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폐비 윤씨의 아들이라는 멍에를 쓰고 왕위에 오른 연산군은 조선 왕조 최악의 군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조(祖)나 종(宗)으로 끝나는 묘호(廟號)를 받지 못한 한심한 왕이 두 사람 있습니다. 바로 연산군과 광해군이죠. 자의로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신하들에 의해 끌려내려왔기 때문에 시호와 묘호를 받지 못한 것입니다.

 

물론 이런 역사적 사실이 곧 무능한 군주라는 증거는 아닙니다. 두 사람 중 광해군은 20세기 이후 재조명에 의해 - 비록 선왕의 정궁 인목대비를 유폐하고 그 소생 영창대군을 살해하는 등 도적적인 흠결은 있지만 - 실질적으로 임진왜란 동안 국가를 경영한 능력이나 중국 명-청 교체기를 버텨낸 탁월한 국제감각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폭군'이라는 딱지를 어느 정도 뗀 느낌입니다.

 

반면 이런 치적이 없는 연산군은 보호망도 없이 패륜의 제왕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선왕의 후궁들을 직접 때려 죽이고(여러분이 '인수대비'에서 보고 계신 바로 그 장면입니다), 그 소생인 동생들을 살해하고, 큰어머니를 범하고, 할머니를 머리로 받아 결국 사망하게 하고, 두 차례의 사화를 통해 수많은 사람들을 죽였습니다. 그럼 연산군은 저런 광기의 제왕이었을까요? 혹시 달리 볼 요소는 없을까요?

 

 

 

 

일단 집권 4년째(1498)에 무오사화를 일으킬 때까지 연산군의 '만행'은 크게 상식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4대 사화의 시작이라고는 하지만 어쨌든 그만치 피를 본 군왕이 한둘은 아닙니다.

 

하지만 폐비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거론하기 시작하면서 연산군의 행적은 정상적인 사고를 벗어난 모습을 보입니다. '연려실기술'이 모아 들인 여러 사서의 기록을 종합해 보면 더욱 그렇습니다.

 

성종이 함구령을 내린 폐비 윤씨 문제가 어떻게 연산군의 시대에 문제가 되었는지, 그 과정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다 하겠습니다.

 

일찍이 성종(成宗) 기유년에 폐비 윤씨에게 사약을 내려 자결하게 했는데, 폐출되어 사약을 내린 일은 성종조에 나와 있다. 윤씨가 눈물을 닦아 피묻은 수건을 그 어머니 신씨(申氏)에게 주면서, “우리 아이가 다행히 목숨이 보전되거든 이것을 보여 나의 원통함을 말해 주고,또 거동하는 길 옆에 장사하여 임금의 행차를 보게 해 주시오.” 하므로 건원릉(健元陵)의 길 왼편에 장사하였다. 인수대비(仁粹大妃)가 세상을 떠나자 신씨는 나인들과 서로 통하여 연산주의 생모 윤씨가 비명으로 죽은 원통함을 가만히 호소하고 또 그 수건을 올리니 폐주는 일찍이 자순대비(慈順大妃)를 친어머니인 줄 알고 있다가 이 말을 듣고 깜짝 놀라며 매우 슬퍼하였다. 시정기(時政記)를 보고 성을 내어 그 당시 의논에 참여한 대신과 심부름한 사람은 모두 관을 쪼개어 시체의 목을 베고 뼈를 부수어 바람에 날려 보냈다. 《기묘록》

 

윤씨가 죽을 때에 약을 토하면서 목숨이 끊어졌는데, 그 약물이 흰 비단 적삼에 뿌려졌다. 윤씨의 어미가 그 적삼을 전하여 뒤에 폐주에게 드리니 폐주는 밤낮으로 적삼을 안고 울었다. 그가 장성하자 그만 심병(心病)이 되어 마침내 나라를 잃고 말았다. 성종(成宗)이 한 번 집안 다스리는 도리를 잃게 되자 중전의 덕도 허물어지고 원자도 또한 보전하지 못하였으니 뒷 세상의 임금들은 이 일로 거울을 삼을 것이다. <<파수편>>

 

그런데 궁금한 건 연산군의 준비 과정입니다. 이미 연산군은 즉위 2년째인 1496년에 어머니 폐비 윤씨의 묘를 확장하자는 의견을 냈다가 대신들의 반대로 철회했고, 이해 10월 21일, 대신 윤씨의 어머니인 장흥부부인 신씨(즉 연산군의 외할머니)에게 곡식과 의복을 내리라는 안을 통과시켰습니다(廢妃母申氏, 依領敦寧, 歲賜米三十碩、黃豆二十碩).

 

하지만 공식적으로 갑자사화의 시작은 연산군 10년인 1504년 3월20일이라고 봐야 할 듯 합니다. 이날 연산군은 그동안 감춰졌던 분노를 폭발시키며 만행의 시작을 알립니다. 연산군에게 적대적인 사관들이 상당 부분을 과장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인간성을 잃은 듯한 모습입니다.

 

바로 이렇게 아버지 성종의 후궁들인 엄귀인과 정소용을 끌고 나간 다음에 벌어지는 일들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아래 나오는 안양군과 봉안군은 모두 정소용이 낳은 자신의 동생들이죠.

 

그 동생들을 동원해 어머니의 복수(?)를 시키는, 조선왕조실록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잔혹한 장면이 그대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제목: 안양군과 봉안군을 곤장 때리다 
 

전교하기를, "안양군 이항(安陽君李㤚)과 봉안군 이봉(鳳安君李㦀)을 목에 칼을 씌워 옥에 가두라.” 하고, 또 전교하기를,
“숙직 승지 두 사람이 당직청에 가서 항과 봉을 장 80대씩 때려 외방에 부처(付處)하라. 또 의금부 낭청(郞廳) 1명은 옥졸 10인을 거느리고 금호문(金虎門) 밖에 대령하라.”
하고, 또 전교하기를,
“항·봉을 창경궁(昌慶宮)으로 잡아오라.”
하고, 항과 봉이 궁으로 들어온 지 얼마 뒤에 전교하기를,
“모두 다 내보내라” 하였다. 항과 봉이 나오니 밤이 벌써 3경이었다.


항과 봉은 정씨(鄭氏)의 소생이다. 왕이, 모비(母妃) 윤씨(尹氏)가 폐위되고 죽은 것이 엄씨(嚴氏)·정씨(鄭氏)의 참소 때문이라 하여, 밤에 엄씨·정씨를 대궐 뜰에 결박하여 놓고, 손수 마구 치고 짓밟다가, 항과 봉을 불러 엄씨와 정씨를 가리키며 ‘이 죄인을 치라.’ 하니 항은 어두워서 누군지 모르고 치고, 봉은 마음속에 어머니임을 알고 차마 장을 대지 못하니, 왕이 불쾌하게 여겨 사람을 시켜 마구 치되 갖은 참혹한 짓을 하여 마침내 죽였다.


왕이 손에 장검을 들고 자순 왕대비(慈順王大妃) 침전 밖에 서서 큰 소리로 연달아 외치되 ‘빨리 뜰 아래로 나오라.’ 하기를 매우 급박하게 하니, 시녀들이 모두 흩어져 달아났고, 대비는 나오지 않았다. 그런데, 왕비 신씨(愼氏)가 뒤쫓아가 힘껏 구원하여 위태롭지 않게 되었다.


왕이 항과 봉의 머리털을 움켜잡고 인수 대비(仁粹大妃) 침전으로 가 방문을 열고 욕하기를 ‘이것은 대비의 사랑하는 손자가 드리는 술잔이니 한 번 맛보시오.’ 하며, 항을 독촉하여 잔을 드리게 하니, 대비가 부득이하여 허락하였다. 왕이 또 말하기를, ‘사랑하는 손자에게 하사하는 것이 없습니까?’ 하니, 대비가 놀라 창졸간에 베 2필을 가져다 주었다. 왕이 말하기를 ‘대비는 어찌하여 우리 어머니를 죽였습니까?’ 하며, 불손한 말이 많았다. 뒤에 내수사(內需司)를 시켜 엄씨·정씨의 시신을 가져다 찢어 젓담그어 산과 들에 흩어버렸다.

 

젓갈(醢)로 만든다는 것은 시체조차 보존하지 못하게 하겠다는 최악의 형벌입니다. 일찌기 한고조 유방이 반란의 혐의를 씌워 맹장 팽월을 죽인 뒤 해(醢)로 만들어 제후들에게 맛보라고 돌렸다는 바로 그 형벌이죠. 그래도 동방예의지국에선 누구에게 먹이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입니다만...^^

 

그리고 나서 열흘 동안 엄씨와 정씨 친정 가족들을 참살하고, 안양군과 봉안군을 귀양보내고, 이미 다른 죄(그 전해 9월, 잔치 자리에서 임금이 내린 술잔을 몰래 따라 버린 죄..^^)로 위기를 맞고 있던 이세좌를 처단합니다. 그리고는 4월 1일, 마침내 조정에 정식으로 명을 내립니다. 

  

왕이 춘추관(春秋館)에서 상고한, 폐비(廢妃)에게 사약 내린 전말의 단자(單子)를 내려보내며 이르기를,
“도승지가 의정부·춘추관 당상 및 예문관(藝文館) 관원과, 함께 다시 그때 옛일을 인용하여 일이 되게 한 자와, 폐위함이 불가하다고 간하다가 죄를 받은 자, 사약을 내릴 때 간하지 않고 명대로 가서 일 본 자를 유(類)대로 뽑아 아뢰라” 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보고 있으면 의문이 듭니다. 대체 왜 연산군은 즉위 10년 뒤에서야 어머니의 복수를 시작한 것일까요. 많은 사람들은 10년 뒤에서야 외할머니 신씨를 만나 어머니의 억울한 죽음을 알고 분노했다고 보지만, 일단 연산군이 어머니의 비극을 알게 된 시점이 분명치 않습니다. 

 

(위에 인용한 '기해록'의 기록으로는 인수대비가 죽고 나서 알게 되어 피바람이 시작되었다고 되어 있지만 분명 사실과 다릅니다. 갑오년 3월20일이 피바람의 시작이었고, 인수대비는 그 한달 넘게 뒤인 4월27일 숨을 거둡니다.)

 

 

 

 

정황으로 볼 때 연산군이 1504년에 와서야 모든 것을 알게되었다고 보는 것은 너무 무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이미 알 것은 다 알고 있었고, 적당한 때를 기다렸다고 보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그 적당한 때란 언제일까요. 바로 자신의 힘이 인수대비와 비등해졌다고 판단한 때일 것입니다. 즉위 4년 째인 1498년(무오년), 연산군은 조의제문 사건을 이용해 김종직의 제자들을 참살합니다. 명분은 이유 없이 할아버지 세조를 사림이 욕보였다는 것이고, 당연히 인수대비도 반대할 이유가 없습니다.

 

왕에 대한 도전을 권력으로 제압하고 나면 왕권은 강화되는 것이 당연한 일. 무오사화를 통해 힘을 한껏 키운 뒤에도 연산군은 6년을 더 기다립니다. 기다리고 기다린 보람이 있어 갑자년 1월, 고령의 인수대비가 병석에 눕게 됩니다.

 

이제서야 기회가 왔다고 판단한 연산군은 그 전부터 파악되어 있던 외할머니 신씨를 궁으로 불러들여 시커멓게 변한 금삼(피를 토했든, 약을 토했든 어쨌든 20여년이 흘렀으니 검은 색이었겠죠^^)을 전달하는 '의식'을 거행합니다.

 

이 '의식'은 온 조정에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 이제부터 나는 어머니를 어머니라고 부를테다. 그리고 당시의 일을 철저하게 규명할 것이다. 당시 아버지 편에 섰던 놈들은 모두 각오해라. 그리고, 돌이켜 생각해 볼 때 큰 잘못이 없는 자들은 지금부터 병석에 누운 대비 편에 설 것인지, 아니면 내 편에 설 것인지, 잘 생각해 보고 입장을 정하라.' 눈치 빠른 사람들은 이미 정리했겠죠.

 

 

 

게다가 갑자사화의 이면에는 연산군을 중심으로 무오사화 이후 권력을 보위하던 임사홍, 신수근 등의 친위세력과 세조-성종대를 지나오며 공신전을 독점하고 기반을 구축해 온 신권 세력의 대립이라는 구도가 있습니다. 친위세력을 동원해 권신들을 일거에 무너뜨리고 왕권을 강화하면서 국가 재정을 튼튼하게 하려는 정치적인 의도도 엿보입니다.

 

이런 요소들을 감안하면 연산군은 미친 왕이라기보다는 대단히 전략적인 야심가의 면모를 드러냅니다. 비록 음탕하고 무능했다는 지적이 있지만, 이런 기록들은 당연히 중종반정의 중심세력이 서술했을테니 그대로 믿기에는 약간의 의심이 듭니다.

 

그리고 연산군이 미친 사람이 아니었다는 생각의 저변에는, 지난번 글에서 잠시 다뤘듯 자신의 최고 경쟁자가 될 수 있는 진성대군(뒷날의 중종)을 해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역시 이건 이번에도 다음 글에서 다뤄야 할 듯.^^

 

 

이 블로그의 인수대비 관련 글 모음입니다.

 

1. 계유정난은 어떻게 진행됐나  http://fivecard.joins.com/964
2. 폐비 윤씨는 정말 용안에 손톱자국을 냈을까? http://fivecard.joins.com/1003
3. 폐비 윤씨, 사약을 마시고 정말 피를 토했나? http://fivecard.joins.com/1004
4. 폐비 윤씨 사약이 남긴 공무원의 숙명 http://fivecard.joins.com/1007
5. 연산군, 정말 계산 없는 광인이었나?  http://fivecard.joins.com/1012
6. 인수대비 사후, 연산군은 어떻게 몰락했나 http://fivecard.joins.com/10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