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KBS 2TV '추노'가 막판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초반 만큼의 인기는 아니지만 그래도 열혈 시청자들을 끌어들이고 있는 드라마인 것은 분명합니다. 드라마 속 오지호나 장혁의 인기 못지 않게 원손 석견 역을 연기하고 있는 김진우 어린이의 인기도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더군요.

이 원손 아기씨는 아시다시피 비명에 간 소현세자의 세 아들 중 막내인 석견(石堅)입니다. 아버지 소현세자가 의문의 죽음을 당한 데 이어 어머니 강빈은 역모를 꾀했다는 이유로 사약을 받아 세 아들은 모두 고아가 된 상태에서 1647년, 제주로 귀양을 떠납니다. 당시 맏이 석철(石鐵)이 12세, 둘째 석린(石麟)이 8세, 그리고 막내 석견은 불과 4세입니다. 하지만 어린 이들 형제에게 유배 생활이 어찌나 고된 것이었는지 불과 1년만에 위로 두 형들은 죽고 석견 혼자 살아남습니다. 그 밖에 두 딸이 있었지만 이 시기의 기록은 없습니다.

'추노'는 바로 이 시기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막내 석견은 과연 어떻게 될까요? 살아남아서 어른이 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영의정 이경식(아마도 김자점을 형상화한 인물로 보이는)에 의해 송태하, 대길 등과 함께 죽음을 맞을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석견은 살아남습니다. 그리고 그건 아버지 대신 왕위에 올라 효종이 된 숙부 봉림대군의 결단에 의한 것입니다.

이럴 때 가장 편리한 것은 조선왕조실록이죠. 핵심적인 기록만을 살펴보기로 합니다. 먼저 1647년의 기록입니다.

인조 48권, 25년(1647 정해 / 청 순치(順治) 4년) 5월 13일(계축) 1번째기사
소현 세자의 세 아들을 제주에 유배시키다  

소현 세자(昭顯世子)의 세 아들인 이석철(李石鐵)·이석린(李石麟)·이석견(李石堅)을 제주에 유배하였다. 처음에 의금부가 석철은 제주에, 석린은 정의(旌義)에, 석견은 대정(大靜)에 유배하자고 청하였다. 당시 석철은 12세, 석린은 8세, 석견은 4세였다. 상이 하교하기를 “한 곳에 정배하여 서로 의지해서 살도록 하되, 내관(內官)과 별장(別將) 등을 교대로 지정해 보내 외부인들이 접촉하지 못하게 하고, 세 고을에 정배(定配)된 사대부는 모두 다른 섬으로 옮겨 정배하라.” 하였다. 이에 홍무적은 남해현(南海縣)으로, 신득연(申得淵)은 진도군(珍島郡)으로 이배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도중에 석견에 대한 기록은 보이지 않습니다. 이후 1649년, 인조가 승하하고 봉림대군이 왕위에 오릅니다(효종). 효종은 즉위 즉시 정권을 농단하고 있던 김자점의 무리를 처단하고 왕권을 강화합니다. 그런 효종도 즉위 10년이나 지나서야 석견을 유배 간 죄인에서 왕자의 자리로 복권시킬 수 있었습니다. 1659년의 기사입니다.

효종 21권, 10년(1659 기해 / 청 순치(順治) 16년) 윤3월 4일(갑자) 2번째기사
소현 세자의 아들과 딸들을 군과 군주에 봉하라고 하교하다 
 
상이 하교하였다.
“소현 세자의 1남 이백(李栢)은 경선군(慶善君)을 증(贈)하고, 3남 이회(李檜)는 경안군(慶安君)으로 하라. 그리고 1녀에게는 경숙 군주(慶淑郡主)를 증(贈)하고, 2녀는 경녕 군주(慶寧郡主)로 하고, 3녀는 경순 군주(慶順郡主)로 하라.”

이회가 바로 석견입니다. 지난주 '추노'에서 송태하가 짝귀에게 석견의 이름을 '회'라고 가르쳐주는 장면이 나오더군요.

그런데 왜 10년이나 걸렸을까요. 당시의 정치 상황으로 볼 때 소현세자의 아들에 대한 입장은 신중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장남 대신 차남인 효종이 왕위에 있는데 장남의 아들 - 다시 말해 인조의 종손 - 이 살아 있다는 것은 후계구도를 복잡하게 하고, 효종의 왕권에 위협이 되기 때문입니다. 분명 여기저기에 소현세자의 복권을 명분으로 하는 반란의 위협이 있고, 그 위협이 존재하는 한 석견은 살아있는 것 자체가 역모에 가담한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는 상황인 것이죠. (뒷날 효종이 죽고 현종때 벌어진 예송논쟁을 생각하면 당연한 얘깁니다.)

그런 상황에서 효종이 조카를 역적에서 다시 왕손으로 복권시킨 것은 대단한 용기를 발휘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미 효종은 역모에 휘말린 배다른 동생들을 용서했고, 여기에 하나 보태 석견까지 복권시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리하면 석견, 즉 경안군은 1643년에 태어나 4세때인 1647년 귀양을 갔고, 12년간 귀양살이를 한 뒤 만 16세 때인 1659년에야 왕자로 복권됩니다. 장가도 가고, 마음 편히 살 수 있게 된 것이죠. 하지만 그리 장수하지는 못합니다.

현종 11권, 6년(1665 을사 / 청 강희(康熙) 4년) 9월 18일(신축) 4번째기사
경안군 이회의 졸기  
 
경안군(慶安君) 이회(李檜)가 졸(卒)하였다. 경안군은 곧 소현 세자(昭顯世子)의 아들이다. 소현의 자녀(子女)가 모두 죽었고 유독 경안군만이 살아 있었는데, 이때에 이르러 온천에 목욕하러 갔다가 병이 나서 실려 돌아와 죽었다. 상이 매우 애도하여 정원에 하교하기를,
“경안군의 상사(喪事)는 뜻밖에 나온 것이어서 내가 매우 비통하게 여기고 있다. 아, 선조(先朝) 때부터 돌보아 기르고 어루만져 보살펴 왔으니 진실로 후세 자손들은 의당 이를 본받아야 한다. 말과 생각이 여기에 이르니 눈물이 옷깃을 적시는 것을 깨닫지 못하겠다.”

1643년에 태어나 1665년에 사망. 고작 만 22세에 숨을 거두고 마는 것입니다. 안된 일이긴 하지만 효종 시대의 중신들은 경안군의 죽음을 맞아 겨우 한숨을 내쉬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당시의 조정에서 경안군이라는 존재만큼 효종의 왕위를 불안하게 한 존재는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혹시...?)

경안군은 죽었지만 임창군 형제를 후사로 남깁니다. 그리고 '소현세자의 적통'이라는 핏줄은 이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숙종 8년(1679년), 서울 장안에 흉서가 나붙고, 그 흉서에는 '경안군의 아들 임창군이야말로 왕이 되어야 할 성인'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다행히 숙종이 "반도들이 마음대로 임창군을 거론했을 뿐, 임창군이 연루된 증거가 없다"고 막아 임창군은 반란의 수괴로 지목되는 비운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임창군의 아들 밀풍군은 영조 초 이인좌의 난 때 반란 세력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는 바람에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밀풍군이 직접 난에 참여한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왕권에 도전한 죄를 뒤집어쓸 상황이었고, 결국 밀풍군은 자결합니다. 이것이 소현세자의 후손들, 즉 왕이 되지 못한 왕손의 운명인 것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상황을 살펴볼 때 효종의 결단은 인간적으로 매우 훌륭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효종대왕 행장에 보면 왕이 대신들에게 경안군의 복권을 주장하면서 한 말이 이렇게 기록돼 있습니다.

“(석견에게)작호(爵號)를 써서 내리도록 하겠다. 오늘 첨의(僉議)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이 없으니 내가 매우 기쁘다. 내가 소현(昭顯)과 동시에 북행(北行)하여 험난한 이역 땅에서 어렵고 위험한 지경을 모두 겪었는데 늘 좌우에서 이끌어 주면서 주야로 떠난 적이 없었다. 그런데 동쪽으로 돌아온 지 얼마 안 되어 인사(人事)가 갑자기 덧없이 되어버리고 불량한 사람이 이어 변을 야기시켰다. 선조(先朝)의 성명(成命)을 경솔히 고칠 수는 없지만 마음으로 항상 아프게 여기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영령도 보이지 않는 가운데에서 어찌 한스러움이 없었겠는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쨌든 정리하면 인조가 죽고 왕이 바뀌기 전까지 석견은 귀양살이 도중이었지만 생명은 보존할 수 있었습니다. 드라마 속 '추노'의 상황으로 보면 석견이 살아남는 것은 송태하와 대길이 살아남을 수 있는 발판인 셈이죠.

물론 드라마의 장중한 마무리를 생각해보나, 이미 사람 많이 죽이는 걸로 명성을 떨치고 있는 '추노' 제작진을 보나 두 사람이 모두 살아남는 걸 기대하기는 매우 힘들 듯 합니다. 이제 두 남자 주인공 가운데 누가 죽고 누가 살아남을지, 혹은 둘 다 죽을지가 궁금해질 상황인 듯도...



재미있으셨으면 왼쪽 아래 손가락을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