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테러 라이브'는 날선 면돗날 같은 영화입니다.
세상을 향한 냉소가 넘쳐나는 시대. 세상을 향한 분노와 좌절이 바뀐 것이 냉소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주변을 돌아 보면 비뚤어진 비아냥만으로 뭔가를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는 듯한 사람들이 많이 눈에 띕니다.
영화 '더 테러 라이브'는 아직 분노 위에 서 있는 영화입니다. 그러면서도 차분하게 할 말을 다 하고 있습니다. 미디어의 본질에 대한 통찰은 약간 과장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감히 누가 반론을 제기하기는 힘들 정도로 대중이 느끼는 분노와 맞닿아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 강력한 장점은, 아무래도 촘촘한 플롯이라고 해야 할 듯.
어느날 오전 9시를 넘긴 시간. 라디오 시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윤영화(하정우)는 얼마 전 모종의 비리 사건으로 인해 마감 뉴스 앵커 자리에서 밀려난 충격을 아직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 청취자와의 전화 연결 코너에 엉뚱한 남자가 전화를 걸어 옵니다. 그리고 그 남자는 "내가 폭탄을 갖고 있는데, 자꾸 이러면 터뜨리겠다"고 말합니다.
짜증스럽게 구는 남자의 태도에 "그래, 터뜨리려면 터뜨려봐"라고 욕설로 맞받아 친 윤영화. 하지만 얼마 뒤, 방송국에서 뻔히 보이는 마포대교가 폭발로 끊어집니다. 그리고 윤영화는 이 사건이, 구겨진 자신의 입지를 다시 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사실을 본능적으로 알아차립니다.
테러범이 다시 전화를 걸어 올 것이라고 확신한 그는 이를 빌미로 차대은 국장(이경영)에게 자신이 이 상황을 생방송으로 진행하는 조건으로 거래를 펼칩니다.
영화는 두어 시간 동안 실제로 일어나는 사건들을 긴박감 넘치게 보여주지만, 실제로 영화가 드나드는 공간은 좁은 라디오 스튜디오와 그 조정실 뿐입니다. 이른바 밀실 서스펜스죠.
'더 테러 라이브'를 본 많은 사람들이 흑백영화의 고전인 시드니 루멧의 '12인의 성난 사람들(12 angry men)'을 떠올립니다. 배심원 회의실이라는 고정된 공간 안에서 12명의 사람들이 처음 보기엔 너무나 뻔했던 한 사건에 대한 의견을 조금씩 변화시켜 나가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죠. 이 작품이 세대를 넘어 수작으로 꼽히는 가장 큰 이유는 거대한 액션 없이도, 총격전이나 자동차 추격전 없이 사람들 사이의 대화 만으로도 '관객이 손에 땀을 쥘 수 있는' 스릴감을 충분히 자아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기 때문입니다.
'더 테러 라이브'의 가장 큰 강점은 이 '대화가 주는 긴박감'을 제대로 이해했다는 데 있습니다. 너무나도 당연한 얘기지만 같은 사건을 보는 각 등장인물들이 모두 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두 사람이 주고 받는 대화에서 서로의 수 싸움이 제대로 느껴지고, 대화를 통해 실제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는 강렬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굳이 비교를 하자면, '현재 벌어지고 있는 사건'을 그리고 있는 '제7광구'나 '타워'같은 영화의 대본과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두 영화 모두 부지런히 폭발음과 화염이 터지고 사람이 죽어 나가지만, 막상 '사람과 사람'이 대화를 나누는 장면은 지루하기 짝이 없습니다. 배우들에게 주어진 대사가 극중 캐릭터의 눈으로 사건을 보고 있지 않고, 그저 뻔하게 상황을 묘사하고 있을 뿐이기 때문입니다.
두 영화를 예로 들었지만 안타깝게도, 한국 영화 가운데 '더 테러 라이브' 수준으로 팽팽한 긴장감을 느끼게 해 주는 '현장의 대사'가 살아 있었던 작품을 꼽기가 쉽지 않습니다. 있다면 좀 추천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뭐니 뭐니 해도 이 영화는 '분노'에 대한 영화입니다. '내가 뭔가 억울한 일을 당했을 때, 누가 과연 나의 편을 들어 줄까'하는 질문은 아마 누구나 마음 한 구석에 담아 두고 있을 겁니다. 날이 갈수록 사회 안에서 '위쪽과 아래쪽'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느낌. 세상 사람들의 공분을 제대로 대변하고 있다는 점 또한 대단한 강점입니다.
물론 '더 테러 라이브'가 완벽한 리얼리티를 갖추고 있는 영화는 아닙니다. 개연성이 떨어지는 장면도 분명 있습니다. 실제 방송국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에이 아무리 그래도 어떻게 저렇게까지...' 싶은 부분이 꽤 있죠. (무전 너머로 들리는 "반드시 사살하세요"같은 장면도... 이건 좀 오버.)
그리고 또 한가지, 반드시 빠뜨리면 안 될 부분은 '테러범과의 생중계' 자체가 과연 해도 좋은 일인가에 대한 생각입니다. 얼마 전 있었던 성재기 남성연대 대표의 마포대교 투신 사건 때에도 현장에서 이 장면을 촬영한 방송사 카메라에 대한 비난이 쏟아진 적이 있습니다.
극중 윤영화는 테러범과의 전화통화를 생중계하기 직전, 리드 멘트로 '국민의 알 권리 차원에서' 테러범과의 대화를 내보낸다고 얘기합니다. 스페인 영화 '떼시스'에서 방송 앵커가 스너프 필름을 방송하는 이유를 댈 때에도 '국민의 알 권리'를 앞세우죠. 많은 사람들이 이 부분을 그냥 간과하지만, 김병우 감독이 꼬집고 싶었던 방송의 행태에 대한 비판은 이 부분에 담겨 있습니다.
아주 오래 전, 한국에서도 분신 자살이라는 용어가 미디어에 등장할 때, 어느 매체 사진 기자가 지나가던 시민들에게 폭행당하는 장면이 외신을 탄 적이 있습니다. 분신해 떨어진 사람의 몸에 붙은 불을 끄고 구급차를 부르는 대신 사진을 찍고 있었다는 이유에서였습니다.
현장에서는 가끔 이런 일이 일어납니다. 수단 내전이 한창이던 1993년,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기근과 전란으로 죽어가던 시절, 유아에서 벗어나지 못한 소녀가 죽으면 곧바로 먹이로 삼으려는 듯한 독수리의 모습이 담긴 사진입니다.
이 유명한 사진으로 1994년 퓰리처상을 받은 사진작가 케빈 카터는 "아이를 구할 생각은 없고 사진으로 유명해지겠다는 생각만 있었던 거냐"는 극심한 비난에 시달립니다. 그는 '20여분 동안 새와 아이를 한 프레임에 담기 위해 노력했다'고는 얘기했지만, '그 뒤에 아이가 어떻게 됐느냐'는 질문에는 아무 대답도 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이대로라면 그 20여분 사이에 새가 아이를 덮쳤어도 그는 그냥 사진을 찍고 있었을지도 몰랐고, 또 사진을 찍은 뒤에 아이에게 어떤 도움을 주려고 노력하지도 않았다는 얘기가 되겠죠. 결국 그는 1994년 자살로 삶을 마감합니다. 이 사진으로 인한 죄책감이 직접적인 원인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항상 변명거리처럼 등장하는 것이 '대중의 알 권리'입니다. 기자라면 대중의 알 권리를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인간적으로 지켜야 할 것들이 있다는 사실이 가끔은 잊혀지기도 합니다. 독수리의 먹이가 될 위기에 있는 소녀를 촬영하는 것이나, 테러범과의 대화를 그대로 생방송하는 것은 전혀 다른 사례인 것 같지만 사실은 매우 유사한 사안입니다. 둘 다 '대중의 알 권리'를 위해 그보다 상위에 놓여야 할 다른 가치들을 무시한 사건들이기 때문입니다.
과연 방송은 테러범과의 통화 내용을 그대로 내보내도 좋을까요. '더 테러 라이브'에서 대다수 관객들은 테러범에게 감정이입되기 때문에, 그래서 오히려 테러범의 말에 많은 사람들이 귀를 기울여 주는 것이 오히려 정의롭게 보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그냥 넘어가곤 합니다.
하지만 이 테러범이 이런 테러범이 아니라 진짜 테러리스트라면, 절대 생방송에 출연시켜서는 안됩니다. 정말 위험한 메시지를 일반에게 퍼뜨리려는 목적을 가진 자들이라면, 이들의 목소리가 그대로 걸러지지 않고 방송을 타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입니다. 이와 유사하게, '어쨌든 인질들을 살려야 하기 때문에' 정부는 협상에 나서고 양보를 해서는 안됩니다. 이 영화에서는 부정적으로 그려졌지만, '어떤 이유에서든 테러범과 협상하지 않는다'는 태도 자체에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더 테러 라이브'를 잘못 읽으면, 이런 문제점은 의식하지 못하고 넘어갈 수도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를 보고 나서 '언론이 힘 있고 돈 있는 사람 편만 드는 방송'을 욕하지만, 이 시점에서 진짜 걱정해야 할 대상은 바로 '시청률이면 무슨 짓이든 다 하려는' 미디어입니다. 이 부분을 그냥 지나치고 '대중의 공분'에만 초점을 맞추면 이 영화를 봐도 봤다고 할 수 없겠죠.
이 영화를 이끌어가는 배우는 말하자면 다섯명. 대테러대책반 반장 역을 맡은 전혜진과 이지수 기자 역을 맡은 김소진, 그리고 테러범 역을 맡은.... (스포일러) 모두 좋은 연기를 보여줍니다. 사실 하정우는 전형적인 앵커라기엔 너무 다혈질이지만, 그래도 그 연기가 없었다면 이 영화가 성립하기 힘들었을지도.
어쨌든 '더 테러 라이브'는 마땅히 '올해의 영화'로 꼽힐만한 수작입니다. 젊은 김병우 감독이 다음에는 어떤 작품을 내놓을지 벌써부터 기다려집니다.
P.S. 아래는 그냥 웃자는 이야기입니다.
마포대교 폭파 장면. 왼쪽에 63빌딩이 보이는 걸로 보아 마포 쪽에서 여의도 방향을 보고 찍은 장면입니다. 그런데 잘 보면 63빌딩 옆에 국회의사당이 있고, 마포대교 바로 옆에 있어야 할 쌍둥이 빌딩은 어디로 갔는지 없습니다.^^
하정우가 보는 각도는 이렇습니다. 오른족으로 쌍둥이 빌딩의 일부가 보이는.... 곳에는 방송사가 없습니다. 위치상 가장 가까운 곳은 MBC지만 그 건물에서 마포대교를 보는 건 불가능합니다. IFC 정도의 위치라고 보면 되겠군요.^^
'뭘 좀 하다가 > 영화를 보다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빗:스마우그의 폐허- 영화 사상 가장 독특한 2편 (18) | 2013.12.15 |
---|---|
영화 '관상', 관상은 정말 운명을 지배하나? (8) | 2013.09.18 |
설국열차, 과연 목적지에 도달한걸까 (17) | 2013.08.11 |
[레드2] 총보다 할배, 이병헌이 이서진 역할? (15) | 2013.07.27 |
[퍼시픽림] 왜 아저씨들이 열광할까? (34) | 2013.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