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찬실이는 복도많지>의 강말금이 신인여우상 6관왕을 차지한 2021년 2월에야 이 영화를 보고 뒷북으로 한마디 하려니 좀 찔린다. 하지만 아직도 본 사람보다는 안 본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을테니 한마디. 미리 말하면, 이 영화를 보면서 세 번 이상 크게 웃지 않는 사람과는 별로 친하게 지내고 싶지 않다. 

2. 줄거리. 영화 프로듀서 이찬실(강말금)은 같이 일하던 감독이 급사하는 바람에(죽음의 원인이 나오는데, 미리 얘기하지만 굉장히 어이없다) 일자리를 잃고 산동네 단칸방으로 이사하게 된다. 막상 한번 꺾이고 나니 마땅히 일을 주는 사람도, 그렇다고 영화를 떠나 다른 일을 할 수도 없다. 인생 왜 이 모양인가 싶고 마침 눈이 가는 남자도 나타나는데 과연 어찌 될지. 

3. 적잖은 나이. 모아둔 돈도 마땅히 장래가 보장된 일자리도 없는 찬실이 이야기인데 영화 분위기는 어둡지 않다. 영화계란 특정 직종이 문제가 아니라, 서른 넘고 마흔 넘어서도 ‘내가 진짜 하고 싶은 게 뭔지 모르겠어’라고 혼자 중얼거리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영화. 영화 속에서도 찬실이의 팔자는 전혀 풀리지 않는데도, 영화가 끝날 때 쯤에는 <찬실이가 운이 좋다>는 제목이 그리 엉뚱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4. 여자 감독들이 여자 주인공을 내세운 영화들은 그 감독과 주인공이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은데, 강말금이라는 배우의 발견이 어찌 보면 이 감독의 행운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윤승아, 김영민 같은 배우들도 이 영화에서 유난히 생기가 넘치는 걸 보면 ‘감독의 역량이 빛난다’고 하지 않을 수 없겠다. 

5. 내친 김에 <산나물처녀>까지 보고 나니 때로 어이없게까지 느껴지는 감독의 유머감각이 어떤 것인지 확실히 윤곽이 잡힌다(내 취향이다). 다음 작품이 기대된다. 

6. 우디 앨런 주연의 <카사블랑카여 다시 한번 Play it again, Sam>에는 험프리 보가트가 나오고, 토니 스코트의 <트루 로맨스>에 엘비스가 나온다면 이 영화에는 장국영이 나온다. 끝. (혹시 이런 캐릭터가 나오는 영화가 더 있으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이 두편밖에 생각이 안 나네요.)

728x90

1. 뒷북. <헌트>는 인간 사냥에 대한 영화다. 소수의 부자들이 자신들만의 사냥터에 영문을 모르는 몇몇을 납치해다 풀어 놓고 잔혹한 사냥놀이를 진행한다. 이미 많이 써 먹은, 그렇지만 흥미로운 소재다. 그런데 반골기질이 넘치는 크레이그 조벨 감독은 이런 소재로 <사우스 파크> 실사판 같은 영화를 만들었다. 너무 늦게 본 걸 후회한다. 

2. 인류애, 공감, 연민, 박애, 평등과 같은 덕목들은 아주 오래전부터 존중받아온 가치이긴 하지만, 오늘날처럼 사회 전반으로부터 인정받게 된 것은 사실 길게 잡아 봐야 100년도 되지 않았다. 어쨌든 많은 사람들은 젠더, 동성애자, 외국인 근로자, 기타 사회적 약자들도 이런 가치들을 제대로 누릴 수 있도록 정서적 배려와 자원의 분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대개 '진보적인 가치'라고 여겨 왔다. 

3. 각 국가와 환경에 따라 진보/보수의 경계가 다르고, 쟁점도 당연히 다르지만, 전통적으로 '약자에 대한 배려'가 진보적인 가치로 여겨진 것은 분명하다. 그렇다보니 일반적으로 '보수=부를 독점하고 있는 부자들' '진보=착취당하는 민중의 깡마른 대변자'라는 식의 등식이 성립해왔는데, 21세기 들어 상황은 그렇게 이분법적으로 해석할 수 없게 점점 더 복잡해져가고 있다. 한국도 포함해서. 

4. 이를테면 트럼프의 당선과 브렉시트는 '돈 많고 잘난척하는 진보적 엘리트 놈들'에게 '못 배우고 보수적인 촌사람'들이 집단적으로 반발한 사건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한 쪽이 선이고 다른 쪽은 악이라는 식의 구분은 이미 무의미. 즉 <헌트>에서 보듯 배운 것들이 이렇게 타락하고 오만했으니 트럼프 같은 대통령이 나온 것도 놀랍지 않다는 설명인 셈이다.


5. 영화 <헌트>에서 인간 사냥을 하는 쪽은 힐러리 클린턴 지지자 쪽, 당하는 쪽은 트럼프 지지자 쪽이라고 구분할 수 있다. 양쪽을 바라보는 시선도 공평하다. 한 쪽에선 '너희같이 무식하고 생각없는 것들은 이렇게 당해 봐야 해' 라고 하고, 반대 쪽에선 바로 '매일 인권과 공정성, 심지어 동물권까지 외치는 것들이 왜 이렇게 위선적이냐' 고 야단을 친다. 모두까기의 끝판왕이랄까. 

6. <사우스파크>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피가 좀 나와서 그렇지 영화 <헌트>는 심하게 웃긴다. 보는 내내 폭소가 터진다. 가장 기억나는 장면(대사)들: 

"그리고 기후변화는 진짜야!" 

"아프로 아메리칸, 이제 다시 블랙이라고 불러도 된대." "누가 그래?" "NPR(미국 공영 라디오)에서." "그거 백인 남성들이 만드는 거잖아." 

"기모노? 그거 문화도용(appropriation)인거 알아?" 

"(설마 조지 오웰이 쓴) <동물농장>을 네가 읽었단 말이야?" 

"캐비어 좋아해요?" "아뇨. 먹어본적 없어요. 규정상 전 못먹게 되어 있어요." "앉아요. 이제 먹어도 돼요."

728x90

<자산어보>의 감동을 느끼며 나오는 길. 객석에 관객은 10명이 넘지 않았다. 따지고 보면 극장보다 안전한 곳도 많지 않을텐데(관객이 입을 벌리는 사태를 막기 위해 팝콘도 안 파는데). 뭣보다 이런 영화는 극장에서들 좀 봐줘야 하는데. 

1. 아시다시피 <자산어보>는 정약용 4형제중 둘째이며 흑산도로귀양가서 해양어류 연구서 '자산어보'를 집필한 정약전의 이야기다. 정약전은 유배지 흑산도에서 지식욕과 출세욕이 가득한 젊은이 창대를 만나고, 지루하기만 했을법한 유배생활은 창대 때문에 다채로워진다. 

2. 정약전(설경구)과 창대(변요한)는 실존인물. 물론 창대가 서자인지 상놈인지, 아비가 나주의 부유한 홍어상인인지는 알 수 없다(이런 캐릭터는 제작진의 창작). 

3. 영화의 시작은 정조 승하 1년 뒤인 1801년. 교과서에 '삼정의 문란'이라고 표현됐던 지방 행정의 부패와 타락은 극에 달했고, 뜻 있는 엘리트라면 '이대로는 안 된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리 없는 시대였다. 

4. 그렇다면 '무엇을 할 것인가'. 영화는 여기서 <목민심서>의 길과 <자산어보>의 길을 나눈다. 기존 성리학의 권위를 인정하는 것을 전제로 시스템을 운영하는 인간 개개인의 윤리적 각성이 시스템 붕괴를 막으려 하는 쪽과, 시스템 자체의 교체 없는 부분적 수리는 이미 한계 극복의 수단이 아니니 좀 더 극단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쪽이다. 이 영화의 고민을 읽어냈다면, 그 다음엔 과연 조선이 외세의 개입으로 망한 것인가 하는 의문이 떠올라야 정상이다. 

5. 이준익 감독의 영화답게 함축적인 대사가 폐부를 찌른다. 영화 시작과 함께 나오는 "벼슬살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버티는 것"에서 "질문이 바로 공부지! 외우는 공부만 하다가 나라가 이꼴이 됐는데!" 까지. (그런데 이것은 바로 <차이나는 클라스>의 모토가 아닌가!!) 

6. 영상미는 수묵화를 보는 듯 경이롭고, 배우들의 연기는 착착 붙는다. 특히 '가거댁' 이정은의 캐스팅은 신의 한수. 결론은 꼭 보시라. 극장에서. 스크린의 마법을 오랜만에 느낄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시길.

728x90

“엄마가 그러는데 선생님이 홈리스(homeless)래요.”
“아니. 나는 하우스리스(houseless)야. 그건 다른 거야.” 

홈리스와 하우스리스는 어떻게 다를까. 전자가 세상에 의해 강요된 ‘집 없는 사람’이라면 후자는 그래도 어느 정도는 스스로 길 위의 삶을 선택한 것이란 뜻일까. <노매드랜드>의 주인공 펀(프란시스 맥도먼드)은 산업 구조의 변화로 도시 하나가 없어지다시피 하는 날벼락을 맞아 낡은 밴 한 대가 전 재산인 처지가 됐다. 그 밴에 몸을 싣고 돈벌이를 따라, 날씨를 따라, 때로는 친구를 따라 미국의 대평원을 이리 저리 달리며 살아간다. 그야말로 현대의 유목민이다. 

유목이라는 말은 낭만적으로 들린다. 쌓아 둘 곳이 없으니 몸이 가볍다. 돈이며 명예며 권력이며, 눈에 보이지도 않는 것들을 쫓는 삶과는 거리가 멀다. 어디든 마음에 드는 곳에 몸을 누이고 별들이 쏟아져 내릴 듯한 일망무제 하늘 아래서 잠을 청한다…. 

하지만 실제론 그렇기만 할 리가 없다. 쉴새없이 날씨와 굶주림, 폭력과 야만, 질병과 부상을 겁내야 하는 것이 유목 생활의 본질이다. 실용적이지 않은 지식이나 예술은 유목민에겐 사치다. 비록 그 무대가 12세기의 유라시아 평원이 아니라 21세기 미국이라 해도 그렇다. 디지털 노매드라는 새로운 인류에 대한 보고도 있었지만, 펀은 그런 계열도 아니다. 전화기는 그저 통신수단일 뿐인 올드 스쿨이다. 

이런 생각을 하다 보면 클로이 자오의 <노매드랜드>는 비록 아름답지만 필요 이상 판타지라는 생각이 든다. 그 안에서 펀은 꽤 행복한 삶을 사는 것처럼 보인다. 어쨌든 좋은 친구들도 만나고, 별다른 위협에 부딪히지도 않는다. 문명의 혜택으로 유목민 치고는 놀라울 정도로 위생상태도 좋고, 무엇보다 노동으로 먹고 살 수 있게 건강하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펀의 모습은 참 많은 ‘만약에’를 떠올리게 한다. 만약 치과에 갈 일이 생기면. 만약 교통사고가 나면. 만약 누군가로부터 습격을 당하면. 영화에도 나오지만 펀에게 차 수리비를 빌릴 누군가가 없다면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현재도 미국에는 이렇게 스스로 유목생활을 선택한 사람들이 적지 않다고 한다. 하지만 그런 현실 가운데서 ‘집 앞에 요트를 사 놓고 한번도 타 보지 못한 채 죽는 삶을 살고 싶지는 않다’는 자오의 메시지로 설명될 수 있는 부분은 얼마나 될지.

그럼 자오는 <노매드랜드> 관객이 무엇을 느끼길 바랐을까. 이미 잃은 것은 어쩔 수 없으니 새로운 삶의 방법에 어떻게든 적응해야 한다? 어떤 삶에든 아름다움은 있다? 아름다운 음악과 영상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으로 이 영화에서 인생 후반에 대한 어떤 인사이트를 얻을 수는 없었다. 노인들이 많이 등장하는데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젊은이의 영화'라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그런 의미에서 클로이 자오는 참 용감하고, 훌륭하다). 

갑자기 서글퍼졌다. 이런 아름다운 영화를 그냥 주는 대로 받아먹기엔 너무 늙어버린 것인가. 영화를 보면서도 노파심이 앞서가니. 젠장. 

P.S. 맥도먼드의 연기력을 칭찬하는 건 이미 수달의 수영 솜씨에 감탄하는 거나 마찬가지. 그런데 이 영화에서의 모습은 <쓰리 빌보드>나 드라마 <올리브 키터리지>와 사뭇 비슷하면서도 인물의 감수성 면에서 미묘한 차이를 느끼게 한다. 대단하다.

728x90

소설 <듄> 시리즈를 단 1페이지도 읽어보지 않은 관객 입장에서 말하자면, 드니 빌뇌브의 <듄> 파트1은 2시간 반이 짧게 느껴지는 영화였다. 지루하면 어쩌나 했던 걱정은 기우. IMAX 예매는 실패했는데 암튼 꼭 극장에서 보시길.

1만몇년이라는 연도(서기인가?). 우주제국의 귀족들이 행성 하나씩을 자신의 영지로 갖추고 군림하는 시대. 명망있는 아트레이데스 공작 가문이 우주에서 가장 비싼 물질인 환각제 '스파이스'의 산지 아라키스 행성을 관리하게 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개인적으로 드니 빌뇌브의 가장 큰 강점은, 적절한 표현인지 모르겠으나, '차분한 진지함'이라고 생각한다. 잔혹한 이야기든 황당무계한 이야기든, 스토리텔러가 이 정도로 진지하고 차분하게 이야기를 하고 있으면 누구라도 관심을 기울이기 마련이다. 빌뇌브의 영화들은 일단 보기 시작하면 그 성실한 완벽주의에 끌려 주의를 기울이게 되고, 그러다 어느 순간 한눈을 팔 수 없게 되어버린다. 

우주를 무대로 한 판타지의 영역에서도 그런 성실성은 빛을 발한다. <아라비아의 로렌스>를 연상시키는 비주얼은 한스 짐머의 음악과 함께 가히 압도적이다(사실 스토리도 앞으로 <아라비아의 로렌스>와 유사해질 기미가 보인다. 모두가 탐내는 자원이 풍부한 사막의 나라. 그들을 장악하려는 악의 제국. 외부의 간섭을 싫어하는 용감무쌍한 토착민. 이들을 도와 나라를 일으키겠다는 파란 눈의 백인 전사...).

우주전함은 광선포를 쏘고 있는데 전사들은 검(광선검 아님)으로 승부를 겨루고 있는 기이한 상황도, 빌뇌브의 손을 거치면 그럴싸한 긴장을 유발한다. 어느 순간 설득당하고 마는 진지한 친구 같달까. 



티모데 살라메의 여린 몸매는 일본 애니메이션의 남주를 연상시키는 듯 나름 성공적. 하지만 배우 중 파트1에서 가장 인상적인 배우는 레베카 퍼거슨이라고 말하고 싶다. 개연성이 다소 부족한 캐릭터의 약점이 퍼거슨 덕분에 보완되는 느낌이다. 퍼거슨의 캐스팅으로 인해 제시카-폴 간엔 모자간답지 않은 묘한 긴장감이 생긴 건 감독의 의도적인 캐스팅이라고 생각한다.

미국 개봉이 다소 늦었지만 그 시점에 이미 해외 개봉(미국 기준임)만으로도 손익분기점을 훌쩍 넘어 버렸다. 이제 관건은 빌뇌브가 몇 편까지 감독을 맡는냐 하는 문제.

이 영화가 '파트 1'이 된 것은 6권으로 된 시리즈 중 1권의 파트1이라는 뜻이다. 현재 빌뇌브는 1권을 2편으로 나눠 만들고, 2권을 3편으로 하는 트릴로지를 구상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트릴로지가 성공하면 소설 3권 이후도 죽 시리즈로 나올 수 있겠단 생각이 드는데, 과연 빌뇌브가 계속 붙어 있을지 모르겠다.

마블 외에도 기다려 가며 볼만한 시리즈가 나왔다는 점에서 매우 기쁘다. 그런데... 한 2023년에는 볼 수 있는건가. 

P.S. 워낙 방대한 원작을 배경으로 하고 있어 일각에선 세계관을 공부하고 가야 하네 말들이 많던데, <반지의 제왕>이나 <해리 포터> 시리즈를 재미있게 봤던 사람이라면 관람에 아무 무리 없을 듯. 

P.S.2. 1984년작인 데이비드 린치의 <듄>(국내 비디오 출시명은 <사구>)은 왕년에 보기는 했으나 혀를 끌끌 차며 잠들어버렸다. 기억나는 건 끝없이 이어지는 사막과 거대한 샌드웜 뿐. 문득 이 <사구>를 칭찬하는 사람들은 서극의 <촉산>도 좋아하는 경향이 있었다는 기억도 난다. 둘 다 좋아하는 사람은 멀리 하고 싶었던 기억도.

728x90

몇해에 한번씩 그해의 히트작을 겨냥해 '내 아이디어', 혹은 '(아무도 모르는)내 작품을 베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나타나곤 한다. 이들은 한결같이 '비슷한 시기에 우연히 나와 똑같은 생각을 한 사람이 있다는 걸 믿으란 말이냐'고 주장하는데, 드라마 신인작가 공모전 채점을 한번이라도 해 본 사람이라면 안다. 세상엔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 

혜성이 지구를 삼킬 거라는 영화가 거의 동시에 두편 나온 적이 있었다. 찾아보니 그게 벌써 1998년. <딥 임팩트>와 <아마겟돈>이었다. 

<돈 룩 업>이 지금까지의 범 지구적 재난 영화들과 철저하게 다른 점은 인류의 단결에 대한 냉소다. 지금껏, 최소한 영화 속에서 세계 각국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외계인의 침공, 혜성, 괴수, 질병, 기후위기에 일치 단결해 맞서 왔다. 이런 영화들 중 절대 다수가 할리우드 산이었던 만큼, 미국 대통령이 그 선두에 서서 엄청난 명 연설로 인류의 단합을 촉구하는 장면이 빠지지 않았다. 또 지난 50여년간 만약 그런 재난이 닥친다면, 웬만하면 미국 대통령이 그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믿을만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2021년. 아담 맥케이(<돈 룩 업>의 감독이다. 혹시 모르실까봐)는 과연 지금도 그런가 묻는다. 1998년이든 2021년이든 미국이 세계 최강국이라는 사실엔 변함이 없건만 어째 '미국 대통령이 지구 대통령'이라고 인정하기는 쉽지 않은 분위기가 되어 버렸다. 최악의 대통령이 코로나라는 최악의 시기에 집권하는 바람에? 

물론 이 이유도 크지만, 설사 트럼프가 당선되지 않았었다고 해도, 이미 '미래를 위한 인류의 단합' 자체가 그리 공감가지 않는 이슈가 되어 버린지 좀 된다. 코로나 이전에도 기후 이변, 지구 온난화에 대한 각국 정부의 태도는 인류의 공동 대응이란 것이 쉽지 않다는 걸 보여줘 왔다. 전문가들은 인류의 멸종을 가져올 수도 있는 대대적인 생태계 파괴와 생물다양성의 소멸이 금세기 안에 일어날 거라고 경고의 소리를 낮추지 않고 있지만, 어떤 국가도, 어떤 기업도 자신들의 이기심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지구 내부의 문제에 대해서도 이런데 과연 혜성이라면 다를까? 그것이 바로 <돈 룩 업>이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세계다. 

물론 이런 아이디어 자체에 대해선 칭찬을 아끼고 싶지 읺지만, 과연 이 아이디어의 구현을 위해 메릴 스트립,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제니퍼 로렌스, 케이트 블랜칫, 티모시 살라메, 조나 힐 같은 엄청난 출연진이 필요했나 하는 생각이 들지 않을 수 없는데(솔직히 좀 낭비다 ㅎ), 반대로 저 배우들이 모두 '정상적인 출연료'를 모두 챙겨 받았다면 이 작품이 7500만 달러의 제작비로 완성 가능했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디카프리오가 이 영화로 얼마를 벌었는지는 모르겠으나, 그가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운동에 기부한 누적 금액은 1억 달러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마도 이 작품 출연의 동기도 무관하지 않으리라 본다.) 

초반은 지나친 코미디 설정으로, 중반은 그리 진행에 도움되지 않는 요소의 남용으로 잠시 지루해지기도 하지만 마지막 20분은 걸작의 일부로 손색이 없다. 떠나려던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엔딩이다. (그리고 쿠키도!) 

P.S. 그리고... 이 영화를 보다가 내가 뭘 놓쳤나 싶은 분들은 다시보기를 통해 지난주 <차이나는 클라스-인생수업> 최재천 교수님 편을 찾아 보시길 권장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