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포스트 미실 시대의 '선덕여왕'에서 제작진은 눈여겨 볼 부분 중 하나로 '김유신의 복권'을 꼽았습니다. 삼국통일의 주역이자 불패의 명장인 유신의 면모를 살려 보겠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선덕여왕' 52회에서는 뭔가 선봉대장으로의 면모를 갖춘 듯한 고도와 함께 턱수염을 기른 유신의 모습이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드라마 상으로 '첫 승리'를 기록한 유신의 직위가 상장군으로 되어 있습니다.

사실 드라마는 드라마이다 보니 갑자기 유신이 승리를 거두는 상승장군이 된다 해서 놀라울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이 드라마는 김유신의 진정한 면모를 보여줄 기회를 놓쳐 버렸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사에서 김유신의 전공이 가장 먼저 등장하는 것은 630년(진평왕 51년)의 낭비성 전투입니다. 이때 기록은 이렇습니다.

51년 가을 8월, 왕이 대장군 용춘·서현과 부장군 유신을 보내 고구려의 낭비성을 공격하게 하였다. 고구려 사람들은 성 밖에 나와 진을 치고 있었다. 그들의 기세는 아주 드높았다. 아군은 이를 보고 겁을 내어 싸울 생각을 하지 않았다. 유신은 "나는 '옷깃을 잡고 흔들면 옷이 반듯해지고, 그물의 꼭지를 쳐들면 그물이 펴진다'는 말을 들었다. 내가 그물의 꼭지와 옷깃이 되어 보겠다!"라고 말하며, 즉시 말에 올라 칼을 빼들고 적진을 향하여 곧장 돌진하였다. 세 번을 적진 속에 들어 갔다 나오면서 그 때마다 적장의 목을 베거나 깃대를 뽑아왔다. 그러자 군사들이 기세를 올리며 북을 치고 함성을 지르면서 진격하여 5천여 명을 목베어 죽였다. 낭비성이 항복하였다.

五十一年, 秋八月, 王遣大將軍龍春·舒玄, 副將軍庾信, 侵高句麗娘臂城. 麗人出城列陣, 軍勢甚盛, 我軍望之懼, 殊無鬪心. 庾信曰: "吾聞: '振領而 正,  綱而網張.', 吾其爲綱領乎!" 乃跨馬拔劒, 向敵陣直前, 三入三出, 每入或斬將, 或 旗. 諸軍乘勝, 鼓 進擊, 斬殺五千餘級, 其城乃降.

이 기록이 중요한 이유는 유신이 신라군의 사령관이 되기 전, 일개 비장이던 시절에 '단신으로 적진으로 돌격했다'는 첫번째 기록이기 때문입니다. 흔히 사람들은 김유신의 뒷날 전투 기록을 살펴보고 "참으로 모질고 독한 사람"이라고 말하곤 합니다. 유신의 전투에서는 드물지 않게 최측근의 희생이 따르기 때문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명한 비녕자와 관련된 기록입니다. 유신의 낭비성 전투와 비교할만 합니다.

겨울 10월에 백제 군사가 침입하여 무산, 감물, 동잠 등 세 성을 포위하였다. 왕은 유신에게 보병과 기병 1만을 주어 이를 막게 하였다. 유신은 어렵게 싸웠고 마침내 기력이 떨어졌다. 유신은 비녕자에게 말했다. “오늘의 사태가 위급하다. 그대가 아니면 누가 군사들의 마음을 격려할 수 있으랴!”
비녕자가 절을 하고 말했다. “어찌 감히 명령을 따르지 않겠습니까?” 드디어 적진으로 달려갔다. 그의 아들 거진과 종 합절이 그를 따라 적의 칼과 창 속으로 돌진하여 전력을 다해 싸우다가 죽었다. 군사들이 이를 바라보고 감격하여 서로 앞을 다투어 진격하여 적병을 대파하고 3천여 명의 머리를 베었다.

冬十月, 百濟兵來, 圍茂山,甘勿,桐岑等三城, 王遣庾信, 率步騎一萬拒之. 苦戰氣竭, 庾信謂丕寧子曰: “今日之事急矣, 非子, 誰能激衆心乎.”
丕寧子拜曰: “敢不惟命之從.” 遂赴敵. 子擧眞及家奴合節隨之, 突劒戟, 力戰死之. 軍士望之, 感勵爭進, 大敗賊兵, 斬首三千餘級

화랑의 감투정신을 설명할 때 자주 등장하는 예화입니다. 사실 선덕여왕 연간에 신라는 백제에게 수세로 전환해 있었습니다. 그리고 진덕여왕 원년, 신라와 백제의 전투에서 김유신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었고, 이때 비녕자에게 "네가 나서서 병사들의 사기를 들끓게 하라"고 지시합니다.

비슷한 사적은 먼 뒷날, 황산벌에서 계백과 대치한 김유신의 군대에서도 똑같이 나타납니다. 이 전투에서 김유신은 계백의 결사대에 연거푸 패해 군심이 흔들리자 자신의 친 조카인 반굴(유신의 동생 흠순의 아들)과 역시 조카뻘인 관창을 희생시켜 전군을 격동시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선덕여왕'에는 흠순이 나오지 않는 대신 월야가 의동생 역으로 나오고 있죠.)

총사령관의 동생인 흠순이 반굴에게 말합니다. "신하된 바로는 충성이 제일이요, 아들된 바로는 효도가 제일이다. 이날 우리가 위기에 처했으니 목숨을 버리면 충효를 모두 갖추는 것이다(爲臣莫若忠, 爲子莫若孝, 見危致命, 忠孝兩全)." 이 말에 반굴은 적진에 뛰어들어 목숨을 버립니다.

화랑들이 단신으로 적진으로 뛰어들어 용맹을 과시하면 아군 병사들의 사기가 치솟을 수 있겠지만 그 뛰어든 사람은 십중팔구는 죽기 마련입니다. 아무리 무위가 뛰어나다 해도 수천 수만의 적군과 혼자 대치하면 죽음을 피하기 힘듭니다.

유신과 비녕자, 반굴과 관창을 비교해 볼 때 기본적인 차이는 없습니다. 유신은 살아남았고, 나머지는 죽었다는 것 뿐입니다. 이 말은 유신 역시 낭비성에서 적진으로 침투할 때에는 역시 비녕자나 관창과 같은 운명이 될 각오를 했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전투에서의 승리를 위해 자신을 도구로 던질 각오가 있었던 사람이 장군이 되고, 그런 장군인 만큼 휘하의 병사들에게 목숨을 내놓으라고 요구할 수 있던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유신의 리더십에서 핵심을 이루는 부분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불행히도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이런 배경을 찾아 볼 수는 없겠습니다. 이미 선덕여왕이 왕위에 올랐고 유신은 상장군이 됐지만, 그의 휘하 장병들이 그를 믿고 따라 목숨을 걸고 싸운 것이 이미 고위 장성이 되기 전에 그 또한 자신들과 마찬가지로 목숨을 걸고 적진에 뛰어들었던 인물이란 점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은 생략돼 버렸기 때문입니다.

물론 유신이 명장이 된 것은 일신의 용맹보다는 빼어난 지략과 정략 때문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많을 것입니다. 실제로 후세로 갈수록 김유신의 면모에선 지장의 면모가 풍겨나옵니다. 어쨌든 김유신을 '선덕여왕'에서 빛나는 캐릭터로 키워내기 위해선 필수적인 부분이 생략된 것이 아쉬울 뿐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S. 미실이 하는대로 똑같이 따라 하고 있는 여왕마마께서는 안 늙는 비법도 그대로 물려받으셨습니다. 유신과 알천, 월야가 수염이 시커매지고 설원과 미생은 노인이 됐건만... 참고로 드라마 '선덕여왕'의 설정을 따를 때 이 시기의 선덕여왕은 60세 전후입니다. (자꾸 드라마는 다큐가 아니네 하는 분들, 이건 역사의 기록이 아니라 이 드라마의 설정에 따를 때 그렇다는 겁니다.)


블로그 방문의 완성은 과감한 추천 한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