의 정치가 시작됐지만 이제 사림은 그 내부에서 파가 갈리며 권력 독점을 위해 경쟁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상대편을 비방하기 위한 가장 좋은 도구는 바로 '윤원형의 개' 혹은 '구시대의 잔류'라는 것이 되죠.

 

 

 

P.S. ‘여인천하천명만큼 중요한 역할은 아니지만 한류 드라마의 대표작 대장금에도 문정왕후가 등장했다. 박정숙이 연기한 이 문정왕후는 장금의 후원자로 그려졌으니 당연히 좋은 이미지.

 

실존인물인 의녀 장금은 천명에도 등장하는데, 이 장금(김미경)은 궁에서 홀몸으로 늙은 것으로 묘사된다. 그럼 민정호(지진희)와의 러브스토리는?

 

 

여담이지만 영화 '후궁'에서 박지영이 연기했던 대비 역시 문정왕후를 모델로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래도 그 이미지 때문에 '천명'에도 이어 출연하게 된 것으로 보이구요. 그런 의미에서 '후궁'에서 한 컷.

 

 

 

 

@fivecard 를 팔로하시면 새 글 소식을 더 빨리 아실 수 있습니다.

 

 

728x90

[소현세자]

 

사극 드라마나 영화, 역사 소설을 보다 보면 시대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거나 인기가 오르내리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역사적인 인물을 평가할 때에는 그 시대가 어떤 가치를 강조하는 시대였느냐가 큰 영향을 미치죠.

 

소현세자는 그 대표적인 인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교과서에서 가르치는 소현세자에 대한 내용은 매우 짧고 섬소합니다. 그런데 그 짧은 생애를 보면 유명한 사도세자에 비해 더 큰 비극을 안은 인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두 사람 모두 왕위를 이어받아야 할 세자의 몸에서 (아버지에 의해) 안타까운 죽음을 맞는 것까지는 같지만, 사도세자는 아들 정조가 왕위에 올라 어느 정도 한풀이를 할 수 있었던 반면 소현세자는 아들 손자에 이르기까지 참혹한 비극의 주역이 됐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대체 소현세자는 왜 이런 비극의 주인공이 되었을까요. 드라마 '꽃들의 전쟁' 보시는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실제 역사에서는 어땠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소현세자(1612~1645) 1

 

2010년 화제의 드라마 추노는 조선 인조 시대를 배경으로 추노꾼 대길(장혁)과 노비 태하(오지호)의 쫓고 쫓기는 대결을 그렸다. 본래 무관이었던 태하는 소현세자의 마지막 혈육인 왕손 석견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건 피난길을 떠나고, 대길은 영문도 모른 채 그의 뒤를 쫓는다. 태하는 본래 소현세자의 측근인 무관이었으나 세자 사후 정변에 휘말려 노비로 강등됐다는 설정이다.

 

맥락을 모르는 사람이 추노를 보면 의문이 들었을 법 하다. 대체 소현세자는 무슨 죄를 지었기에 본인이 급사한 뒤 부인인 세자빈 강씨도 사약을 받고, 어린 세 아들까지 목숨을 위협받게 된 것일까. 답은 권력의 비정함에 있다.

 

 

(이 아기가 바로 당시 인기 높았던 그 석견이죠.)

 

 

병자호란이 끝난 1637, 청은 조선의 두 왕자를 인질로 요구했다. 인조의 장남 소현세자와 차남 봉림대군(뒷날의 효종)이 수많은 포로들과 함께 심양으로 끌려가고, 청은 명을 완전히 멸망시킨 1645년에야 이들의 귀국을 허락한다 

 

하지만 돌아온 소현세자를 바라보는 궁 안팎의 시선은 싸늘했다. 이런 분위기는 지금껏 전해내려오는 야담에서 읽을 수 있다. 두 아들이 귀환하자 인조는 무엇을 가져왔느냐고 물었다. 소현세자는 용 모양의 벼루를 꺼내며 이것이 천하의 귀물이라는 용연석(龍硯石)으로 만든 벼루입니다. 아버님께 드리려고 천금을 들여 샀습니다라고 했다. 반면 봉림대군은 청 황제에게 간청하여 포로로 끌려간 우리 백성들을 힘 닿는대로 함께 데리고 왔습니다라고 했다.

 

인조는 세자를 향해 너 따위가 무슨 세자냐고 호통을 치며 그 벼루로 머리를 내리쳤다. 세자는 부끄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곧 병들어 죽었다는 전설이다.

 

실체가 있는 기록 역시 소현세자에게 그리 호의적이지 않다. 세자가 숨을 거둔 1645 426 실록에 실린 졸기(卒記)를 보면, “자질이 영민하고 총명하였으나 기국과 도량은 넓지 못했다는 말이 제일 먼저 눈에 띈다. “학문에는 관심이 없고 무인들과 어울리는데 시간을 쏟았다. 오직 화리(貨利:사고 팔아 이익을 남김)만을 일삼았으며, 또 토목 공사를 즐기고 개와 말 따위를 기르는데 열중했으므로 크게 인망을 잃었다는 내용도 있다. 한마디로 소현세자가 일찍 죽고 효종이 왕위에 오른 것이 나라를 위해 큰 다행이었다는 주장. 이것이 일제시대까지의 전통적인 해석이었다.

 

하지만 20세기 후반부터 평가는 수정되기 시작했다. 소현세자가 청에 볼모로 끌려가 있을 때 독일 출신 선교사 탕약망(湯若望), Adam Schall von Bell, 1591~1666)과의 친교를 통해 많은 신문물을 조선에 소개했다는 이야기가 교과서에 실렸다. 소현세자가 왕위에 올랐다면 개혁군주가 되어 조선의 근대화를 앞당겼을 것이라는 아쉬움 섞인 주장이다.

 

 

 

 

사실 동시대인들이 눈살을 찌푸렸던 소현세자의 모습도 오늘날의 시각에선 그리 흠으로 보이지 않는다. 글이나 읽는 샌님보다는 건축과 이재에도 밝은 무인 풍의 세자가 훨씬 미래지향적인 인물로 보이기 때문이다. 최근 종영한 마의의 정겨운 이나 현재 방송중인 꽃들의 전쟁의 정성운 모두 이런 시각의 소현세자를 연기하고 있다.

 

 하지만 그 시대는 그에게 결코 호의적이지 않았다. 그가 인질로 나날을 보냈던 심양은 지정학적으로한반도를 관리하는 대륙의 창구 역할을 했던 도시다. 고려말 원나라도 만주에 심양왕이라는 직책을 마련해 두고 고려 왕을 견제했다. 고려 25대 충렬왕이 마음에 들지 않자 심양왕으로 있던 아들 충선왕을 개경으로 보내 부자간에 왕권 다툼을 벌이게 한 적도 있다..

 

소현세자는 이 심양에서 예친왕 도르곤을 비롯한 청의 고위 인사들과 막역한 사이가 되어 갔다. 중원이 이미 청에게 넘어갔으니 어찌 보면 당연한 판단이다. 자연스럽게 병자호란으로 권위가 실추된 인조보다 청 황실과 가까운 젊은 소현세자가 실세로 판단하는 세력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말하자면 미래 권력인 세자에게 투자하자는 계산이 서기 시작한 것이다.

 

인조와 정치적 생명을 함께 하는 김자점 등 반정 공신 세력들에겐 이보다 께름칙한 일이 없을 터. 이들은 날이 새면 인조에게 달려가 소현세자가 이미 왕이 된 듯 처신하고 있다며 속닥질을 했다.

 

언젠가 물려줄 왕위라 해도 당장 내놓으라면 불쾌한 것이 권력의 속성이다. 게다가 충렬왕과 충선왕의 전례를 생각해 보면 어느날 갑자기 청이 양위를 요구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해 보였다. 한양과 심양의 거리 속에서 부자간의 관계는 날로 소원해져 갔다. (2부에 계속)

 

2부 소현세자, 죽은뒤에도 눈을감지 못했다. http://fivecard.joins.com/1141

 

 

 

 

그러니까 소현세자가 귀국하자마자 죽어야 했던 결정적인 이유는 단 하나, '아버지를 불안하게 했기 때문'입니다. 인조는 여러 차례에 걸쳐 소현세자와 세자빈 강씨에 대해 "심양에 있으면서 거의 왕과 왕비 행세를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물론 이게 소현세자의 잘못이라고 보기는 힘들 듯 합니다.

 

당시까지 청의 수도인 심양에 세자가 있고, 포로 송환을 비롯해 수많은 외교 사안이 있었던 상황이고 보면, 세자와 수행원들은 오늘날의 대사관 역할을 넘어 아예 조선의 작은 정부 역할을 할 수 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차라리 세자가 웅크리고 앉아 있는 성격이었다면 모를까, 말을 달리는 매 사냥을 즐기고 청 순치제의 숙부인 예친왕(도르곤)과 친분을 쌓는 호방한 성격이었으므로 그 존재에 무게가 실릴 수밖에 없었던 것이죠.

 

이런 세자가 있었으니, 조선 내에도 세자야말로 조선의 미래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났습니다. 특히나 인조는 병자호란의 패전으로 정치적인 권위가 내려앉은데다 그를 둘러싼 인조반정 공신들, 그 중에서도 김자점의 세도에 염증을 느낀 사람들이 날로 늘어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요즘 방송중인 사극 '궁중잔혹사-꽃들의 전쟁'을 보시면 이 시기의 정국이 적나라하게 그려집니다. 김자점(정성모)이 수양딸로 삼아 궁에 들여보낸 궁인 조씨(김현주)는 인조의 총애를 독차지하며 두 아들을 낳고 내명부로서 소용을 거쳐 귀인에까지 이릅니다. 김자점은 한편으로 조씨가 낳은 공주를 손자며느리로 맞아들이는 등 인조를 둘러싼 김자점과 소용 조씨의 '인의 장벽'은 날로 두터워졌죠.

 

이들에게 최선의 결과는 인조가 인열왕후(이때는 이미 죽은 뒤)와의 사이에 낳은 소현세자와 봉림대군, 그리고 인평대군을 제치고 조씨가 낳은 숭선군이 인조의 후사를 잇는 것이죠. 이런 상황에서 김자점을 경원하는 세력이 세자 곁으로 모였으니 이들이 갈 길은 정해져 있는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어떻게 해서든 세자와 인조의 사이를 갈라 놓아야 했던 것이죠.

 

 

 

게다가 소현세자는 천주교에 귀의했을 가능성까지 높게 점쳐지고 있습니다. 2005년 막을 올린 연극 '흔적'은 한국 기독교의 첫 순교자로 소현세자를 꼽고 있습니다. 조선이 본격적인 기독교 박해에 나서기보다도 훨씬 전의 일인데, 어쨌든 당시 조선의 분위기로 보아 천주교는 절대 용서할 수 없는 사교(邪敎)로 여겨졌을 것입니다.

 

P.S. 마지막으로 인조와 소현세자-봉림대군 사이의 벼루 이야기는 당시로선 꽤 신빙성있게 받아들여진 이야기인 듯 합니다. 실제로 소현세자가 귀환할 때 많은 문물과 함께 꽤 많은 재물을 가져왔다고 하니 그 이야기가 저렇게 윤색되었을 가능성은 충분하죠.

 

아울러 일설에 따르면 인조가 소현세자를 내리친 '용연석'이 요즘도 쓰이는 '요녀석'이라는 말의 어원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얼마나 공인된 학설인지는 모르겠으나, 다음 주장을 읽어 보시면 웃어 넘길 정도로 근거 없는 것은 아닌 듯 합니다.

 

http://www.unn.net/ColumnIssue/detail.asp?nsCode=21437

 

 

너무 길어졌습니다. 소현세자 사후에도 3대에 걸쳐 이어진 비극에 대해선 다음 또 한편의 글을 통해 소개하겠습니다.

 

@fivecard5를 팔로하시면 새글 소식을 바로 아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이거 꽤 중요합니다.^

 

728x90

[김자점의 난] '간신 김자점'이라는 말을 처음 들은 것은 아마도 '임경업전' 때문일 것입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명장이라면 이순신과 김유신을 벗어나지 못했던 소년 시절, 문득 '명장 임경업'이라는 이름을 듣게 됐습니다. 아울러 비운의 명장 임경업을 몰래 죽인 사람이 바로 간신 김자점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죠.

 

희대의 간신이었던 김자점의 명성에 비해 사극 드라마나 영화에서 그의 존재감은 별로 없었습니다. 아마도 병자호란이라는 큰 사건을 방송 화면으로 표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기 때문일 겁니다. 그리고 들인 돈에 비해서, 사람들이 과연 '조선 역사상 최대의 치욕'으로 꼽히는 삼전도의 굴욕을 보고 싶어 하겠느냐는 생각도 들 수가 있죠.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김자점 역시 대중의 관심 밖으로 스물스물 사라져 온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현재 방송중인 '궁중잔혹사-꽃들의전쟁'이 아니었다면 아예 얘기될 일 조차 없었을지도.

 

드라마 '꽃들의 전쟁' 에서 가장 주목을 끄는 인물은 당연히 소용 조씨(얌전이, 김현주)와 인조(이덕화), 그리고 세자빈 강씨(송선미)이지만 제게 가장 관심 가는 사람은 김자점입니다.

 

 

 

 

아시다시피 이 글도 '매거진 M'에 실리는 '문화인물탐구' 란에 실리는 글인데, 사실 지면의 한계라는 것이 매우 크게 작용합니다. 김자점처럼 다각도에서 조명 가능한 인물을 원고지 11~12매에 압축한다는 게 정말 어려운 일이더군요.

 

아무튼 늘 하던대로, 원문을 전재하고 아쉬운 부분을 보충합니다.

 

 

 

김자점

 

조선 선조 때 전라도 낙안 땅, 천년 묵은 지네 귀신이 있어 주민들이 처녀를 바치고 복을 빌었다. 신관 사또가 어찌 벌레 따위를 신으로 모시냐며 군사를 풀어 지네를 잡아 토막 내 죽였다. 이때 단말마의 지네가 토한 핏방울이 사또의 미간에 튀었다. 그 직후 사또 부인이 태기가 있어 아들을 낳았는데, 놀랍게도 미간에 붉은 점이 있었다. 사또가 기이하게 여겨 처음에 붉은 점이라는 뜻으로 자점(紫點)이라 이름지었다가 뒷날 자점(自點)이라 고쳤다.

 

인조-효종 시대 매국노의 대명사로 불린 김자점(1588~1651)의 출생에 대한 전설이다. 지네의 저주로 태어난 괴물이었기에 희대의 간신이자 역적이 되어 마침내 집안을 멸문당하게 했다는 것이다. 그 부친인 김함이 벼슬을 산 적이 없으므로 지어낸 얘기임은 분명하지만, 500년 뒤까지 이런 이야기가 전해진다는 것은 당시 김자점이 얼마나 큰 증오의 대상이었는지 짐작하게 한다.

 

하지만 김자점이 영화나 드라마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적은 별로 없었다. 최근에는 명종 때의 윤원형이나 연산군 때의 유자광에 비해 지명도에서도 뒤지는 분위기다. 1981년 컬러 TV 도입 기념으로 KBS가 큰 맘 먹고 제작한 대하 사극 대명에서 김순철이 김자점 역을 맡았고, 2009년 작 MBC TV ‘일지매에서 박근형이 같은 역을 맡은 정도다. 2013 JTBC ‘궁중잔혹사-꽃들의 전쟁은 정성모가 연기하는 김자점을 전면에 내세워 눈길을 끈다.

 

각 드라마의 캐스팅은 김자점에 대한 해석을 그대로 반영한다. 김순철은 글자 그대로 원초적인 권력욕에 매달리는 저돌적인 간신의 모습을 연기했고, 박근형은 조정을 완전히 장악한 당대 최고 세도가의 면모를 보였다. 한편 정성모는 왕에 대한 배신감 때문에 정권 탈취를 노리게 된 교활한 야수를 연기하고 있다.

 

 

 

김자점을 이해하기 위해선 인조와의 인연에서 시작해야 한다. 광해군을 내몰고 인조를 왕위에 올려 놓은 반정 과정에서 김자점은 절대적인 역할을 해냈다. 사실 이 반정은 성공한 게 신기할 정도로 허술했다. 몇 차례나 음모가 새나갔지만 김자점이 광해군의 총희인 개시 김상궁에게 뇌물로 줄을 대고 있던 덕분에 무사할 수 있었다. 김상궁은 보고가 올라올 때마다 김자점, 김류 따위는 그저 백면서생들인데 무슨 큰 일을 하겠습니까라며 무마했다. 실제 반정 전날인 1623 311일에도 고변이 들어왔지만 광해군은 김상궁과 술을 마시며 아무런 조치도 하지 않았다. 결국 김자점은 1등공신에 올랐다.

 

하지만 관료로서 김자점은 대단히 무능했다. 청의 군사적 위협 속에 도원수에 오른 김자점은 정예병을 큰 길에서 벗어난 산성에 주둔시키는 전략을 택했다. 그 결과 병자호란 때 청군은 아무 방해도 받지 않고 대로로 진격해 한양을 범했다. 심지어 김자점 본인도 황해도 토산에 정병을 주둔해 놓고 교전을 피한 죄로 죽을 위기에 몰렸다.

 

그래도 인조는 김자점을 외면하지 않았다. 삼전도의 치욕으로 권위를 잃은 인조에겐 김자점 처럼 까라면 까는저돌적인 충복이 필요했을 거란 해석이 일반적이다. 김자점은 재빠르게 친청파로 변신해 조정 중신들을 제압했고. 그가 후원하는 소용 조씨도 인조의 안방을 차지했다.

 

하지만 소현세자의 죽음(1645), 세자빈 강씨의 사사(1646), 임경업의 주살(1646) 등 의혹 짙은 사건이 이어자자 김자점에 대한 여론은 악화됐다. 특히 임경업의 죽음은 치명적이었다. 당시 민심은 군사력을 키워 청에게 복수하자던 명장 임경업에게 극히 동정적이었기 때문이다. 소용 조씨의 딸 효명옹주를 손자며느리로 삼으며 권력은 더 강화됐지만 백성들의 지탄도 높아갔다.

 

                                          (충민공 임경업 장군 영정)

 

결국 인조의 죽음과 함께 파국이 왔다. 소용 조씨가 낳은 숭선군에게 밀려나는게 아닐까 은인자중하던 효종은 왕위에 오르자마자 김자점에게 칼을 뽑았다. 삭탈관직에 이어 유배령이 떨어졌다. 때맞춰 효종은 북벌을 국시로 내세웠고, 김자점은 청과 내통하는 매국노의 표본이 됐다.

 

마침내 효종 2. 숭선군을 앞세워 역모를 꾀했다는 고변과 함께 김자점의 일족이 몰살당하는 옥사가 펼쳐졌다. 소용 조씨에게도 사약이 내려졌다. 불안한 임금 자리를 지키려는 인조의 속내는 누구보다 잘 읽었지만 여론의 흐름은 무시한 결과였다. 효종은 그를 잘라 냄으로써 민심을 얻는 동시에, 인조반정의 공신들을 억누르고 자신의 사람들로 조정을 채울 수 있었다.

 

김자점은 정말 반란을 시도했을까. 최소한 효종이 그를 편치 않게 느낀 것은 분명하다. 인조는 죽기 두 달 전, 세자(효종) 앞에 김자점과 이시백을 불러 네가 왕이 되어도 이 두 사람은 중용하라고 당부했다. 명심하겠노라 대답했지만 효종의 속내는 달랐다. 즉위 후 김자점의 역모를 보고받은 효종은 당시 시백은 감격의 눈물을 흘렸지만 자점은 오만했다. 그때 자점이 나를 섬길 뜻이 없음을 알았다고 냉소했다. 자만이 재앙을 부른 셈이다.

 

P.S. 김자점 일족은 멸문지화를 당하고 자취를 감추지만 20세기에 이르러 그 후손 가운데 불멸의 거인이 태어난다. 백범 김구는 백범일지첫 문장에서 자신이 멸족을 피해 황해도로 이주한 김자점 가문의 후예임을 밝히고 있다. (끝)

 

 

 

 

인조가 가장 신임했던 두 사람 중의 한 사람인 이시백(위 초상). 기억력 좋은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시백은 인조반정의 핵심 인물인 이귀의 아들이며, 고전 소설 '박씨부인전'에 나오는 박씨부인의 남편입니다. 이시백이 치명적인 전란을 극복하고 복구의 선두에 설 수 있었던 것이 바로 박씨부인의 지혜 때문이었다는 당시의 민심을 대변해주는 것이죠.

 

(박씨부인전이라면 또 잘 모르실 분도 있겠군요. 좀 나이드신 분들은 구 TBC 연속극인 '별당아씨'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 별당아씨의 남편이 바로 이시백이라는 얘깁니다.)

 

어쨌든 인조 사후에도 이시백은 살아 남은 반면, 김자점은 반란의 주모자로 지목되어 일족이 멸문당하는 대란을 겪습니다. 대체 왜 김자점은 몰락했을까요. 당연히 효종과의 관계를 주목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소현세자와 강빈이 비명에 죽고, 인조의 둘째 아들인 봉림대군이 다시 세자의 자리에 올랐지만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습니다. 윗글에서 보듯 소용 조씨(이 무렵 귀인이 됩니다)와 김자점의 세상이었기 때문이죠. 어린 아이이긴 했지만 소용 조씨가 낳은 숭선군이 언제 자신을 대신해 세자가 될 지 알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당연히 세자(봉림대군 = 뒷날의 효종)는 철저한 몸조심에 들어갑니다.

 

그렇지만 바보가 아니었던 세자는 자신이 왕위에 오르면 어떤 입장을 취할지에 대해 차곡차곡 게획을 세워 놓고 있었습니다. 물론 '살아서 왕위에 오른다면'이라는 전제하에 말입니다. 일단 형 소현세자가 심양에 머물며 청나라 주요 인사들과 친분을 쌓고, 청의 문물을 적극 수용하려다 반대 세력에게 제거의 명분을 제공했다는 점을 주목합니다.

 

한편으론 김자점의 권력에 대항할 수 있는 세력이 누가 있을지를 찾아 봅니다. 그 답은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도덕적으로 선명한 입장을 갖고 있는 서인 재야 세력이죠. 송시열 송준길 등을 중심으로 한 인망 있는 집단이고, 송시열은 한때 봉림대군의 스승이기도 했습니다. 안 그래도 부국강병을 통해 나라를 다시 세우고 청에게 당한 치욕을 씻자고 주장하던 인물들이죠.

 

그렇게 해서 1649년 5월, 인조가 즉고 효종이 죽위하자 효종은 그 즉시 인조의 시호를 논의한다는 명분으로 지방에 은거하고 있던 송시열 등을 불러 올립니다. 심지어 송시열은 상경한 뒤, 불러 주신 은혜에 감사한다며 독대를 요청하고, 효종이 '몸이 불편하다'며 독대를 거절하자 그 즉시 짐을 싸서 귀향길에 오릅니다. 당황한 효종은 사람을 불러 송시열을 붙잡고 자신의 성의가 부족했음을 사과합니다. 이후에도 송시열은 '...이러이러한 일이 있는데 이건 모두 제 덕이 부족한 탓이니 사직하겠습니다'를 되풀이하고, 그때마다 효종은 극구 만류합니다. 이런 사직 쇼(?)를 거쳐 전 조정이 송시열이야말로 효종 시대의 실세임을 깨닫게 되는 겁니다.

 

눈치 빠른 사람들은 세상이 어찌 돌아가는지 바로 알아차립니다. 송시열-송준길이 권력의 핵심이라면 과연 권력에서 소외되어야 할 사람은 누구일지. 그리고 그들은 어떻게 제거되어야 할 것인지. 그 다음 수순은 알아서 돌아갑니다. 효종이 직접 누구를 지목해서 아니라, 수많은 선비들이 김자점 탄핵에 나섭니다.

 

결국 김자점은 1년 뒤인 1650년, 벼슬을 내놓고 귀양가는 몸이 되는데, 마침 청의 사신들이 '조선이 요즘 (우리와 가깝던)선왕의 대신들을 왜 이유 없이 내쫓는가. 혹시 우리와 적대하려는 뜻이 있는 것인가'를 추궁할 것이란 소문이 돕니다. 이 소문의 배경은 '(청와 가까운) 김자점이 위기에 몰리자 청의 힘을 업고 조정을 압박하려 한다'는 것이었죠.

 

효종이 왕위에 오른지 두달이 채 안된 1649년 6월22일, 실록의 기록입니다. 대신들이 처음으로 영의정 김자점이 불충하고 무능하니 관직을 빼앗아야 한다고 들고 일어났을 때의 기록. 처음엔 듣기 싫은 척(?) 하던 효종도 끝내 벼슬에선 물러나게 합니다.

 

...탄핵하기를 더욱 강력히 하였으나 상이 따르지 않다가 경인년(1650년) 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중도 부처(中道付處)를 명하여 홍천현(洪川縣)에 유배하였다. 이때 서울 안에는 자점이 죄를 입은 뒤로 노중(虜中)과 은밀히 내통하여 저들의 힘을 빌어 우리 조정을 위협할 계획을 한다는 등의 말들이 많이 나돌았다. 그런데 청나라 사신이 조사할 일이 있다는 핑계로 세 무리가 잇따라 출발하여 압록강도 건너기 전에, 장차 즉위한 처음에 구신(舊臣)을 축출한 이유를 힐문(詰問)하려 한다는 헛소문이 먼저 퍼지니, 사태가 매우 위급하여 조야(朝野)가 흉흉해서 분개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상도 자점을 의심하였으나 다만 그의 두 자식 연(鍊)식(鉽)을 내쳐 외읍(外邑)에 보임해서 그 모계(謀計)를 막았을 뿐이었다. 그런데 막상 청나라 사신이 서울에 와서는 단지 우리 나라가 성을 쌓은 일만을 물었을 뿐이었다. 그러자 혹자는, 자점이 스스로 계획이 실패되어 탄로될 것을 알아차리고서 도리어 이형장(李馨長)을 시켜 청나라 사신에게 미봉책을 썼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여름에 양사가 다시 자점의 죄를 탄핵하여 절도(絶島)에 안치(安置)시키기를 청하며 누차 아뢰어 마지않으니 곧 멀리 귀양 보내라 명하여 광양현(光陽縣)에 유배하였다.

 

 

이쯤 되면 왕의 뜻이 어느 쪽에 있는지를 모든 사람이 알게 되었습니다. 결국 효종 즉위 2년째를 넘기지 못하고 누군가가 "김자점과 조인형(소용 조씨의 친척 오빠)이 서로 몰래 오가며 모의를 하고 있다"는 고변을 합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모든 사람들이 김자점의 아들 김식과 손자 김세룡(소용 조씨가 낳은 옹주의 남편)을 지목합니다.

 

여기에 김자점의 역모가 보고됐을 때 효종의 반응이 널리 퍼집니다. 윗글에 있듯 효종은 인조가 이시백과 김자점을 불러 자신에게 "이 두 사람을 중용하라"고 했을 때의 일을 이야기하죠. 김자점이 얼마나 당시의 세자(효종)을 무시했는지 모든 사람이 알고 있는 상황. 이건 "빨리 김자점을 잡아다 죽이지 않고 뭘 하느냐"고 직접 말하는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그 과정을 살펴 보자면 과연 김자점이, 혹은 김식이 난을 일으키려 하기는 했을까 하는 의혹이 생깁니다. 김자점의 권세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는 인조가 죽기 전입니다. 김자점에게 가장 좋은 것은 세자를 폐하고 숭선군이 인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럴 기회는 없었던 모양이고, 그 다음 방법은 효종이 즉위 후 일찍 죽고, 그 뒤를 이어 숭선군이 왕이 되는 것이었겠죠.

 

하지만 효종이 한발 빨랐습니다. 김자점의 예측에 비해 너무 손이 빨랐던 모양입니다. 1649년, 즉위 두달만에 벼슬을 빼앗고, 6개월만에 귀양을 보냅니다. 김자점에게 빌붙어 살던 사람들도 세상 판도를 파악하고 재빨리 등을 돌립니다. 마침내 난이 보고되고 김자점이 죽음을 맞는 데까지 걸린 시간은 1년6개월.

 

죽음을 맞은 김자점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요. 한비자에는 "미워할 사람을 미워하고, 미워하지 않을 사람을 미워하지 않는것이 문제가 아니다. 미워하는 사람에게 자신이 그 사람을 미워한다는 사실을 알게 하는 것이야말로 정말 위험한 일"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효종은 이 교훈을 확실히 지켜 왕위에 올랐습니다. 김자점이 효종을 정말 위험한 인물로 생각했다면 어떻게 해서든 왕위에 오르기 전에 막았을테니 말입니다. 반면 김자점은 자만심에 빠져 이 교훈을 무시했던 셈이죠. 그것이 결국 김자점의 운명을 결정한 것이 아니었을까요.

 

 

 

728x90

 

[장옥정] 사실 장옥정이라는 이름이 널리 쓰이기 시작한 건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닙니다. 조선 숙종 때의 유명한 희빈 장씨의 이름이 옥정이라는 것은 물론 새로운 일이 아니지만, 꽤 긴 시간 동안 이 여인은 그냥 '장희빈'이라는 이름으로 불려 왔습니다.

 

그리고 흔히 사람들은 조선 명종 때의 정난정, 연산군 때의 장녹수와 함께 '조선 3대 악녀'라는 이름으로 이 여인을 불러 왔습니다. 들으면 바로 아시겠지만 모두 TV 사극이 사랑해 온 여인들입니다. 이 뒤를 이어 광해군 때의 개시 김상궁, 인조 때의 소용 조씨 등이 '3대 악녀'의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인물들이죠.

 

하지만 이런 인물들에게도 다 이유가 있는 법. 특히 장희빈 장옥정의 경우는 역사적 환경을 살펴보면 볼수록 그냥 '악녀'로 불리기에는 억울한 부분이 꽤 있어 보입니다. 물론 이번에 시작하는 '장옥정, 사랑에 살다'는 이런 역사적 환경을 훌쩍 넘어서, 아예 새로운 판타지적 해석을 해 냅니다만...

 

 

 

 

어쨌든 장옥정이라는 여인의 삶을 한번 살펴 봤습니다. 그래도 최대한 객관적으로 보자면 이런 구도입니다.

 

 

장희빈(1659?~1701)

 

사극이 시청률을 올리는 방법 중에 사약 신이 있다. 같은 사약이라도 남자보다는 여자가 먹고 피를 토하는 게 훨씬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 실제 사약의 성분상 피를 토하고 죽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하지만 아무튼 그렇다.

 

사약 신이라면 아무래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와 장희빈을 떠올리게 된다. 폐비 윤씨의 경우엔 비단 섶에 피를 토하며(물론 기록엔 그냥 피눈물이다) “내 아들이 왕이 되면 이것을 전해 주세요라고 말하는 장면이 강렬하다. 그리고 장희빈의 경우에는 조선 왕조 최고의 독부답게 약사발을 비운 뒤 그대로 쓰러지지 않고 한참 동안 몸부림을 치다가 죽음을 맞는 것이 보통이다. 장희빈을 연기한 수많은 여배우 중에서도 사약 신으로는 이미숙이 첫 손에 꼽힌다. 1981 MBC TV 드라마 여인열전에서 돌계단을 구르며 신음하던 이미숙표 장희빈의 모습은 지금도 많은 사람들의 기억에 남아 있다.

 

이문정의 수문록(隨聞錄)’ 에는 더 지독한 이야기도 전해진다. 야사에 따르면 장희빈은 죽기 전, 마지막으로 아들(뒷날의 경종)의 얼굴을 보기를 청한다. 허락을 받은 세자가 통곡을 하며 나타나자 장희빈은 내가 너희의 후손을 이어 줄 줄 알았더냐!”하는 악담을 퍼부으며 최후의 기력을 다해 왕자의 사타구니를 강타하고(反出不忍說之惡言肆其毒手侵及下部), 세자는 혼절한다. 장희빈은 그제야 깔깔 웃으며 사약을 들이킨다. 경종의 후사가 없었던 탓에 뒷날 만들어진 이야기일 가능성도 있지만, 이런 이야기가 널리 퍼졌다는 것만으로도 당시 사람들이 장희빈을 어떻게 생각했는지는 충분히 알 수 있다.

 

(사진을 구할 수 없어 '동이'에서 이소연의 사약 신으로 대체했지만 당시 이미숙의 사약 연기는 그야말로 장안의 화제였습니다. 댓돌 위로 오르락 내리락 하는 단말마의 모습... 아무튼 '수문록'의 기록에 따르면 어머니가 아들을 성불구로 만들었다는 말인데, 사실이라면 인간으로서 도달할 수 있는 최악의 경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아무튼 경종은 병약했고, 후사를 두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숙빈 최씨-'동이'-가 낳은 연잉군이 왕위에 올라 영조가 되죠.) 

 

1990년대 이전까지 장희빈에 대한 영화나 드라마는 이런 세평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정숙하고 현명한 인현왕후 민씨와 아름다운 악녀 희빈 장씨가 숙종을 놓고 삼각관계를 펼치고, 장희빈에게 빠진 숙종이 한때 총기를 잃어 어진 아내와 충신들을 멀리 하지만, 결국엔 제 정신을 차리고 악인들을 단죄한다는 교훈담이다. 이른바 김만중의 사씨남정기나 고대 소설 인현왕후전의 충실한 재현이다. 당연히 장희빈 역은 당대의 섹시 아이콘들이 돌아가며 맡았고, 인현왕후 역에는 청순미 넘치는 전통적인 미인들이 들어섰다. 팀 장희빈의 김지미 남정임 윤여정 정선경 김혜수 등과 팀 인현왕후의 이혜숙 박순애 박선영 박하선 등을 보면 그 특징이 확연하다.

 

하지만 김혜수가 타이틀 롤을 맡은 2003년작 장희빈(KBS)’ 이후 장옥정을 당쟁의 희생자로 보는 시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장희빈 이전의 여자 장옥정은 여러 모로 역사적 의미를 갖는 인물이다. 중인 가문의 딸로 태어나 일개 궁녀에서 출발해 왕의 정실인 왕비의 자리에 오른 사람은 그 하나뿐이다. 비록 다시 희빈으로 강등된 뒤 사약을 받아 끝내 장희빈이란 이름으로 기억되지만 말이다.

 

 

일단 숙종 시대의 정치 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수다. 남인과 서인의 대립이 치열했던 시기. 장옥정의 아버지인 역관 장경은 일찍 세상을 떠나지만 역시 역관 출신인 백부 장현은 당대 조선 최고의 갑부였다. 당시 역관들은 사신단의 일원으로 허가받은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할 수 있었고, 특히 장현은 소현세자와 효종이 청에 인질로 갔을 때 호종한 공로로 위세도 등등했다.

 

그런 장현이 남인 세력의 재정적 후원자였으니 장옥정 또한 남인과 운명을 같이 할 수밖에 없었다. 반면 인현왕후 민씨는 그야말로 노론 핵심 가문의 딸이었다. 큰아버지 민정중과 아버지 민유중은 당대 서인의 영수였고, 친정 오빠들인 민진후, 진원 형제 역시 당쟁을 주도했던 인물들이다.

 

그리고 여기에 만만찮은 왕, 숙종이 있다. 1674 13세의 나이로 왕위에 오른 숙종은 세 차례의 환국(換局)을 통해 왕권을 강화했다. 초기에는 남인이 다소 우세했지만 집권 6년째인 19세 때 경신환국(1680)으로 서인에게 권력을 넘겼고, 28세때엔 다시 기사환국(1689)으로 남인들의 세상이 왔다. 그리고 33세 때, 갑술환국(1694)으로 다시 서인들이 집권하게 된다.

 

이렇게 신하들이 서로 죽고 죽이는 사이 숙종은 할아버지 효종의 고굉지신(股肱之臣)이며 송자(宋子)라고 불릴 정도로 서인들의 추앙을 받던 송시열에게까지 사약을 내리는 냉혹함을 보였다. 숙종 이후 어떤 왕도 이 정도로 강대한 권력을 갖지는 못했다. 아무리 봐도 여색에 혹해 정치적 오판을 할 사람은 아니다.

 

오히려 그런 숙종이었기에 인현왕후를 내치고 장옥정을 중전으로 삼은 것이나(남인의 손을 들어 줌), 다시 인현왕후를 복위시키고 장옥정에게 사약을 내린 것(서인의 손을 들어 줌) 모두 가능하지 않았을까 싶다. 그에겐 사랑도 정치의 연장선상이었던 것이 아닐까. 이런 삭막한 이야기를 좋아할 사람은 별로 없을 듯 하니 김태희가 제9대 장희빈으로 나서는 SBS TV ‘장옥정, 사랑에 살다는 패션에 뛰어났던 궁녀 장옥정과 청년 왕 숙종의 낭만적인 사랑 이야기를 그려낸다고 한다. 그렇다면 장옥정의 죽음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궁금하다. (끝)

 

** 뒤늦게 보게 된 시놉시스에 따르면 '사랑하는 여인을 권력을 위해 결국 죽음으로 밀어 넣는 비운의 왕'으로 그려진다는군요. 그럴듯합니다.^^

 

 

이렇습니다. 벙자호란 이후 조선 정치사를 살펴보면, 그중 가장 강력한 왕권을 발휘한 왕은 성군으로 알려진 영조나 정조가 아니라 숙종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영/정조 시대만 해도 신하들의 세력을 무시한 왕정이 불가능할 지경이었던 반면 숙종은 당쟁을 이용해 어느 한 파벌도 자신의 권위에 도전하지 못하게 왕권을 구축하는 노련함을 과시합니다.

 

그리고 그 와중에서 정치적 격변에 따라 후궁이 요동을 칩니다. 결과적으로 숙종이 서인들의 손을 들었기에 장희빈은 악역, 인현왕후는 선인 역을 맡게 된 것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만약 당시 남인에게 최종 우승기가 돌아갔다면 우리는 또 다른 사극을 보고 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니까 대중 일반에게 전해진 장희빈 이야기는 사실 역사의 승자였던 인현왕후의 친정 쪽, 즉 서인 쪽(그중에서도 노론)의 입장에서 다분히 강조된 이야기일 가능성이 꽤 높아 보입니다.

 

 

어쨌든 장옥정이 그렇게 악인이 아니었다고 해도, 드라마 '장옥정, 사랑에 살다'의 스토리는 역사적인 배경과는 꽤 거리가 있어 보입니다. 물론 이 드라마는 아예 시작부터 팩션이고, 판타지라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역사적인 무게는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예 종류가 다른 이야기니까요.

 

그러니 이 드라마에서는 전통적인 사극의 인기 캐릭터인 악녀의 모습을 보기 쉽지 않을 듯 합니다. 시놉시스상으로는 한승연이 연기하는 최무수리(숙빈 최씨, 즉 '동이'의 한효주)가 오히려 악녀로 묘사될 것 같기도 한데, 어찌 될 지는 두고 볼 일.

 

아울러 김태희가 이번 작품을 통해 그동안 수없이 약점으로 지목됐던 연기력 논란을 떨쳐 버릴 수 있을지. 그 또한 관심사가 아닐 수 없습니다.

 

 

혹시 악녀 캐릭터가 아쉬운 분은 주말드라마 '궁중잔혹사-꽃들의 전쟁' 쪽을 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인조 때의 요부 소용 조씨(사실 궁녀로는 귀인의 자리까지 올라갑니다만, 이상하게도 소용 조씨로 불리는 경우가 더 많은 듯 합니다) 역을 맡은 김현주의 연기가 한창입니다.

 

 

728x90

[링컨]이란 영화가 개봉하니 링컨이라는 역사적 인물을 조명해 보자는 건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얼마 전부터 '이달의 문화인물'이라는 제목의 아티클을 '매거진 M'에 연재하기 시작했습니다.

 

제목이 '문화인물'이긴 합니다만, 정작 내용은 '문화 속에 비쳐 그려진 유명인물의 실상' 쪽에 더 가깝습니다. 이렇게 쓰려니 너무 길어서 아마도 편집 측에서 그냥 '문화 인물'이라고 뭉뚱그려 묘사한 듯 합니다.^

 

아무튼 책에 나온 순서와는 달리 블로그에는 '링컨' 편부터 소개합니다. 앞선 사람들이 약간 타이밍이 안 맞기 때문이죠. 물론 그 사람들도 이쪽으로 모셔올 계획입니다.

 

 

 

 

 

에이브러햄 링컨

 

1865 1, 에이브러햄 링컨은 어느 전장에서 말단 병사들과 격의 없이 농담을 나누고 있었다. 한 병사의 입에서 “Four score and seven years ago…”가 흘러 나오자 병사들은 앞다퉈 다음 문장을 줄줄 외운다. 소집 나팔이 울리고, 부대를 향해 발걸음을 옮기던 흑인 병사도 나지막이 중얼거린다. “For the people, by the people…”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링컨의 첫 장면. 실제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게티스버그 연설은 1863 11월의 일이니 시간적으론 가능했겠지만 역사가들은 고개를 흔든다. 거의 모든 미국인이 이 연설문을 줄줄 외우게 된 건 링컨이 죽고 나서도 한참 뒤의 일이라는 것이다. 물론, ‘영화니까 ’.

 

미국 16대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1809.2.12~1865.4.15)은 가장 유명한 지구인 중 한 사람이다. 그 지명도에 걸맞게 대중 문화 속에서도 넘치는 사랑을 받아왔다. 수많은 전기 영화가 일찌감치 만들어졌고(결정판은 존 포드의 1939년작 젊은 링컨이다), ‘박물관이 살아있다류의 영화에선 미국을 대표하는 위인 자리를 놓치지 않았다. 최근엔 뱀파이어(‘링컨:뱀파이어 헌터’)나 좀비(‘링컨 VS 좀비’)와 싸우는 히어로로 변신하기도 했다.

 

대중의 속성을 생각하면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다. 예를 들어 중국 민중의 사랑을 듬뿍 받아온 삼국지의 영웅 관우는 사후 관성대제라는 이름의 신으로 승격됐고, 천년 넘게 악귀 퇴치와 재복 기원은 물론 무좀 치료까지 담당하고 있다.

 

그에 대한 대중의 친근감이 전쟁의 승리나 노예 해방 같은 거대한 업적에서만 비롯된 것은 아니다. 통나무집에서 성장한 어린 시절의 가난, 독학으로 변호사를 거쳐 대통령에 이른 입지전, 비극적인 최후 까지 성공 신화의 모든 요소를 갖췄다. 여기에 유머 감각을 빼놓을 수 없다. 그는 패션에 둔감한 촌사람의 이미지를 스스로 비웃는 자학 개그의 달인이었다.

 

 

 

남북전쟁이 한창일 때에도 그의 유머는 멈추지 않았다. 어느날 국무장관 에드먼드 스탠튼이 북군 총사령관 율리시스 그랜트 장군이 전선에서 늘 술에 취해 있다고 험담을 했다. 링컨의 대답. “그 양반이 마시는 위스키 상표를 좀 알아 오게.” “왜요?” “다른 장군들에게도 돌리려고.” 싸워서 이기기만 하면 술 좀 마시는게 대수냐는 식이다.

 

고지식한 스탠튼은 이런 그가 못마땅했다. “각하, 왜 늘 농담만 하십니까.” 대답은 그것도 안 하면 난 당장 죽네.” 링컨의 가족을 살펴보면 이런 심정도 이해가 간다. 네 아이 중 셋이 미성년일 때 죽었고 장남 로버트만 성인이 됐다(영화에서 조셉 고든 래빗이 연기한 로버트는 뒷날 미국 육군 장관을 지냈다). 아내 메리 토드는 평생 강한 집착과 낭비벽으로 링컨을 괴롭혔고, 링컨 사후 결국 정신병원에 입원했다. 링컨 본인도 오늘날의 시각으로 보면 우울증을 앓고 있었다는 주장이 있다.

 

영화 속 링컨은 이런 어려운 여건에서도 미국 영토 내에서 모든 노예 제도를 금지하는수정헌법 13조의 의회 통과를 위해 눈물겨운 노력을 펼친다. 역사가들로부터는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대목이다. ‘노예 해방은 영화 링컨의 시점 보다 2년 전(1863 1)에 링컨 자신에 의해 이미 실현됐고, 수정헌법 13조의 통과는 요식행위에 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물론 앞서 말했듯, 영화는 영화다. 그리고 스필버그가 역설하고 있는 것은 링컨 같은 인물 조차도 목적 달성을 위해선 다소 치사해 보이는 정치적 행위를 불사해야 했다는 점이다. 측근을 이용해 은밀하게 로비스트를 고용하고, 의원들에게 남부 연합의 평화 사절단의 방문 여부에 대해 공식적인 거짓말을 하고, 심지어 뇌물까지 사용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민주적 절차를 준수하면서 정치적인 목표를 달성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잘 보여주는 내용이다. 아마도 구체적인 정책의 실현 과정에 무관심한 이상주의자들, 타이핑만 하면 저절로 멋진 나라가 만들어져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좋은 교육 자료가 되지 않을까 싶다.

 

P.S. 많은 한국인들은 링컨이 아주 먼 옛날, 아무 상관 없는 먼 나라에서 위대한 일을 하다가 비명에 간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그의 시대에 이미 우리는 미국과 무관한 사이가 아니었다. 링컨이 사망하고 16개월 뒤인 1866 8, 대동강 입구에 제너럴 셔먼 호라는 미국 상선이 나타난다. 이 배는 조선 관민과의 시비 끝에 불태워지는 운명을 맞는다.

 

배 이름의 셔먼 장군은 바로 링컨을 도와 남북전쟁을 승리로 이끈 윌리엄 T 셔먼 장군이다. 미국은 이 사건의 책임을 물어 1871년 강화도로 함대를 보낸다. 이것이 신미양요. 만약 링컨이 암살당하지 않고 3선에 성공했다면, 위대한 대통령 링컨은 미국 역사상 최초로 한국을 침략한 대통령으로 기록됐을 수도 있었다. 참고로 신미양요를 일으킨 대통령은 위에도 나오는 '북군 총사령관 그랜트'였다. (끝)

 

 

 

 

 

역사가 길지 않은 미국에서 링컨은 세종대왕이고, 태종무열왕이고, 광개토대왕입니다. 'For the people, by the people, of the people'의 게티스버스 연설은 미국 초등학생들도 외우는 고전이고, 링컨 메모리얼은 미국의 수도 워싱턴을 대표하는 조형물 중 하나죠. 그리고 결정적으로, 사실 그렇게 옛날 사람도 아닙니다. 링컨에게 "여자들은 턱수염 기른 남자를 좋아하는데 아저씨도 길러보면 어때요?"라는 편지를 보내 턱수염을 기르게 한 전설의 소녀 그레이스 베델(Grace Bedell)은 1936년에 죽었습니다. 그러니 더더욱 생생한 인물일 수 밖에요.

 

링컨의 농담은 지금까지 전해오는 것만도 수백가지지만 오늘날의 시각으로 볼 때 그렇게 포복절도할 정도로 웃기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거의 대부분이 스스로의 용모에 대한 자학 개그라는 점이 눈길을 끕니다. 이를테면 이런 식.

 

"내가 시골 살 때 어떤 놈이 총을 들고 눈을 부라리면서 술집에 들어와 '여기 나보다 못생긴 놈이 있으면 쏴 죽여 버리겠어!'라고 소리치며 나를 딱 바라보더라고. 그래서 내가 그랬지. '너보다 못생겼다면 차라리 내가 내 머리를 쏘겠다!' 라고."

 

네. 딱 웃기지는 않습니다. 아무튼 이런 식의 개그가 링컨의 특기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링컨을 목격한 사람의 기록. "코트는 흉측하게 길고, 소매는 너무 짧고, 바지 한 쪽은 괜찮은데 다른 한 쪽은 양말에서 적어도 2인치는 모자라는 위치까지밖에 내려오지 않았다." 그야말로 극악의 패션 센스입니다.

 

 

 

 

영화 '링컨'은 좀 지루하다는 점만 빼면 매우 훌륭한 영화입니다. 특히 영화를 완성도보다 '그 영화가 담고 있는 숭고하고 거룩한 메시지'에 따라 평가하는 일부 몰지각한 사람들에게는 극찬을 받아도 부족할 영화죠. 이런 영화를 따로 떼어 성화(聖畵) 정도로 구분해야 할지도.

다만 영화를 보러 가기 전에 예습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1864년 11월, 링컨은 미국 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의 조지 B 맥클렐런(McClellan)에 압승을 거두고 연임에 성공합니다(물론 우리가 흔히 링컨을 16대 대통령이라고 부르는 것은 재선을 감안하지 않고 사람 머릿수 대로 센 것입니다). '남부의 반란'에 대한 승리는 결정적이었고, 모든 국민 여론은 링컨에 대한 절대 지지로 나타났습니다. 한마디로 국민의 압도적인 지지를 업고 어떤 정책이든 통과시킬 수 있는 상황.

 

(영화에서는) 이 시기의 링컨은 이미 노예해방 선언(1863.1)을 해 놓고 있었지만, 전쟁이 끝나고 남부 각 주가 법원을 앞세워 이 노예 해방 조치에 대한 위헌 심판같은 것을 냈을 때, 소위 '법적인 판단'에 의해 이미 해방된 노예들이 다시 농장주들의 재산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아예, 개헌을 통해 그런 일이 일어나는 것을 막겠다고 다짐합니다.

 

이것이 바로 '미국 수정헌법 13조'. 내용은 아주 짧고 간단합니다.

 

Section 1. Neither slavery nor involuntary servitude, except as a punishment for crime whereof the party shall have been duly convicted, shall exist within the United States, or any place subject to their jurisdiction.

Section 2. Congress shall have power to enforce this article by appropriate legislation

 

'그러니까 미국의 주권이 닿는 지역에서 모든 노예 제도와 비 자발적 노동 강요는, 범죄에 대한 처벌이 아닌 한 더 이상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헌법으로 규정하자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당연한 듯 보이는 훌륭한 정책에도 반발은 만만찮았고, 링컨은 이 수정헌법의 의회 통과를 위해 갖가지 꼼수를 쓰게 된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남부에서는 때마침 평화 사절을 보냅니다. 북부의 입장은 '항복'이지만 남부에서는 끝까지 '평화 협상'을 요구하고, 즉각적인 항복이 있기 위해서는 '수정헌법의 통과'를 없던 일로 해 달라는 조건이 첨부됩니다.

 

여기서 링컨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는 것이죠. 며칠이라도 전쟁을 더 빨리 끝내 무고한 병사들의 희생을 막을 것이냐, 아니면 두고 두고 역사에 남을 옳은 일을 위해 얼마간 더 희생을 감수할 것이냐.

 

(이것이 영화 '링컨'의 내용. 이런 내용을 생각하지 않고 영화를 보는 분들은 도대체 저게 뭔 소리냐 싶으실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역사가들은 영화 '링컨'의 이런 내용들이 꽤나 과장되어 있다고 주장한답니다. 의회 통과를 위한 노력은 꽤 사실적인 것 같으나 일단 수정헌법 자체가 저 시점에선 그리 심각한 얘기가 아니었고, 따라서 남부 평화협상단의 요구 같은 것도 당시로선 큰 고민거리가 아니었다는 주장들.) 

 

하지만 그런 요소들만 극복하면 대단히 잘 만들어진 영화임에는 틀림없습니다(당연하지. 누가 만든 영환데). 그리고 연기의 신(한때 연애의 신이기도 했던) 다니엘 데이 루이스의 연기는 그야말로 소름이 쪽쪽 끼칩니다. 톰 행크스가 해내지 못한 남우주연상 3회 수상이 루이스에게 돌아간 건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고 느껴집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이 영화에서 그려지는 링컨은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이라는 수식어가 떠오릅니다. 위에서 언급한 존 포드의 영화 '영 링컨(바로 위 사진. 헨리 폰다)' 까지만 해도 링컨의 아내  메리 토드 역시 위대한 대통령을 잘 보필한 위대한 퍼스트레이디 정도로 미화됐습니다. 하지만 세월의 흐름과 함께 많은 다른 이야기들이 나왔습니다. 본래 명문가의 딸인 메리 토드는 오로지 '영부인'이 되기 위해 링컨과 결혼했고, 링컨을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해 채찍질을 아끼지 않았다고 합니다.

 

결국 아이들과 남편을 잃은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해 정신병이 발병하고, 장남 로버트에 의해 정신병원에 입원하는 신세가 됩니다. 이 로버트도 '링컨의 아들'이란 후광을 업고 공화당의 미래를 이끌어 갈 정치인으로 손꼽힌 것까지는 좋았지만, 그 다음에 반드시 따라오는 말, '링컨 아들이 왜 저 모양이야?'를 넘지 못하고 말았다는 이야기.

 

 

아무튼 영화 '링컨'이 주는 메시지는 자명합니다. 아무리 위대한 인물도 손에 흙을 묻히지 않고 숭고한 이상을 관철시킬 수는 없다는 것. 일찌기 정조의 한글 서간이 공개됐을 때 많은 사람들이 놀랐습니다. 반대파인 노론 대신들과 주고 받은 서신에서 때로는 욕을 하고, 때로는 어르고 협박하며 자신의 뜻을 관철시킨 '인간적인 풍모'가 그대로 드러났기 때문이죠.

 

위대한 성군으로 불리는 정조도 그런 식으로 '정치'를 하고 있었던 겁니다. 늘 입으로 도학을 주장하며 높은 이념으로 아랫사람들을 감화시키는 식으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던 것이죠. 제대로 된 정치란, 곁에서 보고 '이건 잘 했고, 이건 잘못 했고' 하는 식으로 훈수나 늘어놓는 평론가들에 의해 이뤄질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걸 이 영화는 훌륭하게 설득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왔던 제너럴 셔먼 호의 '제네럴 셔먼'이 그 셔먼 장군이라는 건 쓴웃음을 자아내게 합니다. 링컨이 3선만 했다면 '조선의 침략자 링컨'이 됐을 지도 모를 일이니까요. 여담이지만 북한에서는 김일성의 증조부인 김응우가 제너럴 셔먼 호 격침 사건을 주도했다는 우상화 작업도 이뤄지고 있다고 합니다.

 

P.S. 마지막 사진은 신미양요 때 미군에 의해 탈취된 어재연 장군의 수자기(帥字旗).

 

 

아래쪽 추천 상자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