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바르셀로나에 가기 전부터 리세우 Liceu 극장 이나 카탈루냐 음악당 Palau de la Música Catalana 중 한군데에서 공연을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아시다시피 리세우 극장은 세계적인 오페라 공연장. 그리고 카탈루냐 음악당은 '가우디의 라이벌'이었다는 평 때문에 슬슬 스페인 바깥에도 알려지고 있는 몬타네로가 지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공연장'이라고 불리고 있다.

 

얼마나 아름다운지(?) 공연장을 방문하는 낮 투어 가격만도 30유로. 게다가 투어 내내 사진 촬영 금지를 강조한다고 한다. 그럴 바엔 공연을 보는게 낫지! 라고 생각하고 곧바로 공연을 예매했는데 가만 생각해 보니 낚인 것 같기도 했다.

 

이 투어의 존재가 어쩌면 공연 관람을 유도하는 마케팅이었는지도.^^

 

 

 

그런데 국제적인 명성에 비해선 극장의 규모가 그리 크지 않다. 19세기적이라고나 할까. 하지만 이 동네 사람들이 이 건물에 바치는 정성은 예사롭지 않다. 1층 출입문 옆의 오래된 매표구 자리를 보면 알 수 있듯, 원형 그대로의 보존하려는 노력이 매우 가상하다.

 

건물 뒤편의 정식 매표구를 통해 안으로 들어가면 작은 식당이 있다. 여기서 한 첫번째 실수는, 이 극장 뜰에 있는 레스토랑과 내부의 카페테리아가 너무 격이 다른 식당이었다는 것. 당초 뜰의 레스토랑에서 저녁식사를 할 예정이었지만 자리가 없었다.

 

뭐, 카페테리아도 모습은 훌륭하다.

 

 

 

 

고풍스러운 시설에서 간단한 먹거리(pincho)와 음료, 맥주, 와인 등등을 판다.

 

문제는 식사. 10유로에 파스타와 음료를 주는 메뉴가 있었다. 웨이터라는 작자에게 무슨 파스타냐고 물었다. '오늘의 파스타'란다. 그래서 그 '오늘의 파스타'가 대체 무슨 파스타냐고 물었다. 그랬더니 대답이 가관. '오늘의 파스타는 스파게티'라는 거다.

 

끓어오르는 분노를 참고, 스파게티가 어디 한두가지냐. 그럼 그 스파게티는 '어떤 스파게티'냐고 물었다. 그랬더니 '그냥(just) 스파게티'라는 거다. 그래서 '뭐가 들어가는 스파게티' 냐니까 '밀가루, 물, 소금, 토마토...' 동행인만 없었으면 확 때려 엎을 뻔 했다.

 

아무튼 시간도 그렇고, 다른 사정도 있어서 그 '그냥 스파게티'를 시켰다. 그 결과는 이랬다.

 

 

 

토마토 소스도 아닌, 케첩도 아닌, 뭔가 붉은 국물에 버무린 스파게티였다. 먹어보니 아주 오래 전, 1980년대 학교 구내식당에서 팔던 함박스테이크(한 700원 정도 했던 것 같다)에 살짝 끼어 나오던 '스파게티'의 맛이었다. 햄버거로 치자면... 한 30년 전에 중고등학교 매점에서 팔던 계두버거(패티에 닭 머리를 갈아 넣는다는 소문이 있던 햄버거. 공식 명칭은 '빅보이'인가 그랬다. 먹다 보면 뭔가 뼈처럼 딱딱한 것이 씹혀서 그런 소문이 돌았는지도) 정도의 수준이었다.

 

이런 우아한 공연장에서 이따위 음식을 팔다니. 기분이 팍 상했다. 관광객의 속을 터지게 했던 웨이터의 태도가 문득 이해가 갔다. 대체 저따위 음식을 뭐라고 설명한단 말인가.

 

먹는 둥 마는 둥(물론 그렇다고 남겼을 리는 없다) 접시를 물리고 공연장으로 입장.

 

 

 

안쪽에서 본 1층 로비.

 

 

뉘신데 여기 계신지...

 

 

 

1층에는 로비뿐이고 실제 공연장은 2층부터다. 그리고 계단 하나, 벽 마무리 하나가 예사롭지 않다.

 

 

 

2층에는 뭔가 좀 더 격식을 갖춘 레스토랑이 있다.

 

 

 

레스토랑 입구의 휴게공간. 인터미션 때 왕년의 귀족 아저씨들이 샴페인과 시가 한 대를 즐겼을 법한 공간이다.

 

아르누보적인 느낌이 오늘날 보기엔 약간 조잡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당시로서는 최대한의 공력을 들여 치장한 느낌.

 

 

 

극장 내부. 무대의 정면. 대형 파이프오르간이 설치되어 있다. 무대는 다소 좁아 보인다. 풀 오케스트라가 바그너나 말러를 공연하기엔 다소 비좁아 보일 정도.

 

 

 

 

낮에 보면 더 예쁘다는 천장의 스테인드글라스.

 

 

 

이렇게 4층 객석의 아치와 연결된다.

 

 

 

2층이 무대와 같은 높이. 3층과 4층에 객석이 있다.

 

 

자세히 보면 이런 느낌.

 

 

 

무대 정면의 위쪽도 화려함의 극치다.

 

 

조금 확대해 보면 이런 느낌. 그러니까 저 가장자리를 둘러 친 거대한 장미꽃 모양을 비롯해 전체 내부의 인테리어 컨셉트가 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야말로 거대한 꽃밭이다.

 

 

 

 

딱 내 취향은 아니지만 아무튼 대단히 공이 들어간 작품이라는 건 분명하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그 명성에 비해 규모는 꽤 작은 극장이다.

 

 

 

아무튼 공연 시작.

 

볼 공연은 오페라와 플라멩코를 결합해 꽤 상업적으로 성공했다는 오페라 이 플라멩코 Opera y Flamenco. 지난 2009년부터 바르셀로나에서 거의 상시 공연되고 있고, 수시로 해외에서도 초청됐던 공연이다.

 

홈페이지는 http://www.barcelonayflamenco.com/shows.php?id=486#cast-tab 

카탈루냐 음악당은 http://www.palaumusica.cat/en/

 

 

 

2013년 10월19일의 출연진은 이랬다.

 

 

바이올린, 첼로, 카혼(상자같이 생긴 타악기), 피아노에 노래를 겸하는 기타리스트까지 반주자 5명, 칸타오르 cantaor(남)와 칸타오라 cantaora(여) 라고 불리는 플라멩고 전문 싱어 2명, 그리고 소프라노와 테너가 각각 1명씩 등장하는 제법 큰 규모다.

 

 

 

 

물론 이 위에 쓴 사람들은 보조 출연자라고 할 수 있는 사람들. 뭐니뭐니해도 무대의 꽃은 각각 바일라오르 bailaor(남)와 바일라오라 bailaora(여) 라고 불리는 플라멩코 댄서들이다. 특히 이 무대의 꽃은 카티아 모로 Katia Moro(바로 위 사진) 라는 이름의 바일라오라였다.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공식 예고편을 보는 게 빠를 듯.

 

 

 

 

뭔가 좀 아쉽다. 카티아 모로의 모습을 좀 더 볼 수 있는 다른 공연장의 모습이다.

 

 

 

사실 오페라와 플라멩코의 결합이란 플라멩코의 발상지로 꼽히는 세비야가 무대인 오페라 '카르멘'에서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나중에 세비야에서 본 플라멩코 공연에도 '카르멘'의 한 장면이 동원된다). 그 밖의 다른 오페라들은 사실 플라멩코와 큰 접점은 없다. 그리고 '오페라' 파트에서 등장하는 두 성악가의 수준이 그리 높지 않다. 실제 오페라의 주역급은 아니라는 얘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오페라와 플라멩코(스페인어 y는 and의 뜻)'는 꽤 매력적인 콘텐트다. 이유는 전체 공연에서 약 1/4 정도 비중을 차지하는 오페라와는 별개로 3/4 정도의 비중인 플라멩코의 수준이 워낙 훌륭하기 때문이다. 특히나 위에서 거론한 카티아 모로의 열연은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었다.

 

(여담이지만 스페인도 인터넷 사용이 꽤 보편화되어 있는 느낌인데 비해 플라멩코 관련 내용은 온라인으로 검색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 플라멩코도 한국에서의 국악의 위치와 다소 비슷한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80분 정도의 공연을 마치고 박수갈채에 답하는 출연자들.

 

반대쪽에서 보면 이런 모습이다. (물론 이 사진은 위의 Opera y Flamenco 홈페이지에서 퍼온 것.^^)

 

이렇게 해서 첫 이틀이 폭풍같이 지나갔다.

 

 

P.S. 스페인을 여행중인 한 관광객이 이 음악당에서 이 무지치 합주단의 공연을 본 뒤 "이렇게 소리가 좋은 공연장은 오랜만"이라는 소식을 알려 왔다. 카탈루냐 음악당은 보기만 좋은 공연장은 아닌 듯 하다.

 

 

 

(예고) 셋째날, 드디어 살바도르 달리를 만나러 갔다.

 

아래쪽 박스 안의 손가락 그림을 누르면 추천이 됩니다.

@fivecard5 를 팔로하시면 새 글 소식을 빨리 알 수 있습니다.

 

728x90

스페인 여행 둘쨋날. 역시 아침부터 바르셀로나 여행에 나섰다.

 

전날과 마찬가지로 유로자전거나라 투어. 이번엔 도시 곳곳을 누비는 속살 투어다. 특히 전날 밤 투어에서 다녀 본 길들을 낮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는 점도 끌렸다. 다만 걷는 거리가 이만저만 아닐 것 같아 다소 긴장했다.

 

그런데 정작 집합한 뒤, 카탈루냐 광장 맞은편의 카페로 향한다.

 

 

카페 이름은 4Gats. 4가 Quatro라 콰트로가츠라고 읽는다. 정식 이름은 카탈루냐어로 Els Quatro Gats 다. gat이 영어의 cat이니 네 마리의 고양이란 뜻.

 

이 카페가 바르셀로나에서 무명 시절의 피카소가 늘 죽치고 앉아 시간 때우던 유서깊은 곳이라는 거다. 갈 데가 없어 하루 종일 자리 차지하고 있던 피카소에게 가끔씩 커피도 한잔씩 서비스로 주고 하던 주인장이 사실상 피카소를 키웠다는 이야기. 피카소 뿐만이 아니고 이 카페는 당대 스페인 화단의 문화적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럴 수 있었던 것은 이 카페의 주인이 당대의 유명 화가인 라몬 카사스 Ramon Casas 였기 때문. 파리를 늘 동경했던 카사스는 바르셀로나에도 파리의 유명 카페들처럼 예술가들의 보금자리가 될만한 곳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가게(?)를 열었다.

 

아래 그림이 카사스의 유명한 대표작. 자전거 앞자리에 수염난 사람이 카사스 자신, 뒷자리 사람은 콰트로가츠의 공동 경영자인 페레 로메우 Pere Romeu라고 한다.

 

 

여기 있는 그림은 사본이고 진본은 박물관에 있다고.

 

 

 

아무튼 화가들답지 않게 경영 수완도 좋았던지 4Gats는 오늘날까지도 같은 자리에서 성업중이다. 얼마 전 바르셀로나를 무대로 한 우디 앨런의 영화 '내 남자의 여자도 좋아 Vicky Cristina Barcelona' 에도 나왔다. (사실 제목이 주는 기대감과는 달리 이 영화에는 바르셀로나의 풍광이 그닥 많이 소개되지 않는다.)

 

바로 이 아래쪽 자리 중 하나다.

 

 

 

 

아무튼 1897년부터 성업해온 유서깊은 곳 답게 곳곳이 예쁘고 아늑하다.

 

 

 

 

그리고 그 안에서 피카소의 일대기(말하자면 피카소와 일곱 여자-아내의 역사 이야기)를 듣는 것이 이날 바르셀로나 투어의 시작이다.

 

사실 공식적인 미술사를 보면 피카소는 수없이 변신한다. 초기 - 청색시대 - 장밋빛시대 - 아프리칸 - 입체파 - 신고전주의 - 다시 입체파 - 자유분방한 만년으로 계속해서 바뀌는 스타일을 보였다. 막연히 이렇게만 알고 있던 터에 그 변화의 시기마다 피카소의 내면이 흔들릴만한 생활 면에서의 변화가 있었다는 설명은 매우 흥미로웠다.

 

예를 들어 창백하고 우울한 청색시대는 피카소의 청년기 절친이었던 카를로스 카사헤마스 Carlos Casagemas의 자살, 그리고 1901년 파리로 건너가 느낀 '나는 우물 만 개구리였구나'와 식의 느낌에서 온 절망감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얘기다. 피카소가 1881년생이니 이 해 나이 만 스무살. 이 콰트로가츠에서 늘 어울리던 친구, 그리고 파리로 같이 청운의 뜻을 품고 유학간 친구가 모델에게 구애하다가 거절당하고 자살한 사건 정도면 충분히 인생을 바꿔놨을 만 하다.

 

 

 

이 청색시대를 대표하는 그림 '인생 La Vie'에 등장하는 남자가 바로 카사헤마스라는 설명. 피카소의 친구에 대한 애도가 느껴진다. 아무튼 이 청색시대는 피카소에게 사랑이 찾아오면서 끝난다. 역시 젊은이에겐 사랑이 약. 피카소가 모델 페르난도 올리비에 Fernando Olivier 와 사랑에 빠지면서 우울한 청색은 사라지고 바로 장및빛 시대가 시작된다.

 

 

 

 

피카소는 올리비에의 초상만 100장 이상 그렸다고 전해진다. 아무튼 피카소가 여자를 총 몇명 사귀었는지는 도저히 알 길이 없으나, 그의 여성 편력에서 시작점은 늘 이 올리비에다.

 

 

 

 

에바 구엘 Eva Gouel - 피카소의 초기 입체파 시기. 하지만 구엘은 1912년 피카소를 만나고 3년만에 결핵으로 병사한다. 깊이 사랑했다고는 하나, 피카소는 죽기 직전의 그녀를 나몰라라 했다고 전해진다.

 

(이 대목에서 인상적인 이야기: 피카소는 본래 현실적인 성격이고,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매우 민감했다. 예를 들어 피카소가 처음 '아비뇽의 처녀들'을 그린 것은 1907년이었지만 당시 주위 사람들이 '그게 뭐냐'고 일제히 혹평을 해 대자 장롱 깊숙히 그림을 감춰 두었다가 1916년, 시대가 큐비즘을 받아들일 때가 되었다는 판단이 서자 전시에 내놨다...는 이야기. 이유야 어쨌든 '아비뇽의 처녀들'이 9년 동안 미발표작으로 남아 있었던 건 사실이다.^^) 

 

 

 

올가 코흘로바 Olga Khokhlova - 러시아 발레단의 발레리나. 이 시기 피카소는 화단의 기린아로 칭송받고 경제적으로도 안정되면서 과도한 실험성에서 도피, 신고전주의의 화풍을 지향한다. 어쨌든 피카소가 실제로 결혼한 첫 여자는 올가.

 

사실 수많은 여자관계에도 불구하고 피카소가 단 두번밖에 결혼을 하지 않은 것은 바로 올가가 이혼을 거부했기 때문이라고.^

 

 

 

 

마리 테레즈 발터 Marie-Therese Walter - 1927년, 피카소는 17세의 마리 테레즈를 만난다. 임신중이던 아내 올가는 마리 테레즈도 임신중이라는 사실을 알고 격분해 이혼을 요구하지만 피카소는 재산 분할을 거부. 따라서 올가는 1955년 죽을 때까지 피카소의 아내라는 법적 지위를 유지한다. 

 

아무튼 마리 테레즈는 피카소의 대표작 중 하나인 '꿈(위 그림)'의 주인공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가 그린 마리 테레즈의 얼굴들을 보면 평온함과 행복이 느껴진다. 반면...

 

 

 

 

도라 마르 Dora Maar - 피카소가 '게르니카'를 낳을 수 있게 했던 여자라는 평. 사진작가이며 그 스스로도 예술가여서 피카소 자신도 스스로에게 영감을 주는 여자라고 불렀다고 함. 1936~1944년 사이 피카소의 연인이었지만, 자유분방한 피카소에게 너무 집착하다가 정신병원 신세를 지게 됐다. 피카소의 유명한 '우는 여자(위 그림)' 연작 그림이 바로 신경쇠약으로 피카소만 보면 눈물을 흘렸다는 도라 마르를 모델로 한 것이다.

 

마리 테레즈를 그린 그림과 뒷날의 도라 마르를 그린 그림 만큼 그 여자들의 의미를 잘 보여주는 비교도 없을 듯.

 

 

 

 

 

프랑수아즈 질루 Francoise Gilot - 가장 얘깃거리가 많은 여자다. 1943년, 62세의 피카소는 22세의 미술학도 를 만나 깊은 관계에 빠진다. 젊은 연인의 활력 덕분인지 이 시기의 피카소는 '고전 다시 그리기'의 새로운 세계에 진출한다.

 

 

 

이 그림도 지금은 고전으로 대접받고 있지만, 이 그림을 그릴 무렵의 피카소는 자신감이 흘러 넘친 나머지 "야, 내 그림이 벨라스케스 그림보다 훨씬 낫지 않아?"하고 물어 많은 사람을 곤혹스럽게 했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화면 아래쪽의 개 그림에서 피카소의 유머 감각이 돋보인다. 이 개는 1992년, 바로 유명한 이 개의 모델이 된다.)

 

 

 

바로 바르셀로나 올림픽 공식 모델인 코비 Cobi. 어딘가에서는 피카소가 키우던 개 이름이 바로 코비였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확실치 않다. 아무튼 잠시 곁길로 이야기가 샜다.

 

 

 

질루는 60이 넘은 피카소의 일방적인 만행과 왕자병, 그리고 끊이지 않는 젊은 여자들과의 스캔들에 피카소와 결별해 버린다. 그리고 나서 다른 식으로 피카소에게 복수를 했다. '피카소와의 삶 Life with Picasso'라는 자서전 풍의 책을 내면서, 한 해변에서 늙은 피카소가 큰 양산을 들고 젊은 자신을 공주처럼 모시고 따라다니는 장면의 사진을 표지로 사용한 것이다. 누가 봐도 '망할 놈의 영감, 어디 엿 좀 먹어 봐라' 라는 느낌이 강렬하다.

 

 

 

유사 이래 수많은 예술가들은 젊은 연인을 사귀면서 자신의 창의성을 유지했던 것 같다. 피카소 역시 젊은 여성들에게 끝없이 끌렸던 것이 바로 야수와 같은 창작력의 원천이 아니었나 싶다. 질루는 이에 대해 "그 '성스러운 괴물(sacred monster)'에게 자신을 희생하지 않은 여자는 나 뿐"이라며 피카소의 이기적인 모습을 고발했지만... 그렇게 해서 그 자신이 얻은 건 무엇일까 싶기도 하다. 아무튼 질루가 낳은 딸 팔로마 피카소는 뒷날 티파니의 보석 디자이너로 명성을 떨쳐 피카소의 자손들 중 가장 유명한 인물이 됐다.

 

 

 

 

자클린 로케 Jacqueline Roque - 유로자전거나라 설명에선 '피카소도 결국 질루 이후 지친 탓인지 만년은 35세의 과부와 보냈다'고 되어 있었지만 다른 기록을 보면 피카소는 1953년 27세의 이혼녀 로케를 처음 만났다. 이 시기, 피카소는 도자기에 새롭게 몰입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61년, 80세의 피카소는 35세의 로케와 두번째 결혼식을 올린다. 그러니까 로케 역시 피카소가 좋아했던 '젊은 여자'였다. 단지 오래 버틴 젊은 여자였을 뿐이다. 운이 따랐다면 피카소와 관계를 맺고 있는 사이 '공식 아내'인 올가 코흘로바가 1955년 사망했다는 것. 그렇게 해서 로케는 피카소의 '아내 2호'가 됐다.

 

피카소의 두번째 결혼은 1973년 피카소의 죽음까지 이어졌다. 당연히 질루를 비롯해 수많은 과거의 연인들, 피카소의 '씨'를 낳은 엄마들이 재산에 대한 권리를 놓고 도전해 왔고, 로케는 이들과 맞서 '피카소의 아내' 자리를 지켰다. 그러던 1986년, 로케는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설명에 따르면 로케는 피카소의 장례식에 다른 유족들의 접근을 막을 정도로 독점욕이 강했다고 한다.)

 

여기까지가 피카소 이야기 끝.

 

[물론 저는 미술사 전문가도 아니고, 바르셀로나를 다녀 온 여행객일 뿐입니다. 가이드의 설명에 제가 알고 있던 것들을 덧붙여 쓴 글입니다. 혹시 더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 분이 이 글을 읽으시면 가차없이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커피 한 잔과 함께 이런 이야기를 피카소가 쭈그리고 앉아 있던 카페에서 듣는 느낌도 색달랐다.

 

 

 

바르셀로나 시가 인증한 문화공간으로서의 표석. 바르셀로나 곳곳에 이런 식의 유적 인증 표지가 있다.

 

 

 

"아저씨, 제가 죽치고 있어도 뭐라고 안 해 주셔서 감사해도. 혹시 제가 뭐 해 드릴거라도 없을까요?"

"음. 너 곧잘 그리는 것 같은데 우리 가게 포스터 하나만 그려 봐라."

"포스터요? 네. 알겠습니다. 안 그래도 요즘 로트렉 그림이 마음에 들더라구요."

 

뭐 대략 이런 과정을 거쳐 탄생했을, 피카소가 그린 4Gats의 포스터.

 

이렇게 해서 첫 코스인 4Gats를 나서 피카소 미술관 Museo Picasso 로 간다.

 

 

 

 

 

 

좁다른 고딕 지구의 골목길을 수십번 꺾어져서 도착한 곳이 바로 피카소 미술관. 왜 피카소 미술관인데 철자에 하나도 들어 있지 않은 'B' 마크를 달고 있는지는... 모르겠다.

 

 

 

생각해 보니 바르셀로나 시의 공식 문장인 것 같기도 하다.

 

 

 

 

한 귀족 가문 저택을 개조해서 만들어진 덕분에 중정이 있는 고운 건물 구조가 그대로 드러나 있어 아름답다. 규모나 소장품의 수가 결코 어마어마하지는 않지만, 위의 이야기 속에서 여자들(!)과 함께 거론된 피카소의 시대별 변천사를 일목 요연하게 정리할 수 있는, 잘 정돈된 미술관이었다. 입장료 11유로. 월요일 휴관.

 

절대 후회하지 않는다. 특히나 이 글을 읽고 갔다면.^^

 

 

 

 

피카소 미술관에서 역시 다시 좁은 골목길을 내려오다 보면 갑자기 하늘이 파랗게 넓어지면서 빛을 한껏 안고 나타나는 건물이 있다. 바로 바르셀로나를 대표하는 성당 중 하나인 산타마리아 델 마르 Santa Maria del Mar.

 

1384년 완공될 당시에는 이 성당 바로 앞까지 바닷물이 찰랑찰랑 하는 해변이었다고 한다. 산타마리아는 잘 알려진대로 뱃사람들을 수호하는 역할.

 

 

 

 

고전적인 사원의 양식미가 잘 살아 있다.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 처럼 전 세계에 단 하나 있는 아름다움과는 좀 다르지만, 아무튼 내부에 들어서면 위압감과 안정감이 동시에 느껴지는, 유럽 대 성당의 느낌에 충실하다.

 

 

 

그렇지만 고전적이기만 하지는 않다. 수많은 스테인드 글라스 중에는 1992년 이후에 만들어진 것이 하나 있다.

 

1992년은 바로 바르셀로나에서 월드컵이 열린 해.

 

 

자세히 보면 수많은 이니셜들이 쓰여 있다. 바르셀로나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들 중 메달리스트들의 이름 철자를 이용해 장식한 스테인드글라스다. 누가 찾아냈는지 모르겠지만 이 중에 황영조 선수의 이니셜이 있다고 한다.

 

눈 밝은 사람이 좀 찾아 주기 바란다. 내 눈엔 안 보여서.

 

 

 

 

 

70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산타마리아 델 마르는 여전히 예배를 보는 성당으로서의 역할을 완수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이 카탈루냐 카톨릭의 상징인 검은 성모상.

 

본래의 검은 성모상은 이슬람 지배 초기, 이교에 대한 박해를 겁내 지하로 숨어들어갔던 시절의 유물이다. 그때도 처음부터 검은 색이었던 것은 아니고, 지하 동굴 성당에서 예배를 보려니 촛불이나 횃불의 그을음 때문에 성모상이 검게 변했다는 것. 그 전통을 기려 이렇게 지상에 나와 있는 성모상에도 검은 칠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오리지널 검은 성모상은 바르셀로나 근교 도시 중 유명한 관광지인 몬세라트에서 볼 수 있다고.

  

 

 

이렇게 해서 오전 일정 끝. 한여름은 아니지만 바르셀로나의 태양은 여전히 빛나고 있었다.

 

 

 

오후엔 난데없이 바르셀로나 뒷골목에서 위대한 한국인과 마주치게 된다. 대체 누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