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화점과 동성애, 공민왕과 자제위 얘기는 요즘 갑작스레 너무 조명을 받고 있는 듯 합니다. 지겨우실 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동성애와 남성 무장 집단의 관계는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유구합니다. 조선시대 실학의 대가인 성호 이익이 쓴 '성호사설'에 보면 화랑의 유래에 대한 고찰에서 '화랑(花郞)이라는 것은 꽃같은 남자를 가리키는 것이며 이는 남색의 무리임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구절이 나옵니다.
그런 부분에서 보면 그 시절의 동성애라는 것은 요즘 얘기하는 유전자의 결정설이나 피치 못할 끌림과는 좀 다른 부분이 있다고 봐야 할 듯 합니다. 어찌 보면 남성성을 좀 더 강화하는 데 있어 결속을 다지는 일종의 스포츠같은 측면도 엿보인다고 해야 할까요? 아무튼 그런 내용입니다.
제목: 쌍화점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 테베에는 신성대(Sacred Band of Thebes)라는 특수부대가 있었다. 테베의 최정예 부대인 이 무장집단의 특징은 150쌍의 동성애자로 구성돼 있다는 점이었다. 잘 싸웠을까? 물론이다. 이들은 기원전 338년 알렉산더 대왕이 이끌던 마케도니아군에게 전멸당할 때까지 무적을 자랑했다. 역사가 플루타르코스가 “연인에게 부끄러운 꼴을 보이지 않으려 서로 보호하면서, 물러서지 않고 싸우는 이들에게 이길 군대는 세상에 없었다”고 전할 정도다.
이들 외에도 세계 역사에는 남성성을 강조하는 무장집단과 동성애 사이가 그리 멀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가 적지 않다. 혹자는 화랑 오계의 교우이신(交友以信)에서도 단순한 글자 이상의 의미를 읽곤 한다.
지난해 12월 30일 개봉한 유하 감독의 영화 '쌍화점'이 첫 주 150만 넘는 관객을 동원하는 등 화제 만발이다. 고려 왕(주진모)과 그의 호위대장 홍림(조인성) 간의 동성애가 특히나 관심을 끈다. 미남 스타들이 연기하는 동성애 장면이 마케팅의 수단일 뿐이냐, 주제에 대한 진지한 접근이냐는 예견된 논쟁이 일어나는가 하면 일각에서는 이 영화가 공민왕에 대한 왜곡이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영화 속 왕이 공민왕이라고 가정할 때, 주요 내용은 『고려사』의 기록과 상당히 일치한다. 금실이 두터웠던 몽골 출신의 왕비 노국공주가 죽은 뒤 공민왕은 여색을 멀리하고 1372년 궁중에 명문 귀족 청년들로 구성된 자제위(子弟衛)를 둔 뒤 남자들과 음행을 일삼았다고 전해진다. 구중궁궐에 사지가 성한 미남 청년들이 들어섰으니 사고는 예견된 일. 자제위의 일원인 홍륜이 공민왕의 계비를 임신시켰고, 공민왕은 홍륜을 제거해 추문을 막으려다 되려 홍륜 패거리에 의해 죽음을 맞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