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화점과 동성애, 공민왕과 자제위 얘기는 요즘 갑작스레 너무 조명을 받고 있는 듯 합니다. 지겨우실 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동성애와 남성 무장 집단의 관계는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유구합니다. 조선시대 실학의 대가인 성호 이익이 쓴 '성호사설'에 보면 화랑의 유래에 대한 고찰에서 '화랑(花郞)이라는 것은 꽃같은 남자를 가리키는 것이며 이는 남색의 무리임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구절이 나옵니다.
그런 부분에서 보면 그 시절의 동성애라는 것은 요즘 얘기하는 유전자의 결정설이나 피치 못할 끌림과는 좀 다른 부분이 있다고 봐야 할 듯 합니다. 어찌 보면 남성성을 좀 더 강화하는 데 있어 결속을 다지는 일종의 스포츠같은 측면도 엿보인다고 해야 할까요? 아무튼 그런 내용입니다.
제목: 쌍화점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 테베에는 신성대(Sacred Band of Thebes)라는 특수부대가 있었다. 테베의 최정예 부대인 이 무장집단의 특징은 150쌍의 동성애자로 구성돼 있다는 점이었다. 잘 싸웠을까? 물론이다. 이들은 기원전 338년 알렉산더 대왕이 이끌던 마케도니아군에게 전멸당할 때까지 무적을 자랑했다. 역사가 플루타르코스가 “연인에게 부끄러운 꼴을 보이지 않으려 서로 보호하면서, 물러서지 않고 싸우는 이들에게 이길 군대는 세상에 없었다”고 전할 정도다.
이들 외에도 세계 역사에는 남성성을 강조하는 무장집단과 동성애 사이가 그리 멀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가 적지 않다. 혹자는 화랑 오계의 교우이신(交友以信)에서도 단순한 글자 이상의 의미를 읽곤 한다.
지난해 12월 30일 개봉한 유하 감독의 영화 '쌍화점'이 첫 주 150만 넘는 관객을 동원하는 등 화제 만발이다. 고려 왕(주진모)과 그의 호위대장 홍림(조인성) 간의 동성애가 특히나 관심을 끈다. 미남 스타들이 연기하는 동성애 장면이 마케팅의 수단일 뿐이냐, 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이냐는 예견된 논쟁이 일어나는가 하면 일각에서는 이 영화가 공민왕에 대한 왜곡이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영화 속 왕이 공민왕이라고 가정할 때, 주요 내용은 『고려사』의 기록과 상당히 일치한다. 금실이 두터웠던 몽골 출신의 왕비 노국공주가 죽은 뒤 공민왕은 여색을 멀리하고 1372년 궁중에 명문 귀족 청년들로 구성된 자제위(子弟衛)를 둔 뒤 남자들과 음행을 일삼았다고 전해진다. 구중궁궐에 사지가 성한 미남 청년들이 들어섰으니 사고는 예견된 일. 자제위의 일원인 홍륜이 공민왕의 계비를 임신시켰고, 공민왕은 홍륜을 제거해 추문을 막으려다 되려 홍륜 패거리에 의해 죽음을 맞는다.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얘기가 보고 싶은 분은>
과연 공민왕은 동성애자였을까. 일부 사학자들은 그 또한 조선의 건국을 정당화하기 위한 역사 왜곡의 희생자였으며 문제의 자제위 역시 공민왕을 보위하던 세력이었다고 주장한다. 그 뒤를 이은 우왕과 창왕을 신돈의 소생이라고 깎아내렸던 당시의 분위기를 봐선 충분히 있을 법한 얘기다.
물론 이런 논의는 모두 동성애가 죄악이라는 시선을 전제로 하고 있다. '쌍화점'이 극장에서 화제 속에 개봉되고 꽃미남들의 키스신이 여성 관객을 위한 서비스로 간주되는 요즘 같은 시대라면 사관들은 어떤 흠결을 찾아내야 했을까. (끝)
테베 신성대에 대한 기록은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정확한 명칭은 '비교 열전')'의 펠로피다스 편에 나옵니다. 이 기록에 따르면 동성애자들로 구성된 신성대를 구성한 사람은 장군 고르기다스라고 하는군요.
카에로네아에서 마케도니아군과 싸웠을 때에도 이들은 선 자리에서 후퇴하지 않고 그대로 전사해 용명을 떨쳤습니다. 이 시기의 다른 기록을 보면 뒷날 카에로네아의 전투 지역을 발굴한 결과 254구의 유골이 7열로 줄을 맞춰 발굴됐다고 하는군요. 아무튼 이들의 용감성에 대해 플루타르코스는 "감히 이들의 위업을 의심하는 자에게는 그 즉시 천벌이 내릴 것"이라고 단언하기도 했습니다.
플라톤도 '향연''에서 이 신성대의 존재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는데 내용은 플루타르코스의 것과 대동소이합니다. 요지는 "연인과 함께 싸우는 이상 누구도 부끄러운 모습은 보이려 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내용이죠. 일반인들이 흔히 생각하는, "동성애자는 평화를 사랑하는 유약한 사람들"이라는 선입견을 깨 주는 사례이기도 합니다.^
아무튼 이 시기의 문건들을 보면 (동성간의) 우정은 (남녀간의) 사랑보다 훨씬 숭고하고 우아한 감정의 경지를 가리키는 것으로 표현되곤 합니다. 물론 여성들간의 우정은 거론되지 않습니다. 그만치 우정-동성애는 남자들만의 특권 같은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남녀간의 교합이란 사회의 유지와 자녀의 출산을 위한 다소 기능적인 것이었던 반면, 남자들끼리의 사귐은 함께 학식과 무예를 연마한 친구들 끼리의 깊은 정신적 교감이 육체적인 것으로 승화된 것으로 간주되었던 것 같습니다.
이 먼 그리스 땅에서 이런 일이 있었다고 하면 신라의 화랑들 사이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있었다 해도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닐 듯 합니다. 물론 한없이 충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그래서 위서 논란도 한창인) '화랑세기'에도 동성애와 관련된 내용을 직접적으로 다룬 부분은 거의 없습니다. 단지 마복자 관계 등을 통해 은유를 하고 있을 뿐이죠.
그래서 시대를 뛰어넘어 공민왕과 자제위의 관계를 볼 때도 이것이 과연 현대인의 시각에서 보는 동성애와 같은 것일까 하는 의심이 생기지 않을 수 없습니다. 결국 자제위의 홍륜이 여자인 익비와도 사고를 쳤듯, 이들에게 있어 남자들끼리의 동성애는 여자와의 사랑에 대한 대체물이 아니라 고대 전사집단의 남성간 결속 강화의 수단으로서 이뤄지던 행위의 전통이 계승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물론 이런 식의 생각은 자칫하면 수시로 문제가 되는 군내 동성애의 존재에 대한 옹호의 논리로 오해될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여기에는 큰 차이가 있죠. 집단 전체의 암묵적인 동의하에서 이뤄지는 관계와, 개인의 의사를 무시하고 상급자의 폭력을 통해 이뤄지는 관계는 비교할 수 없습니다. 그 밖에도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할 때 현대의 군 내에서 동성애가 금기시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입니다.
아무튼 '천추태후'때도 얘기했지만 그 천년 전의 일을 요즘의 시각으로 재단하려 하는 것은 항상 심각한 문제와 오해를 불러 일으킵니다. 가끔은 거부감을 느끼게 된다 해도 그때 사람들에게는 왜 이런 일이 당연하게 여겨졌을까, 당시의 시각에서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아울러 '예전에도 그랬는데 요즘 그러면 어때'라는 시각 또한 매우 위험하다는 것을 덧붙여야겠죠.
영화 '쌍화점' 리뷰는 이쪽입니다.
'연재를 하다가 > 분수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자들은 왜 미남 살인마에 반할까 (71) | 2009.02.09 |
---|---|
또 하나의 발키리, 또 다른 양심의 승리 (27) | 2009.02.06 |
조커 히스 레저, 오스카 사후 수상에 성공할까 (27) | 2009.01.26 |
미모를 재는 단위를 아십니까? (33) | 2009.01.25 |
눈길 가는 강호동의 2인자 전법 (56) | 2009.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