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 영화를 보셨나요? 이 영화에서 짜장을 얼굴에 묻힌 최진실과, 김 서린 창문에 하트를 그리던 박중훈의 모습이 기억나시나요?

그런 분들이 읽어보시면 잠시나마 옛 기억이 살아나는 걸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송원섭의 through*2?> '형사'의 부활에 대한 단상

재미란 무엇인가. '엔터테인먼트'를 취재 대상으로 10년 이상 종사하다 보니 '재미'라는 말의 벽에 부딪힐 때가 한 두번이 아니다. 그나마 결론을 내린 것이 있다면, '결국 재미란 음식 맛과 같다. 어느 정도 일반적인 기준은 있을 수 있지만 결국은 개개인의 취향이 절대적인 기준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갑자기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건 이명세 감독의 '형사'가 디지털 판으로 재상영된다는 소식을 접한 다음의 일이다. 디지털 버전의 '형사'는 CGV강변 인디영화관에서 23일부터 일주일간 하루 2차례씩 상영되며 관객들의 반응에 따라 상영기간이나 회수가 늘어날 수도 있다. 연말 영평상에서 작품상, 감독상, 촬영상을 휩쓴 이후의 쾌거라고 할 만 하다.

기자는 분명 이명세 감독의 팬이 아니다. '형사'를 재미있게 보지도 않았으며, 오히려 한때는 그에게 심각한 반감을 갖기도 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 이유는 너무도 한심한 것인데 여기서 한번 공개해보기로 한다.

대부분의 관객들과 마찬가지로 기자도 이명세 감독을 '나의 사랑 나의 신부'를 통해 처음 만났다. 경직 일변도의 한국영화계에 한줄기 훈풍으로 다가왔던 이 영화에는 신랑 박중훈이 유리창에 하트를 그려 창문 너머에 있는 신부 최진실에게 사랑을 전하는 인상적인 장면이 나온다.

이 장면을 좀 더 자세히 복기해 보자. 추운 겨울날, 집들이를 마치고 친구들을 배웅하고 돌아오던 박중훈은 김 서린 창 너머로 최진실이 설겆이하는 광경을 본다. 박중훈은 손을 호호 불며 하트를 그리고, 창을 두드려 최진실이 그 하트를 보게 한다.

흐뭇한 장면. 그러나 기자는 이 장면에서 심사가 마구 뒤틀렸다. 생각해보라. 추운 겨울이면, 창문에 김이 서리는 것은 따뜻한 집 안쪽이지 바람이 쌩쌩 부는 바깥쪽이 아니다. 그러므로 박중훈은 창문에 하트를 그릴 수도 없고, 설사 그린다 해도 안쪽에 서린 김 때문에 최진실은 하트를 볼 수도 없다.

기자는 '이런 기초적인 자연법칙조차도 무시하고 영화를 만든' 이명세라는 감독을 향해 치기 어린 비난을 퍼부었고, 그 뒤로는 그의 영화가 곱게 보이지 않았다. '남자는 괴로워'는 물론이고 '인정사정 볼것없다' 또한 허점 투성이의 영화일 뿐이었다(그러면서 참 많이도 봤다).

지난 9월 개봉됐던 이명세 감독의 영화 '형사'는 일반 관객들을 상대로는 좋은 흥행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그러나 이 영화에 열광하던 팬들은 이 영화가 극장에서 간판을 내린 것을 견디지 못하고 직접 돈을 걷어 단관 상영회를 계속해왔다. 팬카페에서는 이 영화를 몇번 봤느냐를 가지고 경쟁을 펼치기도 한다고 한다.

이쯤 되면 극장에서 몇명이 이 영화를 봤느냐는 그 다음 문제. 이명세 감독은 행운아다. 적지만 자신의 영화를 호응해주는 사람이 이렇게 뜨거운 열정을 불태우고 있는데 스필버그인들 부러울까.

영화든 드라마든, 만듦새나 수준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합의된 평가의 기준도 있고, 누구라도 그 기준으로 영화를 농단할 수 있다. 하지만 시청률이나 관객수가 그 영화의 '재미'까지 사회적인 합의에 의해 결정해주는 것은 아니다. 나에겐 최악의 드라마가 남들에겐 인생 최고의 걸작일 수도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아무리 유명한 평론가라도, 이런 면에서는 '수많은 관객(또는 시청자)중의 한 사람'일 뿐이다.

송원섭 JES 기자 five@jesnews.co.kr

*<Through*2>는 연예계의 다양한 사건들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칼럼입니다. 제목인 <Through*2>는 걸리는 곳 없이 이리저리 통한다는 <Through+Through>, 한글로는 <두루두루>라는 뜻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