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원의 부마국으로 전락한 고려 말. 왕(주진모)은 어린 시절부터 함께 자란 건룡위를 측근에 두고, 특히 그 수장인 홍림(조인성)을 총애합니다. 홍림과 왕은 이미 그냥 군신 이상의 관계를 갖고 있죠. 그런 왕인 만큼 원의 공주인 왕비(송지효)와는 전혀 잠자리를 함께 하지 않고 있습니다.

왕은 후사가 없다는 것을 명분으로 한 일부 친원파에 의해 권력 유지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왕은 자신의 심복인 홍림을 왕비와 동침시켜 그 소생으로 후사를 이으려 하죠. 하지만 그 한번의 잠자리 때문에 홍림과 왕비는 이성애에 눈을 뜨고, 불안한 삼각관계가 시작되고 맙니다.

'쌍화점'이 개봉해 좋은 성적을 거뒀습니다. 아무래도 개봉 전 켜켜 쌓인 화제가 이 영화에 대한 관심으로 곧바로 연결되는 듯 합니다. 물론 '앤티크'가 어느 정도 총알받이 역할을 해 주기도 했지만 금단의 동성애 묘사에 대한 관심도 뜨거웠죠. 그렇다면 이런 화제 요소를 걷어내고 본 영화 '쌍화점'은 어떤 작품일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쌍화점'은 치열한 치정 멜로드라마입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도 슬쩍 비치긴 했지만 이 영화의 구조는 왕과 홍림의 동성애 관계를 제외하면 김지운 감독의 '달콤한 인생'과 사뭇 닮아 있습니다. 지난번에는 '쌍화점'의 배경이 된 고려말의 실제 역사와 이 영화가 얼마나 다른지에 대해서만 살펴 봤었죠.

(그 부분이 궁금하신 분은)


보스(김영철)가 심복(이병헌)에게 자신의 여자(신민아)를 지켜봐 달라고 부탁하고, 심복은 여자를 사랑하게 되어 버립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보스는 엄청난 분노를 폭발시키죠. 이처럼 '쌍화점'은 굳이 두 사람이 동성애 관계라는 사실을 빼도 충분히 이야기가 성립합니다. 그런데 그 관계까지 깔려 있으니 감정의 폭발력은 말할 것도 없겠죠.

사실 '쌍화점'의 왕과 '달콤한 인생'의 보스 사이에는 공통점이 하나 있습니다. 자신의 판단에 따라 가장 믿을 수 있는 심복에게 일을 맡기지만, 한편으로는 그 심복과 자신의 여자 사이에서 뭔가 일어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갖고 있습니다. 이 막연한 불안감이 현실로 이어지면서 이들의 복수가 폭발하는 것이죠. (이 부분에 주목하면, 과연 '쌍화점'에서 동성애라는 것이 필수불가결한 부분인가 하는 의문도 등장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하 감독의 묘사는 이 분노와 폭발의 매커니즘에서는 상당히 정교합니다. 영화의 줄거리만 놓고 보면, 사건의 전개나 인과관계는 전혀 맺힌 데 없이 매끄럽게 이어집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세부 사항으로 들어가면 이 영화가 가는 길은 그리 순탄치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제 생각엔 이 영화가 사람들의 감정에 충실한 영화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왕은 어린 시절부터 자신을 믿고 따르는 홍림에게 애정을 베풀고, 홍림은 그 애정에 보답하기 위해서(이게 가장 합리적인 설명이죠) 동성애의 길에 들어섭니다. 그래서 왕과 홍림 사이에서 절박한 연인들의 눈빛이 보이지 않는 것은 어쩌면 당연합니다.

그런데 홍림과 왕비의 관계는 그런 것이 아니죠. 한번 치정에 눈을 뜬 두 사람이 생명의 위협과 존재의 기반을 모두 내던지고 매달릴만 한 열정이 두 사람에게서 보여야 합니다. 그런데 보신 분이 있나요? 아마 이 대목에서 자신있게 '뭔가를 봤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별로 없을 듯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혹자는 이 부분에서 '쌍화점'이 두 사람이 사랑에 빠지는 이유를 충분히 납득이 가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합니다만, 사실 이런 게 필요해 보이지는 않습니다. 이 영화가 다루고 있는 주제 중 하나가 '도저히 상식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갑작스러우면서도 치명적인 사랑'을 보여주자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인생을 살아 본 사람이라면, '몸이 먼저, 마음이 나중'인 사랑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 수 있습니다. '쌍화점'도 두 사람이 어쨌든 타의에 의해 함께 밤을 보내고 난 다음, 두 사람이 어떻든 사랑에 빠져 있는 모습을 보여주면 되는 것이죠.

그런데 문제는 그 과정이 아니라, 사랑에 빠져 있는 상태가 그리 설득력있어 보이질 않는다는 겁니다. 조인성과 송지효가 영화 속에서 서로를 바라볼 때 흘러야 할 감정을 전혀 느낄 수 없다 보니 이야기는 슬쩍 겉으로 돕니다. 치명적인 사랑 이야기가 아니라 희한한 치정담이 되어 버리는 느낌이죠.

이런 이유에 대해선 조인성과 송지효의 연기력을 탓하기 보다는 유하 감독 쪽으로 책임을 돌려 보고 싶습니다. 지금까지 유하 감독의 영화 속에서 진정으로 사랑하는 남녀를 본 기억이 그리 선명치 않습니다. 가장 가까운 것이 '말죽거리 잔혹사'의 권상우-한가인 정도 될텐데 이들이 느끼는 감정의 단계는 '쌍화점'과는 한참 먼 거리에 있죠. 이 부분은 시나리오 작가 겸 감독으로서 유하 감독이 '과연 멜로드라마가 나에게 맞는 장르인가'라는 질문을 던져 봐야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게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당연히 세 배우 중에서 왕 역을 맡은 주진모의 연기가 가장 돋보입니다. 자신의 감정을 가장 그대로 드러내면 되는 캐릭터이기 때문이죠. 반면 감독으로부터 뭔가 세심한 터치를 부여받지 못한 조인성과 송지효는 뭔가 열심히 하긴 하는 것 같은데 관객이 마음 속으로부터 공감할 수 없는 그런 수준으로 떨어져 버렸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영화에선 여러 부분에서 '색, 계'의 영향이 짙게 느껴집니다. 물론 '색, 계' 조차도 국내외 평단으로부터는 상당한 칭찬을 받아냈지만, 일반 관객들의 공감을 얻어내는 데에는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그만치 '모든 것을 포기하게 하는 격정'이라는 것은 표현하기 쉽지 않은 것이기도 합니다. 아무튼 그 결과로 '쌍화점'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어떤 감정의 울림을 느끼게 하기 보다는 '그 좀 희한하고 야했던 영화' 정도로나 기억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조인성은 지금까지 시도했던 다른 영화들보다 훨씬 어려운 역할을 맡아 엄청나게 몰입해서 노력했습니다. 발음도 비록 '사극에 맞지 않는 목소리'라고 지적받기도 했지만 오히려 호평받았던 '비열한 거리' 때에 비하면 훨씬 좋아졌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남우 주연상은 군 제대 후로 기약하는게 좋을 듯 합니다.

이 영화에 출연하기 위해 대단히 큰 각오를 했을 걸로 보이는 송지효에게 아쉬운 것은 표정입니다. 지나치게 큰 눈이 연기에 방해가 되는지 모르겠지만, 이 영화에서 송지효의 표정은 너무도 제한되어 있습니다. 놀람인지, 분노인지, 체념인지 아무튼 등등등의 수많은 감정들을 모두 한가지 표정으로 정리하는 건 큰 배우가 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걸 보여주는 부분이죠. 좀 더 자기 나이에 맞는 역할로 적응력을 높이는게 우선이 아닐까 싶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감정신이 관객에게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하지 못하기 때문에 영화는 간간이 삽입되는 액션 장면에서나 간신히 숨통을 터 줍니다. 물론 편집 전에는 홍림을 질투하는 승기(심지호)가 "전하, 제게도 성은을 베풀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대사로 관객에게 큰 웃음을 선사하기도 했지만 극장판에서는 이 장면이 삭제되었다고 하더군요.^

기타 의상이며 고증에 대해서도 말이 많지만 이런 부분은 이 영화의 본질과는 별 상관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유하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동성애와 원초적인 섹스 장면을 상업적 코드로 활용해 본 듯 하고, 결과는 이런 코드들이 아직 한국에서는 흥행에 플러스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이 영화에 그 이상의 평가를 내리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p.s. 조인성 캐릭터의 성은 홍이고 이름이 림인 것이 분명한데 왜 사람들은 모두 그에게 '홍림아, 홍림아' 하는 겁니까. 그럼 김범은 '김범아, 김범아'하고 불러야 하나요?





이 영화와 관련된 새로운 논점에 대한 글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