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해커 그룹 어나니머스의 활동, '월가를 점령하라' 시위, 홍콩 민주화 시위, 영화 '브이 포 벤데타'의 공통점은 뭘까요. 답은 이미 나와 있습니다. 뾰족한 코와 팔자 콧수염을 멋들어지게 기른 어떤 남자의 얼굴을 묘사한 가면이죠. 그런데 최근까지 이 가면이 누구의 얼굴을 가리키는 것인지 모르는 분들이 꽤 많았을 겁니다.

 

가이 폭스, 가이 포크스라는 남자는 한때 영국인들에게 반역자, 혹은 악당의 대명사로 불리던 사람이었습니다. '가이 폭스 데이'라고 불리는 매년 11월5일 밤이면 영국 어린이들은 가이 폭스의 인형 뒤꽁무니에 폭죽을 달아 공중으로 날려버리곤 했다고 전해집니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고 세상이 바뀌다 보니 어느새 이 남자는 자유와 민권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어쩌다 그렇게 됐는지 한번 정리해 봤습니다.

 

 

 

 

가이 폭스

[인명] Guy Fawkes(1570~1606). 1605년 영국 국회의사당 지하에 폭탄을 설치해 국왕 제임스 1세와 주요 귀족들을 몰살시키려다 실패한 것으로 유명해졌다. 21세기 들어 그의 얼굴을 본딴 가면이 민중 저항의 상징으로 변신하는 바람에 인기 있는 역사적 인물로 변신했다.

 

비슷한 얼굴의 가면을 쓴 시위 인파가 세계 곳곳에서 거리를 메우고 있다. 2011년 월가를 점령하라(Occupy Wall Street) 시위를 시작으로, 프랑스 터키 헝가리 등 세계 각지에서 수많은 군중들이 같은 가면 뒤에 얼굴을 감추고 구호를 외쳤다. 웃는 눈에 광대뼈가 튀어나온 얼굴, ()자 형으로 멋지게 치켜올라간 콧수염이 특징으로 누구나 같은 얼굴의 가면임을 알아볼 수 있었다. 2014 11월에는 홍콩 시위 현장에서도 이 가면을 쓴 시위대가 포착됐다.

 

국제 해커 조직인 어나니머스도 자신들의 상징으로 같은 가면을 쓰고 활동하거나, 웹상에 표시되는 영상에 이 가면을 등장시키고 있다. 그래서 한때 깊은 의미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이 가면을 가리켜 어나니머스 가면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가면은 가이 폭스 마스크라고 부르는 것이 맞다.

 

 

귀도 폭스(Guido Fox)라고도 불리는 가이 폭스(한글 표기로는 가이 포크스라고 쓰기도 한다) 1570년 영국 중부 요크의 가톨릭계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군인의 길을 걸었고, 스페인 식민지였던 네덜란드의 신교도들이 종교 반란을 일으켰을 때 스페인 군에 가담해 싸울 정도로 골수 카톨릭 전사의 면모를 보였다.

 

당시 엘리자베스 1세에 이어 영국 국왕이 된 제임스 1세는 본래 스코틀랜드 왕가 출신으로 독실한 카톨릭 교도였다. 하지만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를 합친 대영제국(Great Britain)의 왕위에 오른 뒤에는 국론 통합을 위해 영국 국교만을 인정하고, 이에 반발하는 카톨릭과 청교도 모두를 탄압했다. 폭스는 제임스 1세의 배신에 분개했고, 동지들과 함께 국회의사당 지하로 땅굴을 판 뒤 폭약을 설치해 왕과 그 측근들을 일거에 소탕할 계획을 세웠다.

 

음모가 한창 진행되던 도중, 일이 너무 커질 것을 겁낸 음모자 중 누군가가 왕의 측근 몬티글남작에게 익명의 편지로 계획을 고발했다. 몬티글 남작의 하인 중 하나가 다시 일당들에게 음모가 들통났다고 알려 줬지만, 눈에 띄는 대응 조치가 없자 폭스는 경고를 무시하고 계획을 계속 진행했다. 하지만 시간을 끌자 제임스 1세 본인도 음모를 전해 듣게 됐고, 폭스는 거사를 저지르려던 115일 당일 밤 체포됐다. 폭스와 동지들은 1606 131일 참수형에 처해졌다.

 

이후 영국인들에게 가이 폭스라는 국왕 시해를 시도했던 흉악범으로 유명해졌다. 115일은 가이 폭스 데이’, 혹은 음모의 밤(Plot Night)’이라는 이름으로, 어린이들이 폭죽을 터뜨리며 뛰어 노는 축제일이 됐다. 미국 학원문학의 고전인 토머스 베일리 올드리치의골목대장(The Story of a Bad Boy)’에는 19세기 미국 뉴잉글랜드 지방의 소년들이 가이 폭스 데이를 맞아 폭죽을 터뜨리는 장면이 나온다. 이 시기의 어린이들은 가이 폭스의 가면을 쓰거나, 가이 폭스 인형에 폭약을 달고 거기에 불을 붙여 인형을 불태우는 놀이를 했다. 한마디로 아주 유명한 악당이었던 셈이다.

 

 

 

 

그에 대한 재평가는 20세기 들어 이뤄졌다. 몇몇 역사가들은 그의 계획이 단순한 역모가 아니라 종교 탄압에 대항한 민중 봉기라고 해석했고, 미국 만화가 데이비드 로이드는 이런 재해석을 바탕으로 1982년 만화 브이 포 벤데타(V for Vendetta)’를 내놨다. 전 세계적인 민중의 저항을 주도하는 주인공 V가 가이 폭스의 가면 뒤에 얼굴을 감췄다는 설정이다.

 

이 설정은 제임스 맥티그 감독의 영화 브이 포 벤데타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특히 주인공 V(휴고위빙) 뿐만 아니라 수천 수만의 군중이 가이 폭스 가면을 쓰고 시위에 동참하는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줬고, 이후 이 가면은 세계 곳곳에서 압제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자리잡고 있다. 가이 폭스 자신도 음모에 성공한 것 보다 이런 명성을 더 흡족해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의 인기다.

 

사실 그의 이름은 생각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이미 친숙해져 있다. 그의 이름인 ‘guy’이상한 옷을 입은 기이한 남자라는 의미의 속어로 사용됐고, 19세기 쯤 미국으로 건너가녀석, 친구라는 의미로 변했다. 오늘날 우리가 쓰는 ‘guy’라는 단어가 바로 그의 이름에서 비롯된 것이다<끝>

 

뉴욕에서도,

필리핀에서도,

홍콩에서도, 가이 폭스의 물결입니다.

 

가이 폭스를 이해하기 위해선 당시 영국의 종교 지도에 대한 지식이 약간 필요합니다. 영국 인구의 절대 다수는 기독교도이지만 그 분포는 매우 다양합니다. 일단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교파는 흔히 성공회(Anglican Church)라고 불리는 영국 국교회입니다. 카톨릭에 대항해 만들어진 교파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 동기가 다른 신교(protestant) 교파와는 매우 다릅니다. 엘리자베스 1세의 아버지 헨리 8세가 스페인 출신인 왕비 캐서린(원래 형수였던)과의 이혼을 반대하는 카톨릭 교회에 한대 먹이기 위해 '영국 국왕의 명은 교황의 명보다 우선한다'고 선포한 데서 비롯된 교파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성공회 聖公會 라고 부르는 것인데, 결혼과 이혼으로 점철된 헨리 8세의 사적을 보면 과연 '성공'이라고 불릴만한 왕인지는 다소 의문입니다.  

 

아무튼 헨리 8세와 아들 에드워드 6세, 그 뒤를 이은 제인 여왕(재위 9일만에 왕위에서 밀려난)에 이어 왕위에 오른 메리 1세는 외가가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가였으므로 영국을 다시 카톨릭의 나라로 되돌려놨지만 그 뒤를 이은 엘리자베스 1세가 아버지 헨리 8세의 유지를 이어 성공회를 영국의 국교로 확정했습니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잉글랜드'만의 이야기고, 저 북쪽 스코틀랜드는 여전히 확고부동한 카톨릭의 땅이었습니다.

 

처녀 여왕 엘리자베스 1세는 당연히 후사가 없었고, 그 뒤를 이은 것은 엘리자베스 1세 평생의 라이벌이었던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의 장남인 제임스 1세였습니다. 당연히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 탄압(?) 당했던 카톨릭 교도들은 제임스 1세에게 많은 것을 기대했지만 제임스 1세는 잉글랜드+스코틀랜드 통합 왕국의 수장답게 성공회를 장려하고 카톨릭을 억눌렀습니다. 이런 배경 때문에 가이 폭스를 비롯한 카톨릭 과격파들은 제임스 1세를 배신자로 간주하게 된 것입니다.

 

 

 

 

 

P.S. 가이 폭스라는 이름을 처음 접하게 된 토머스 베일리 올드리치의 소설 'A story of a bad boy'는 '얄개전'의 저자인 조흔파 선생에 의해 '골목대장'이라는 제목으로 국내에 번역 소개된 바 있습니다. 조흔파, 최요안, 오영민 같은 분들이 쓰신 '얄개전'이나 '남궁동자', '에너지 선생', '6학년 0반 아이들', '아파도 웃는다', '나는 둘' 등의 학원 문학 장르가 대단한 인기를 누리던 시절의 유산이랄까요. 그래서 지금도 '토머스 베일리 올드리치'라는 표기보다는 '토마스 베리 올드릿취'라는 표기가 훨씬 정겹게 느껴집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