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퍼시픽림]

 

군사 마니아들이나 시사에 밝은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한국 해군이 참가하는 국제 기동훈련 가운데 림팩(RIMPAC)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풀 네임은 'Rim of the Pacific Exercise' 인데 약자로 만들지 않고 가장 중요한 pacific과 rim만 따서 그냥 림팩이라고 부르는 것이죠.

 

Rim of Pacific 이라고 쓰거나, Pacific Rim이라고 쓰거나, 결론은 모두 '태평양 연안(국)'을 말합니다. 그래서 처음엔 이 영화의 제목만 들었을 때 혹시 림팩 훈련과 관련 있는 해양 액션물인가 생각한 적도 있었습니다.

 

아무튼 아는 사람들 사이에선 올 여름 최대의 기대작이었던 이 영화, 결코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엄청난 물건이었습니다.

 

 

 

 

줄거리는 단순한 정도를 넘어섭니다. 2020년 언저리의 어느날, 갑자기 바다 속에서 카이주가 나타나 샌프란시스코를 공격합니다. 군의 출동으로 진압에 성공하지만 점점 강해지는 카이주에 맞서 싸우기 위해 인류는 거대 로봇 예거를 만들어냅니다. 그렇게 해서 인류는 거의 20년에 걸쳐 카이주와의 전쟁을 펼칩니다.

 

미국을 대표하는 예거 '집시 데인저'를 조종하던 에이스 파일럿 롤리 베켓(찰리 허냄)은 전투의 충격으로 일선을 떠나 공사판(?)을 전전하던 도중 옛 상관 팬터코스트 장군(이드리스 엘바)의 방문을 받습니다. 뭐 이유는 너무나 뻔합니다. 인류를 구하기 위한 최후의 결전을 준비하자는 사연인 것이죠.

 

(이미 잘 아시겠지만 Jaeger는 독일어서 hunter라는 뜻, 그리고 카이주는 한자로 怪獸, 바로 우리가 보통 부르는 그 괴수의 일본식 발음입니다.)

 

아무튼 미리 말하자면, 이런 류의 '로봇 대 괴수'의 차고 때리고 부수는 대혈전을 실사로 볼 날을 꿈꿔왔던 많은 관객들에게 이 영화는 그야말로 꿈의 실현입니다. 신의 선물이죠. 그 밖의 분들은... 글쎄, 잘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대만족. 기쁨의 눈물을 흘리면서 봤습니다.

 

 

 

 

 

이 영화의 국내 예매자 가운데 40~50대 남성의 비율이 무척 높았다는 것은 아무래도 '자녀들을 위한 예매'만으로 보기 힘든 요소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일본 로봇 만화의 전성기는 아무래도 70~80년대까지. 물론 90년대의 청춘들에겐 에반게리온이 있고, 이른바 '건담 왕조'라고 할만한 건담 시리즈는 최근까지도 계속해서 재생산되고 있지만 아무래도 진정한 메카물의 시대는 나가이 고의 마징가 연작과 겟타 로보가 활약하던 무렵이 아닐까 합니다.

 

물론 '퍼시픽 림'은 메카물의 재현인 동시에, '울트라맨'에서 '고질라' 시리즈를 거쳐 '아이젠버그'로 이어지는 특촬물의 전통을 충실히 계승한 작품입니다. DNA를 보자면 애니메이션의 실사화라기 보다는 특촬물의 고급화라고 보는 쪽이 더 정확할 수도 있겠습니다. 아무튼 감독이면서 시나리오에도 참여한 기예르모 델 토로는 이 영화를 만들면서 일본적인 상상력에 많은 부분을 빚지고 있음을 전혀 감추지 않았습니다. 스스로 이 영화의 로봇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작품으로 '철인 28호'를 꼽기도 했죠.

 

 

 

 

액션의 사이즈를 보면 확실히 '퍼시픽 림'은 '마징가'보다는 '고질라' 류의 계승입니다(사진은 고질라의 라이벌인 가메라). 마징가Z가 20m 이내, 건담 시리즈가 30~40m인데 이 영화의 예거와 카이주들은 100m 언저리의 신장을 갖췄습니다(그렇습니다. '트랜스포머'류 보다 훨씬 큽니다). 꼬리 길이를 합해 200m라는 고질라급의 체격이죠. 어쨌든 이 덩치들이 펼치는 액션은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전통의 계승이 충실히 이뤄지다 보니, 돈 들인 티가 좔좔 흐르는 화면 한 구석에서도 어딘가 어린 시절에 보았던 괴수물을 다시 보는 듯한 정서가 살아있음을 느끼게 됩니다. 괴수들이 도시 한복판에서 쿵쿵거리고 싸우는 동안 마분지로 만든 듯한 고층건물들이 무너지고 불타오르는 70년대 특촬물의 저렴한 느낌 말입니다. 특히나 어린 마코가 파괴된 도쿄 한복판에 숨어 있는 장면은 '고질라' 시리즈 중 한 장면을 그대로 가져온 듯한 착각이 들 정도입니다.

 

제목에 있는 질문의 답은 이렇습니다. '강렬하게 추억을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어린 시절에는 잘 몰랐지만 메카물이 갖고 있는 현실적인 근거(혹은 현실적으로 보이기 위한 플롯)는 너무나 초라합니다. 일단 그런 초대형 로봇이 걸어서 이동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인데다, 사용하는 무기나 기타 동작이 전혀 물리적인 기반을 갖추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화영화일 때에는 누가 뭐라 따지지 못할 수도 있지만, 만약 이걸 실사판 영화로 바꾸어 놓는다고 하면 엄청나게 유치하게 보일 곳들이 한둘이 아닙니다.

 

 

 

(아마도 이 '철인28호'를 비롯해 일본에서 만들어진 수많은 애니메이션의 실사판 영화들이 개봉하자마자 욕설의 집중포화를 맞고 나오는 족족 침몰한 것도 이런 요소들을 지나치게 단순하게 생각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기예르모 델 토로는 이런 요소를 충분히 고려해 지금까지 만들어진 것들 가운데 '가장 그럴싸하게 움직이는' 대형 로봇을 창조했습니다.

 

전투 장소까지 수십대의 대형 헬리콥터에 의해 이동하는 모습이나 로봇을 보관하기 위한 거대한 도크, 그리고 그런 전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움직이는 엄청난 수의 보조 인력 등은 '로봇 만화'를 그냥 실사로 바꾸는 선을 넘어서, 어떻게 해서든 그런 로봇이 실제로 존재할 수 있다는 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세심하게 배치되어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수천톤 무게의 로봇이 펀치를 날리며 싸운다든가, 고공에서 맨땅에 떨어져도 멀쩡하다든가 하는 '애당초 말이 안 되는' 요소들이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감독의 이런 세심한 노력 덕분에 '퍼시픽 림'을 보는 눈은 대단히 즐겁습니다.

 

그리고 '말이 되게 하기 위해' 일반 관객들이 과거 로봇물에 대해 갖고 있는 거의 무한정의 기대를 희생하지 않았다는 점 또한 칭찬할 만 합니다. 두 사람이 서로의 뇌를 공유해야 로봇이 전력을 발휘해 싸울 수 있다든가 하는 드리프트라는 독특한 설정(어쩌면 '아이젠버그'에 나오는 '영이 철이 크로스!'의 발전된 형태...?^^)은 이 영화가 노리고 있는 특정한 줄거리를 펼쳐 나가기 위해 필수적이지만, 관객들을 당황하게 할 정도는 아닙니다.

 

로봇과 파일럿이 '혼연일체(?)'가 되어야 싸울 수 있다는 설정은 이미 로봇이 공격당할 때 마다 파일럿이 그 공격당한 부위에 통증을 느끼는 일본 메카 만화의 전형적인 설정에 매우 충실한 것이기 때문에, 대다수 관객들에게 아무 무리 없이 전달됩니다.

 

(물론 왕년에 만화영화를 볼 때에는 좀 혼란스럽기도 했습니다. 괴수 로봇이 마징가 제트의 눈을 드릴로 후벼 팔 때, 자기 눈을 움켜쥐고 괴로워하는 쇠돌이(카부토)를 보면서, 아니 그냥 조종만 하는 줄 알았더니 어느새 마징가와 쇠돌이는 신경이 연결되어 버린 거냐, 하고 당혹감을 느끼곤 했기 때문입니다.)

 

 

 

 

 

(이 영화를 보고 '에반게리온' 얘기를 하시는 분들이 꽤 있는데, 연령 때문에 본 게 에반게리온밖에 없어서 그럴 수는 있겠지만, 사실 에반게리온에서는 수트 외에는 그다지 영향을 받은 게 없습니다. 아마 '철인28호'와 70년대 애니메이션을 모르시기 때문에 나온 얘기일 듯.)

 

 

 

뭐 델 토로가 이 그림- 고야의 '거인' - 을 연상하며 작품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이건 '진격의 거인'도 마찬가지라고 하죠.^ 이 그림이 갑자기 21세기 들어 각광받고 있는 듯.

 

그런데 아래 댓글 지적에 따라 찾아 보니 이 그림이 고야의 그림이 아니고 제자 아센시오 훌리오의 그림이라는 보도가 있었군요. 이 글과 직접 관련 있는 건 아니지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사 내용의 일부입니다.

 

(프라도미술관의 19세기 작품 담당인 호세 루이스 디에스 씨도 캔버스 왼쪽 아랫부분을 확대해본 결과 AJ라는 서명을 발견했으며 이것이 고야의 제자이자 동료였던 아센시오 훌리아(Asensio Julia)의 이니셜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메나씨는 프라도미술관이 이 작품과 훌리야의 다른 작품들을 비교하고 추가 조사가 끝날 때까지는 이 그림이 고야의 작품이 아니라는 최종적인 결론은 유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2148492)

 

 

 

사실 배우들에 대해서는 크게 언급할 거리가 없습니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사람들이 아니라 예거들과 카이주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기예르모 델 토로는 이 영화를 진정 사랑할 관객들(!)이 원하는 것도 그런 요소들이라는 점을 절대 잊지 않고 있습니다.

 

배우들의 연기에 대해선 사실 별 기대할 게 없습니다. 그건 배우들이 그리 이름값을 할만큼 거물들이 아니어서이기도 하겠지만(뭐 이 정도 그래픽에 돈을 때려 부었는데 배우까지 비싼 인물들을 쓸 여력은 절대 없었겠죠. 특히 영화에 딱 한명 나오는 '동양인 미소녀'가 기쿠치 린코라니. 이런 젠장), 그보다는 애당초 줄거리에 별다른 공이 기울여지지 않은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예를 들면 대략 이런 식으로 사건이 진행됩니다. "자, 이런 영화 많이 보셨죠? 이 다음에 어떤 일이 벌어질 지 대략 아시죠? 그럼 재미없는 부분은 대강 넘어갑니다?" 휘리릭.

 

그러다 보니 '퍼시픽 림'을 본 많은 사람들이 '비주얼은 볼만한데 뭐 내용은 하나도 없고...'라는 식의 평가를 합니다. 놀라운 일은 아닙니다. 정말 내용은 별 게 없기 때문이죠.^ 오히려 주인공 롤리가 '인간적인 갈등'이나 '사랑에 가까운 감정'을 표현하거나, 펜터코스트 장군이 전 인류의 궐기를 호소하는 명연설을 펼칠 때에도 관객들은 '왜 이런 데 시간을 낭비하지?' 같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만치 '인간 대 인간이 겪는 감정'은 그냥 구색 맞추기 수준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네. 이 영화는 관객들이 "이봐, 이럴 시간 있으면 로보트를 1분이라도 더 보여주는게 어때?" 이런 생각을 가질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만든 것이 분명합니다.

 

 

     (이건 마치 FSS...)

 

 

그래서 굳이 결론은 - 로봇과 괴수의 박진감 넘치는 결전 장면은 아마도 인류가 만들어 낸 영화 사상 최고의 볼거리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3D 효과 또한 역대 최강권입니다. 얼마 전 어떤 사람이 "앞으로 모든 영화의 액션 신은 '맨 오브 스틸' 이전과 이후로 나뉠 것"이라는 말을 했는데, '퍼시픽 림'을 봤다면 자신이 얼마나 경솔했는지 느끼고 있을 듯 합니다.

 

하지만 그 밖의 부분들에 대해서까지 높은 점수를 주기엔 '영화'로서의 플롯과 연기 등 '인간 캐릭터들이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매우 부실합니다. 그래서 이 영화를 본 관객들의 평가는 꽤 엇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만족도는 '이런 장면을 얼마나 실사로 보기를 꿈꿔왔는가'에 따라 퍽 많이 나뉠 듯 합니다. 아마 저처럼 "제발 속편, 아니면 프리퀄이라도 계속 만들어 줘!"라고 외치는 사람도 적지 않을 겁니다.

 

 

 

 

P.S. 1. '이런 영화는 한스 짐머'의 공식을 깨고 라민 자바디(Ramin Djawadi)가 맡은 음악은 영화의 분위기를 잘 살려 줍니다.

 

 

 

 

 

 

P.S.2. 미친 과학자 역으로 찰리 데이라는 배우가 나옵니다. 저는 당연히 샘 록웰인줄 알았습니다. 실수.

 

 

 

P.S.3. 관제탑 요원 역으로 나오는 텐도는 'Tendo Choi'라는 이름으로 보아 한국계 캐릭터인 것 같습니다. 물론 연기한 배우 클리프턴 콜린스 주니어는 아시안 혈통과는 아무 상관 없는 멕시코 계 미국인.

 

P.S.4. 분명 여기저기 봐도 설정엔 일본 예거가 있는데, 일본 예거가 이 영화에 나오긴 하나요? 보신 분 계시면 어느 장면인지 제보 바랍니다.

http://blog.naver.com/artgihun?Redirect=Log&logNo=20190632696

 

P.S.5. 어이, 양덕들, 이제 건담이나 FSS를 실사판으로 만드는 게 어떨까? 아무래도 일본 친구들이 실사영화 만드는 솜씨는 이제 못 믿겠는데 말이지.

 

@fivecard5를 팔로하시면 새글 소식을 바로 아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 손가락 그림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이거 꽤 중요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