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날 긴 일정의 하이라이트. 클라우스 메켈레의 앵콜. 

물론 이건 늦은 밤 얘기고, 당연히 오후 시간대로 되돌아갑니다. 

밖으로 나오니 가는 비가 살짝 오락가락.

파리 사람들은 이런 비에는 익숙한 듯, 우산 쓴 사람은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동행인이 뭐 좀 사러 가야 한다는 곳이 있어서 비내리는 마레 거리를 조금 걸었다.

샵 이름이 메르시. 바로 옆의 농 메르시는 다른 가게다. 

저렇게 노골적으로 '메르시 아님'이라고 가게 이름을 정한 걸 보면 주인이 같은 가게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고. 

아무튼 저 메르시는 커피숍 입구고, 정작 편집샵으로 들어가려면 바로 옆의 좁은 입구로 들어가야 한다.

좁은 입구로 들어가면 작은 정원과 함께 샵 메르시가 등장한다. 

그리고 샵 안에서 내다보면 이렇게 커피숍과 연결된다. 

물론 연결된다는 것은 공간의 연결이고, 샵에서 커피숍 쪽으로 나가는 것은 금지. 아무래도 물건을 쓱 집어들고 자연스럽게 커피숍으로 갔다가 도망친 도둑들이 꽤 있었지 싶다. 어쨌든 편집샵 안은 생각보다 엄청 넓고 물건도 많고... 한국말도 많이 들리고...  (아는 분들은 다 아는 데라고)

물론 태생이 물건 사는데 별 관심이 없는 터라(먹을 수 있는 물건 빼고) 이런 곳은 들어가는 순간, 제발 언제 나갈 수 있는 지 알려줘, 하는 심정이 된다. 대강 봐선 물건 값도 비싸다. 

그렇게 비가 살짝 뿌리는 마레 거리를 조금 걷다가, 꽤 알려진 카르나발레 박물관/카페를 갈 생각이었는데 동절기 휴관. 으슬으슬 추운 가운데 뭔가 차라도 한잔 마셔야겠다는 생각에 보주 광장 주변의 유명한 카페라는 카레트 Carette 라는 곳을 갔으나, 역시 사진 한 장 찍고 싶지 않은 그저 그런 공간. 

 

숙소로 돌아와 저녁 스케줄을 위한 재정비를 하고, 북쪽으로 출발했다.

일단 저녁을 먹으러 향한 곳은 벨레뷜르 지역의 동 후옹 Dong Huong.

앞에서도 얘기했지만 지난번에 파리에서 먹었던 쌀국수가 워낙 강렬한 인상을 남긴 터라, 이번에도 파리에서 가장 먹고 싶었던 것은 쌀국수였는데, 불행히도 한번 좌절했다. 

그래서 이번에 검색을 통해 다시 도전한 것.

현지 매체에서는 '파리에서 진정한 베트남 쌀국수의 영혼을 느낄 수 있는 몇 곳...' 이라고 극찬한 곳이다.

그런데 저 위평 為平이 대체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다. 메뉴에는 為平牛粉이라고 써 놨던데... 뒤의 牛粉이야 소고기 쌀국수라는 뜻이겠지만 위평은 대체 뭣일지. 

동 후옹이라고 쓰면 중국 남부의 동썅 桐鄕 이라는 도시를 가리키는 이름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이 식당 집안의 조상이 저 동썅에서 오신 분들일 수도 있겠다. 아니면 베트남어로 동 후옹이 또 다른 뜻이 있는지도. 

아무튼 그렇게 해서 이 고이꾸온을 주문했는데.... 한입 깨물었더니 고기 냄새가 역하다.

고기가 삶아 놓고 냉장고에서 일주일은 버틴 듯한 냄새. 갑자기 자신감이 땅으로 꺼졌다.

구운 고기는 언뜻 보기엔 먹음직스러웠으나 어떤 건 질기고, 어떤 건 설익고. 

기본 쌀국수는 나름 괜찮았으나 기본적으로 국물이 너무 달다. 대체 4년, 코로나 사이에 파리의 쌀국수 집들이 단결해서 다들 설탕 한 숟가락씩 더 넣고 장사하자고 합의라도 한 것인가. 

아무튼 총평은: 쌀국수는 그럴듯 했으나... 굳이 다른 지역에서 차 타고 찾아갈 만한 곳은 아니었다는 걸로.

사실 목적이 라 빌레트에 있는 파리 필하모닉 홀을 방문하는 거였기 때문에 중간의 동 후옹을 갔던 거라서. 굳이 애써 동선을 낭비한 것은 아니라고 스스로 위안을.

1998년에 방문한 라빌레트는 파리 북쪽의 공원이었고, 그 한 구역이 엑스포 같은 형식의 청소년을 위한 미래 과학 홍보관처럼 꾸며져 있었다. 과연 그 시설은 지금 어떻게 바뀌었을지도 궁금했는데, 2015년에는 파리 필하모닉의 새 보금자리가 이곳 라빌레트에 지어졌다.

입구쪽에서 걸어가다 보면, 조명을 받아 빛나는 은갈치같은 괴물이 보인다.

오오 멋지다.

 

낮에 보면 이런 모습이라는 얘기. 장 누벨의 작품인데 안 멋질리가...

약간 빙빙 돌아서 입장해 보면 대기 공간이 이렇게 생겼다.

내부를 잠시 돌아보니 바는 4곳이나 있고, 다들 모두 뭔가를 마시고 있는데, 화장실은 아주 아주 아주 먼 곳에, 몇개 안 된다. 이상하게도 이 나라는 공중화장실을 굉장히 천대하는 느낌이 든다. 

 

특히 공연장에서. 저렇게 한잔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화장실을 이렇게 멀고 적게 짓는 이유는 뭘까. 

아주 아주 그럴듯한 내부 공간.

무대도 막 멋지고.

글쎄 간거 맞다니까요.

잘 안 보이시는 분들 위해 부분확대

가장 인상적이었던 건 코러스석 쪽에 설치된 장애인 특별석. 

개를 데리고 들어와 있다. 맹인용 인도견은 짖지 않도록 훈련되어 있기 때문에 어디든 들어갈 수 있다는 걸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콘서트 홀 안에도 데리고 들어올 수 있다는 건 이번에 처음 봤다. 

(이것도 잘 안 보이시는 분들 위해... 강아지 여기 있습니다.)

이런 쪽으론 선진국 맞는 느낌.

관객들이 꽉꽉 차고, 시작한다!

마켈레 등장.

이 동네 사람들은 음악 연주를 하고 있을 때 외에는 사진을 마구 찍어댄다. 당연히 제지하는 사람도 없다.

한국이 좀 특이한 듯. 

클라우스 마켈레. 이 공연을 보고 있을 당시 27세. 세계 지휘계의 신성이자 아이돌. 훤칠한 키와 훈훈한 외모, 역동적인 지휘로 2021년부터 파리 필하모닉의 얼굴이 되었다. 

그리고 역시 아주 핫한 유자왕 언니의 남친이 되어 세계 클래식계의 핫 커플로 자리한지... 아직 잘 사귀고 있겠지?

어쨌든 이날 메켈레가 동향 북유럽의 16년 선배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노르웨이 출신)를 독주자로 불러들여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을 연주했다. 임윤찬 덕분에 더욱 핫해진 이 곡. 

 

임윤찬이 섬세하고 투명하다면 이 듀오는 지칠 줄 모르는, 데스메탈을 연상시키는 라흐마니노프를 연출해냈다. 장하다 스칸디나비안 브라더스, 역시 메탈의 고향! 바이킹 화이팅! 

그런데 이날 콘서트는 왠지 여기가 하이라이트였다는 느낌. 그 다음 메인 연주곡은 12월,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살린 차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이었는데, 어려서부터 크리스마스 때마다 호두까기 인형 없는 크리스마스를 보낸 적이 없는 서구 관객들은 어땠을 지 모르겠으나, 내게는 딱히 큰 감회가 없었다. 

 

어쨌든 메켈레와 장 누벨의 홀을 경험했으니 여한은 없다. 파리 도착 후 시내에서는 가장 먼 거리를 이동한 날인데, 중간에 잠시 전철이 끊기는 사고(그러나 옆에 서 있던 한 파리 시민은 '이런 일 늘 있어요' 라며 별 짜증도 안 내고 어디론가 사라졌다)가 있었으나 다른 노선을 이용해 무사히 귀가. 

728x90

[밀회 피아노곡 소개]

 

'밀회' 3부 이후는 음악이 극의 중심이 아니어서 살짝 서운하셨던 분들도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7,8회는 음악의 역할이 다시 전면에 나섰습니다. "누가 뭐라구 그래! 음악이 갑이야" 라는 말씀대로. 특히나 강조된 곡은 아무래도 라흐마니노프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본래 팬이 많은 곡이죠. 그밖에도 많은 곡들이 소개됐습니다. 더 쌓이기 전에 일단 4부 이후, 8부까지 쓰인 곡들을 정리합니다.

 

3부까지 쓰인 곡들은 이쪽 포스팅에 있습니다. http://5card.tistory.com/1246

 

 

 

 

자, 먼저 드라마 진행 순서대로. 5부에서 선재와 혜원이 듀엣으로 연주해 눈길을 끌었던 곡이 있습니다.

 

모짜르트의 '네개의 손을 위한 소나타' KV 521. '네개의 손' 시리즈가 슈베르트에 이어 펼쳐졌습니다.

 

 

 

1941년생인 마르타 아르헤리치와 1971년생인 에프게니 키신. 30년의 나이 차이가 있지만 음악을 통해서는 연인 같은 화음을 들려줍니다. 특히 가끔씩 키신의 재능 - 한때 피아니스트의 새로운 세대를 개척한 신동이었죠 - 이 귀여워 죽겠다는 듯 돌아보는 아르헤리치의 미소를 보면, 어딘가 '밀회'의 모티브가 이 연주 동영상에 숨어 있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다음은 리스트의 스페인 광시곡.

 

 

 

 

5부에선 제목만 언급되고 6부에서 선재가 입학 오디션을 위해서 연주하는 곡입니다. 정열적이고 파괴적인 곡이죠.

 

리스트는 아마도 최초로 그루피(groupie)를 거느렸던 피아니스트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늘 검은 옷을 즐겨 입었던 리스트. 그의 연주를 보기 위해 유럽의 귀부인들이 마차를 빌려 연주 일정에 따라 유럽을 횡단하고 다녔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택시를 전세 내서 '오빠들'을 뒤쫓고 다닌다는 사생팬들의 행태와 그리 다를 게 없습니다. 그만치 리스트의 외모와 초절정의 기교가 눈부셨다는 얘기죠. 그가 작곡한 곡들도 자신의 기교를 한껏 과시하듯 화려한 테크닉을 가져야만 연주할 수 있는 곡들이 많습니다.

 

라자르 베르만은 '다자키 쓰구루'를 읽어 보신 분이라면 설명이 필요 없을 피아니스트.

(스페인 광시곡 이야기는 아래서 또 이어집니다.)

 

 

 

그리고 8부에선 대망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피아노 협주곡 2번과 함께 라흐마니노프의 곡들 중 가장 대중적인 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곡은 라흐마니노프가 파가니니의 카프리스 24번에서 영감을 얻어 작곡한 곡입니다. 파가니니는 사라사테와 함께 지금까지도 초 기교파 바이올리니스트 겸 작곡가의 대명사로 불리는 인물이죠. 피아노에서의 리스트와 비슷하다고 할까요.

 

 

 

파가니니의 일생을 그린 영화 '파가니니: 악마의 바이올리스트(Paganini: The Devil's Violinist)의 한 장면. 바로 이 곡이 파가니니의 카프리스 24번입니다. 이 장면을 보면 파가니니가 당시 어떤 카리스마로 무대에 임했는지 느낄 수 있죠. 요즘의 록 기타리스트와 사실 별로 다를 게 없습니다. 실제로도 없었을 겁니다.

 

위 영상을 보면 저는 떠오르는 사람이 있습니다.^^

 

 

1986년작 전설의 영화 '크로스로드(Crossroads)'. 기타 소년 랄프 마치오가 우여곡절 끝에 '악마에게 혼을 판 기타리스트'와 대결을 펼입니다. 그런데 그 기타리스트가 바로 스티브 바이라는게 웃음의 포인트. 누가 봐도 진짜 '악마에게 혼을 판 것 같은' 바이의 초절정 연주 기교가 펼쳐집니다. 여기서 마치오는 파가니니의 카프리스를 기타로 변주해 멋지게 역전승을 따냅니다.

 

사설이 길었습니다. 라흐마니노프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은 여기.

 

 

 

리스트의 피아노 광시곡을 생각하시는 분들은 광시곡이라는 제목에서 피아노 독주를 연상하시겠지만 이 곡은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하는 협주곡의 형식을 띠고 있습니다. 물론 광시곡답게 전통적인 협주곡의 악장 개념은 없고, 작게 나눠 24개의 변주로 이뤄져 있죠. 특히 유명한 곡은 바로 18 변주입니다.

 

스티븐 허프(Hough)가 연주한 위 영상에서는 대략 20분 15초 부근부터 들으시면 여러분이 찾는 '바로 그 멜로디'를 들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찾아 듣기도 귀찮으신 분들은 아래 영상에서 딱 18번 변주만 들으시면 됩니다.

 

 

 

 

이 곡을 선재와 혜원이 연주하게 된 건, 두 사람이 국제 음악제 예심을 위해 DVD를 제작하기 위한 곡을 찾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혜원이 "너 협주곡 피아노 파트 다 외는 곡 뭐 있니?"라고 묻자 선재는 더듬 더듬 "슈만 협주곡하고...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 변주곡" 이라고 대답합니다.

 

(사실 이건 아마도 정성주 작가님의 사소한 실수인 듯 합니다.^^. 라흐마니노프의 '협주곡'이라고 할 수 있는 곡은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입니다. '변주곡'이 아니죠. 정작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이라는 곡은 따로 있습니다. 브람스의 곡이죠. 바로 이 곡.)

 

 

 

 

이어집니다.

 

8부에선 협주곡 반주를 하다 말고 벌떡 일어선 혜원의 꾸지람에 그 자리를 모면해 보려던 선재가 "선생님, 그 손열음이 카푸스틴 치고 그렇게 일어날 때 좋았었는데..."하고 나름 애교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나가서 찬물에 세수하고 와"라는 싸늘한 대답.

 

여기서 카푸스틴은 러시아 출신 작곡가 Nikolai Girshevich Kapustin 을 말합니다. 손열음은 2011년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2위에 입상할 때 카푸스틴의 변주곡 41번을 연주했습니다. 그때 곡을 마무리하면서 벌떡 일어난 모습을 말하는 겁니다.

 

 

잘 아는 듯이 얘기하지만 저도 저렇게 벌떡 일어선 모습은 이번에 찾아 보고 처음 알았습니다.^^ 사실 손열음은 이때 위에서 언급한 리스트의 스페인 광시곡도 연주했습니다. 여기서 은근히 선재가 손열음의 팬이라는 걸 알 수 있죠.

 

 

 

 

마지막으로 8부에 소개된 '선재의 모짜르트 교과서' 님은 포르투갈 출신의 피아니스트 마리아 주앙 피레스 Maria Joao Pires 입니다.

 

 

 

 

포르투갈어의 표준 발음이 쉽지 않아 흔히 마리아 호아오(혹은 후아오) 피레스라고 소개됩니다만, forvo.com을 참고한 결과 포르투갈과 브라질에서 모두 '주앙'이라고 발음하는 걸 확인했습니다. 같은 이름이 들어간 보사노바의 대가 Joao Gilberto는 요즘은 거의 '주앙 질베르토'로 교정이 이뤄지고 있더군요.

 

이 분의 모짜르트입니다. 피에르 불레즈와 협연한 모짜르트 피아노 협주곡 20번.

 

 

1944년생. 2003년의 영상이니 극중에서 혜원과 선재가 얘기하던 '60세 무렵'의 모습입니다.

 

이상 4부~8부까지의 삽입곡들과 거기에 대한 이야기들을 엮어 봤습니다.

 

매회 하기는 힘들고, 또 곡이 쌓이면 포스팅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협찬 광고 하나. 스피커는 역시 쿠르베. http://courbeaudio.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