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영국 왕이 된다는 건 한때 세계의 제왕이 되는 것과 거의 비슷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비록 베르사이유나 쉔브룬 궁, 자금성 같은 거대한 궁궐도 없고, 음식은 그냥 그렇고, 본토의 인구 역시 프랑스나 독일의 절반도 안 되는 정도였지만 해가 지지 않을 정도로 많은 식민지로부터 거대한 부가 밀려들어오던 시절이 있었죠.

퀸 빅토리아의 기치 아래 영국 신사들은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국제적 감각과 함께 가장 발전된 식민 통치 형태를 개발해가며 인류 역사상 이전의 누구와도 비교될 수 없는 진정한 세계 제국의 엘리트들을 길러냈습니다. 그 덕분에 우리는 아직도 외국어 중 하나만 배워야 한다면 영어를 배우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세계에 살고 있습니다. (물론 이건 이제 영국보다는 미국 때문이라고 할 분도 계시겠지만 그 미국이 영어를 쓰고 있는 것이 바로 영국 때문이라는 걸 생각하셔야겠죠.ㅋ)


19세기 독보적인 세계 강국의 위치에 올라선 영국은 20세기 이후 후발 유럽 국가들과 세계 전역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칩니다. 1차대전의 승전으로 한숨을 돌렸지만 숨을 죽였다고 생각했던 독일은 어느새 원기를 회복, 총통 각하의 영도하에 다른 나라들을 위협하고 있었습니다. 일찌기 수백년 동안 유럽 대륙의 균형자 역할을 자임했던 영국이 보기에 상황은 그리 우호적이지 않았습니다.

이 상황에서 빅토리아 여왕의 손자인 조지5세는 노쇠해갔고, 영국 왕실의 고민이 시작됩니다. 왕위를 이어야 할 왕세자 데이비드(뒷날의 에드워드 8세, 더 뒷날의 윈저 공)는 미국인 이혼녀에게 빠져 보위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윈저 공은 비록 개인적인 의견이라고 해도 히틀러와 나치즘에 상당한 호감을 보이고 있었기 때문에 장차 독일과 일전을 벌이게 된다면 국가를 대표하는 데 있어 취약점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은 요크 공작으로 불리는(언제부터인지는 모르겠지만 영국 왕세자는 웨일즈 공작, 그 바로 아래 동생은 요크 공작의 지위를 갖게 됐습니다. 그러니까 'Prince of Wales'라는 말 자체가 '영국 왕세자'라는 뜻입니다) 둘째 알버트. 그런데 이 알버트에게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었습니다. 바로 말더듬이라는 점이었죠. 여기서부터 '킹스 스피치'가 시작됩니다.



요크 공작 알버트(콜린 퍼스)는 대중 연설을 도저히 할 수 없는 자신의 약점을 치료하기 위해 나서지만 뾰족한 효과를 보지 못합니다. 아내(헬레나 본햄 카터)를 통해 호주 출신의 언어치료사 로그(제프리 러시)를 만나지만 역시 마찬가지. 하지만 로그가 녹음해 준 자신의 목소리를 듣고 난 알버트는 서서히 자신이 치료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 됩니다.

그러는 사이 아버지 조지5세가 죽고 장남 데이비드가 왕위를 계승, 에드워드 8세가 되지만 이혼녀 심프슨 부인과의 결혼 논란으로 결국 자진 퇴위합니다. 그 결과 별로 왕이 되고 싶지 않았던 알버트가 새로운 왕 조지 6세가 됩니다.



솔직히 이런 이야기로 영화를 만든다는 건 참 어지간한 사람들에겐 상상하기 힘든 일입니다. 영화에 대해 설명할 때 누가 '무슨 영화냐'고 물으면 '응, 영국 왕이 말더듬이라서 연설을 못해. 그래서 치료받는 얘기야'라고 하면 누가 그 영화를 보고 싶을까요. ㅋ

하지만 놀랍게도 이 영화는 재미있습니다. 물론 세 명의 연기 9단이 투입되지 않았다면 이런 영화는 만들어졌을 리가 없겠지만, 그보다는 영국 영화 특유의 탄탄하고 유머 넘치는 대본에 첫번째 공로를 돌릴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 인물들을 다루는 데 있어서도 세심함을 잃지 않았고, 역사의 기록을 거스르지 않으면서도 하고 싶은 얘기를 다 해 냈습니다. (네. 걸핏하면 팩션 타령을 하면서 역사 왜곡을 작가의 창의력과 착각하는 몇몇 작가분들이 참고하셔야 할 작품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걸핏하면 셰익스피어를 인용해대는 이 영화의 대본이야말로 바로 대영제국의 선물이라고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반면 '리처드 3세' 오디션을 보는 로그에게 극단 관계자들이 '호주 사투리 쓰는 너따위가 어떻게 영국 왕 역할을 하겠다는 거냐?' '퍼스? 퍼스에도 극단이 있냐?' 고 빈정대는 장면은 대영제국의 다크 사이드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실제 조지 6세 가족. 콜린 퍼스에 결코 뒤지지 않는 훈남 왕이었습니다.)

이 영화가 갖고 있는 메시지를 따로 얘기할 필요는 없을 듯 합니다. 두 남자 어른 사이의 우정이라는 것은 사실 일반인과 별로 대화할 짬이 없었던 왕자가, 자신을 격의 없이 대하는 호주 출신의 아마추어 배우에게 호감을 가질 가능성은 의외로 꽤 큽니다. (말하자면 바로 "날 이렇게 대한 사람은 니가 처음이야"인 거죠. ㅋ) 얼핏 사기성이 엿보이는 이 호주 출신 아저씨에게, 어느날 제발로 찾아온 환자가 영국의 왕위 계승 서열 2위인 왕자님이라는 건 복음과도 같은 소식이었을 겁니다. 인생 역전의 기회였달까...

그러니까 이 두 남자의 관계가 영화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계급을 초월한 두 남자의 우정'인지 아닌지는 뭐 깊이 생각할 필요가 없을 듯 합니다. (깊이 생각할수록 이상해집니다) 그냥 보이는 대로, 들리는 대로 여유 넘치는 영국식 코미디로 즐기면 되는 겁니다.



단 이 영화가 전해주는 진실 가운데 분명한 것은 왕이나 왕자로 산다는 것이 그리 편안한 팔자만은 아닐 거라는 점입니다. 실제로 조지 5세의 아들 형제들은 참 복잡한 팔자로 살았습니다. 조지 5세는 다섯 아들을 뒀습니다.

장남 에드워드 8세의 얘기는 세기의 러브스토리로 포장됐지만 뒷얘기를 까면 까 볼수록 책임감없는 이상한 왕자와 문란한 이혼녀의 막장 스토리로 가는 기미가 있고, 4남 조지 왕자는 묘한 성적 취향 때문에(bi....) 사회적 물의를 빚었지만 결국 2차대전중 전사하는 바람에 전쟁 영웅이자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표상으로 곱게 포장된 해피엔딩(?)의 주인공입니다.

(조지 5세 가족. 남자 왼쪽부터 데이빗-왕세자, 3남 헨리, 조지 5세, 알버트-조지 6세, 그리고 4남 조지. 앞줄 여자는 왼쪽이 메리 공주, 오른쪽이 왕비.)

흔히 2남이자 '킹스 스피치'의 주인공인 조지 6세야말로 형 때문에 원치 않는 왕좌에 올라 2차대전과 대영제국의 해체를 바라보며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아 형 윈저 공보다 일찍 죽은 비운의 주인공으로 꼽히지만 이들 형제 가운데 가장 불행했던 것은 막내 존 왕자입니다.

존 왕자는 태어난지 얼마 안 되어 간질 판정을 받습니다. 이때문에 가족과 함께 윈저 성에 거주하지도 못하고 시골 농장에서 사실상의 유폐 생활을 하다가 14세에 숨을 거둡니다. 간질에 걸린 왕자라는 것은 왕가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간주됐기 때문입니다. 살아 있는 동안은 물론이고 죽은 뒤에도, 왕가의 가족에 대한 모든 공식 언급에서 존 왕자와 관련된 내용은 제외되어 왔습니다.



(저도 이런 내용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고 있었는데 우연히 케이블TV에서 LOST PRINCE라는 BBC 드라마를 보고 나서 살짝 충격을 받았습니다. 20세기에도 간질 때문에 왕가에서 감춰져야 했던 왕자가 있었다니... 케사르도 앓았다는 간질인데...)

아무튼 그렇습니다. '킹스 스피치'는 왕도 사실은 사람이고, 일반인이나 마찬가지로 가족과 자신의 장래, 직업과 친구 문제로 고민하고 괴로워한다는 점을 제대로 풀어냈습니다. 그 내용이 100% 사실은 아니더라도 셀레브리티의 인생도 늘 파티만으로 가득 찬 게 아니라는 이야기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스토리로 받아들여지는 듯 합니다.



아래쪽 손가락 모양을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