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밤은 푹푹 눈이 나린다
나타샤를 사랑은 하고
눈은 푹푹 날리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어 소주를 마신다
소주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 타고
산골로 가자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자
눈은 푹푹 나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 올 리 없다
언제 벌써 내 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눈은 푹푹 나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을 것이다
(백석,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1937년. 조선총독부에서 일하는 친일파 갑부의 아들 이해명(박해일)은 일본에서 조선으로 부임 온 검사 친구 신스케(김남길)와 함께 재즈 클럽에 갔다가 아름다운 여인 난실(김혜수)의 춤과 노래를 보고 푹 빠져버립니다. 난실의 선심을 사기 위해 그가 일하는 양복점에서 수십벌의 양복을 맞추는 수고를 게을리하지 않지만, 어느날 난실이 싸준 도시락이 총독부 사무실에서 폭발해버립니다.
당연히 혼비백산한 해명. 하지만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여전히 난실을 찾아다닙니다. 그 과정에서 난실이 쓰는 이름만도 로라, 나타샤, 난실 등 여러개라는 사실을 알아버린데다 남편까지 있다는 이야기도 듣습니다. 하지만 독립운동 혐의로 체포된 뒤에도 난실에 대한 해명의 집착은 더욱 깊어만 갑니다.
천방지축 날뛰는 해명 역의 박해일은 영화 '모던 보이'의 상징입니다. 모던 보이란 1930년대의 유행어로, 꽤 전에 사용되던 말로는 '오렌지 족' 정도에 해당하는 말입니다. 요즘 말로는 적당한 대체어가 쉽게 떠오르지 않습니다. '강남 뺀질이' 정도 되려나요('엄친아'와는 좀 다릅니다). 아무튼 모던 보이와 모던 걸을 줄인 '모뽀(당시의 공식 표기는 모단 뽀이)', '모걸'은 당대의 유행어였습니다.
영화 카피에는 '경성 최고의 플레이보이'라고 표현됩니다만, 이건 영화 속 해명의 '자칭'일 뿐이지 사실 해명의 캐릭터를 놓고 저렇게 인정해 주기는 좀 힘듭니다. 너무 촐삭대기 때문이죠. 이런 캐릭터가 관객에게 재미를 주긴 하지만, 실제로 저렇게 경박한 타입이 최고의 플레이보이가 되는 법은 없습니다. 게다가 플레이보이의 절대적인 조건이 '깊이 빠져들지 않는다'라는 점임을 생각하면 해명은 일단 그 계열에서는 열외입니다.
해명의 의상과 헤어스타일을 두고도 말들이 좀 있었습니다. 의상이야 요즘도 통할 멋진 복고풍의 댄디한 스타일이지만, 머리 모양은 다소 해괴하거든요. 이 머리에 대해 정지우 감독은 "당대 최고의 모던 보이로 통하던 시인 백석의 헤어스타일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동안 월북시인이란 이유로 한국 문학사에서 매장당하다시피 했던 백석은 그 시절 '문단의 3대 미남'으로 통했다는군요. 물론 이것도 백석의 '자칭'이라는 주장이 있고 보면 '모던 보이'의 해명은 헤어스타일 뿐만 아니라 행태도 백석의 영향을 받은 셈이 됩니다.
1912년생으로 평안도 정주 출생인 백석은 일본 유학을 다녀와 조선일보 기자를 거쳐 함흥 영생고보에서 영어 교사로 재직할 정도의 엘리트였습니다. 1937년이면 25세의 한창 나이. 사실 제가 학교 다닐 때만 해도 백석은 전혀 주요 시인이 아니었기 때문에(정지용도 마찬가지였죠) 들어본 시라고는 바로 저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정도밖에 없습니다. 그것도 우연히 보고 '아주 특이하고 희한한 시'라서 기억이 나는 정도죠.
그렇다면 백석의 연인인 나타샤는 누굴까요. 기록에 따르면 이 시가 나오던 1938년, 백석은 제자의 여동생에게 청혼했다가 거절당한 사건을 겪습니다. 비록 엘리트이긴 했지만 한미한 집안 출신이라는 점, 그리고 기생 자야를 비롯한 많은 여인들과 염문을 뿌린 점에서 감점을 당했다는 겁니다.
반면 또 다른 기록에는 백석의 진짜 연인은 바로 이 기생 자야이며, 이 자야는 서울 성북동에서 요정 대원각을 운영하다가 법정 스님의 '무소유'에 감동해 으리으리한 요정을 그대로 절집으로(현재의 길상사) 시주한 인물입니다.
자야에 호의적인 기록에 따르면 백석은 기생과의 연애를 끊으려는 부모에 의해 세 차례나 결혼을 하게 되지만, 그때마다 달아나 서울에 있던 자야에게 갔다는 주장입니다. 어쩐지 위의 주장과 상반되는 내용이죠.
그런데 또 다른 기록에는 제3의 여인인 '란(蘭)'이 등장합니다. 이 여인을 만난 것은 자야나 제자의 동생보다 먼저인 1934년이라는군요. 당시 기자였던 백석은 이화여전 재학생이던 란을 만나 사랑을 불태웠습니다. 뭐 그 1년 뒤에 자야를 만나고, 또 얼마 뒤에 다시 란을 만나고, 만주로 가서는 이름모를 기생 출신과 동거하다 아들도 낳고, 그 뒤에 또 다른 아내로부터 아들을 낳았다는 기록이 드문 드문 보입니다. ...시인의 사랑이란 참.
이런 백석을 모델로 했다기엔 해명은 또 너무 순정형 캐릭터이기도 합니다. 일단 난실에게 한번 빠지고 나니 직장이고 현실이고 고문이고 모두 나몰라라입니다. 심지어 엉겁결에 '열사'가 될 뻔 하기도 합니다.
사실 이런 부분은 정지우 감독의 오랜 주제이기도 합니다. '해피엔드'에서 '사랑니'를 거쳐 '모던 보이'에까지 이르는 동안 세 영화는 모두 저항할 수 없는 매혹에 휘말린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모두 파멸에 이르는 가파른 내리막길로 치닫죠. 연하의 매력남 때문에 아기의 엄마라는 지켜야 할 마지막 선을 넘어선 전도연, 연하남과의 야릇한 사랑에 빠져 뭐든 다 내팽개칠 수 있게 된 김정은, 그리고 이번엔 난실에 빠져 아무것도 가늠할 수 없게 된 박해일과 그 해명에게 빠져 자신의 사명을 잊을 지경이 된 김혜수까지.
(우연히 정지우 감독에게 이 일련의 주제에 대해 말하니 '말을 듣기 전까지 그렇게 묶을 수 있다는 걸 정말 몰랐다'며 깜짝 놀란 표정을 짓더군요.)
그런데 이번의 '매혹'은 나무랄 데 없는 완성도를 보였던 앞의 두 작품에 비해 순도가 좀 떨어진다는 느낌이 들긴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해명을 유혹에 빠뜨리는 난실이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했는데 저는 오히려 해명에게 빠지는 난실 쪽이 더 이해가 가지 않더군요. 아무튼 두 배우의 연기는 따로 떼놓고 볼 때 그리 흠잡을 데가 없었지만 두 사람 사이의 케미스트리는 그리 짙게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궁합이 잘 맞지 않았다고나 할까요.
그 다음의 불만은 좀 더 관객에게 친절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아무리 영화가 본질적으로 비극적인 상황을 그리고 있다 해도, 영화의 많은 부분은 코미디로 채워져 있습니다. 하지만 기왕이면 좀 더 관객을 편히 웃게 할 수 있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관객은 어리둥절한 상태에서는 웃기 힘들죠. 영화 전반부의 흐름을 보다 쉽고 선명하게 했더라면 좀 더 큰 호응을 끌어낼 수 있지 않았을까요.
물론 '모던 보이'의 장점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습니다. 30년대의 사진첩을 선명하게 HD 화질로 복구한 듯, 그 시절 경성의 모습은 그 자체로 훌륭한 볼거리입니다. 아울러 해명을 탈 시대적인 인물로 그려낸 것 역시 좋은 선택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비주얼 면에서 '모던보이'는 역대 한국 영화가 이뤄낸 성과 중 하나입니다.
p.s. 김혜수가 부르는 몇 곡의 노래들 역시 매혹적이더군요. 물론 '개여울'의 가사는 김소월의 시지만 노래는 1970년대 정미조가 취입한 것입니다. 하지만 그 시절의 배경과 절묘하게 어울려 떨어집니다. 일본어 노래 역시 실제 그 시대의 노래가 아니라 그 시대 음악의 분위기를 살린 트리뷰트 곡이라고 합니다.
이번엔 몇해전 적우의 리메이크 버전으로 한번 들어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반주가 대단한 수준입니다.
'뭘 좀 하다가 > 영화를 보다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내가 결혼했다? 그걸 내버려둬? (47) | 2008.10.22 |
---|---|
이글 아이, 창의력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영화 (15) | 2008.10.11 |
고고70, 누가 한국 딴따라를 죽였나 (50) | 2008.10.05 |
메릴 스트립, 원래 노래 실력은 가수급 (61) | 2008.09.17 |
맘마미아, 왜 메릴 스트립이? (98) | 2008.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