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 영화를 봐야겠다는 굳은 마음의 다짐 같은 건 별로 없었습니다. 그런데 우연히 측근 한 사람이 이 영화를 극찬한 꼴을 봤고, 그러다 보니 마음이 변했습니다. 결국 예매했던 '분노의 질주-오리지널'을 취소하고 '우리 집에 왜 왔니'로 바꿔타기에 이르렀습니다.

사실 다소 실험적이고 새롭게 보이는 영화들을 고르는 건 상당히 모험입니다. '달콤 살벌한 연인'이나 '미쓰 홍당무'처럼 신선하고 상쾌했던 기억이 있는 반면, 차마 거론하기도 싫은 실패들도 꽤 있었기 때문이죠. 그래서 약간은 불안한 기분으로 극장에 들어섰는데, 나올 때에는 무척이나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첫째는 엎치락 뒤치락 코미디일 것이라는 처음 생각과는 달리 무척이나 슬픈 영화였기 때문이고, 두번째는 이 잘 만든 영화에 관객이 그리 많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줄거리부터 먼저 짚고 넘어갑니다. 아내의 죽음 이후 삶에 모든 의욕을 잃고, 자살여행에서도 실패하고 돌아온 병희(박희순)는 자살을 감행하려던 순간, 자기 집처럼 불쑥 나타난 노숙자 차림의 수강(강혜정)에 의해 오히려 결박당하는 신세가 됩니다.

수강과의 기묘한 동거생활이 시작되고, 병희는 수강이 자기 집에 들어온 이유가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등장인물'인 지민(이승현 - 빅뱅 멤버 승리의 본명입니다)을 감시하기 위한 것임을 알게 됩니다. 지민 때문에 두번이나 교도소까지 갔다왔다는 수강은 "저 자식을 납치해다 산 채로 묻어버리겠다"고 투지를 불태웁니다. 네. 수강은 그리 정상적인 성인의 지능이나 판단력을 가진 인물은 아닙니다.

한 여자의 지독한 짝사랑 이야기라는 면에서 이 영화는 살짝 '미쓰 홍당무'의 분위기를 풍깁니다. 강혜정의 깜찍한 표정에서 '아멜리에'의 오드리 토투가 생각나지 않는다면 거짓말이겠죠. 그리고 극중에서는 노골적으로 대놓고 '미저리'와 '아웃 오브 아프리카'를 차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 영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작품은 일본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이라는 점을 부인하기 힘들겠지만,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이 전혀 마음에 들지 않았던 저도 '우리 집에 왜 왔니'에는 퍽 만족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긴 영화가 시작하고 한 30분 동안은 솔직히 좀 불안했습니다. 박희순의 도주와 추격 장면에서의 핸드헬드 풍 화면은 관객을 어지럽히는 것 외에는 다른 효용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또 강혜정의 등장 직후에서 박휘순과 강혜정이 어느 정도 친분(?)을 쌓기까지의 전개는 좀 아슬아슬합니다. 관객에게 마음 놓고 웃을 수 있는 포인트를 맞춰 주지 못하기 때문이죠.

관객과 영화의 만남 역시 사람과 사람의 만남과 비슷한 데가 있습니다. 관객은 이제 막 박희순과 어느 정도 친해졌고, 강혜정의 갑작스런 등장으로 강혜정과도 친해져야 합니다. 그런데 처음 등장한 이수강은 살짝 정신이 이상한 노숙자 치고는 너무 새침떼기처럼 행동합니다. 조금은 관객의 기대에 맞게 행동했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무튼 뭐 그건 그렇다 쳐도 됩니다. 왜냐하면 나머지 90분이 충분히 관객을 빨아들여버리기 때문이죠. 수강에게 지민이 어떤 의미가 있는 인물인지, 병희는 왜 서서히 수강에게 마음을 열어 가게 되는지를 두 배우와 황수아 감독이 설득력있게 풀어 줍니다.

물론 지민에게 있어 이 영화의 수강은 스토커입니다. 그것도 매우 위험천만한 스토커죠. 하지만 영화가 끝나 갈수록 관객이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는 수강에게 안타까움을 느끼게 된다는 게 이 영화의 힘입니다. 만약 이 영화의 수강과 지민이 성별이 바뀌어 있었다면, 황수아 감독은 '스토킹을 미화한다'는 이유로 여론의 지탄을 받았을 지도 모릅니다. (갑자기 '오아시스' 때 생각이 나는군요.)

촬영 순서와 영화의 진행 순서가 같았다면, 강혜정도 이 영화에 적응하는 데 꽤 시간이 걸렸던 듯 합니다. 영화 뒷부분으로 갈수록 영화에 푹 젖어드는 듯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 영화에서는 몰입을 방해하도록 예쁘다는 게 문제긴 합니다만, 연기력만큼은 한국 영화계의 보물이라는 걸 다시 한번 증명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박희순도 그리 두드러질 데가 없는 역할이었지만, 무리해서 돋보이려 하지 않고 영화의 흐름을 제대로 끌어 주는 솜씨가 일품입니다. 승리 이승현군도 비중이 크거나 대단한 연기력을 요하는 역할은 아니었지만 딱 어울리는 캐스팅이었다는 건 인정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아무래도 이 영화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면이라면 '머리 감겨주는 신'일 겁니다. 두 주인공이 이해의 폭을 넓혀 서로를 받아들이기 시작하는 장면이기 때문이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에 대한 추천은 이 정도입니다만, 지난번 '미쓰 홍당무' 때도 강추했던 영화가 흥행에서는 참패한 전력이 있기 때문에 보실 분들은 가능하면 서두르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매란방'과 '노잉' 등 대작들이 쏟아지는 가운데서 이 영화가 얼마나 버틸 수 있을 지 모르겠습니다. 굳이 비교를 하자면 '그림자 살인'보다는 훨씬 만족도가 높을 겁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하는 아주 약한 수준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아마도 영화를 보지 않은 분들은 무슨 말인지 전혀 이해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지만, 그래도 일단은 경고 표지를 붙여 두겠습니다. 영화를 보실 때 다른 사람의 생각이 개입하는 걸 꺼리는 분들은 여기까지만.<


결국 이 영화가 가리키고 있는 것은 '다른 사람의 인생에 들어 서는, 혹은 다른 사람을 내 인생에 개입시키는 데 대한' 두려움입니다. 사회생활을 통해 조심성을 다진 사람들은 쉽사리 남의 일에 개입하려고도, 다른 사람이 내 일에 개입하는 것을 허용하려고도 하지 않습니다. 물론 그 이전에도 누구나 내 인생에 남이 함부로 개입하는 것은 원하지 않죠. 다만 내가 남의 인생에 개입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할 때가 있을 뿐입니다.

어린 지민은 수강에 대한 자신의 개입이 자신의 인생에 수강을 들여 놓는 것이라는 점을 몰랐습니다. 그래서 인생이 꼬이기 시작했죠. 하지만 어른인 병희는 어느 한 순간에 선을 그어 놓습니다. 호빵을 사다 준 것이 수강에 대한 마지막 감정의 표현이었고, 그 이상은 없다는 것을 스스로 설정하는 행동이기도 했던 거죠. 만약 그 이상이 있었더라면 면회를 가든가 편지를 쓰든가 했을 겁니다.

놀랍게도 아무 분별력이 없을 것 같던 수강은 어느 선에서, 어른이 되어 이런 상황을 이해합니다. 그래서 더 이상은 지민의 인생에 직접 개입하지 않고 바라보는 데 만족하게 됩니다(물론 그러기 위해서 병희의 인생에 무단으로 침입하지만, 수강에게 그런 것까지 기대하는 건 무리입니다^). 만약 지민이 위기에 놓이지 않았다면, 수강과 지민이 다시 마주치는 일은 없었을 겁니다.

하지만 결국, 병희가 그 선에서 수강에게 잠시 뻗었던 손을 거둬들인 탓에 영화는 지금대로의 결말을 갖게 됩니다. 이 이야기를 도구로 황수아 감독은 우리가 귀찮아서, 혹은 귀찮은 일이 생길까봐, 혹은 나도 먹고 살기 바빠서 다른 사람에게 내민 손을 너무 빨리 거둬들였던 사람들의 마음 한 구석을 예리하게 파고 듭니다. 물론 병희의 죄책감(혹은 관객의 죄책감)을 씻어 주기 위한 마지막 장면이 기다리고 있기는 하지만, 아무튼 이 영화의 마지막 시퀀스는 보는 이의 가슴을 먹먹하게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s. 조은지와 오광록의 카메오 출연에서 빵 터집니다. 그런데 그러고 보니, 강혜정은 '꽃찾으러 왔단다' 라는 TV 드라마에 출연한 적이 있군요. 이 제목과 희한한 인연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