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창의성, 창작, 스토리텔링, 미감, 인간의 자의식, 한국 근대사... 근래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내용들이 너무 많이 반영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만, 아무튼 인간이라는 존재를 이해하는 데 많은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책들이었습니다.

그리고 출판 연도와 무관. 그냥 제가 2023년에 읽은 책들 중에 인상적이었던 책들을 추린 리스트입니다. 신간 위주로 읽는 분들께는 조금 죄송합니다.

아무튼 나름 다 좋은 책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순서는 무순. 

내가 된다는 것 (아닐 세스)

분명히 경고한다. 잘 쓰여진 책이지만 책장이 쉽게 넘어가는 책은 아니다. 우리가 의식이라고 말하는 것, 내가 자의식이라는 것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대체 무엇 때문인가. 뇌가 나 대신 생각하는 것인가, 내 뇌가 바로 나인가. 신중한 답변이 필요할 때 인용할 수 있는 책.

예를 들어 이런 설명들: 내 뇌는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 밀실 안에서, 밖으로부터 들어오는 몇가지 정보에 의존해 바깥 세상을 해석하려고 한다. 빛, 소리, 색깔, 냄새, 형상, 이런 것들은 뇌에겐 존재하지 않는다. 오직 내 감각기관들이 보내오는 전기 신호들 뿐. 뇌는 이 신호들을 어떻게 해서든 해석해서 '세계'라는 것을 조립하려고 애쓴다. 즉... 내가 보고 느끼는 '현실'이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어쩐지 미술에서 뇌과학이 보인다 (에릭 캔델)

환원주의라는 키워드. 인간의 시각은 어떤 대상을 볼 때 시각이 이해할 수 있는 기본 단위로 분해했다가 다시 조립하는 과정을 거친다. 미술 또한 보이는 것을 그대로 그리는 것은 과거의 미학. 일찍이 세잔이 자연을 원기둥, , 원뿔 등 기하학적 형태로 해체하고 터너가 갑자기 무엇을 보고 있는지 알 수 없는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로스코, 칸딘스키가 새롭게 보이는 책.

 

기억전달자 (로이스 라우리)

소설을 몇가지 읽지 않았는데, 그 소설들 가운데 가장 좋았던 책. 근미래를 배경으로 인류 문명의 전달에 대한 은유. 그리고 문명을 계승한다는 것의 대가. 과연 모든 사람이 행복하기 위한 소수의 희생이란 어떤 과정을 통해 사회적으로 합리화되는가. 어슐라 르 귄의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을 연상시키는,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또 다른 감동.

그리고 무엇보다 짧다. 쉽게 읽을 수 있다.

 

 

창의성을 지휘하라 (에드 캣멀)

픽사와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사장을 지낸 캣멀이 풀어낸, 한 조직을 크리에이티비티가 넘쳐 나는 조직으로 운영하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 어떤 조직도 샘솟듯 아이디어가 뿜어나오는 사람들만을 데리고 있지는 않다. 어쨌든 잠언과 같은 명언이 넘쳐나는 책. ‘스토리가 왕이다’ ‘프로세스를 신뢰하라(신뢰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하라)’, 그리고 ‘<토이 스토리>는 장난감들이 우리가 안 볼 때 자기네끼리 이야기를 한다면?’이라는 아이디어 하나로 만들어지지 않는다같은 말들. 그리고 무엇보다 강렬한 조지 루카스의 한마디. Do or do not. There is no try.

 

스토리텔링 애니멀 + 이야기를 횡단하는 호모 픽투스의 모험 (조나단 갓셜)

사실 이어지는 내용이라고 볼 수는 없다(같은 사람이 쓴 책이라는 걸 읽고 나서 알았다). 하지만 둘 다 스토리텔링이 무엇인지 설명해 주는 동시에 아주 흥미로운 책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예를 들면 짧은 결론 중에 '인간은 어떻게 해서든 보이는 것들 사이에 완결된 이야기를 만들어내지 못해 안달을 한다'는 것이 있다.

무표정한 표정의 여자, 수프 한 접시, 관에 든 시체의 사진을 제시하면 그 이야기를 어떻게든 연결해 내는 것이 인간. '한번 각인된 이야기는 수없이 사실이 아니라는 사실이 검증되어도 사라지지 않는다'는 이야기 같은 것들은 요즘 세상에 대한 예사롭지 않은 인사이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조선잡기 (혼마 규스케)

1884년 갑신정변 현장에서 (F.H. 뫼르셀)

일본 정부의 밀정인 혼마 규스케가 갑신정변 9년 뒤, 갑오경장 1년 전인 1893년 조선에 들어와 견문하고 정탐한 내용. 전 세계를 볼 때 가장 비슷한 문화를 갖고 있는, 하지만 메이지 유신 이후 서구 문명과의 만남으로 하루가 다르게 발전해가던 일본인들의 눈으로 본 당시의 한국은 처참한 후진국이었다. 과연 어떤 부분들을 보고 일본인들은 식민지 개화의 자신감을 얻었던 것인지 짐작할 수 있다. 참담하다.

<1884 갑신정변 현장에서>의 원제는 ‘Events Leading to the Emeute of 1884’. 민영익의 호의로 한국 지방 탐사 여행을 떠났던 독일 상인 뫼르셀은 남도를 여행하던 도중 서울에서 변란이 일어나 민영익이 생사를 알 수 없는 위기에 빠졌다는 소식을 듣는다. 말도 통하지 않는 이역만리에서 반란에 휩싸인 뫼르셀의 불안감이 생생하게 살았는 여행기. 모세을(牟世乙)이라는 한국 이름으로 활동하기도 했던 독일 상인인 뫼르셀 F.H.Morsel 은 독립신문에 1호 광고를 낸 사람이기도 하다.

 

그라제니 (아다치 켄/ 모리타카 유우지)

야구만화를 매우 좋아하는 편인데, 과연 이렇게 시속 150km를 던지는 광속구의 대투수도, 40홈런을 때려내는 강타자도, 열혈 고교 에이스도 나오지 않는 야구만화가 있었던가. 죽을 힘을 다해 던져야 140km가 나올까 말까 한 중간계투 요원인 주인공은 그라운드에는 돈(제니)이 묻혀 있다는 말에 따라 성실하게 연봉을 챙겨가는 생계형 프로 야구 선수. 매년 신인들이 들어오고 고참들이 쓸려 나가는 치열한 경쟁 현장에서 펼쳐지는 그의 생존기가 매력 만점.

미 가장예쁜 유전자만 살아남는다 (낸시 에트코프)

대체 왜 인간은 예쁜 것을 좋아할까. ‘Beauty is in the eyes of the beholder’라는, 누가 했는지 알 수 없는 말은 미감이란 인류 각 개체의 독립적인 감각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만, 최신 뇌과학이 연구한 바에 따르면 그 문제의 개인차보다는 공통점이 더 크다. 심지어 갓난 아이도 성인들이 예쁘다고 생각하는 얼굴을 좋아한다. 그렇다면 예쁜 것에 대한 반응은 본능인가? 하버드 대 교수 낸시 에트코프의 기발한 분석. [그런데 안타깝게도 절판. 중고는 많이 팔립니다.]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오구라 기조)

서울대에서 한국 정치사상을 연구한 일본인 저자의 눈으로 본 성리학이 한국인에게 미친 영향, 혹은 한국인이 성리학을 내면화하면서 생긴 일에 대한 정리서. ‘남이 본 우리 이야기인 만큼 시사점은 넘쳐 흐른다. 과연 이 책은 한국을 미화하는 책인가, 폄하하는 책인가. 직접 판단하시면 좋을 듯.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를 읽고 :: 송원섭의 스핑크스 2호점 (joins.com)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를 읽고

너무 지나기 전에 이 책에 대해서는 어디엔가 한마디 남겨 두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는 다년간 서울대에서 수학한 오구라 기조 일본 교토대 교수가 쓴 책이다. 한국인의 저변을 흐르는

fivecard.joins.com

 

유현준의 인문건축기행 (유현준)

지난해 읽은 가장 강력한 여행 뽐뿌질 책. 당장 짐을 꾸리고 싶어진다.

인문 건축 기행, 무작정 가보고 싶어지는 :: 송원섭의 스핑크스 2호점 (joins.com)

 

인문 건축 기행, 무작정 가보고 싶어지는

여행을 좋아한다. 당연히 여행을 꿈꾸게 하는 책도 좋아한다. 유현준의 . 지금까지 나온 유현준 교수의 베스트셀러 제목들을 생각하면 왜 이 아닌지도 궁금하지만(아마도 게으른 서점을 위해 구

fivecard.joins.com

 

 

창조적 시선 - 인류 최초의 창조 학교 바우하우스 이야기 (김정운)

엄청난 노작. 대체 그로피우스의 이상에서 아이폰으로 연결되는 이 문명의 선이란. 

창조적 시선, 바우하우스란 과연 무엇이었을까 :: 송원섭의 스핑크스 2호점 (joins.com)

 

창조적 시선, 바우하우스란 과연 무엇이었을까

. 1000페이지에 달하는 엄청난 볼륨. 등장인물만 대충 꼽아 봐도 조너선 아이브, 디터 람스, 스티브 잡스, 오스카 코코슈카, 파울 클레, 바실리 칸딘스키, 요하네스 이텐, 구스타프 클림트, 구스타

fivecard.joins.com

 

 

 

 

여기까지 10권 같은 13권. 그리고 2023년, 반드시 거론해야 할 책들은 다음과 같다.  

90년대, 깊고도 가벼웠던 10년간의 질주 (척 클로스터만)

이런 식의 역사를 써 보고 싶다

숫자는 어떻게 진실을 말하는가 (바츨라프 스밀)

스밀은 왜 분노하나. 왜 사람들은 스밀에게 보이는 것을 보지 못하나. <팩트풀니스>를 감명깊게 보신 분이 보셔야 할 책.

에디톨로지 (김정운)

창조란 없다. 이제 당신이 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존재하는 것들을 어떻게 연결하느냐일 뿐. 

신통기 (헤로도투스)

나온지 너무 오래된 책. 하지만 이 책이 있어야 할 이유를 100가지는 댈 수 있다. 

기묘한 중국사 (왕레이)

흥미로운 이야기로 가득한 책. 무송은 어떻게 술 한말을 마시고도 호랑이가 나오는 고개를 넘을수 있었을까. 그런데 이 책의 내용을 다 믿어도 좋을지는...

미즈키 시게루의 일본 현대사 (미즈키 시게루)

개인과 역사는 어느 지점에서 교차하는가.

축제만세! (타카기 나오코)

일본에는 왜 이렇게 축제다운 축제가 많은 걸까. 이 사람처럼 놀러 다니고 싶다. 진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