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2월입니다.

 

이 코너를 쓰기 시작하고 13번째 글. 그러니까 1년이 돌았다는 얘깁니다.

 

새해 준비, 1년의 마무리...이런 말들에 너무 크게 의미 두고 갑갑해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인생 뭐 있나요? 한살 더 먹으면 그만이지. 사실 남들도 별거 없어요.

 

송년회 못 가고 야근하고 있으면 어떻습니까. 볼 사람들은 새해에 보면 돼요.

 

연말에 괜히 한 것도 없이 올해가 다 갔네 뭐 쓸데없이 자책하지 마시라고 한 얘깁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10만원으로 즐기는 12월의 문화생활 가이드

 

이 연재를 시작한지 벌써 1년이 됐어. 세월 징하게 빠르군.

 

12월에 뭔가 문화생활을 하라고 권할 때에는 아무래도 크리스마스가 끼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지. 커플인 사람들에게 이 날은 참 잘 넘기기 어려운 날이야. 솔직히 말해 1224일과 25일에 권하고 싶은 행동 강령은 아무리 재미있는 공연도, 아무리 멋진 콘서트도, 아무리 분위기 좋은 레스토랑도그 두 날 만큼은 절대 가지 말라는 거야.

 

이해를 못 하는 사람들을 위해 질문. 주위에 알만한 선배나 친척 어른들에게 크리스마스를 연인과 함께 보낸 즐거운 기억에 대해 물어봐. 없지? 없는 게 정상이야. 그럼 크리스마스에 데이트 하다가 힘들었던 기억을 물어봐. 예약한 레스토랑에서 늦게 왔다고 자리 빼서 싸운 얘기, 없는 돈에 마이클 볼튼 공연 예매했다가 차가 밀려서 앵콜 곡밖에 못 들은 얘기, 밤에 명동에서 술취한 여친 등에 업고 택시 잡느라 허리 부러진 얘기, 결국 택시 못 잡고 한남동에서 상계동까지 걸어서 집에 간 얘기 등등, 아마 끝없이 나올 거야.

 

젊어서 힘들었던 얘기가 뒷날의 추억이라고? 정말 그렇게 생각한다면 그냥 크리스마스고 뭐고 당장 군대를 가. 갔다 왔다고? 그럼 해병대 캠프라도 다시 가든가.

 

 

그렇다고 명색이 커플인데 아무 것도 안 할 수는 없지 않느냐고? 물론 그렇지. 관계가 꽤 성숙한 사람들은 쓸데없이 고생하지 말고 야외로 나가. . 이때도 빠져나가는 길이 엄청나게 밀릴 테니 일찍 출발하는 건 필수. 물론 당일 귀가를 하지 않는다는 전제야. 대한민국, 특히 서울 주변에는 이런 커플들을 위한 인프라가 굉장히 발달해 있어.

 

아직 이러기엔 서먹서먹한 커플들, 살아 남으려면 뭉쳐. 서너 커플만 모아도 방 하나 빌리는 데 큰 부담은 안 될거야. 호텔엔 방이 없을 거야. 변두리 레지던스를 알아 봐. 넓은 거실, TV, 냉장고, 주방이 있어. 이런 날 한우 등심에 양주 한병이면 정말 추억에 남는 크리스마스를 만들 수 있어. 물론 이것도 비용이 꽤 들지만, 밖에서 인파에 치이고, 밀리는 길에 짜증내면서, 별로 대단치도 않은 레스토랑에서 비싼 돈 내고 짐짝 취급 받는 것보단 훨씬 나을 거라고 장담해.

 

솔로들은 어쩌냐고? 쓸데없이 모여 봐야 한숨만 나올 테니 괜히 모여서 스트레스만 더 받지 말고, ‘이런 날은 외출하지 않는게 내 원칙이라고 해. 그리고 집에서 특집 프로그램이나 봐. 폭설에 한파가 밀려오길 기도하면서. . 이런 얘기는 여기까지.

 

1211, 미샤 마이스키+서울시향의 ‘3 Concertos’. 이렇게 유명한 연주자의 비싼 공연을 추천하긴 처음이야. 하지만 5만원 짜리 예술의 전당 B석이라도, 연말이고 뭔가 감성적이면서도 고상한 분위기를 즐기고 싶은 사람이라면 충분히 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봐.

 

누구든 포털사이트에 초본데 좋은 첼로 곡 좀 추천해 주세요라는 질문을 올리면 아마 브루흐의 콜 니드라이, 그리고 생상스와 드보르작의 첼로 협주곡이 1,2,3번 댓글로 달릴 거야. 그런데 이 세 곡을 한 자리에서 들을 수 있다면 아니 좋을 수가 없겠지. 3층이라도 충분히 즐길 만 해.

 

1212, 코리아심포니의 베토벤 교향곡 9합창’. 12월에는 합창을 들어야 한 해가 간다고 생각하는 사람 용. 베스트셀러는 정명훈의 서울 시향 연주지만 1226일과 27일 모두 매진이야. 그 안으로 추천할 만한 공연. 3만원짜리 A석이면 1층에도 앉을 수 있고, 15천원 짜리 B석도 괜찮을 듯.

 

 

 

 

국립 현대미술관이 서울 소격동에 서울관을 오픈하면서 기념 전시에 들어갔어. 국가대표 설치 미술 작가라고 할 수 있는 서도호의 집 속의 집 속의 집 집속의 집 속의 집을 비롯해 현재의 현대미술 지평을 그리는 연결-전개, ‘자이트 가이스트, ‘알레프 프로젝트전 등 모든 전시를 7000원에 볼 수 있지. 이런 건 일단 가 봐야 하지 않겠나?

 

겨울의 책이라면 역시 미스터리. 이번엔 미야베 미유키의 외딴 집을 추천하겠어. 미미 여사를 구태여 소개할 필요는 없을 것 같은데 이분은 최근 2이란 이름으로 에도 시대를 무대로 하는 일련의 작품들을 내놓고 있어. 이 작품군을 대표하는 작품은 뭐니뭐니해도 외딴 집이야.

 

10페이지만, 미미 여사 특유의 탄탄한 구성과 감탄을 자아내는 디테일을 읽어 가다 보면 어느 새 입을 떡 벌린 시커먼 동굴로 떨어져 에도 시대의 일본 어촌 마을로 툭 떨어지는 걸 느낄 수 있을 거야. 그리고 어느 시대나 힘 있는 자들의 게임 사이에서 희생되는 불쌍한 보통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지.

 

악인에 대한 응징과 복수가 시원하게 이뤄지는 활극을 좋아하는 사람에겐 안 맞을 수도 있겠지만, 다음 내용이 알고 싶어 쉴 새 없이 페이지를 넘기게 하는 미미 여자의 마력은 이 작품에서 진정 빛을 발한다고 생각해. 찬바람이 쌩쌩 부는 날, 바닥에 배 깔고 귤 까먹으며 보기엔 최고야. 신간이 아니라서 상/ 2권 세트에 12500원이면 살 수 있어.

 

정리하면, 

미샤 마이스키, 3Concerto B 5만원

코리아 심포니, 베토벤 교향곡 9합창’, B 3만원~C 15000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통합 관람권 7000

미야베 미유키, ‘외딴 집/하권 12500

합계 99500~84500

 

 

 

 

그러니까 이렇게 얘기를 해도, 명절이며 이름 있는 날에는 뭔가 복작거리는 데서 지지고 볶아야 제맛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꼭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12월24일이면 코엑스, 대학로, 홍대앞, 명동 언저리는 미어 터지다 못해 분노 범죄의 온상이 되고, 곳곳에서 패싸움과 난동으로 경찰서 보호실까지 만원이 됩니다.

 

물론 공연장도 일찍 일찍 도착하고, 예약 시간에도 꼭꼭 맞춰 가고, 이런 날 바가지 씌우지 않는(대부분의 레스토랑이나 카페 등속이 이런 날은 '스페셜 디너 코스'라는 이름으로 평소엔 하지도 않던 메뉴로 10몇만원씩 커플들의 - 주로 남자 쪽의 - 등골을 빼놓죠) 착한 업소를 찾고, 어디 가서 술 한잔 걸쳐 분위기를 낸 뒤에도 안전하고 쾌적하게 귀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놓는다면(아마도 기사 딸린 리무진 외에는 별로 없을 듯 한데...) 뭐 아무 상관 없을 겁니다.

 

 

 

 

하지만 그런 준비가 안 되어 있는 분들, 혹은 그러기엔 좀 사정이 열악한 분들은 저 위의 충고를 따르시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요즘은 아예 파티룸이라는 신종 공간도 임대 가능한 모양이던데 지금부터 서두르면 아직 남아있는 자리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싱글들은... 역시 위에 있는 행동강령을 따르시구요. 싱글들끼리 이런 날 밖에서 만나 봐야 우울증만 더 심해지고 사고 칠 가능성만 높아집니다. 그리고 이런 날 TV에서도 재미있는거 많이 하더라구요. 그래도 정 누구라도 만나야겠다 싶으면, 누구 하나 집에서 모이는게 제일 나을 거에요.

 

본론으로 돌아가 브루흐의 콜 니드라이(Kol Nidrei)는 '첼로라는 악기의 매력'에 대해 이야기 할 때 가장 먼저 들어야 할 곡으로 이미 정평이 나 있습니다. 게다가 길이도 10분 정도.

'콜 니드라이'는 히브리어로 '신의 날'을 뜻한다고 합니다. 곡의 분위기는 곧 '참회의 기도'. 미샤 마이스키의 연주는 어렵지 않게 구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현장에서 듣는다면 훨씬 강렬한 느낌.

 

 

이어서 하나 더 듣는다면 생상스의 첼로 협주곡. 드보르작의 첼로 협주곡보다 조금 덜 알려졌다고 할 수 있지만 1악장부터 폭풍처럼 휘몰아치는 초절정의 기교는, 흔히 첼로라는 악기에 익숙지 않은 사람들이 갖고 있는 '뚱뚱하고 둔해 보이는 악기'라는 선입견을 확 날려 버립니다.

 

아울러 베토벤 교향곡 9번은 어쩌다 보니 연말의 '반드시 들어야 하는 선택' 처럼 된 느낌이라 소개했습니다. 지난해 서울 시향의 경우에는 '합창'과 모짜르트의 레퀴엠 공연이 모두 12월에 있어 분산되는 효과도 있었는데, 올해는 너무 몰린 듯.

한 해를 정리하는 느낌으로는 개인적으로 이 곡도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하는데, 아무래도 합창교향곡 만큼의 대중적 인지도는 없어서 덜 연주되는 듯 합니다. 물론 베토벤의 9번 교향곡도 4악장의 합창 부분이 잘 알려졌다 뿐이지 1,2,3악장은 그리 말랑말랑한 곡은 아닙니다만...^^

말러 교향곡 2번, '부활' 5악장의 피날레, 역시 합창 부분입니다. 레너드 번스타인의 런던 필하모니 연주.

 

 

혹시 이 곡을 모르시는 분이라면 위 피날레 부분 만이라도 들어 보시라고 강하게 권하고 싶습니다. 특히나 총 1시간 30분의 대곡이 이 거대한 합창으로 마무리되는 시점의 감동이란. 내년 6월5일에는 서울시향 스케줄에 이 곡이 잡혀 있습니다. 그러고 보면 내년 리스트에는 말러의 교향곡이 3곡(2번, 5번, 10번)이나 들어 있군요.

 

 

미야베 미유키의 '외딴 집'은 첫 장을 열면 그야말로 에도 시대로 빨려들어가는 듯한 섬세한 묘사가 일품입니다. 물론 이런 평가에는 필연적으로 취향이 큰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적으론 미야베 미유키의 작품 중 하나만 꼽으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아마 이 '외딴 집'을 꼽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럼 연말. 숙취 조심하시길.

 

아래 네모칸 안의 손가락 모양을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fivecard5를 팔로하시면 새 글 소식을 빨리 아실 수 있습니다.

728x90

스페인 여행 둘쨋날. 역시 아침부터 바르셀로나 여행에 나섰다.

 

전날과 마찬가지로 유로자전거나라 투어. 이번엔 도시 곳곳을 누비는 속살 투어다. 특히 전날 밤 투어에서 다녀 본 길들을 낮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는 점도 끌렸다. 다만 걷는 거리가 이만저만 아닐 것 같아 다소 긴장했다.

 

그런데 정작 집합한 뒤, 카탈루냐 광장 맞은편의 카페로 향한다.

 

 

카페 이름은 4Gats. 4가 Quatro라 콰트로가츠라고 읽는다. 정식 이름은 카탈루냐어로 Els Quatro Gats 다. gat이 영어의 cat이니 네 마리의 고양이란 뜻.

 

이 카페가 바르셀로나에서 무명 시절의 피카소가 늘 죽치고 앉아 시간 때우던 유서깊은 곳이라는 거다. 갈 데가 없어 하루 종일 자리 차지하고 있던 피카소에게 가끔씩 커피도 한잔씩 서비스로 주고 하던 주인장이 사실상 피카소를 키웠다는 이야기. 피카소 뿐만이 아니고 이 카페는 당대 스페인 화단의 문화적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럴 수 있었던 것은 이 카페의 주인이 당대의 유명 화가인 라몬 카사스 Ramon Casas 였기 때문. 파리를 늘 동경했던 카사스는 바르셀로나에도 파리의 유명 카페들처럼 예술가들의 보금자리가 될만한 곳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가게(?)를 열었다.

 

아래 그림이 카사스의 유명한 대표작. 자전거 앞자리에 수염난 사람이 카사스 자신, 뒷자리 사람은 콰트로가츠의 공동 경영자인 페레 로메우 Pere Romeu라고 한다.

 

 

여기 있는 그림은 사본이고 진본은 박물관에 있다고.

 

 

 

아무튼 화가들답지 않게 경영 수완도 좋았던지 4Gats는 오늘날까지도 같은 자리에서 성업중이다. 얼마 전 바르셀로나를 무대로 한 우디 앨런의 영화 '내 남자의 여자도 좋아 Vicky Cristina Barcelona' 에도 나왔다. (사실 제목이 주는 기대감과는 달리 이 영화에는 바르셀로나의 풍광이 그닥 많이 소개되지 않는다.)

 

바로 이 아래쪽 자리 중 하나다.

 

 

 

 

아무튼 1897년부터 성업해온 유서깊은 곳 답게 곳곳이 예쁘고 아늑하다.

 

 

 

 

그리고 그 안에서 피카소의 일대기(말하자면 피카소와 일곱 여자-아내의 역사 이야기)를 듣는 것이 이날 바르셀로나 투어의 시작이다.

 

사실 공식적인 미술사를 보면 피카소는 수없이 변신한다. 초기 - 청색시대 - 장밋빛시대 - 아프리칸 - 입체파 - 신고전주의 - 다시 입체파 - 자유분방한 만년으로 계속해서 바뀌는 스타일을 보였다. 막연히 이렇게만 알고 있던 터에 그 변화의 시기마다 피카소의 내면이 흔들릴만한 생활 면에서의 변화가 있었다는 설명은 매우 흥미로웠다.

 

예를 들어 창백하고 우울한 청색시대는 피카소의 청년기 절친이었던 카를로스 카사헤마스 Carlos Casagemas의 자살, 그리고 1901년 파리로 건너가 느낀 '나는 우물 만 개구리였구나'와 식의 느낌에서 온 절망감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얘기다. 피카소가 1881년생이니 이 해 나이 만 스무살. 이 콰트로가츠에서 늘 어울리던 친구, 그리고 파리로 같이 청운의 뜻을 품고 유학간 친구가 모델에게 구애하다가 거절당하고 자살한 사건 정도면 충분히 인생을 바꿔놨을 만 하다.

 

 

 

이 청색시대를 대표하는 그림 '인생 La Vie'에 등장하는 남자가 바로 카사헤마스라는 설명. 피카소의 친구에 대한 애도가 느껴진다. 아무튼 이 청색시대는 피카소에게 사랑이 찾아오면서 끝난다. 역시 젊은이에겐 사랑이 약. 피카소가 모델 페르난도 올리비에 Fernando Olivier 와 사랑에 빠지면서 우울한 청색은 사라지고 바로 장및빛 시대가 시작된다.

 

 

 

 

피카소는 올리비에의 초상만 100장 이상 그렸다고 전해진다. 아무튼 피카소가 여자를 총 몇명 사귀었는지는 도저히 알 길이 없으나, 그의 여성 편력에서 시작점은 늘 이 올리비에다.

 

 

 

 

에바 구엘 Eva Gouel - 피카소의 초기 입체파 시기. 하지만 구엘은 1912년 피카소를 만나고 3년만에 결핵으로 병사한다. 깊이 사랑했다고는 하나, 피카소는 죽기 직전의 그녀를 나몰라라 했다고 전해진다.

 

(이 대목에서 인상적인 이야기: 피카소는 본래 현실적인 성격이고,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매우 민감했다. 예를 들어 피카소가 처음 '아비뇽의 처녀들'을 그린 것은 1907년이었지만 당시 주위 사람들이 '그게 뭐냐'고 일제히 혹평을 해 대자 장롱 깊숙히 그림을 감춰 두었다가 1916년, 시대가 큐비즘을 받아들일 때가 되었다는 판단이 서자 전시에 내놨다...는 이야기. 이유야 어쨌든 '아비뇽의 처녀들'이 9년 동안 미발표작으로 남아 있었던 건 사실이다.^^) 

 

 

 

올가 코흘로바 Olga Khokhlova - 러시아 발레단의 발레리나. 이 시기 피카소는 화단의 기린아로 칭송받고 경제적으로도 안정되면서 과도한 실험성에서 도피, 신고전주의의 화풍을 지향한다. 어쨌든 피카소가 실제로 결혼한 첫 여자는 올가.

 

사실 수많은 여자관계에도 불구하고 피카소가 단 두번밖에 결혼을 하지 않은 것은 바로 올가가 이혼을 거부했기 때문이라고.^

 

 

 

 

마리 테레즈 발터 Marie-Therese Walter - 1927년, 피카소는 17세의 마리 테레즈를 만난다. 임신중이던 아내 올가는 마리 테레즈도 임신중이라는 사실을 알고 격분해 이혼을 요구하지만 피카소는 재산 분할을 거부. 따라서 올가는 1955년 죽을 때까지 피카소의 아내라는 법적 지위를 유지한다. 

 

아무튼 마리 테레즈는 피카소의 대표작 중 하나인 '꿈(위 그림)'의 주인공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가 그린 마리 테레즈의 얼굴들을 보면 평온함과 행복이 느껴진다. 반면...

 

 

 

 

도라 마르 Dora Maar - 피카소가 '게르니카'를 낳을 수 있게 했던 여자라는 평. 사진작가이며 그 스스로도 예술가여서 피카소 자신도 스스로에게 영감을 주는 여자라고 불렀다고 함. 1936~1944년 사이 피카소의 연인이었지만, 자유분방한 피카소에게 너무 집착하다가 정신병원 신세를 지게 됐다. 피카소의 유명한 '우는 여자(위 그림)' 연작 그림이 바로 신경쇠약으로 피카소만 보면 눈물을 흘렸다는 도라 마르를 모델로 한 것이다.

 

마리 테레즈를 그린 그림과 뒷날의 도라 마르를 그린 그림 만큼 그 여자들의 의미를 잘 보여주는 비교도 없을 듯.

 

 

 

 

 

프랑수아즈 질루 Francoise Gilot - 가장 얘깃거리가 많은 여자다. 1943년, 62세의 피카소는 22세의 미술학도 를 만나 깊은 관계에 빠진다. 젊은 연인의 활력 덕분인지 이 시기의 피카소는 '고전 다시 그리기'의 새로운 세계에 진출한다.

 

 

 

이 그림도 지금은 고전으로 대접받고 있지만, 이 그림을 그릴 무렵의 피카소는 자신감이 흘러 넘친 나머지 "야, 내 그림이 벨라스케스 그림보다 훨씬 낫지 않아?"하고 물어 많은 사람을 곤혹스럽게 했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화면 아래쪽의 개 그림에서 피카소의 유머 감각이 돋보인다. 이 개는 1992년, 바로 유명한 이 개의 모델이 된다.)

 

 

 

바로 바르셀로나 올림픽 공식 모델인 코비 Cobi. 어딘가에서는 피카소가 키우던 개 이름이 바로 코비였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확실치 않다. 아무튼 잠시 곁길로 이야기가 샜다.

 

 

 

질루는 60이 넘은 피카소의 일방적인 만행과 왕자병, 그리고 끊이지 않는 젊은 여자들과의 스캔들에 피카소와 결별해 버린다. 그리고 나서 다른 식으로 피카소에게 복수를 했다. '피카소와의 삶 Life with Picasso'라는 자서전 풍의 책을 내면서, 한 해변에서 늙은 피카소가 큰 양산을 들고 젊은 자신을 공주처럼 모시고 따라다니는 장면의 사진을 표지로 사용한 것이다. 누가 봐도 '망할 놈의 영감, 어디 엿 좀 먹어 봐라' 라는 느낌이 강렬하다.

 

 

 

유사 이래 수많은 예술가들은 젊은 연인을 사귀면서 자신의 창의성을 유지했던 것 같다. 피카소 역시 젊은 여성들에게 끝없이 끌렸던 것이 바로 야수와 같은 창작력의 원천이 아니었나 싶다. 질루는 이에 대해 "그 '성스러운 괴물(sacred monster)'에게 자신을 희생하지 않은 여자는 나 뿐"이라며 피카소의 이기적인 모습을 고발했지만... 그렇게 해서 그 자신이 얻은 건 무엇일까 싶기도 하다. 아무튼 질루가 낳은 딸 팔로마 피카소는 뒷날 티파니의 보석 디자이너로 명성을 떨쳐 피카소의 자손들 중 가장 유명한 인물이 됐다.

 

 

 

 

자클린 로케 Jacqueline Roque - 유로자전거나라 설명에선 '피카소도 결국 질루 이후 지친 탓인지 만년은 35세의 과부와 보냈다'고 되어 있었지만 다른 기록을 보면 피카소는 1953년 27세의 이혼녀 로케를 처음 만났다. 이 시기, 피카소는 도자기에 새롭게 몰입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61년, 80세의 피카소는 35세의 로케와 두번째 결혼식을 올린다. 그러니까 로케 역시 피카소가 좋아했던 '젊은 여자'였다. 단지 오래 버틴 젊은 여자였을 뿐이다. 운이 따랐다면 피카소와 관계를 맺고 있는 사이 '공식 아내'인 올가 코흘로바가 1955년 사망했다는 것. 그렇게 해서 로케는 피카소의 '아내 2호'가 됐다.

 

피카소의 두번째 결혼은 1973년 피카소의 죽음까지 이어졌다. 당연히 질루를 비롯해 수많은 과거의 연인들, 피카소의 '씨'를 낳은 엄마들이 재산에 대한 권리를 놓고 도전해 왔고, 로케는 이들과 맞서 '피카소의 아내' 자리를 지켰다. 그러던 1986년, 로케는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설명에 따르면 로케는 피카소의 장례식에 다른 유족들의 접근을 막을 정도로 독점욕이 강했다고 한다.)

 

여기까지가 피카소 이야기 끝.

 

[물론 저는 미술사 전문가도 아니고, 바르셀로나를 다녀 온 여행객일 뿐입니다. 가이드의 설명에 제가 알고 있던 것들을 덧붙여 쓴 글입니다. 혹시 더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 분이 이 글을 읽으시면 가차없이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커피 한 잔과 함께 이런 이야기를 피카소가 쭈그리고 앉아 있던 카페에서 듣는 느낌도 색달랐다.

 

 

 

바르셀로나 시가 인증한 문화공간으로서의 표석. 바르셀로나 곳곳에 이런 식의 유적 인증 표지가 있다.

 

 

 

"아저씨, 제가 죽치고 있어도 뭐라고 안 해 주셔서 감사해도. 혹시 제가 뭐 해 드릴거라도 없을까요?"

"음. 너 곧잘 그리는 것 같은데 우리 가게 포스터 하나만 그려 봐라."

"포스터요? 네. 알겠습니다. 안 그래도 요즘 로트렉 그림이 마음에 들더라구요."

 

뭐 대략 이런 과정을 거쳐 탄생했을, 피카소가 그린 4Gats의 포스터.

 

이렇게 해서 첫 코스인 4Gats를 나서 피카소 미술관 Museo Picasso 로 간다.

 

 

 

 

 

 

좁다른 고딕 지구의 골목길을 수십번 꺾어져서 도착한 곳이 바로 피카소 미술관. 왜 피카소 미술관인데 철자에 하나도 들어 있지 않은 'B' 마크를 달고 있는지는... 모르겠다.

 

 

 

생각해 보니 바르셀로나 시의 공식 문장인 것 같기도 하다.

 

 

 

 

한 귀족 가문 저택을 개조해서 만들어진 덕분에 중정이 있는 고운 건물 구조가 그대로 드러나 있어 아름답다. 규모나 소장품의 수가 결코 어마어마하지는 않지만, 위의 이야기 속에서 여자들(!)과 함께 거론된 피카소의 시대별 변천사를 일목 요연하게 정리할 수 있는, 잘 정돈된 미술관이었다. 입장료 11유로. 월요일 휴관.

 

절대 후회하지 않는다. 특히나 이 글을 읽고 갔다면.^^

 

 

 

 

피카소 미술관에서 역시 다시 좁은 골목길을 내려오다 보면 갑자기 하늘이 파랗게 넓어지면서 빛을 한껏 안고 나타나는 건물이 있다. 바로 바르셀로나를 대표하는 성당 중 하나인 산타마리아 델 마르 Santa Maria del Mar.

 

1384년 완공될 당시에는 이 성당 바로 앞까지 바닷물이 찰랑찰랑 하는 해변이었다고 한다. 산타마리아는 잘 알려진대로 뱃사람들을 수호하는 역할.

 

 

 

 

고전적인 사원의 양식미가 잘 살아 있다.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 처럼 전 세계에 단 하나 있는 아름다움과는 좀 다르지만, 아무튼 내부에 들어서면 위압감과 안정감이 동시에 느껴지는, 유럽 대 성당의 느낌에 충실하다.

 

 

 

그렇지만 고전적이기만 하지는 않다. 수많은 스테인드 글라스 중에는 1992년 이후에 만들어진 것이 하나 있다.

 

1992년은 바로 바르셀로나에서 월드컵이 열린 해.

 

 

자세히 보면 수많은 이니셜들이 쓰여 있다. 바르셀로나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들 중 메달리스트들의 이름 철자를 이용해 장식한 스테인드글라스다. 누가 찾아냈는지 모르겠지만 이 중에 황영조 선수의 이니셜이 있다고 한다.

 

눈 밝은 사람이 좀 찾아 주기 바란다. 내 눈엔 안 보여서.

 

 

 

 

 

70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산타마리아 델 마르는 여전히 예배를 보는 성당으로서의 역할을 완수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이 카탈루냐 카톨릭의 상징인 검은 성모상.

 

본래의 검은 성모상은 이슬람 지배 초기, 이교에 대한 박해를 겁내 지하로 숨어들어갔던 시절의 유물이다. 그때도 처음부터 검은 색이었던 것은 아니고, 지하 동굴 성당에서 예배를 보려니 촛불이나 횃불의 그을음 때문에 성모상이 검게 변했다는 것. 그 전통을 기려 이렇게 지상에 나와 있는 성모상에도 검은 칠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오리지널 검은 성모상은 바르셀로나 근교 도시 중 유명한 관광지인 몬세라트에서 볼 수 있다고.

  

 

 

이렇게 해서 오전 일정 끝. 한여름은 아니지만 바르셀로나의 태양은 여전히 빛나고 있었다.

 

 

 

오후엔 난데없이 바르셀로나 뒷골목에서 위대한 한국인과 마주치게 된다. 대체 누구?

 

 

 

728x90

[히든싱어 아이유]

 

'히든싱어 2'의 아이유 편이 화제입니다. 아이유의 역대 최다 득표도 놀랍지만 아이유 모창 도전자로 출연했던 영국 출신의 샤넌(다음 검색어로는 섀넌^^), 걸그룹 투아이즈 멤버 김연준, 그리고 영국에서 온 또 다른 도전자 안나 등이 모두 화제의 대상입니다. 샤넌은 밤새 내내 포털 검색어에 남아 있더군요. 걸그룹 파이브걸스 멤버로 잠시 활동한 이력까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사실 화제도 화제지만, 아이유 편은 '히든싱어' 제작진에게 '히든싱어'라는 프로그램이 또 한 단계 진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줬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히든싱어'는 제작진에겐 매우 힘든 포맷입니다. 이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디어는 2012년 연말 갑자기 나온 게 아닙니다. 많은 연출자들이 이 프로그램의 시놉시스를 검토했지만, 대부분 '제작 불가능'이라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뭐니뭐니 해도 모창의 어려움. '히든싱어'에 출연하는 가수들은 '말하자면 국민 가수'들입니다. 10년, 20년씩 히트곡을 계속해서 낳으며 정상에 군림하고 있는 가수들이죠. 이 가수들이 한해에도 수백명씩 나오는 새로운 도전자들에 맞서 자기의 자리를 지킨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그만치 남과 확연히 차별화되는 개성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식으로 말하면 이 가수들이 10년, 20년 씩 장기집권을 하고 있는 건 이미 '복제 불가능' 도장을 받은 상태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대중의 귀는 냉정합니다. 어지간하면 흉내낼 수 있는 가수에게 국민 가수의 특권을 절대 용납하지 않습니다. (그런 면에선 경력은 짧지만 아이유도 마찬가지. 아이유는 이번 '히든싱어' 출연을 통해 '아이유는 왜 아이유인지' 를 확실하게 다시 한번 부각시켰습니다. 오히려 아이유도 '히든싱어'에 나올만 한 가수라는 점이 더 분명해졌습니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2012년 이전에 '히든싱어' 아이디어를 접했던 연출자들은 '그게 말이 되냐'고 웃어 넘긴 것입니다. 반면 그 어려움을 극복했기 때문에 JTBC '히든싱어'는 대중에게 사랑받는 프로그램이 된 거죠. 그리고 더더욱 신승훈 조성모 편에서 일어난 일들을 '기적'이라고 부르는 겁니다. 선배 가수에 대한 존경과, 그렇게 되고 싶다는 열망이 100명의 청중으로 하여금 혼동을 일으킬 정도로 비슷한 효과를 낸 것이죠.

 

이쯤에서 다시 보는 신승훈 편 출연자 장진호의 우승 비결.

(물론 '신승훈의 배려'를 절대 빼놓을 수 없겠죠.^^)

 

 

 

 

'히든싱어'에 지난 1년간 20여명의 가수들이 출연하면서 시청자들의 기대 수준이 높아진 것도 분명한 사실입니다. 아마 파일럿으로 제작됐던 박정현 편이나 김경호 편을 지금 다시 본다면, '어, 생각보다 안 비슷했잖아?'라고 생각할 시청자들도 꽤 있을 겁니다. 이런 프로그램을 처음 봤을 때 '우와, 다섯명이 나왔는데 다섯명이 다 박정현이네?' 했던 신기한 느낌은 점점 사라져 갑니다. 회를 거듭하면서 시청자들의 요령은 점점 늘어나고 전편보다 더 비슷한 모창능력자를 기대하게 되지만, 모창자들의 수준이 높아지는 데에는 분명히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나 백지영이나 윤도현 처럼 타고난 음색이 독특한 사람들을 똑같이 흉내내는 건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유 편은 도전자의 캐릭터를 통해 새로운 재미를 창출해 냈다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물론 그동안도 간간이 모창 도전자들의 사연이 화제가 된 적은 있었지만, 아이유 편만큼은 아니었습니다. 주인공 가수와 '너무 비슷해서'가 아니라 '아주 똑같지는 않은데 이 아이도 주목할만 해!'라는 걸로는 아이유 편의 샤넌이 첫번째 케이스가 아닐까 싶습니다.

 

혹시 방송을 못 보신 분이라면 샤넌의 이 노래를 놓치면 안 됩니다.

 

 

 

 

시청자들은 사년의 I dreamed a dream 을 들으면서 샤넌의 마음 속에 있는 간절한 꿈, 옆에 서 있는 아이유 처럼 되고 싶다는 간절한 소망을 읽었을 것입니다. 유영석이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났다'는 것도 이해가 갈 정도로 인상적인 가창이었죠.

 

(그런 의미에서 매우 적절한 선곡이었다는 느낌입니다.)

 

또 '히든싱어'에 출연한 가수 중 최연소인 아이유에게는 이날 샤넌과 김연준의 등장이 다른 누구보다 큰 의미로 다가왔을 듯 합니다. 아직 자신도 가수로 더 성장해야 할 나이에, 이미 자신을 우상으로 삼고 노력하고 있는 '후배'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는 사실을 새삼 느끼게 됐을테니 말입니다. 이제 '선배로서의 책임'과 '가수로서 나이들어 간다는 것'에 대한 고민이 아이유에겐 더 큰 발전의 계기가 되겠죠.

 

 

 

 

이 그림은 유명한 앙리 마티스의 '춤 La Danza' 연작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이 그림은 최근 피게레스의 달리 미술관에서 본 살바도르 달리의 '풍자적 구성 Satirical compositon' 이라는 그림입니다. 달리가 19세 때 그린 그림. 아닌 분도 있겠지만 제게는 보자 마자 위 그림이 생각나게 하더군요.

 

작가들도 좋아하는 선배 작가의 문장을 통째로 베끼는 데서부터 문학 수업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나만의 개성을 얻기까지 남의 재능을 닮고자 노력하는 것은 장르를 불문하고 드문 일이 아닙니다.

 

이제부터는 '아주 똑같지는 않아도 그렇게까지 닮으려는 노력을 보이는 후배들의 모습'을 즐기는 것도 '히든싱어'를 보는 즐거움이 될 듯 합니다. 그리고 그들에게는 그렇게까지 해서라도 자신의 우상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려는 이유가 있겠죠. 그런 이유들은 그들이 갖고 있는 꿈과 바로 연결될 것이고 말입니다.

 

언젠가는 '히든싱어'라는 프로그램이, 그런 미래의 스타들에게 한번쯤 '나도 이렇게 나의 우상과 닮으려고 애쓰던 시절이 있었지'라는 훈훈한 추억으로 기억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생깁니다.

 

P.S. 그나자나 샤넌 참 귀엽군요.

 

 

 

 

 

11세 때 '스타킹'에 출연한 모습.

 

 

 

그리고 이건 브래드 리틀과 함께 '오페라의 유령' 시연하던 모습.

 

 

 

 

현재까지는 파이브돌스 멤버로 잠시 활동하다가 솔로 데뷔를 준비하고 있다는 정도만 알려져 있습니다.

 

과연 샤넌의 코리안 드림은 어떻게 될지, 앞으로 지켜보는 것도 흥미롭겠군요.

 

 

 

 

728x90

하룻밤을 자고 나왔다. 이쯤에서 숙소 소개를 한번쯤 하는 것이 예의가 아닐까 한다.

 

바르셀로나 in, 마드리드 out으로 일정을 잡았기 때문에 바르셀로나는 일단 스페인에 처음 발을 디디고 적응해야 하는 곳이라 질의응답이 꽤 필요할 거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숙소는 한인 민박으로 잡았다.

 

그 많은 바르셀로나의 한인 민박 가운데 까사꼬레아나 http://www.casacoreana.com 를 선택한 이유는 첫째, 손님을 많이 받을 수 없는 구조였고(더블 룸 하나, 트윈 룸 하나가 전부다) 둘째, 방마다 전용 욕실이 딸려 있다는 점이었다. 물론 그 외에 '음식이 좋다!'는 부가적인 평가가 있었지만 그건 사실 직접 가 봐야 알 수 있는 일이다. 

 

나이 먹은 부부가 여행하면서 욕실이 딸리지 않은 방에서 묵는다는 건 참 쉽지 않은 일이다. 샤워를 하기 위해 복도를 걸어가서 다 씻고 물기를 닦은 뒤 속옷까지 갈아 입고 다시 복도로 나와 방으로 돌아간다는 건 생각보다 훨씬 번거롭다. 아, 물론 나도 대략 15년 전만 해도 그런 민박의 도미토리에서 자고 여행을 다녔다. 그때는 공동욕실을 쓰고, 칸막이 하나 없는 큰 방에서 다 같이 잤다. 그 시절에 누가 나에게 욕실이 딸린 방이어야 하기 때문에 민박집 방에 1박 85유로를 낸다고 했으면 미쳤다고 했겠지만, 사람이 그럴 때가 있었으면 안 그럴 때도 오는 법이다.^^

 

 

 

머문 방 사진. 쿠션이 지나치게 푹신한 느낌이 있긴 하지만 아무튼 깔끔하고 편안했다. 이 사진은 직접 찍은 게 아니고 http://www.casacoreana.com/ 에서 퍼 왔다.

 

하지만 방은 별 변수가 아니었다. 정말 놀란 건 아침 상을 받아 보고 나서다.

 

 

 

 

 

 

네 번의 아침이 모두 감동적이었는데 먹느라 정신을 뺏겨서 두번은 사진 찍을 생각을 못했다.

 

사실 평소 진밥 애호가인 본인은 건강을 생각해서 주신 현미밥이 너무 된밥이라 좀 먹기 힘들긴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박 하는 동안 제공된 식사가 너무나도 감격적이었다는 점은 꼭 강조하고 싶다. 정말이지 바르셀로나까지 가서 저런 아침밥을 먹게 될 거라곤 상상하지 못했다.

 

물론 관광 정보는 덤. 주인댁 부부가 바르셀로나 안내 서적을 쓰셨던 분이다. 굳이 더 말할 필요가 없다.

 

 

 

홈페이지에 없는 욕실 사진. 마루바닥이고, 하루에 사람 수대로 수건 1장씩이 제공된다. 비누, 샴푸, 헤어 드라이어는 기본 제공. 당연히 온수 무제한. 욕실에 창도 있어 습기를 뺄 수 있다.

 

위치는 지하철 5호선 산츠 역에서 걸어서 5분(진짜 5분). 전철로 바르셀로나 관광의 중심인 카탈루냐 광장까지 15분 정도 걸린다. 전철역까지 오가는 길 도중에 저렴한 중국 수퍼가 있어 간식거리며 과일 등을 살 수 있고 집에서 1분 거리에 꽤 괜찮은 식당이 있다(나중에 맛집으로 소개 예정).

 

뭐 숙소가 카탈루냐 광장에 있어 밤에 걸어서 숙소로 들어갈 수 있다면 그것도 괜찮은 일일 듯 한데, 이 정도 거리에 조용하고 넉넉한 공간이 있는 것도 대단히 만족스러웠다. 다른 숙소는 다른 숙소대로 장점이 있겠지만, 아무튼 숙소 선택은 대만족. 추천한다.

 

내친 김에 바르셀로나 교통 요령도 간단 설명.

 

지하철은 단기간 체류 예정이라면 T-10 이 매우 편리하다. 모든 전철역에 이렇게 생긴 판매기가 있다.

 

 

 

 

T-10이라고 써 있는 표를 사면 된다. 9.8유로. 명함 크기 정도의 종이 티켓이 나온다. 이걸로 지하철과 버스를 10회 탈 수 있다. 단 70분 이내 환승은 1회로 친다. 표 한장으로 둘이 나눠 쓸 수도 있다. 물론 2회씩 차감된다.

 

 

 

아래쪽은 뒷면. 한번 탈때마다 긴 숫자가 찍히는데, 마지막 숫자만 보면 된다. 그 숫자가 앞으로 탈 수 있는 횟수를 보여준다. 잘 보면 긴 숫자의 마지막 자리 숫자가 하나씩 줄어드는 걸 알 수 있다.

 

 

 

사실 바르셀로나 지하철이 그렇게 깨끗하거나 환상적이진 않다. 외국 나가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세계 어디를 가도, 한국 지하철 만큼 삐까뻔쩍 깨끗하고 넓고 잘 관리된 전철은 없다고 봐도 좋다. 바르셀로나 지하철도 한국 지하철보다 작고 좁은데, 장점이 있다면 배차간격이 엄청나게 짧다. 차를 하나 보냈나 싶으면 금세 다음 차가 온다. 지루하게 기다린단 느낌이 거의 없다.

 

 

 

산츠 에스타시오 Sants Estacio 는 척 보면 알 수 있듯 '산츠 역'. 바르셀로나의 가장 대표적인 역이다. 주요 도시로의 연결은 모두 산츠 역을 이용한다.

 

 

 

타고 내릴 때 소르티다 Sortida(출구) 라는 표지만 보면 이용 준비 끝. 숙소의 위치가 누만시아 Numancia 거리였으니 '소르티다 누만시아'로 나가면 된다. 쉽지?

 

 

 

흔히 바르셀로나 관광객은 5호선(녹색선)만 잘 타면 된다고들 하는데 뭐 경험상 그 말이 맞는 것 같다. 맨 오른쪽 끝의 산츠 역에서 두 정거장만 가면 몬주익 언덕/분수쇼/카탈루냐 미술관 등의 관광 거점인 에스빠냐 광장 Espanya 역이다.

 

해변 쪽으로 갈거면 Parallel(빠라옐? 뭐라고 읽는지 잘 모르겠음)이나 Drassanes에서 내리면 되고, 람블라 거리와 구 시가(고딕 지구)를 갈거라면 리쎄우 Liceu 나 카탈루냐 Catalunya 에서 내린다. 뭐 쇼핑이 목적이라면 그라시아 거리 Passig de Gracia 까지 가면 되고. 아래 숫자가 있는 역은 당연히 환승역이다.

 

 

까딸루냐 역에 내리면 당연히 소르티다를 보고 나갈 방향을 찾는다. 카탈루냐 광장에서 가장 많이 갈 방향은 당연히 람블라 거리 쪽. Rbla가 Rambla를 줄여 쓴 거다. 이 글자만 눈에 들어오면 지하철에서 헤맬 일은 없다.

 

아무튼 서울 사람을 기준으로 말하면, 바르셀로나는 매우 아담한 도시다. 지도상으로 멀어 보여도 사실은 골목 돌면 거기다. 서울에서 강 한번 건너면 기본이 30,40분인 거리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이동 시간은 그리 두려워 할 필요가 없다.

 

 

 

택시 요금 체계가 약간 희한하긴 한데, 다른 유럽 도시들에 비해 바르셀로나 택시 요금은 그리 비싼 편이 아니다. 최저 요금인 T1 체계와 할증인 T2, T3가 있다. 모두 기본요금은 2.05 유료인데 그 다음 Km당 요금이 다르다.

 

주의할 점은 평일 할증 시작 시간이 밤 12시가 아니라 저녁 8시라는 것. 그리고 토요일 밤과 일요일 밤은 T3가 적용된다. 뭐 그렇다는 얘긴데, 기왕 피곤해서 택시를 탔다면 할증도 그렇게 크게 긴장할 정도는 아니다.

 

아, 공항에서 밤에 시내로 들어갈 때에는 30유로 정도 나온다.

 

 

 

 

아무튼 교통안내는 여기까지. 둘쨋날도 매우 고된(?) 관광의 길이 기다리고 있었다.

 

 

손가락 모양 추천 버튼을 눌러 주시면 좋고,

@fivecard5 를 팔로하시면 새 글 소식을 얼른 아실 수 있습니다.

 

 

728x90

유구무언입니다만...

 

그러니까 여행도 좀 다녀오고 하느라고 11월을 건너 뛴 걸 잊고 있었다는.

 

아무튼 한 분도 '왜 11월은 없냐'고 재촉해 주시지 않은 점도 약간 원망스럽습니다.

(전형적인 책임 떠넘기기)

 

뭐, 지나갔지만 아 11월엔 이런 것들이 있었구나 하는 생각으로 봐 주시길.

 

대신 12월엔 정상적으로 퍼 올리겠습니다.

 

 

 

 

 

 

10만원으로 즐기는 11월의 문화가이드

 

잠시 훑어보니 클래식 쪽의 11월 라인업이 정말 화려해. 2~3일 모스크바 필, 11~12일엔 베를린 필 내한공연. 솔로이스트로는 정경화와 랑랑. 오페라의 해답게 예술의 전당에서만 네 편의 오페라가 올려지더군.

 

물론 베를린 필 공연(45만원짜리 R석은 약간 남아 있는지도) 7만원 짜리 C석은 아예 구하는게 불가능한 상황이야. 재수 좋게 구한다 해도, 과연 그런 공연에 7만원을 투자하는 게 얼마나 큰 의미일까. 이게 바로 지금 당신이 읽고 있는 이 칼럼의 출발점이야.

 

그래. 45만원짜리 2장을 예매하면서 싸잖아. 베를린까지 가는 왕복 비행기표와 숙박료를 생각해 봐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어(틀린 말은 아니야). 단지 차는 안전이 최고라는 이유만으로 벤츠 S600을 사는 사람도 있으니까(물론 훌륭한 이유지). 그런데 그렇게 하지 못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좀 적은 비용으로 높은 문화적 효용을 누릴 수 있는 지혜를 나눌 필요가 있겠지. 그래서 이런 칼럼도 필요한 거고.

 

그런 의미에서 19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메조소프라노 막달레나 코체나(공연 포스터에 코제나라고 되어 있는데 체코 출신에 Kozena니까 코체나가 맞을 거야)의 첫 내한 공연에 한번 투자해봐. 사이먼 래틀 경을 못 보니 대신 그 부인을 만나 보라는 얘기만은 아니야.

 

코체나는 래틀과의 사이에 두 아들이 있다는 것, 그리고 늘씬한 미모라는 점 때문에 더 유명해진걸 부정할 순 없겠지만 가창력으로도 세계 정상급이야. 특히 이번 공연의 주 레퍼토리인 초기 바로크 시대 음악엔 더욱 강점이 있지. ‘카르멘류의 선곡으로 관객에게 아부하려는 공연이 아니라는 점에서 가산점. 좌석을 확인해 보니 2층 사이드가 5만원짜리 B석이야.

 

 

그 다음엔 112, 예술의전당 IBK 챔버홀에서 열리는 바흐, 피아졸라를 만나다를 추천하고 싶어. 두 작곡가 모두 시공을 초월한 팬덤을 갖고 있지만 이렇게 하나의 무대로 엮는 건 그리 보편적인 접근은 아니야. ‘브라질 풍의 바흐를 작곡한 빌라 로보스도 아니고 피아졸라?

 

주최측의 설명은 “17세기 클래식 음악계에서 바흐가 했던 역할과 피아졸라가 그 시대에 했던 역할을 비교한다는 건데, 무엇보다 두 개의 세계 모두, 혹은 둘 중 어느 한 쪽에만 익숙해 있는 청중이라면 이런 식의 조합이 음악적 소양을 넓히는 데 매우 큰 도움이 될 거야. 특히나 전문가 해설이 덧붙여진 경우라면. 55천원과 33천원인데, 전에도 얘기했지만 IBK홀은 그리 큰 공연장이 아니므로 33천원이면 충분하다고 봐.

 

 

 

 

아낀 돈으론 김환기 탄생 100주년 기념 전시 김환기, 영원을 노래하다를 보러 가. 서울 부암동 환기미술관에서 1228일까지. 사실 그 자리에 늘 있는 환기미술관이니 100주년 기념 전시라 해서 특별히 다를 게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 그래도 이런 기회에 부암동 나들이도 하고 그러는 거야.

 

마지막으로 책. 사실 11월의 책이라면 뭔가 좀 사색적인 내용이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정작 권하고 싶은 책은 오기사, 행복을 찾아 바르셀로나로 떠나다.

 

 

 

개인적으로 스페인 여행을 준비하면서 읽은 여러 권의 책들 가운데 가장 바르셀로나에 가 보고 싶게 만든 책이기도 해. 물론 주의할 점은, 실질적인 가이드 북으로서의 역할은 전혀 하고 있지 않아. 몇 군데의 포스트를 소개하고 있긴 한데 정말 가 보라는 건지, 아니면 난 이런 데도 알고 있다고 자랑하는 건지 약간 경계가 불분명한 정도라고 보면 돼. 아무튼 책이 나온게 2006년이고 내가 산 2009년 이미 18쇄를 찍었으니 지금은 엄청나게 더 팔려 있겠지만, 일러스트만 봐도 그만한 가치가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야. 1만원 내외.

 

사실 연극 당통의 죽음도 관심이 가긴 하는데 뷔히너의 원작을 읽어 본 것도 아니고, 이자람이 나온다는 이유만으로 추천하는 건 좀 부담스럽더라고. 다행히 하루 이틀에 끝나는 공연은 아니니까 본 사람들의 평을 눈여겨 보도록. 그럼 연말에 봐.

 

막달레나 코체나 내한공연    B 5만원

바흐, 피아졸라를 만나다      B 33천원

김환기, 영원을 노래하다   1만원

오기사, 행복을 찾아 바르셀로나로 떠나다  1만원

 

합계             103천원

 

 

 

 

막달레나 코체나의 노래 중 유명한 노래를 먼저 들어 봅니다.

 

헨델의 오페라 '리날도'의 '울게 하소서 Lascia ch'io pianga'. 어떤 분은 이 노래의 제목이 '파리넬리'라고 알고 계시기도.^

 

 

 

 

 

 

다음은 코체나의 주 종목이라고 할 수 있는 바흐의 곡. 'B단조 미사(BWV 232)' 가운데서 '주님께 찬양 Laudamus Te' 입니다.

 

 

 

 

 

마지막은 래틀과의 협연. 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베를린 필하모니와 함께 콘체르탄테 형식으로 '카르멘'을 공연한 적이 있는 듯 합니다. 그중 흔히 '집시의 노래'로 잘 알려진 '신나는 트라이앵글 소리 Les tringles des sistres tintaient' 부분입니다.

 

 

 

 

이걸로 11월은 조용히 건너 뛰고, 12월에...;;

 

 

728x90

첫날부터 야간 투어는 무리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있었지만, 오랜 경험에 따라 '첫날은 일단 피곤하게'라는 원칙을 따르기로 했다. 첫날 무리해서 여정을 망치는 경우도 있다고들 하지만 사실 그보다 무서운 건 시차의 극복이었다. 첫날 일정을 오후 7~8시 정도에 마감하고 쓰러져 잠들어 버리면 기껏 많이 자 봐야 밤 12시에서 새벽 1시 정도면 잠이 깬다. 그때부터 다시 자 보려는 부질없는 노력과, 다음날 일정까지 망치면 어쩌나 하는 스트레스가 매우 짜증스럽다.

 

그래서 언젠가부터, 가능한 한 첫날은 일찍 잠들어선 안된다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둘쨋날 기상 시간이 늦으면 늦을 수록 그 여행은 성공적일 가능성이 높았다.

 

 

 

바르셀로나 야경 투어는 람블라스 길 한 귀퉁이, 지하철 역으로 리세우 Liceu 역 부근에 있는 레이알 광장 Placa Reial 에서 시작됐다. 레이알 광장은 네 면이 건물로 둘러싸인 거의 정사각형의 공간이다.

 

 

 

사실 사진으로 보면 그럴듯하지만 결코 사진만큼 매력적이지는 않다. 한복판의 랜드마크인 분수는 오물로 가득 차 있고, 주변 건물들의 아치에는 세월의 그을음이 그대로 남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노천 카페에서 먹고 마시며 금요일 밤을 만끽하고 있었다. 지저분하다면 지저분한, 낭만적이라면 낭만적인 그런 장소였다.

 

그리고 사진 오른쪽에 보이는 색이 다른 가로등, 이게 예사 물건이 아니었다.

 

 

 

이게 가우디의 데뷔작이라는 레이알 광장의 가로등. 본래 가스등으로 설계된 것이었다고 하나 "왜 니가 설계한대로 짓기만 하면 뭐든 왜 설치비가 두배씩 드는 거야"라는 시 당국의 반응 때문에 결국 1호 등인 이 등만 남고 나머지는 설치된 곳이 없다고 전한다. 비록 가우디의 건물들이 지금은 입장료 수입을 벌어들이고 있다고 하지만, 건축 당시로 돌아가 보면 정말 경제적으로 성공한 곳이 없다.

 

아무튼 야경을 찍으면서 새로 산 카메라의 놀라운 성능에 혼자 감탄하고 있었다. 이 밝기에서 삼각대도 없이 이 정도..?

 

마침내 가이드 도착. 야경 투어 출발.

 

 

 

 

 

이 지도에서 A라고 표시된 곳이 출발 지점인 레이알 광장, 그리고 B라고 표기된 곳이 일단 종착점이라고 할 수 있는 카탈루냐 음악당 Palau de la Música Catalana 이다. 위의 구글 지도상으로는 1.2Km, 도보로 약 15~20분 정도 거리라고 볼 수 있는데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빨리 가는 것이 목적이 아닌 만큼, 약 1시간 동안 골목을 이리저리 돌며 지나간다. 위 지도에서 볼 수 있듯, 카탈루냐 광장의 남쪽, 바르셀로나의 구 도심은 엄청나게 미로같은 골목과 골목의 연속이다.

 

그리고 지도 오른쪽의 동그라미 친 부분 바로 아래를 보면 El Gotic 이라는 글자가 보인다. 바로 이것이, 이 주변을 가리키는 이름인 '고딕 지구' 라는 뜻이다. 이 주변에 바르셀로나의 카테드랄 Cathedral, 왕의 광장 Placa del Rei, 그리고 시립 역사 박물관 등의 포인트가 있다. 비록 도착 첫날, 한밤중에 골목길을 빙빙 돌아 간 위치가 제대로 기억에 남을 리 없으나, 아무튼 나중에 지도상으로 확인해 보면 그렇다.

 

사실 저 위 지도가 커버하는 영역 안에 대부분의 관광객들이 찾는 바르셀로나 관광 포인트의 절반 가량이 들어 있다. 아무리 미로같은 골목의 연속이라지만 방향만 눈에 익으면, 바르셀로나 중심부에서 길 찾기는 어렵지 않다. 지도 왼쪽 윗부분의 미로처럼 표현된 카탈루냐 광장, 광장을 등지고 바로 오른쪽 아래(바다 방향)로 뻗은 라 람블라 La Rambla 거리,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라이에타나 길 Via Laietana 만 알면 절대 헤매지 않는다. 중간에서 아무리 헤매도 한 방향으로만 계속 가면 10분 내에 두 길 중 한 길과 만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뭐 이건 한참 나중의 이야기고, 일단 밤길을 즐겨 본다.

 

 

 

 

이렇게 가이드의 뒤통수만 보고 골목길 속으로 들어가는게 시작.

 

소니 RX100 2의 렌즈 밝기 때문에 길이 실제보다 밝아 보일 수 있다. 사실은 굉장히 컴컴하고 으슥한 골목이다.  

 

 

 

그런 좁은 길에도 수시로 자전거가 지나간다. 긴장은 해야 한다.

 

 

 

물론 모퉁이를 돌 때마다 수백년 전에 건설된 성벽의 잔해, 그리고 아치와 만날 수 있다.

 

(이 광장은 영화 '향수'의 무대가 되었다는 곳. 이름은 기억하지 못한다.^)

 

작은 광장 마다 쭈그리고 앉아 있는 사람들의 모습도 금세 익숙해진다.

 

 

구 도심에는 높은 건물 없는 5~6층짜리 오래된 건물들이 줄지어 있다. 대부분의 건물들이 스페인 특유의 파티오 Patio, 즉 중정(中庭)을 갖고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그냥 통으로 된 돌 건물 같지만 내부에는 뻥 뚫린 공간과 작은 정원이 있다는 뜻.

 

도시 경관 유지를 위해 건물의 외부를 수리하는 일에는 엄격한 제한이 있다. 이건 유럽의 오래된 도시들에 대부분 적용되는 규정이다. 그래서 실제로 내부에 들어가 보면 그렇게 오래된 건물이라는 느낌은 없다고 하지만, 건물 외관을 봐선 도저히 현대인이 살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이 지역의 아파트들은 특히 엘리베이터 따위는 없는 것으로 유명한데, 그래도 도심 한복판인데다, 보기보다는 치안도 좋고, 무엇보다 유명한 바르셀로나의 고딕 지구에 살아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아 집세는 꽤 비싼 편이라고 한다.  

 

아무튼 저 위 사진들이 페란 Ferran 거리, 아비뇽 Avignon 거리 등을 지나며 찍은 것들이다. 잠깐 아비뇽 거리? 그렇다. 피카소가 그린 '아비뇽의 처녀들'에 나오는 바로 그 아비뇽 거리다. 피카소가 살던 무렵에는 도심의 집창촌이었고, 그 그림에 나오는 여자들 또한 거기서 일하는 매춘부들이었다는 얘기다.

 

 

 

이 아비뇽이 '아비뇽의 유수'로 유명한 프랑스 남부의 아비뇽이 아니라 바르셀로나의 거리 이름이었다니. 역시 사람은 배워야 한다.

 

그 사연을 알고 나니, 이 그림이 그렇게 큰 비판의 대상이 된 이유가 단지 화법이 대담했기 때문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역시 피카소는 과감했다. 20세기 초에 누가 이렇게 누구나 입에 담기 꺼려 하는 창녀촌의 여자들을 올 누드로 그리고, 제목까지 명확하게 붙여 작품으로 내놓을 생각을 했을까 싶다.

 

 

 

 

사실 야경 투어 가이드의 방침 자체가 '분위기를 느껴보라는 보너스 투어' 형식이지 이해하라는 것이 아니어서 자세한 설명은 없었다. 지나가다 보니 그럴싸한 건물 벽면에 뭔가 중요한 듯한 설명 명패가 붙어 있어 찍었다.

 

팔라우 델 라 헤네랄리타트 Palau de la Generalitat 는 '카탈루냐 자치정부 청사'라는 뜻. 팔라우는 스페인어로 궁전, 청사라는 뜻이고 헤네랄리타트는 카탈루냐 특유의 자치 시스템을 가리킨다고 한다.

 

 

 

이건 그 자치청사의 뒷골목. 건물과 건물 사이를 '행정적 편의'를 위해 연결해 놓은 모습이다. 공무원 건물이라지만 관광객이야 알 바 아니고, 밤에 보면 꽤 멋지다.

 

 

 

 

미로같은 건물마다 도로명이 써 있긴 하지만 초행자가 길 찾기란 매우 힘들다. 그래도 갈 사람들은 걱정할 필요 없다. 그리 규모가 크지 않아 위에서 말한 대로 어느 방향이든 한 방향으로만 계속 가면 람블라 거리나 라이에타나 길 중 하나를 만나게 되니까.

 

단 바르셀로나 뿐만 아니라 전 스페인 사람들에게 길을 물을 때 주의사항. 영어로 의사소통이 안 되거나 잘 모르는 듯한 사람을 만나면 빨리 패스하고 다른 사람을 섭외해야 한다. 상대방이 스페인어를 전혀 모르는 것이 분명한데도, 딱 잘라 이쪽인지 저쪽인지 말하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뭔가 수다를 떤다. 특히 노인들이 이런 경향이 짙다. 마치 '너는 스페인어를 모르지. 하지만 내가 계속 하는 얘기를 듣고 있으면 너도 귀가 트여 우리 말을 이해할 수 있을거야'라는 신념을 갖고 있는 듯 하다.

 

물론 악의에서 하는 행동은 절대 아니겠지만, 바쁜 관광객의 입장에선 잡혀 있으면 좀... 곤란하다.

 

 

 

어둑어둑한 골목만 보면 마치 유령도시같다는 느낌이 들지만, 그 골목 사이마다 카페나 바가 있고 사람들이 빼곡 들어차 술을 마시고 있다. '있을까' 싶지 않은 곳에 있다는 게 매력이다.

 

 

 

그 골목을 돌고 돌다 가게 된 곳이 유명한 포인트 중 하나인 왕의 광장 Placa del Rei. 저 아마추어 밴드가 공연하고 있는 계단이 바로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최대한 스페인 발음에 가깝게 하면 끄리스또발 꼴론)가 이사벨라 여왕에게 신대륙의 발견을 보고한 역사적인 자리다.

 

 

 

 

 

왜 이 자리에서? 하는 생각은 고개를 들어 위쪽을 바라보면 사라진다. 이곳이 바로 스페인이 분할되었던 시대, 아라곤 Aragon 왕국의 궁전 앞이기 때문이다. 아라곤 왕국의 수도는 사라고사 Zaragoza 지만 제2의 도시 바르셀로나에도 왕궁이 있었던 모양이다. 1492년은 스페인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해다.

 

초간단으로 설명하면, 아랍계 무어인들과 오랫동안 공존해 온 스페인의 기독교/유럽 세력은 강력한 국토 회복 운동을 벌여 수많은 지역이 몇 개의 왕국으로 통합되어 갔다. 그 결과 중부 스페인 대부분 지역을 다스리던 카스티야 왕국과 동남부, 아라곤과 카탈루냐, 발렌시아 등을 장악한 아라곤 왕국이 양강을 형성하게 됐다.

 

1479년 카스티야의 공주 이사벨과 아라곤의 왕자 페르난도가 결혼을 한다. 양쪽 모두 기득권 세력의 반대가 만만찮았지만 아무튼 통일과 국토 회복을 위한 대 결단이 내려졌고, 두 나라가 하나로 무혈 통합됐다. 그렇게 해서 국력이 두배가 된 이들은 1492년 1월, 그라나다에 있던 마지막 이슬람 세력을 무찌르고 기독교 스페인의 회복, 즉 레꽁께따 Reconquesta(철자를 보면 알 수 있지만 re-conquest, 즉 '재정복'이란 뜻이다. 레꽁께스따라고 읽어야 할 것 같은데 실제로는 s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를 완성한다.

 

 

 

 

우연인지 필연인지 같은 해 8월, 스폰서를 구하다 구하다 못 구한 콜럼버스가 이사벨 여왕의 후원을 얻어 서쪽으로 서쪽으로 인도를 발견하겠다고 가더니 결국 라틴 아메리카를 발견해 냈다(물론 콜럼버스는 죽을 때까지도 자신이 발견한 땅이 인도 동쪽의 어디쯤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향료 대신 황금을 가져와 스페인의 전성시대를 연다. 1492년이 이토록 중요한 해였으므로 스페인에서는 그 500주년인 1992년, 바르셀로나에서 올림픽을 개최하게 된 것이다.

 

(참고로 아라곤이란 말을 듣는 순간 '반지의 제왕'의 비고 모텐슨을 떠올리며 꺅 소리를 내시는 분들이 꽤 있는데 그 아라곤은 Aragorn. 책에는 아예 아라고른이라고 써 있다. 스페인의 아라곤 왕국과는 아무 상관 없이 톨킨이 만들어 낸 이름이다. 혹시 여기 오면 반지의 제왕과 관련된 뭔가가 있을까 기대하시는 분이 있을까봐 기우로 한마디 보태면, '반지의 제왕'은 판타지 소설이다. 제발 실제 역사와 판타지는 구별 해 주시길.^^)

 

 

 

 

이렇게 동상과 그림자를 이용한 조명 플레이도 꽤 멋지다. 누구 동상인지는 패스.^^

(지금 찾아보니 바르셀로나의 백작 라몬 베렝게르 3세라고 한다.)

 

 

 

왕궁의 한 귀퉁이. 지금은 이쪽 면이 라이에타나 대로변으로 나와 있다. 대로라고 해봐야 겨우 4차선 정도다.

 

 

 

뒤로 살짝 돌아 나오면 이것이 바로 바르셀로나의 카테드랄 Cathedral. 각 도시마다 있는 카테드랄은 그 도시의 수많은 성당들 중 본당을 의미한다. 당연히 카톨릭 국가인 스페인에서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탈리아의 두오모와 거의 같은 역할이라고 보면 될 듯 하다.

 

...지만 바르셀로나의 카테드랄은 좀 서운할 수도 있을 듯 하다. 일단 세계적으로 유명한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가 지어지고 있는 한편, 남쪽 해변 가까이 있는 산타마리아 델 마르 성당에도 지명도 면에서 뒤지는 처지가 됐기 때문이다.

 

 

 

안에 들어가 보지는 못했지만 규모나 화려함 면에선 별로 뒤질 게 없어 보이는데... 안됐다.

 

 

 

거기서 길을 건너 북쪽으로 조금 올라가면 카탈루냐 음악당이 나온다. 오페라의 전당인 리세우 Liceu 극장과 함께 바르셀로나 공연 문화의 상징이며, 이 도시 사람들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음악당'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당대 가우디의 라이벌이라는 건축가 몬타네로의 작품이라는 데서 오는 자부심이고, 외벽만 봐도 꽃 장식이 요란하다. 심지어 내부 투어만 하는데도 입장료를 받는다.

 

내일 저녁에 공연을 보러 올 예정이므로 이 정도만.

 

 

 

 

아름다운 건 분명하나 명성에 비해 너무 좁은 골목길 안에 있어 건물 전체를 찍을 각도가 잘 나오지 않는다.

 

아무튼 여기서 불량 체력 관광객들은 일행과 결별.

 

나머지 일행은 한국의 리움 미술관도 설계했다는 세계적인 건축가 장 누벨 Jean Nouvel이 지은 바르셀로나의 새로운 명물, 아그바 타워 Agbar Tower를 보러 떠났지만, 이만 하면 숙면을 취하기 충분하겠다는 판단 아래 숙소로 향했다.

 

 

 

바로 이 건물. 저렇게 태극 색으로 반짝이는 야경 사진을 보면 가 볼걸 그랬다는 생각도 물씬물씬.

 

그런데 여행은 가서 배우고, 다녀 와서도 배운다. 막상 바르셀로나에서 사람들이 "새로운 명물로 아그바 타워도 있어요"라고 말할 때, "아, 런던에서 그거랑 똑같은 건물을 봤어요. 같은 사람이 지은 건가 보죠?"하면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네. 그렇다고들 하데요"라고 대답했다. 그런데 아니더라는 거지.

 

알고 보니 지은 사람이 달랐다.

 

 

 

이 건물이 런던에 있는 30 세인트 메리 엑스 30 St. Mary Axe(좀 길지만 건물 이름이 이렇다). 똑같이 생겼지만 이건 장 누벨이 아니라 영국 건축가 노먼 포스터 Norman Foster의 작품이었다. 이럴수가.

 

공법이 전혀 다르다 해도 외관이 이 정도로 비슷하면 표절 시비라도 이는 게 정상이 아닐까 싶기도 한데, 아무튼 런던과 바르셀로나에 있는 똑같이 생긴(바르셀로나에서는 '좌약 빌딩'이라고 부르기도 한단다^^) 두 건물은 아버지가 달랐다. 놀라웠다.

 

이렇게 해서 첫날을 마무리.

 

둘째 날에 뵙겠습니다.

 

 

 

728x90

현재의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 La Sagrada Familia 는 서쪽 출입구 쪽 매표구로 입장해 다시 서쪽 출입구로 나오는 구조다. 입장료는 14.8 유로. 건물의 규모가 비교가 안 되는 카사 밀라나 카사 바트요에 비해 훨씬 싸다. 물론 한국 돈으로는 2만원이 넘지만 아무튼 현장에선 그렇게 느껴진다.

 

그리고 입장하는 순간, 전혀 본전 생각이 나지 않는다.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화려한 천장 기둥 장식. 수백의 꽃송이가 기둥을 떠받친다.

 

 

 

감동이 밀려온다. 이 정도 규모의 성당이 없는 게 아니라, 성당에서 기대했던 모습이 아니라는 게 감동적인 거다.

 

예를 들면 전통적인 대성당의 천장을 찍었을 때, 기대되는 사진은 이런 것이다.

 

 

바르셀로나의 유서깊은 산타마리아 델 마르 Santa Maria Del Mar 성당의 천장이다. 이런 비주얼도 매우 아름답지만, 이런 성당은 유럽 곳곳에 굉장히 많다. 그걸 가우디는 저렇게 획기적으로 바꿔 놓은 거다.

 

 

 

그야말로 기둥과 천장만 보고 있어도 질리지 않는다.

 

여기에 뒤를 돌아보면 환장하게 아름다운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한 채광.

 

 

 

 

 

이틀 뒤 카사 바트요에서도 느끼지만 가우디는 자연광을 실내로 끌어들여 이용하는데 진정 장신의 솜씨를 보여준다.  

 

하늘과 통하는 구멍 하나 정말 허투루 뚫린 것이 없을 정도.

 

 

 

 

 

 

 

 

 

그냥 이 안에서 살고 싶다. 다른 생각이 들질 않을 정도로 아름답다.

 

첫날부터 너무 강한 걸 봤어...

 

사실 이 기막히게 아름다운 성당 내부가 일단 완공된 것은 2010년의 일이다. 2009년 이전에 바르셀로나를 방문한 사람은 이 내부 광경을 볼 수 없었던 거다. 만약 전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내가 죽기 전에 이 성당에서 미사를 집전하고 싶다"며 스페인 정부를 압박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지금도 이 모습을 보지 못하고 있을 수도 있었다. 일각에선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의 공사가 자꾸 늦어지는 것이 '가우디의 유작, 아직도 건설중'이라는 화제를 한없이 길게 끌고 가려는 스페인 관광청의 음모라는 설도 있었을 정도니까.

 

이래저래 말이 많은 베네딕토 16세지만 이 시점에서는 감사하는 마음이 절로 일어났다.

 

 

 

내부 구조를 소개한 모형. 그러니까 평면도를 보면 성가족성당의 내부는 이런 식으로 생겼다.

 

 

 

 

1번 쪽이 현재 관광객들이 출입하는 서쪽 출입구. 2번이 성당의 주 제단(High Altar)이 있는 북쪽(출입구가 없다), 3번이 가우디가 생전에 완성한 동쪽, 그리고 4번이 현재 공사중인 남쪽이다. 위 모형의 4번 계단으로 볼 때 전체 성당이 완공되면 남쪽이 주 출입구가 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이것이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의 주 제단(High Altar). 하늘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평면도의 4번 방향에서 2번 방향의 주 제단을 바라보면 이런 모습이다. 그리고 좌우의 스테인드그라스로부터 휘황찬란한 빛이 들어와 온 성당을 광휘로 휘감는다. 말하자면 빛의 오르가즘이라고 표현할 만 하다.

 

 

 

어지럼증을 느끼게 하는 매혹적인 광경의 연속이다.

 

 

 

3번 방향에서 1번 방향을 본 그림. 사진의 왼쪽 끝 나선 계단 뒤편에 옥수수 모양을 한 파사드 중간까지 올라가는 엘리베이터가 있는데 줄 길이가 장난 아니다. 그리고 내려오는 길은 바로 그 나선계단이다. 대략 보기에만도 상당히 어지럽고 폭도 매우 좁다. 참고로 엘리베이터는 추가 요금이 있는데, 굳이 타고 싶지 않았다.

 

 

 

가우디가 만들어낸 동쪽의 조각을 보고 '마치 바닷속에서 솟아 올라온 기괴한 산호초같은 형상'이라고 느꼈다면 동쪽의 이 기둥 장식을 보고 흐뭇해질 수도 있다. 이 거북 받침은 가우디가 성당 건설 과정에 바다의 이미지를 담고자 했음을 확인시켜준다.

 

이 동쪽 입구로 나오면 기념품 가게와 박물관으로 연결된다.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 건설과 관련된 도면, 모형, 사진자료, 스케치, 기타 등등이 꽤 방대하게 전시되어 있다. 가우디 마니아라면 이 박물관만 보는 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듯.

 

 

 

1926년. 가우디가 죽던 해까지의 공사 현장 사진이다.

 

 

 

 

가우디가 전철에 치어 죽었다는 것, 그리고 사망 당시 너무나 남루한 차림을 하고 있어 아무도 그가 그 유명한 가우디인지 몰랐고, 그래서 꽤 오랜 시간을 응급실 구석에 방치되어 있다가 죽었다는 일화 등은 정말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아무튼 1882년, 31세의 나이로 스승이 짓던 건물을 물려 받아 1926년 사망할 때까지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의 건설에 매진했던 가우디는 이 성당의 지하에 묻혔다. 그에게는 너무나 어울리는 영면의 자리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의 묘소가 있다는 지하 기도실은 평소엔 개방하지 않는다.

 

이렇게 엿볼 수밖에 없었다.

 

 

 

 

매년 바르셀로나를 찾는 그 많은 관광객 가운데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를 찾지 않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싶지만, 지금까지 내 두 눈으로 직접 본 인류의 구축물 가운데 이렇게 큰 충격을 준 건물은 없었다. 진정 탁월한 상상력과 그 구현체를 보고 싶은 자라면 하루 빨리 바르셀로나 행 항공편을 예약하라고 권하고 싶다.

 

오후 6시. 문 닫을 시간임을 알리는 경비원의 손짓이 아니었더라면 한참을 더 성당 관내에 앉아 있었을 지도 모르겠다.

 

 

 

유로자전거나라 투어의 가우디 투어 일정에는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를 떠나 람블라 거리에 있는 구엘 저택이 마지막 코스로 되어 있었지만, 중년 관광객에겐 하루 치의 체력과 감동을 느낄 능력이 모두 소진된 터라 여기서 일단 숙소로 향했다. 잠시 휴식으로 원기를 보충한 뒤 야간 투어를 따라 나서기 위해서였다.

 

아무튼 첫날. 하루 분의 감동으론 좀 지나치지 않았나 싶었다.

 

 

 

728x90

임해군의 기행에 대해 두번째 이야기를 풀어가려 합니다. 앞에서 말한 유희서 청부살인 사건은 사실 빙산의 일각. 유희서가 명문가 출신의 공신이었기 때문에 유난히 부각된 것 뿐이고, 임해군의 세도에 희생된 사람들은 부지기수라고 봐야 할 듯 합니다. 오히려 나름 잘 나가던 유희서 같은 사람도 서슴없이 해치울 정도로 임해군의 행동은 안하무인이었다는.

 

임해군의 비행에 대한 첫번째 글은 이쪽입니다.

임해군, 소시오패스에 가까웠던 왕자 http://fivecard.joins.com/1155

 

그리고 임해군에 대한 기록을 살펴보다 보면 '오죽하면...'이란 생각이 드는 장면이 있습니다. 바로 임해군에 대한 정사의 기록에 대한 부분입니다.

 

 

 

 

임해군 (1574-1609) 2

 

임해군에 대한 기록을 살펴보다 보면 특이한 점이 발견된다. 광해군 때 편찬된 선조실록보다 인조 때 편찬된 선조수정실록에 더 임해군의 비리에 대한 내용이 많다는 점이다.

 

수정실록이 편찬된 이유가 광해군을 축출한 인조반정의 정당성을 강조하려는 것임을 생각하면 기이한 일이다. 이 목적에 충실하려면 수정실록 편찬자들은 임해군을 광해군에 의해 밀려난 피해자로 묘사할 수도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러지 않은 것을 보면, 반정의 주역들로서도 차마 임해군을 옹호할 수는 없었던 모양이다.

 

긴 왜란이 끝난 뒤에도 광해군은 정국 안정을 위해 안간힘을 썼고, 명나라도 세자 책봉을 정식으로 진행하자는 전갈을 보냈다. 하지만 이번엔 선조가 주저했다. 조정 대신들이 마치 광해군이 이미 왕이라도 된 양 대하는 모습을 용납할 수 없었던 모양이다. 1606년 영창대군이 태어나자 선조는 뛸 듯 기뻐했지만 시간은 광해군의 편이었다. 1607 10, 선조가 병으로 드러누웠다.

 

선조는 죽기 한달 전까지도 광해군에게 양위하라는 정인홍의 상소에 어찌 신하가 할 말이냐고 격분하는 등 의욕을 과시했으나 1608 21일 돌연 사망했다. 이이첨의 계략에 의해 동궁전에서 들여간 약밥을 먹고 숨이 끊어졌다는 독살설이 돌았으나 이미 광해군의 등극이 대세였다.

 

 

선조의 마지막 나날은 광해군에겐 상당히 위기의 연속이었습니다. 아버지 선조가 왕위를 물려줄 뜻이 없는 듯한 느낌. 영창대군의 출생. 그런데 그 선조가 병으로 쓰러진 뒤 마음이 약해졌는지 1607년 10월11일, 이런 전교를 내립니다.

 

“나는 본디 질병이 많아서 평일에도 만기(萬機)의 정무는 절대로 감당하기 어려웠다. 더구나 지금은 병에 걸린 지 1년이 다 되어가는데 조금도 차도가 없어 정신이 혼암하고 심병이 더욱 침중하다. 이러한데도 왕위에 그대로 있을 수 있겠는가? 세자 나이가 장성하였으니 고사에 의해 전위(傳位)해야 할 것이다. 만일 전위가 어렵다면 섭정(攝政)하는 것도 가하다. 군국(軍國)의 중대사는 이처럼 하지 아니할 수 없으니 속히 거행하는 것이 좋겠다.”

 

왕위를 물려주거나, 그렇지 않으면 섭정으로라도 임명해 정사를 돌보게 하겠다는 이야기. 하지만 이미 영창대군에게 정치적으로 기울어 있던 유영경 등이 필사적으로 저항합니다. 무슨 그런 말도 안 되는 말씀을 하시냐는 것이죠.

 

영의정 유영경(柳永慶), 좌의정 허욱(許頊), 우의정 한응인(韓應寅)이 회계하기를,
“신들이 삼가 비망기를 보고 서로 돌아보며 놀라고 황공하여 품달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상께서 여러 달 동안 조섭하시어 즉시 쾌복되지는 않았다고 하더라도 점차 수라를 드시어 원기가 회복되어 가니 온 나라 신민이 평복될 날을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그런데 천만 의외에 이번에 갑자기 이런 명을 내리시니 신들은 몹시 걱정스러운 마음 금할 수 없습니다. 군국(軍國)의 기무(機務)는 조섭중에 계시더라도 적체된 것이 없으니 바라건대 이런 점은 염려하지 마시고 심기를 화평하게 하여 조섭에 전념하시면 종묘와 사직이 은밀히 도와서 성후(聖候)가 저절로 강녕하게 될 것입니다. 이는 신들의 소원일 뿐만 아니라 군신(群臣)의 뜻이 모두 이와 같습니다. 황공하게 감히 아룁니다.”

 

이런 말이 몇번 오가더니 선조는 슬그머니 전위나 섭정 이야기를 거둬 들입니다. 어쩌면 애당초 처음부터 그럴 마음이 없이 신하들을 떠 본 것일 수도 있습니다. 아무튼 도마 위에 올랐다가 다시 내려온 광해군은 아슬아슬한 마음이었을텐데 이듬해 1월18일 정인홍이 상소를 올립니다. 

 

 

 

"신이 삼가 도로에서 듣건대 지난 10월 13일에 상께서 전섭(傳攝)한다는 전교를 내리자 영의정 유영경(柳永慶)이 마음 속으로 원임 대신을 꺼려 다 내어 쫓아서 원임 대신들로 하여금 참여하여 보지 못하게 하였고 여러번 방계(防啓)를 올리고 유독 시임 대신(時任大臣)과 공모하였으며 중전(中殿)께서 언서(諺書)의 전지를 내리자 ‘금일 전교는 실로 여러 사람의 뜻 밖에 나온 거사이니 명령을 받지 못하겠다.’고 즉시 회계(回啓)하여 대간으로 하여금 알지 못하게 하고 정원과 사관(史館)으로 하여금 성지(聖旨)를 극비로 하여 전출(傳出)하지 못하게 하였다 하니, 영경은 무슨 음모와 흉계가 있어서 이토록 남들이 알지 못하게 하는 것입니까. "

 

이 말에 선조는 대노합니다. 표면적으로는 유영경을 규탄하는 상소지만 내용은 왕 자신이 왜 이랬다 저랬다 하느냐는 지탄이었기 때문입니다. 가만 있으면 왕위를 넘본 역적 대접을 받게 된 광해군은 당장 진땀을 흘리며 죄를 청합니다.

 

"신이 못난 자질로 감당하지 못할 지위에 있으므로 밤낮으로 근심하며 당황하고 있었습니다. 지난번 상후(上候) 미령함으로 인하여 갑자기 전섭(傳攝)한다는 명을 내리시니 신은 죽으려 해도 되지 않았습니다. 대신의 회계는 어찌 신의 심정을 알지 못하고 그렇게 하였겠습니까. 뜻밖에 정인홍이 입에 담지 못할 말을 만들어 위로 천청(天聽)을 번거롭혔습니다. 성상의 하교에 ‘지친간에 부득불 이로 인해 의심하여 틈이 생기겠다.’고 하셨으니 천하에 어찌 이런 일이 있겠습니까. 신은 만 번 죽는 것 이외에는 다시 상달할 바가 없으니 땅에 엎드려 황공할 뿐입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선조가 당장 정인홍을 잡아다 목을 베라는 명을 내리지 않은 것이 좀 신기할 뿐입니다. 굳이 이유를 찾자면 정인홍에 대한 선조의 신뢰가 워낙 두터웠다는 점(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가는 정인홍을 도성에서 50리나 떠난 뒤 다시 불러들일 정도. 그리고 '정인홍이 여러 사람과 불편하게 지냈다'는 대신들의 말에도 그를 옹호할 정도), 그리고 정인홍이 이때 이미 73세의 고령이었다는 점 등이 있긴 합니다. 어쨌든 죽기 이틀 전, 1월29일 선조는 "정인홍을 가만 두지 않겠다"는 심정을 내비칩니다.

 

"소인의 성품은 남 해치기를 즐겨 하고 일 저지르기를 좋아하여 자신이 죽지 않으면 그치지 않으니 그러므로 악한 자 다스리는 법을 부득불 엄하게 해야 하는 것이다. 지금 만약 구차스럽게 임시 방편으로 처리하면 후일 다시 이보다 큰일이 있을지 어떻게 알겠는가. 만약 저들이 일시의 명사(名士)를 모두 모함한다면 비록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는가. 예로부터 신하가 임금을 이간시키고도 천벌을 면할 수 있었는가. 나는 진실로 가슴이 아프다. 이는 참으로 신하가 목욕하고 토죄(討罪)를 청할 일이다"

 

아무튼 정인홍이 옳다, 유영경이 옳다는 주장으로 조정이 들썩들썩하던 도중, 2월1일 선조가 갑작스레 승하합니다. 정인홍이 상소를 올리고 보름도 안 되었으니 잡아 죽일 새도 없었던 셈입니다. 이렇게 해서 광해군은 아슬아슬한 위기를 모면하고 왕위에 올랐습니다.

 

샛길로 빠졌지만 다시 임해군 이야기로 넘어갑니다.

 

 

 

이제 임해군을 지켜 줄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광해군이 등극한지 채 보름도 안 된 214, 이미 임해군이 몰래 장사를 모으고 병장기를 들이고 있다는 상소가 올라왔다. 광해군은 형이 그럴 리 없다며 신하들을 꾸짖었지만, 그 사이 임해군이 여자 옷을 입고 하인의 등에 업혀 동네를 빠져나가다 잡혀 들어왔다. 역모를 자백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임해군에겐 마지막 살 길이 남아 있었다. 1608년 6월, ‘공인되지 않은 세자광해군이 장남을 제치고 왕위에 오른 이유를 조사하겠다며 명나라 사신이 한양에 도착했다. 이들은 두 형제를 대질시켜야 하니 교동도(강화도 서쪽의 작은 섬)에 유배되어 있던 임해군을 데려오라고 억지를 부리고 있었다.

 

정인홍은 대로하여 임해군의 목을 베어 사신들에게 보여줘야 한다고 고함을 질렀지만, 조정의 중론은 사신을 잘 설득해야 후환이 없을 것이라는 쪽이었다. 국토의 2/3를 왜군에게 빼앗겼다가 명의 원군 덕분에 나라를 되찾은지 겨우 11. 명의 위세는 당당했다.

 

결국 이덕형이 나서 광해군은 사신들을 위무차 방문하는 정도로, 임해군은 서강(지금의 마포 근처)까지 나와 사신들과 면담하게 하는 선에서 타협이 이뤄졌다. 이때 흥미로운 것은 임해군이 일부러 미친 사람 시늉을 했다일월록의 내용이다. 어째서 명나라 사신의 바짓가랑이를 붙잡고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하지 않았는지는 알 길이 없다. 그대로만 해 주면 광해군이 최소한 자신을 죽이지는 않을 것이라는 굳은 믿음이 있었는지도 모른다.

 

 

 

사신들의 입을 막기 위해 막대한 뇌물이 동원됐다. 역관 홍순언은 왜란 때 원군을 요청하면서도 명나라 고관들에게 뇌물을 주지 않았거늘, 이제 버릇을 들였으니 대국 사신이 올 때마다 백성들이 더욱 괴로워 질 것이라며 탄식했다. 결국 이 예측은 그대로 실현됐다.

 

1년 뒤 교동도에서 임해군이 급사했다. 1609 429일자 실록에는, ‘유배된 임해군을 지키던 무관 이정표가 독을 먹이려다 반항하자 목을 졸라 죽인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고 되어 있다. 물론 광해군 당대에는 그저 소문으로만 돌던 이야기였다 이긍익은 연려실기술에서 이이첨이 교동 현감인 이현영을 설득해 임해군을 죽이려 했으나 실패하고, 후임인 이직을 시켜 흉수를 쓴 것이라는 주장을 전하고 있다. 자손은 없었다.

 

왕위에 오르지 못한 장남은 여럿 있었지만 임해군 만큼 악평에 시달리던 사람도 드물다. 그 본인도 문제였지만 너무 잘난 동생 광해를 둔 탓도 컸던 것으로 보인다.

 

사실 선조의 아들들 가운데 임해군만 평판이 나빴던 것은 아니다. 순화군은 이유 없이 죽인 사람이 1년에 10명이 넘는다’, 정원군은 임해군보다 악하면 악했지 나을 것이 없다는 혹독한 평가를 받았다. 다만 정원군은 죽고 난 뒤 아들 능양군이 공신들에 의해 인조로 추대되면서, 비록 이름만 왕이지만 원종으로 추존됐고 생전의 악행은 조용히 묻혔다. 만약 임해군도 아들이 있어 왕위에 올랐다면 이런 오명을 후세에 전하지 않았을 지도 모르겠다. []

 

 

순화군 이보의 졸기에는 "보는 왕자다. 성질이 패망(悖妄)하여 술만 마시면서 행패를 무렸으며 남의 재산을 빼앗았다. 비록 임해군이나 정원군의 행패보다는 덜했다 하더라도 무고한 사람을 살해한 것이 해마다 10여 명에 이르렀으므로 도성의 백성들이 몹시 두려워 호환(虎患)을 피하듯이 하였다. 이에 양사(兩司)가 논계하여 관직을 삭탈하고 안치시켰는데, 이 때에 이르러 죽었다. 상이 특별히 명하여 그의 직을 회복시켜 순화군이라 하고, 익성군 이향령(益城君李享齡)의 아들 이봉경(李奉慶)을 후사(後嗣)로 삼았다" 는 기록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밖의 사료에는 대부분 정원군에 대해선 좋은 이야기만 있습니다. 효성이 두터웠다, 선조의 총애를 받았다, 임금 감(?)으로 꼽혔던 아들 능창군이 역모에 휘말려 일찍 죽은 이후 속병을 앓아 폐인이 됐다... 이유는 장남인 능양군이 왕위에 올라 인조가 되었기 때문이죠. 임해군도 아들이 있었다면... 글쎄요.

 

 

P.S. 잊고 있는 사이 '불의 여신 정이'가 끝나 버렸네요. 아무튼 임해군에 대한 정리는 여기서 끝.

 

 

 

 

 

 

 

 

 

728x90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의 팬이라면 아마도 이들의 소위 전성기가 훨씬 지나 1987년에 나온 앨범 '가우디 Gaudi'를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이들의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인 이 음반의 첫 곡 제목은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 La Sagrada Familia' 다.

 

 

 

이 장엄하면서도 신비로운 노래를 듣고 나서 당연히 '대체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가 뭐야?'하는 궁금증이 생겼다. 당연히 찾아 봐야겠는데, 1980년대 후반의 한국은 인터넷은 커녕 PC통신도 활성화되기 전이었다. 백과사전에서 찾아낸 몇 장의 사진이 전부였다.

 

세월이 흐르며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 혹은 성 가족 성당에 대한 정보가 쌓이면 쌓일 수록, 죽기 전에 반드시 가 봐야 할 곳이라는 다짐은 점점 굳어 갔다. 이 노래에서 보컬을 맡은 존 마일즈의 격정적인 목소리와 함께.

 

La Sagrada Familia we thank the lord the danger's over
La Sagrada Familia behold the mighty hand
La Sagrada Familia the night is gone the waiting's over
La Sagrada Familia there's peace throughout the land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 신에게 감사드리자. 위험은 끝났네.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 신의 손길을 바라보라.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 밤은 지나갔고, 기다림은 끝났네.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 온 누리에 평화가 깃들었네.

 

그리고, 긴 기다림이 끝났다.

 

 

 

 

 

사그라다 파밀리아는 이런 모습으로 방문객을 처음 맞는다. 저 입구가 있는 벽체를 파사드 Pasad라고 부른다. 네 개의 옥수수 모양 탑이 있는 동편 파사드는 예수의 탄생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 부조들은 모두 예수의 탄생과 관련된 복음서의 기록들을 조각으로 충실히 재현하고 있다.

 

 

 

 

1882년 지어지기 시작한 이 성당에서 1926년 가우디가 죽을 때까지 완성된 면은 단 한쪽 벽면. 바로 이 동쪽 면이다.

 

가우디의 구상에 따르면 동쪽 면은 예수의 탄생을, 남쪽 면은 예수의 영광을, 그리고 서쪽 면은 예수의 희생을 상징하는 내용을 담을 예정이었다. 이 동쪽 면을 가득 채운 조각들은 지금 봐도 당연히 찬탄을 자아낸다.

 

 

 

그 정중앙을 더 자세히 보면 이렇다.

 

 

 

 

그 정교함과 아름다움은 세월을 뛰어넘는다. 그리고 이 극사실주의적으로 표현된 인물 조각들을 보고 있으면, 전 유럽의 거장들이 천년 동안 만들어 온 모든 성당을 뛰어 넘고야 말겠다는 가우디의 야망이 피부로 느껴진다. 

 

 

 

성당의 이름이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 즉 '성가족'이니 요셉의 비중이 작지 않다. 수태고지의 관을 쓰는 마리아를 옆에서 늙은 요셉이 바라보는 모습을 정면 중앙에 배치했다.

 

조각이나 그림 속의 요셉은 왜 이런 늙은이로 묘사되어 있을까. 그건 마리아가 결혼 뒤에도 처녀였다는 내용과 관련 있다. 요셉이 젊고 혈기방장한 남자일 경우 과연 그게 납득이 가겠느냐는 깊은 생각이 깔려 있다는 얘기다.

 

 

 

그리고 그 위로는 사이프러스 나무 아래 예수를 상징하는 JHS가 큼지막하게 박혀 있다. JHS, 혹은 IHS가 예수를 상징한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이번 기회에 찾아 보니 그게 무엇의 약자인지는 사실 의론이 분분하다고 한다. 라틴어로 '인류의 구원자 예수 Iesus Hominum Salvator ' 의 약자라는 설이 지배적이지만 그냥 IHS 자체가 '예수'의 다른 표기법이란 의견도 꽤 설득력있다.

 

 

 

 

그리고 그 위로는 아직도 한참 공사가 진행중. 공사 얘기가 자꾸 나오는데, 가우디 사후 100주년을 맞는 오는 2026년을 넘기지 않고 완공시킨다는 결정이 내려졌다고 한다. 사실 공사 기간은 엄청난 음모설의 대상이었다. 성가족성당의 공사가 초대형이라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지만 1926년 이후의 진척도를 생각하면 뭔가 이상한게 사실이다. 150층짜리 빌딩도 몇년이면 다 짓는 요즘 세상에 왜 70년 80년이 소요되고 있는가?

 

공식 답변은 '소요되는 엄청난 공사비를 기부금으로 충당했는데 모금이 여의치 않았다'는 것이다. 누가 들어도 궁색하다. 오히려 스페인 정부가 사그라다 파밀리아가 갖고 있는 관광자원으로서의 매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고의로 완공을 미루면서 관심을 유발시키고 있었다는 음모설이 훨씬 설득력있다.

 

그러던 것이 교황 베네딕트 16세가 "내가 죽기 전에 이 성당에서 미사를 한번 집전해 보는게 소원"이라고 얘기하면서 전 세계 가톨릭권의 압력이 스페인으로 밀려왔고, 결국 '등 떠밀린' 스페인이 공사에 속도를 붙여 2010년에는 지붕이 완성되고 미사가 진행되는 데까지 일이 진행됐다. 이렇게 되고 보니 한번 맘먹고 지으면 금세 지을 걸 왜 그렇게 시간을 끌었느냐는 의혹만 더욱 짙어지고 있다.

 

 

 

아무튼 예수 탄생 기록을 위해 가우디는 수많은 인물들을 등장시켰는데, 사실적인 표현을 위해 거의 모든 조각품이 실제 모델의 본을 떠 석고 모형을 만든 뒤 이뤄졌다는 것. 심지어 왼쪽의 '이집트로 피난가는 성가족'에서 마리아가 탄 당나귀를 표현하기 위해 진짜 당나귀의 본을 떴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그리고 오른쪽, 헤롯의 명령에 따라 비슷한 시기에 태어난 모든 아기들을 참살하는 병사의 모습에도 얘깃거리가 있다.

 

일단 모든 모델을 석고본을 떴으면 아기는....?

 

병원에 연락해서 죽은 아기를 가져다 썼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아기를 들고 있는 병사, 완성해 놓고 보니 발가락이 여섯개였다는 것이다.

 

 

 

 

 

죽은 아기가 모델이라니 왠지 좀 섬뜩하게 느껴지긴 한다. 아무튼 대단하다.

 

 

 

예수의 영광을 그려낼 남쪽 파사드는 현재 열심히 공사중이다.

 

 

 

모퉁이를 돌면 서편, 그러니까 지금의 들어가는 입구가 있는 쪽 파사드가 보인다.

 

이른바 '수난의 파사드'인데, 조각가가 주젭 마리아 수비락스 Josep Maria Subirachs 로 바뀌면서 조각의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졌다. 사실적이고 화려한 동편의 조각과는 달리 20세기 스타일의 추상적인 형상이 자리잡게 된 것이다.

 

네 개의 옥수수탑 중앙부, 녹색 공사용 그물이 쳐져 있는 곳에 약간 노리끼리한 사람의 형상 같은 것이 보인다.

 

그 장면을 확대하면 이렇다.

 

 

 

예수상이다. 문제는 높이 있으면 작아 보이는게 인지상정인데, 수비락스의 의도는 이 예수상이 아래쪽에 있는 예수상과 같은 크기로 보이게 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러려면 위에 있는 조상일수록 커져야 하는 법. 이 예수상만 3톤의 크기라고 한다. 그럼 저 거죽을 바른 도금엔 금이 얼마나 들어갔을까...

 

아무튼 서쪽의 추상적인 스타일은 동쪽의 고전적인 스타일과 완전히 대비를 이루며 볼거리를 만들어낸다.

 

 

예수가 매달린 십자가도 아예 공사 현장의 X빔을 그대로 노출시켜 사용했고,

 

 

예수가 골고다 언덕을 오를 때 수건으로 피와 땀에 젖은 예수의 얼굴을 닦아 주었다는 베로니카 성녀를 가운데 배치하는 파격적인 연출도 눈길을 끈다.

 

또 옆에 서 있는 로마 병사들은 카사 밀라 옥상에 있는 가면 쓴 병사들의 형상들을 그대로 가져와 가우디와의 접점을 마련했다(심지어 왼쪽 끝에 서 있는 사람은 누가 봐도 가우디). 농담이 아니고 정말로 이 형상들은 영화 스타 워즈에 나오는 제국 군대 스톰 트루퍼의 원형이라고도 한다. 

 

 

 

 

사실 이 모습의 원형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진실은 피터 잭슨만 알고 있겠지.

 

 

심지어 맨 왼쪽에 서 있는 인물은 만년의 가우디.

 

 

 

이건 관찰력이 필요한 부분. 왼쪽의 사방진은 가로 세로 대각선의 합이 모두 33. 이 조각은 예수에게 키스해 병사들의 습격을 받게 하는 유다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누가 예수고 누가 유다인지 혼동할까봐 유다의 발밑엔 뱀을, 예수의 등 쪽에는 합계 33(예수가 죽을 때의 나이)의 사방진을 배치했다. 왜 사방진인지는... 글쎄.

 

 

 

이렇게 해서 알파와 오메가의 형상이 동시에 그려져 있는 기룩한 성전 기둥을 지나 성당 안으로 들어간다.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의 외관을 보면서 박수를 쳤다면, 내부를 보고는 감히 박수를 치지 못했다.

 

 

 

 

이유는 너무 대단해서. 지금까지 세계를 돌며 좋은 것도 꽤 많이 봤지만, '이런 건' 정말 처음이었다.

 

 

728x90

'히든싱어2' 주현미 편에서는 지금껏 볼 수 없었던 또 하나의 아름다운 정경이 펼쳐졌습니다. 주현미의 도전자 중에 중국에서 귀화한 박애화씨가 있었던 거죠. 박애화씨의 사연을 들은 주현미는 그 자리에서 대뜸 중국어로 질문을 던졌고, 두 사람이 중국어로 몇마디 대화를 나누는 광경이 여과 없이 방송됐습니다.

 

잘 알려진대로 주현미는 '약사 출신 가수'로도 유명했지만 '화교 가수'라는 사실로도 유명했습니다. 그리고 두 사람은 함께 한 곡의 노래를 같이 부르기 시작합니다.

 

월량대표아적심(月亮代表我的心). 중국과 조금이라도 인연을 가진 사람이라면 절대 모를 수 없는 노래죠.

 

 

 

 

이 노래를 처음 부른 사람은 1953년 태어나 95년 42세로 요절할 때까지, 전 세계 중국어권 인구에게 여왕으로 군림했던 가수 등려군입니다. 방송중에는 영화 '첨밀밀' OST 수록곡으로 소개됐지만, 그 이전에 이 노래는 이미 불멸의 히트곡이었습니다. 영화에선 장만옥이 라디오를 통해 등려군의 사망 소식을 듣는 장면에서 이 노래가 흘러나오죠.

 

등려군의 노래야 더없는 절창이고, 이 노래를 부른 가수는 한두명이 아니지만 그 중에서도 돋보이는 가창이 있습니다.

 

바로 장국영.

 

 

 

 

이날 노래를 시작한 박애화씨는 '자신의 마음을 노래로 주현미에게 전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노래 가사가 '당신을 사랑하는 내 마음을 내가 직접 말하지 않아도 저 밝은 달이 전해주고 있다'는 것이니, 딱 떨어지는 노래입니다. 가사 중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당신은 내게 물었죠. 내가 당신을 얼마나 사랑하느냐고.  你問我愛 你有多深 我愛 你有幾分

내 마음은 떠나지 않아요. 내 마음은 변하지 않아요.        我的情不移 我的愛不變

저 달이 내 마음을 대신 보여주고 있잖아요.                    月亮代表我的心

 

이 노래를 같이 부른 주현미도 그 의미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더없이 정겨운 무대가 연출됐습니다.

 

사실 주현미는 전부터 이 노래를 여기저기서 즐겨 불렀습니다. 인터넷을 뒤져 보면 주현미가 부른 '월량대표아적심'에는 여러 가지 영상이 있습니다. 그중 가장 제 마음에 드는 버전을 골라 봤습니다.

 

애절한 해금 소리와 노래가 참 잘 어우러집니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수없이 주현미의 노래를 들었겠지만, 한국어 가사로 된 노래와 중국어 가사로 된 노래를 부를 때, 주현미의 목소리는 살짝 다르게 다가옵니다. 뭐랄까... 중국어 노래를 부를 때에는 그 목소리에 내재되어 있는 회한의 정서가 더욱 극대화되는 그런 느낌.

 

그럼 한국어와 중국어로 한꺼번에 부를 때는 또 어떨까요. 주현미가 등려군의 '야래향'을 부른 영상입니다.

 

 

 

사실 이날 '히든싱어'는 맞추는 재미는 그닥 없었다고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주현미의 농익은 기량과 나이에 따른 원숙한 음색이 다른 젊은 도전자들과 구분하기 어렵지 않았기 때문이죠. 특히 패널 중 데니안은 도전자의 연령대까지 짐작하는 신기를 보였는데, 사실 목소리에서 어느 정도 나이가 느껴지는 건 분명한 사실인 듯 합니다. 비슷한 또래의 도전자가 나왔더라면 좀 더 구별하기 힘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 정도.

 

(여담이지만 이런 상식을 깼던 가수가 바로 신승훈이었습니다. 저도 들으면서 '이건 젊었을 때 신승훈 목소리를 흉내내는 도전자잖아!'하고 생각했던 도전자(?)가 바로 신승훈이었기 때문이죠. 그러니까 신승훈이 '히든싱어' 방송 사상 최초로 도전자에게 우승을 내준 건 지금까지도 너무나 젊은 날의 목소리를 그대로 간직했기 때문이라는 얘깁니다. '나이를 극복하는 바람에' 청중 평가단을 혼란에 빠뜨린 거죠.^^) 

 

하지만 '히든싱어'의 재미는 이미 헷갈리냐 맞추냐의 선은 넘어선 듯 합니다. 지난 시즌 때의 백지영 때도 도전자들과 백지영의 목소리가 확연히 차이났지만 그래도 방송으로 접하는 재미는 떨어지지 않았죠. 이번 주현미 편도 '방송 이래 가장 쉬웠다'는 평인데도 시청률 면에선 방송 후 처음으로 6%대를 기록하는 호조를 보였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히든싱어' 본방에서 들을 수 없었던 주현미의 히트곡 하나.

 

 

 

 

이젠 시청자들도 맞추고 틀리고 보다는 추억의 명가수가 부르는 노래 속에서 그 시절의 추억을 되새기고, 출연자들은 어떻게 해서 그 가수의 워너비가 되었는지 사연을 즐기는 쪽으로 자리를 잡으신 듯 합니다. 그리고 이런 것이 바로 '히든싱어'를 진정으로 즐기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히든싱어'가 단순한 모창 묘기 쇼가 아닌 이유가 바로 이런 데 있는 거겠죠.

 

사실 저는 어제 못 들어 아쉬운 노래가 또 있습니다. 딱 한번, 1990년대 초쯤의 어느 날, 당시 인기 프로그램이었던 '노영심의 작은 음악회'에 주현미가 출연했습니다. 당시 '작은 음악회'는 지금의 '유희열의 스케치북'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었는데, 그때만 해도 트로트 가수가 출연하는 프로그램은 아니었습니다. 주현미의 등장은 꽤 의외였죠.

 

이때 MC 노영심은 "평소 방송에서 보지 못하는 주현미의 다양한 모습을 보고 싶다"며 자신이 미리 주문한 다섯 곡의 노래를 불러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그 중 한 곡이 바로 이 노래였습니다.

 

 

 

주현미가 '신사동 그 사람'이나 '비내리는 영동교'를 불러 당대의 톱가수가 된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목소리 속에 들어 있는 짙은 페이소스가 듣는 이의 몸을 촉촉하게 적시는 힘을 갖고 있기 때문이죠. 흥겨운 리듬의 노래를 부를 때도, 이제는 다시 돌이킬 수 없는 지나간 날을 되새기게 하는 매력이 담겨 있는 목소리입니다.

 

그리고 이 노래, '당년정'은 원래 제가 좋아하던 노래지만 이날 주현미의 가창은 그때까지 들어 본 어떤 다른 버전보다도 뛰어났습니다. 그 뒤로 한번쯤 더 이 노래를 들어 볼 수 있는 기회는 없을까 했지만 안타깝게도 없었습니다. 유튜브에서도 찾아볼 수 없더군요. 살다보면 언젠가 한번 들어볼 날이 있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다음은 약간 희귀한 버전입니다. 2003년, 장국영의 죽음 4일 뒤에 열린 홍콩 금상장 시상식장에서 곽부성, 장학우, 유덕화, 여명 등 홍콩의 4대천왕이 부른 추모의 노래 '당년정'입니다. 반주도 없고, 음질도 엉망이지만 장국영 팬들에겐 더 없는 선물일 듯 합니다.

 

 

 

 

 

분위기가 너무 처지지 않게 마지막으로 한 곡. '히든싱어2'에 주현미의 모창 도전자로 나온 여고생 배아현 양은 이날 주현미에게 "학교 졸업하고도 마음이 변하지 않으면 제자로 받아 주겠다"는 말을 듣고 펄쩍 뛰며 기뻐했습니다.

 

그 배아현 양의 타고난 꺾기 기술. 무슨 노래를 불러도 '뽕끼 작렬'이라는 말을 듣고 주영훈이 '트로트 아닌 다른 노래를 불러 보라'고 권합니다. 그러자 그녀의 입에서 흘러나오는 에일리의 '보여줄게'.

 

스튜디오가 뒤집어집니다. 잘 들어 보세요.

 

 

 

 

다음주 '히든싱어'는 윤도현 편이 방송됩니다. 당연히 토요일 밤 11시.

 

 

 

 

728x90

바르셀로나 한복판에는 그라시아 거리 Passeig de Gracia 라는 대로가 있다. 우선 바르셀로나의 도시 모양을 일단 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처음 지도를 보면 아무 느낌도 없겠지만, 며칠 돌아다니다 보면 이 도시의 특성이 보인다.

 

 

 

바르셀로나의 주축 도로는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도시를 가로지르는 대로 Gran Via 다(위 지도의 파란색 선). Gran Via는 스페인에서 한 도시의 가장 큰 길을 말하는 것으로, 앞으로 갈 모든 도시마다 Gran Via가 있다. 대개의 경우 그 도시에서 가장 번화한 곳이라고 생각하면 전혀 문제가 없다.

 

이 그란 비아의 공식 명칭은 Gran Via de les Catalanes 지만 뒷말은 무시해도 좋다. 어차피 그란비아는 이 길 하나밖에 없으니까. 그리고 지도를 클릭해서 크게 보면 파란 선이 통과하는 전철역(빨간 마름모) 중 그라시아 거리 Passeig de Gracia라는 역이 보인다.

 

 

 

그러니까 그 중심 대로인 Gran Via 길 위의 그라시아 거리 역에서 수직으로 북서쪽으로 가는 길이 바로 그라시아 거리다.

 

이 거리를 길게 설명하는 이유는, 이 길이 바르셀로나의 청담동이라고 말할 수 있는 명품의 거리기 때문이다. 샤넬에서 에르메스에 이르는 명품 매장들이 모두 이 길에 있다. 또 망고에서 자라까지 거의 모든 브랜드가 다 자리잡고 있어 쇼핑으로는 단연 그라시아 거리가 no.1이다.

 

이 거리는 19세기에 구축된 바르셀로나의 신시가지(도시가 좀 연식이 있다 보니 19세기가 신시가지다)로, 카탈루냐 광장 남쪽의 미로같은 구시가와는 달리 직사각형으로 딱딱 대로가 갈라지는 계획도시의 풍모를 강하게 풍긴다.

 

그리고 이 길 위에 가우디의 작품인 카사 밀라카사 바트요 가 있다. 이 두 건물이 그라시아 거리에 있다는 건 우연이 아니다. 두 건물은 모두 20세기 초 중산층의 삶, 그리고 아르누보의 시대와 직접적인 관련을 갖고 있다.

 

 

 

북서쪽에서부터 내려오다 보면 일단 먼저 눈에 띄는 것이 카사 밀라 Casa Mila.

 

카사 비센스에서도 예습했듯 1910년 지어진 카사 밀라는 '밀라 씨의 집'이라는 얘기다. 이 집 역시 세련된 취향을 가진 중산층 이상을 위한 아파트 단지로 설계됐는데, 결과적으로 이 집 역시 실패한 단지였다. 가우디가 손만 대면 부동산으로선 매번 실패했다는 이야기만 듣게 된다. 보기 좋은 집이 살기도 좋은 건 아니라는 얘기일 듯 하다. 그래서 결국 주인이 몇번 바뀌다 바로 길 건너 있는 은행의 소유물이 됐다는 얘기.

 

아무튼 이 집은 채석장이란 뜻의 라 페드레라 La Pedrera 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불린다고 한다.

 

 

 

그리고 남동쪽으로 그라시아 거리를 따라 내려오면 카사 바트요 Casa Batillo 가 나타난다.

 

스페인 건축의 특징이라면 특징인데, 건물 앞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된 곳이 많지 않다. 뒤에 가 볼 도시들의 카떼드랄 Cathedral 들이 모두 그래서 건물의 전경을 카메라에 담기가 그리 쉽지 않다. 특히나 카사 바트요는 건물이 북동향이라 오후에는 길 건너편에서 찍으려 해도 건물 정면을 찍으면 역광이 된다. 그래서 저 건물의 특징인 용이 헤엄치는 지붕을 찍기란 매우 힘들다.

 

아무튼 참 절묘하고 특이하다. 그리고 가우디의 영향까진 아닐지 몰라도, 그라시아 거리엔 독특한 스타일의 건물들이 꽤 많이 눈에 띈다. 6~8층 정도로 거의 통일된 높이의 건물들이 이렇게 다양한 형태로 치장되어 있는 모습은 대단히 인상적이었다.

 

 

 

이 건물의 정체는 지금도 모르겠다.

 

 

 

이건 매우 유명한 카사 바트요 옆집. 카사 아마예 Casa Amatller ('아마트예' 라고 읽어야 할 듯 하지만 카탈루냐어로는 아마예라고 읽는다고 한다. 그러나 택시 운전사와 주민들이 동네 하나 부르는 이름이 모두 다른 스페인이고 보면 사실 좀 불안하긴 하다) 라는 건물인데, 그냥 '카사 바트요 옆집'이란 이름으로 국내 여행객들 사이에 알려져 있다. 이 건물도 카사 바트요 못잖게 요란하고 화려하다.

 

 

 

 

이 건물은 초콜렛 박물관으로 1층만 개방중인데, 어떤 인연인지 카사 바트요는 현재 추파 춥스 사탕 회사가 소유하고 있다.

 

 

 

이건 카사 바트요에서 옆 길로 꺾어지면 보이는 안토니 타피에스 미술관 Fundacio Antoni Tapies. 이 건물도 가우디 당대의 라이벌(?)이었던 몬타네르 Lluis Domenech I Montaner (역시 이분의 이름도 카탈루냐 식으론 유이스 두메넥 몬타네르...) 의 작품이라는데, 건물 위의 정신없이 꼬인 철사줄 같은 장식이 매우 인상적이다.

 

가우디의 진수를 맛보려면 건물 내부에 들어가야 할텐데 일단 장애가 좀 있다. 카사 밀라는 16유로, 카사 바트요는 20.35유로(관광안내소에서 10% 할인 쿠폰을 준다. 18.15유로인 셈)를 받는다. 두 건물 모두 보려면 1인당 5만원이 넘는다. 엄청나게 비싼 가격이다. 그리고 유로자전거나라는 카사 바트요 앞에서 점심식사 포함해 2시간 정도의 여유 시간을 준다. 그러니까 식사를 하고, 알아서 들어가고 싶은 건물을 들어가 보라는 얘기다.

 

일단 시차적응이 안 된 중년 커플은 여기서 퍼져 앉고 싶은 마음 외에는 아무 생각도 들지 않는다. 몇 군데의 식당을 추천받았는데 그때만 해도 오래 오래 걸리는 스페인 식 식사를 즐길 마음의 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았다. 그래서 아무 생각 없이 비교적 음식이 빨리 나온다는 식당으로 향했다.

 

(결론적으로 음식은 전혀 빨리 나오지 않았다.)

 

 

 

따예 데 타파스 Taller de Tapas(자. 이제 taller를 톨러라고 읽는 촌스러운 발음은 빨리 졸업하도록 하자). 나중에 알고 보니 체인이어서 바르셀로나 곳곳에서 똑같은 간판을 볼 수 있다. 애초부터 프랜차이즈였는지, 장사가 잘 되어 분점이 여러 곳 난 건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음식 맛은 낫 배드.

 

카사 바트요에서 안토니 타피에스 미술관을 지나 왼쪽으로 꺾어지면 바로 보인다(남서쪽으로 한블럭 뒤라는 얘기). 주소는 Rambla de Catalunya, 49-51, 08007 (람블라 어쩌고 하는 주소 때문에 '아 그 유명한 람블라 길? 하는 오해는 없길 바람. 그 람블라 길은 La Rambla 다). 야외석과 실내석이 따로 있다.

 

여기서 드디어 스페인 식문화의 특징 중 하나인 메뉴 델 디아(Menu del Dia)를 시키게 된다. 메뉴 델 디아란 '오늘의 메뉴'라는 뜻으로, 거의 모든 레스토랑이 점심 시간에 전채 요리 하나, 메인 요리 하나, 그리고 디저트 등 3식에 빵과 음료를 더해 매우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게 되어 있는 제도를 말한다. 저렴하다는 건 10유로 정도. 관광지든 마드리드든 결국 메뉴 델 디아 가격으로 비싼 집이라도 14유로 이상은 못 봤다.

 

10유로면 14000~15000원 정도니 비싸다고 생각할 사람도 있겠지만, 서서히 스페인 물가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버거킹의 세트 메뉴가 7~8유로 정도 한다. 전식-메인-후식 세 접시 식사에 음료와 빵을 주고 10유로면 엄청나게 싼 거다. 이 제도를 만든 사람이 그 유명한 독재자 프랑코고, 노인네들 사이에서는 메뉴 델 디아가 '프랑코가 잘한 대표적인 일' 중의 하나로 꼽힌다고 한다.

 

...만, 이 제도를 경험한 결과, 메뉴 델 디아는 관광객에게 그닥 추천할만한 식사가 아니라는 결론을 내리게 됐다.

 

 

 

 메뉴 델 디아에 나오는 전채와 메인, 디저트 모두 각각 몇가지 선택지 중에서 고를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어떤 식당도 자기네 식당의 간판 메뉴를 메뉴 델 디아로 내놓고 있지는 않았다. 특히나 관광지로 갈수록 메뉴 델 디아에 속하는 건 대개 닭다리, 소 안심 스테이크, 돼지 등심 구이, 심지어 햄버거 스테이크 등 '관광객용 메뉴' 인 경우가 많았다. 스페인에 가서 비교적 저렴하다고 메뉴 델 디아만 먹다 보면 정작 스페인이 자랑하는 특유의 맛은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하고 돌아오기 십상이다.

 

그리고 경험해본 바에 따르면, 재주껏 주문하는 요령만 생기면 배부르게 먹고도 메뉴 델 디아와 별 차이 안 나는 계산서를 만들 수 있다. 놀랍게도 식당 주인이나 웨이터들도 그런 태도를 그리 싫어하지 않는다. 오히려 '너 좀 아는구나. 그래. 음식은 그렇게 먹어야지' 라는 듯한 눈빛을 보내곤 한다.

 

스페인 식당에 갔으면 영어 메뉴와 스페인어 메뉴를 번갈아 보면서 음식 이름, 혹은 음식 재료 이름을 조금씩 익혀 가며 뭔가 주문해 먹는 맛, 이런게 있어야 진정한 여행의 의미가 있는 게 아닌가 싶다.

 

...물론 이런 건 다 며칠 지난 뒤의 얘기고, 이날은 아무것도 몰랐으므로 12.5 유로짜리 메뉴 델 디아 주문.

 

 

 

 

 

메뉴 델 디아에서 전채로 선택한 연어 샐러드와 구운 야채.

 

 

그리고 메인 중 하나인 닭다리 구이. 뭐 이런 음식이 나온다. 굳이 스페인까지 가서 먹을 이유가 없는 음식들이다.

(그래서 이 집은 '스페인 맛집' 항목에 들어가지 못했다. 먹어 본게 이런 건데 어떻게 평가를 하겠냐는 말이다.)

 

 

 

 

식사를 마치고 나오는 시간이 오후 3시30분 정도 되어 가는데(스페인의 점심 시간은 대략 오후 2시~4시 쯤이라고 보면 된다. 스페인 사람은 하루 보통 5끼를 먹는다고 하는데 이건 어느 가이드북에나 다 나오는 이야기이므로 여기선 생략), 여전히 노변의 카페들이 바글바글했다.

 

흔히 '스페인에는 시에스타가 있다'고들 하는데 바르셀로나에는 시에스타가 없다. 다만 점심을 집에 가서 먹고 오거나 밖에서 아주 오래 오래, 잘 떠들면서 즐겁게 먹는다. 뭐... 직장인의 입장에서 참 보기 좋았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이 날은 카사 밀라도, 카사 바트요도 내부는 들어가지 않았다. 대신 스페인의 오래 오래 먹는 점심 문화를 경험해 봤다고 얘기하고 싶다. 그리고 여행 첫날은 항상 부담스럽고 힘들다. 너무 무리하지 않기로 했다. 이 건물들의 내부 이야기는 넷째날에 소개하기로 한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입장료가 아깝지 않았다.)

 

게다가, 이날의 하이라이트인 바르셀로나의 랜드마크가 아직 남아 있지 않은가 말이다.

 

 

 

곧바로 전철을 타고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로 짜잔. (당연히 계속)

 

 

 

728x90

요즘 방송가의 가장 뜨거운 화두는 '19금'입니다. '19금' 속에 묻어 뒀던 이야기들이 세상으로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그 핵심부에 JTBC '마녀사냥'이 있습니다.

 

방송 4개월째를 맞은 '마녀사냥'은 신동엽, 성시경, 샘 해밍턴, 허지웅 네 남자가 주축이 되어 털어놓는 짜릿하고 은밀한 연애 담론입니다. 물론 종래의 연애 이야기가 뭔가 미성년자용인 듯한 냄새가 났다면, '마녀사냥'에서 다뤄지는 것들은 철저하게 '어른들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종전에도 '19금'을 표방한 프로그램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아예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누드 모델이나 성인영화배우들이 출연하는 프로그램까지 시도된 적이 있었지만 대부분 자리를 잡지 못하고 사라졌습니다. 이들 프로그램들과 지금 자리잡고 있는 '마녀사냥'과 'SNL'을 비교해 보면 확연한 차이가 느껴집니다.

 

'마녀사냥'이 리드하는 '19금 해금'의 분위기에는 쏟아지는 농담 속에서 은근히 지켜지는 품위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성인들이라면 친구들과 함께 있을 때 이 정도 대화들은 하면서 서로 웃고 즐기지 않습니까'라는 식의 질문을 시청자에게 던지고 있다고 봐야겠죠.

 

다소 야하다 싶은 이야기를 하면서도 '은근함'의 선을 넘지 않는다는 건 사실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 선을 지키는 것도 대단한 능력이죠. 두 프로그램 모두 '신동엽의 통제' 아래 있다는 건 아마도 우연이 아닐 겁니다.

 

 

 

 

그리고 '마녀사냥'이 가고 있는 길은 어딘가 음습하고 으슥한 퇴폐업소에서 벌어지는 이야기, 누군가 별스러운 사람들이 즐기는 환락의 세계에서 튀어나온 듯한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라는 면에서 이전의 19금 이야기들과 다릅니다. 방송 내용의 대부분은 시청자들이 보내 온 사연이나 질문으로 이뤄집니다.

 

그런 의미에서 '마녀사냥'은 우리 사회가 좀 더 솔직해지는 계기를 만들고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사실 한 10여년 전만 해도 이 사회의 결벽증은 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심했습니다. 여름 시즌의 납량 특집 프로그램에서 여자 연예인이 수영복 차림으로 등장하면 '선정적'이라며 철퇴를 맞던 시절입니다. 물론 그보다 조금 전에는 가요 프로그램에 나오는 가수들이 울긋불긋 염색을 하고 나오면 청소년들에게 악영향을 준다는 이유로 출연 정지를 시키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사실 그리 먼 이야기는 아닙니다. 최근에도 남자 아이돌들이 수영장에서 수영 경기하는 모습이 선정적^^이라는 이유로 상의 티셔츠를 입혀 수영을 시키던 일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와중에 케이블TV 채널을 돌리면 클럽에서 벌어지는 남녀간의 짝짓기 게임을 그대로 보여주는 프로그램들이 버젓이 방송되고 있었습니다. '부비부비'라는 말이 방송용어가 되기 시작할 무렵의 얘기죠. 이 시절, 이미 이런 프로그램은 클럽에서 춤추는 젊은이들의 모습을 그대로 방송으로 내고, 이들 역시 카메라 앞에서 아무 스스럼없이 평소의 모습을 그대로 드러냈습니다.

 

 

 

 

이쪽 채널에서 이쪽 채널로 옮겨 가면, 바로 다른 세상이 펼쳐지던 시절입니다. 한마디로 한쪽은 조선 시대 그대로, 세상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었죠. 모든 사람의 마음 속에서 당연하게 생각되던 것들이 일부 강경한 도덕주의자들 때문에 엷게 가려져 있던 세상이었던 겁니다.

 

그러던 담론이 이제 세상 밖으로 서서히 펼쳐지기 시작했다고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혼전순결이나 결혼의 영속성이 무슨 금과옥조처럼 지켜지던 시절도 아니고, 남녀가 사귀기 시작하면 대략 어떤 단계를 밟는다는 것도 이미 다 아는 세상이죠. 특히나 젊은 층일수록 '아저씨 아줌마'들의 상상보다는 훨씬 앞으로 나가 있습니다. 온 세상이 다 변하고 있는데 TV 혼자 청학동 계곡 안에 머리를 박고 있는 게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변화의 징후는 고정 출연자인 곽정은 기자(위 사진 왼쪽. 슈퍼모델 한혜진 옆에서도 밀리지 않는 미모가...)가 '코스모폴리탄'에 쓰는 칼럼들을 통해서도 나타납니다. 10년 전, 15년 전만 해도 한국 사회에서 여자가 이런 식의 과감한 칼럼을 쓴다는 건 상상하기 힘든 일이었죠. 하지만 그 칼럼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고, 많은 사람의 공감을 사고 있다는 것은 이미 세상이 변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훌륭한 지표입니다.

 

그래서 하자는 얘기는: '마녀사냥'은 한국 사회가 보다 솔직해지고 있는 한 단면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라는 겁니다. 물론 19금 방송은 방송 시간 준수를 비롯해 19금 방송으로서 지켜야 할 위계가 있습니다. 오히려 무지와 미신 때문에 피해를 보는 사람이 더욱 많은 세상에서 '마녀사냥'의 시도는 음지에서 수근거리며 이야기하던 것을 좀 더 많은 사람이, 밝은 광장에서 이야기하게 만들 것입니다.

 

 

 

 

 

 

 

'저래도 되는 거야?' '저런 얘기를 해도 돼?' 같은 이야기들은 생각해 보면 여러분들이 모두 주위 사람들과 아무 스스럼 없이 하던 이야기들입니다. 오히려 이런 이야기들의 해금을 통해 세상은 좀 더 솔직해 질 것이고, 이유 없는 금기는 조금씩 사라질 것입니다. 이런 식의 해금은 정치, 경제, 사회 각 분야에서 이미 진행되어 왔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홍석천이 이 프로그램에서 하는 이야기들은 이 사회가 귀담아 들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말로만 하는 성 소수자에 대한 배려는 필요 없죠. 이젠 그들도 이 사회에서 밥 먹고 숨 쉬며 살아가는 사람이라는, 옆에서 자기의 연애 이야기를 해도 이상하지 않은 사람이라는 인식이 필요합니다.

 

이런 식으로.

 

 

 

'예전에는' 구직자가 고용주에게 감히 '연봉을 얼마 달라'고 내놓고 요구하지 못했고, '예전에는' 교사의 비정상적인 폭력에도 학생들이 항거하지 못했고, '예전에는' 학교 안에 전경이 들어가 정치적 사안에 반대 집회를 여는 학생들을 잡아가도 아무 말도 하지 못했습니다. 얼마쯤 지나면 누군가 "예전에는 '마녀사냥' 같은 프로가 방송될 엄두도 못 냈대"라고 말하는 시대가 올 겁니다.

 

세상은 변하는 것이고, 그 변화의 방향은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변하는 세상, 변하는 사람들을 느끼고 싶으신 분은... '마녀사냥'을 보시면 됩니다.

 

매주 금요일 밤 11시. 이제는 슈퍼스타K 보다 시청률이 잘 나옵니다. 당신만 세상에 뒤처져 있습니다.^^

 

 

P.S. 마지막은 전설적인 신동엽의 셀프 디스: '남자가 연락을 안 하는 4가지 경우'.

 

 

 

맘에 드시면 추천. @fivecard5를 팔로하시면 새 글 소식을 더 빨리 알 수 있습니다.

 

728x90

2013년 10월. 스페인을 찾았다. 특별한 이유는 없이. 한번도 안 가본 곳을 가보려는 생각 가운데 바르셀로나라는 도시 이름이 스쳤다.

 

그리고 후배 아무개의 페이스북에서, 야간 개방을 한 알함브라 궁전 곳곳을 찍은 사진을 봤다. 신비롭고 또 신비로웠다. 이런 곳이 아직 남아 있었는데 내가 못 가봤다니. 불끈 마음 속의 불기둥이 섰다. 에스빠냐. 곧 가고 말겠다.

 

 

 

마일리지 보너스 항공권으로 여행 일정을 잡기는 쉽지 않았다. 비행기 한 대에는 수백개의 좌석이 있지만 항공사들이 마일리지 손님들을 위해 열어 놓은 좌석은 그중 한주먹을 넘지 않았다. 몇 차례 혼선을 겪은 끝에 일정을 잡았다.

 

스타 얼라이언스를 이용한 바르셀로나 in ~ 마드리드 out의 일정. 10월17일에 서울을 출발해 28일 돌아오는 10박12일의 일정이었다. 직장인으로선 감히 생각하기 힘든 사치였지만 사실 마지막 날은 약간의 착오 때문에 생겼다. 돌아오는 여정은 당일 도착이 아니라 +1이었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한 것. 그래서 10박11일이라고 생각한 여정이 12일이 돼 버렸다.

 

아무튼 프랑크푸르트를 경유해 바르셀로나에 도착한 시간은 밤 11시30분. 이미 프랑크푸르트에서 검색지역을 통과한 터라 바르셀로나에서는 바로 공항 문을 나설 수 있었다. (프랑크푸르트는 유럽 공항 중에서도 유난히 민감한 검색으로 유명하다. 화장품류를 사는 경우, 액체 용량 제한에도 가장 엄격한 기준을 내걸고 있다.)

 

공항에서 숙소까지 걸린 시간은 약 20분. 요금은 29유로 정도. 미터기대로 갔는데도 가이드북의 추정 요금 30유로를 넘지 않았으니 정직한 예금으로 보인다. 첫날은 바로 수면. 물론 시차 때문에 숙면은 힘들지만.

 

다음날 아침부터 일단 강행군을 시작했다. 유로자전거나라의 1인당 30유로짜리 가우디 투어. 바르셀로나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안토니오 가우디의 작품들을 소개하고, 꽤 심도있는 해설을 해 준다. 단 30유로는 순전히 가이드 비용. 각 건물의 입장료나 이동 교통비 등은 모두 각자 부담이다. 그러니 절대 싼 가이드비는 아니지만, 찬찬 세세한 설명은 충분히 그 값을 한다.

 

 

 

 

첫 방문지는 카사 비센스 Casa Vicens. 스페인어로 '카사 ~'라는 이름은 '~의 집'이라는 뜻이다. 즉 카사 비센스는 주인의 이름이 비센스라는 얘기. 건물 전면을 타일로 장식한 것은 비센스 선생의 직업이 타일 판매상이라는 것을 대변해주고 있다는 설명이다.

 

 

 

1878년부터 약 10년간에 걸쳐 지어진 카사 비센스는 가우디의 첫 작품이라 그의 취향이 그리 두드러지게 나타나 있지는 않다는 설명. 아무튼 이색적인 건물이 충분히 눈길을 끈다. 어쨌든 현재 개인 소유라 내부 공개는 하지 않는다.

 

 

 

 

이런 소소한 유머감각까지.^^

 

이 집은 현재 판매중이라는 후문. 자신있는 분은 응찰해 보시길.

 

 

 

 

특이한 건 집 앞 전깃줄에 내걸린 운동화.

 

 

 

 

알고 보니 이 신발은 그 앞집에서 대마초를 팔고 있다는 사인이라고.

 

 

 

다음은 산길을 넘어 도착한 구엘 공원.

 

 

 

그 수없이 많은 관광 책자며 블로그에서 보던 바로 그 정문.

 

구엘공원은 알려진대로 1900~1914년 연립주택으로 설계됐다. 옥상에 내린 빗물을 자동 정수해 생활용수로 활용하는 등 획기적인 구상과 디자인이 당시에도 화제였다. 하지만 문제는 20세기 초의 교통 환경. 당시 이 일대는 주거지로 삼기엔 너무 산 꼭대기의 외딴 땅이었다. 그래서 결국 완공에 실패했고, 1920년 언저리에 공원으로 조성되기 시작했다.

 

 

 

 

 

 입구의 이 아리따운 건물들이 바로 구엘 공원을 연립주택으로 설계했을 때 경비초소와 경비원 숙소라는 얘기.

 

 

 

 

 

금요일이라 공원 안은 소풍온 어린이들로 인산인해. 특히 계단의 상징 표석과 알록달록 도자기 모자이크가 박힌 도마뱀 주위는 항상 관광객들로 포위되어 있다.

 

이 기법을 트렌카디스 trencadis 라고 부른다고 한다.

 

 

 

10월이라도 구엘공원의 햇살은 충분히 일사병을 걱정하게 했다. 이때 위안이 된 것은 석조 회랑 안의 시원한 공간. 천정의 모자이크는 공사중이라 볼 수 없었지만, 그 곡선미만큼은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런 곳으로 소풍오는 초등학생들에 대한 약간의 부러움도.

 

 

 

 

 

 

건물 주위를 둘러싼 유명한 석축 회랑을 뒤로 하고 옥상으로 올라가면, 

 

 

 아예 작정을 하고 조성한 듯한 공원이 나타난다.

 

 

 

 

 

 잘 알려진대로 공원의 가장자리는 이렇게 트렌카디스 기법으로 장식된 물결 무늬 모양의 벤치가 만들어져 있고,

 

 

 

 그걸 아래쪽에서 보면 이렇다.

 

 

 

 아무튼 구엘 공원에서 정면 쪽을 바라보면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우리가 다 아는 그 공사중인 옥수수 탑이 보인다.

 

 

 

사실 볼거리는 이게 전부. 10월 초라도 무시무시한 땡볕 때문에 밖에서 오래 구경하는 건 건강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을 것 같았다. 그래도 가우디의 명성 덕분인지 인파는 바글바글. 

 

일설에 따르면 해질 무렵 여기서 바라보는 석양이 기가 막히다고도 한다.

 

 

아무튼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한 구엘 공원은 마냥 아름답다. 구엘 공원 탐방을 마치고, 시내로 이동했다. 가우디와 관련해 돈독이 심한 바르셀로나에서 구엘 공원은 예외적으로 아직 공짜지만 곧 여기도 입장료가 생긴다는 얘기가 있다. 이렇게 해서 오전 일장을 마치고 시내로 이동했다. 

 

시내 한 복판에 있는 가우디의 간판들, 카사 밀라와 카사 바트요, 그리고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를 보기 위해서.

 

18일 밤: 택시비 29유로

728x90

마드리드에 들어서던 날, 비가 오고 쌀쌀한 바람이 불고 있었다. 태양의 나라에도 가을 겨울은 있었다. 이런 날씨라면... 국물이 필요했다. 바르셀로나에서 먹었던 사르수엘라(자르주엘라) Zarzuela가 생각났다.

 

하지만 호텔 매니저는 사르수엘라를 잘 하는 집은 커녕 사르수엘라라는 음식을 아예 몰랐다. "공연을 보시고 싶은 건가요?" 하고 반문을 한다. 참고로 사르수엘라는 스페인식 오페라의 일종을 가리키는 이름이기도 하다. 

 

포기. 그럼 카스티야 풍의 국물 음식은 뭐가 있는지 물었다. 문득 가이드북에서 본 코시도 Cocido 라는 말이 생각났다. 호텔 근처에 코시도 잘 하는 집이 있느냐고 묻자 매니저의 눈이 반짝였다. 이건 자신이 있다는 신호. '미첼린'에도 나온 집이란다. '음. 스페인식으로는 미슐랭이 미첼린이로군'.

 

그가 지도를 꺼내 표시해 준 집은 라 볼라 La Bola. 볼라 거리를 대표하는 집이라는 뜻이란다. 호텔에서 지하철 한 정거장 정도를 걸어가면 작은 광장이 나오고, 거기서 메르쿠레 Mercure 호텔이 보이면 왼쪽으로 꺾으란 설명. 시키는 대로 했는데 그 안에서 또 길이 두 갈래다. 이런. 일단 볼라 거리 Calle de Bola를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물었다. 다행히 한 아주머니가 이 방향이라고 가르쳐 준다.

 

 

 

가는 길에 한식당 마시타 Mashita 발견. 사실 여기까지 와서 한식당을 갈 이유는 없었지만 나중 호기심에 찾아 보니 트립어드바이저에서 꽤 순위가 높은 집이었다. 많은 손님들이 이 집에서 '환상적인 스시'를 먹었다고 하는데... 과연 무슨 스시를 먹은 것일지. 혹시 노리마키?

 

 

 

 

마시타에서 골목길을 죽 내려가면 오른쪽에 라 볼라가 보인다. 그런데 놀랍게도 오후 3시에 줄을 서 있다. 대단하다.

 

 

 

 

집 대문을 장식하고 있는 미슐랭(스페인식으로 미첼린) 가이드의 위용. 그리고 더 잘 보이는 '현찰만 받아요' 간판.

정감있는 고전적인 분위기의 실내엔 테이블이 다닥다닥 붙어 있다. 첫 주문은 당연히 이 집의 성명절기인  '마드리드식 코시도 Cocido Madrileño '. 그리고 고기와 토마토 소스 스튜라는 설명이 있는 로파비에하 Ropavieja를 시켰다.

 

 

 

 

아담한 항아리에 담긴 코시도가 나왔다. 아래 보이는 올리브는 기본 제공. 이 올리브만 반찬으로 해서도 빵 한접시를 비울 수 있을 정도로 신선하고 상큼한 맛이 났다. 그리고 잠시 뜸을 들인 후, 항아리가 개봉됐다.

 

 

 

 

코시도를 먹는 순서 1. 우묵한 접시에 소면 같이 가느다란 파스타를 담고, 거기에 항아리에서 국물만 따라 붓는다. 진한 국물과 함께 소면을 말아 먹는 셈이다. 고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겐 아주 인상적인 맛.

 

대부분의 국내 곰탕/설렁탕 집들은 고기 특유의 누린내를 제거하기 위해 오만가지 비법을 다 쓴다. 마늘과 양파, 통후추는 기본이고 각종 한약재에서 커피까지 다양한 소재들이 고기를 삶을 때 비장의 재료로 사용된다. 하지만 코시도의 국물은 이보다 훨씬 정직한 '고기 국물' 맛이다. 국물의 '고기 냄새'에 예민한 사람들은 싫어할 수도 있을 듯.

 

 

 

수프와 파스타 접시를 비우면 항아리의 내용물이 나온다.

 

 

 

스페인 특유의 알 굵은 콩을 중심으로 쇠고기 한 덩어리(양지머리 같은 부분이 아닐까 생각됨), 닭 가슴살 한 덩이, 소 꼬리 한토막, 그리고 삼겹살(이라지만 사실은 거의 비계) 한 덩이가 들어 있다. 이걸 푹 곤 국물을 좀 전에 먹은 거다.

 

 

 

고깃덩이를 가져다 찢어 먹는게 코시도의 두번째 순서. 느끼한 맛을 덜기 위한 토마토 소스, 초절임 고추(전혀 맵지 않다), 날 양파가 제공된다. 고기와 삶은 콩, 토마토 소스를 마구 버무려 먹다가 심심하면 고추절임을 한입씩 깨물면 된다.

 

맛있다. 음.

 

 

 

그러는 사이 두번째 메뉴 로파비에하 Ropavieja 등장.

 

재료상으로는 코시도 마드릴레뇨와 크게 다를 게 없다. 토마토 소스를 나중에 첨가해서 먹느냐, 아니면 토마토 소스를 함께 넣고 고기를 잘게 찢어 국물이 많지 않게 자박자박하게 끓여 내느냐의 차이 정도.

 

비위가 약한 사람에게는 로파비에하가 이 집의 진미를 맛보는 더 간편한 방법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뭐니뭐니해도 코시도로 일어선 집인 만큼 처음에는 일단 코시도를 맛봐 주는게 예의가 아닐까 싶다.

 

이밖에도 메뉴상으로는 다양한 생선과 고기 요리를 취급한다. 혹시 다음에 가 볼 기회가 있다면 이 집 방식의 라따뚜이를 맛보고 싶은 생각도 든다. 아무튼 태양의 나라에도 쌀쌀한 날씨는 있는 법, 푸짐하게 먹고 겨울을 이겨내기 위한 마드리드 사람들의 지혜가 담긴 코시도.

 

 

 

끝으로 서비스의 질. 서빙하는 거구의 어르신도 라 볼라의 명성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을 주어왔을 듯 하다. 말 안 통하는 외국인 손님들을 맞아서도 여유가 넘치고, 양쪽에서 똑같은 음식을 주문했을 때 코시도 항아리를 들고 왔다갔다 하면서 '어.느.놈.을.먼.저.줄.까.요' 를 몸짓으로 구현하기도 하는 재치까지. 음식 맛 뿐만 아니라 여유있는 서비스도 인상적인 식당이었다.

 

 

 

1870년부터 성업중인 노포의 명성은 역시 쉽게 얻어진 것이 아닌 듯.

 

 

 

스페인 여행 첫 소식을 이걸로 전합니다. 앞으로 [여행]과 [맛집]으로 나눠 포스팅할 예정.

 

728x90

관상은 다 아시다시피 천재적인 관상가 내경(송강호)의 이야기입니다.

 

세상이 어지러울수록 사람들은 점이나 조짐, 팔자 등에 기대게 되어 있습니다. 모르면 몰라도 계유정난 당시, 각 진영엔 결정적인 판단을 할 때 의견을 묻던 점술가가 있었을 겁니다. 이 영화는 그런 상상에서 출발한 것이죠.

 

그럼 조선시대의 기록에 그와 비견할만한 역술가가 있었을까요. 조선 초기, '조선 왕조 500년을 통틀어 가장 뛰어난 역술가'로 불린 인물이 있었습니다. 물론 기록이 너무 기이하다 보니 실존 인물인지가 의심스러울 지경이고 문헌마다 살았다는 연도가 제각각이라 한 사람이라고 보기는 힘들 듯한 면이 있습니다. 반면, 그 정도로 유명한 인물이었다는 반증이 될 수도 있을 듯.

 

그의 이름은 홍계관입니다.

 

 

 

 

홍계관(洪繼灌, ?~?)

 

영화 관상은 관상의 대가 김내경이라는 가상의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실제 사건인 계유정난을 재해석한 영화다. 영화 속 내경(송강호)는 누구든 얼굴만 보면 내력과 속내, 그리고 장래의 운명까지 꿰뚫는 천재 관상가다. 누구든 이렇게 관상으로 사람을 알아보는 능력을 갖고 있다면 치세보다는 난세에 훨씬 더 출세하기 쉽겠지만, 불행히도 영화 속 내경의 행보는 그리 평탄치 않다.

 

실제로도 내경 같은 인물이 있었을까.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조선 초기에는 도성 안에 통명청(通明廳)을 두고 빼어난 점쟁이를 국복(國卜)으로 삼아 큰 일을 점치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여러 사서에 조선을 통틀어 최고의 점쟁이로 홍계관이라는 이름이 나온다. 어찌나 유명했던지 한양 도성 안에 홍계관골이라는 마을이 생길 정도였다.

 

관상의 내경이 관상가였던 반면 홍계관은 맹인이었다는 차이는 있다. 하지만 백발백중이었다는 점,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명을 어쩌지 못했다는 점에선 매우 유사하다 하겠다.

 

여러 문헌을 통해 전해지는 홍계관의 일화에는 계유정난을 전후로 한 세종~세조 시대를 배경으로 한 것과 명종 시대의 것이 뒤섞여 있다. 두 시대의 간격이 약 100년 정도이니 동일인일 가능성은 없고, 최소한 두 명 이상의 인물이 남긴 행적이 합쳐졌을 것이다.

 

세조 시대의 홍계관은 계유정난의 주역 중 하나인 홍윤성의 장래를 알아 본 것으로 유명하다.  젊은 시절 장안의 유명한 건달이었던 홍윤성이 점을 보러 오자 홍계관은 갑자기 자세를 고쳐 큰 절을 올렸다. 놀란 홍윤성이 연유를 묻자 공은 뒷날 정승의 자리에 오를텐데, 뒷날 제 아들이 누명을 쓰고 죽을 위기에 놓일 테니 그때 목숨을 구해 달라는 것이었다. 과연 홍윤성이 홍계관의 지시에 따라 세조와 인연을 맺고 승승장구, 벼슬이 형조판서에 이르렀는데 한 죄수가 윤성을 보고 저는 점쟁이 홍계관의 아들이니 목숨을 살려 주십시오하고 외쳤다. 홍윤성이 그의 목숨을 구해 주고 홍계관의 재주에 탄복했다는 이야기다.

 

 

 

 

부계기문(涪溪記聞)’엔 이렇게 전해지지만. 극작가 윤백남의 채록에 따르면 홍계관의 아들은 배은망덕한 홍윤성 때문에 결국 목숨을 잃는다. 권세를 남용하며 백성을 학대했다는 홍윤성에 대한 민간의 반감이 표현된 설화다.

(윤백남의 채록에 따르면 홍윤성은 홍계관의 아들임을 알고도 뇌물을 요구하고, 홍계관의 아들에게 뇌물로 줄 돈이 없자 그를 처형당하게 내버려 둡니다. 그러자 홍계관의 아들은 끌려나가며 "우리 아버지가 은혜를 원수로 갚는 자는 평생 후손이 없을 것이라 합디다"라고 울부짖었다는 것이죠. 윤백남에 따르면 홍윤성이 그 뒤로 절손을 당했다고 하나, 실제로 홍윤성에게 자손이 아주 없지는 않았던 듯 합니다.)

 

명종 시대의 홍계관은 젊은 날의 승려 보우(普雨)와 재상 상진(尙震)을 만나 앞날을 예언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가장 유명한 이야기는 그의 죽음에 대한 것이다.

 

어느날 자신의 운명이 궁금해진 홍계관은 모년 모월모일 자신이 죽는다는 사실과, 그 죽음을 피하기 위해서는 용상 밑에 엎드려야 한다는 점괘를 얻는다. 명종의 총애를 받고 있던 홍계관은 왕에게 사정해 한시간 동안 용상 아래 숨을 수 있게 되었다.

 

용상 아래 홍계관이 죽은 듯 엎드려 있을 때 갑자기 전각 안으로 쥐 한 마리가 후다닥 달려들어왔다. 갑자기 홍계관을 시험하고 싶어진 왕은 지금 들어온 쥐가 모두 몇 마리냐고 물었다. 그러자 홍계관은 점을 짚어 본 뒤 세 마리라고 답했다.

 

재차 확인해도 홍계관이 세 마리라고 말하자 왕은 불같이 화를 내며 네가 그 동안 사기로 점을 쳐서 민간의 재물을 함부로 취했으니 죽어 마땅하다며 당장 처형할 것을 명했다. 홍계관이 형장으로 끌려가 죽음을 기다리는데 혹시나 싶었던 왕이 쥐의 배를 갈랐다. 그 안에는 새끼 두 마리가 들어 있었다.

 

그제야 홍계관의 재주에 탄복한 왕은 급히 내시를 보내 형을 멈추려 했으나 이미 홍계관은 목이 잘린 뒤였다. 왕이 아차하고 탄식했다는 데서 이 곳의 지명이 아차산이 되었다는 전설이다. 이 아차산은 지금의 노량진 사육신묘 부근이란 설과 서울 광진구 아차산이라는 두가지 설이 있다.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도 비슷한 기록이 있지만, 이 이야기는 삼국유사에 전하는 고구려 때 추남(楸南)의 이야기와 사실상 같다. 역시 억울하게 죽게 된 점쟁이 추남이 고구려 왕에게 내가 신라 김서현의 아들로 다시 태어나 이 원한을 갚겠다고 한 뒤 김유신으로 태어났다는 설화다.

 

배경이야 어쨌든 이야기의 교훈은 유명한 점쟁이라 해도 제 죽을 날을 내다 보지 못한다는 것. 영화 속 내경의 경우에도 별 차이가 없었던 것을 보면, 운명을 예측한다는 것은 어느 시대에나 부질없는 짓으로 여겨졌음을 알 수 있다. (끝)

 

 

 

이렇습니다. 추남의 이야기란 삼국유사에 나오는 김유신의 젊은 시절 일화 중 하나입니다.

 

김유신이 국선(國仙)인 화랑(花郞)이 되었을 때, 백석(白石)이란 사람이 낭도(郎徒)로 있었다. 김유신이 삼국통일 계획을 세우는데, 백석이 고구려의 정세를 탐지한 뒤에 계획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 말을 옳게 여긴 김유신은 백석과 함께 고구려의 사정을 탐지하기 위해 길을 떠나 하루는 밤에 산 고개에서 쉬는데, 두 여자가 나타나 따라가겠다고 했다. 같이 일행이 되어 가는데, 골화천(骨火川)에 이르니 밤에 다시 한 여자가 나타나, 세 여자는 김유신에게 과일을 대접하며 즐겁게 얘기하고 놀았다.

 

김유신이 세 여인들을 따라 숲 속으로 들어가니, 여인들은 신(神)의 모습으로 변하여 자신들은 나라를 지키는 내림(奈林) 혈례(穴禮) 골화 등 세 지역 수호신인데, 김 공이 적국 사람에게 유인되어 가는 것을 막으려고 온 것이라고 말하고 사라졌다. 놀란 김유신은 나와서 골화관에서 자고, 중요한 문서를 잊고 왔으니 다시 돌아가야 한다고 하여 집으로 돌아와서 백석을 묶은 다음 문초를 했다. 백석은 원래 고구려 사람으로, 김유신이 전생에 원한을 품고 죽은 고구려의 추남이기 때문에 그를 잡으러 왔다고 했다.

 

추남은 고구려의 유명한 점쟁이였는데, 국경지역에 냇물이 거꾸로 흐르는 변고가 생겨 점을 치게 했더니 추남은 왕비가 왕과의 잠자리에서 음양을 거꾸로 하기 때문에 일어난 변고라고 대답했다. 이 말을 들은 왕비는 요망한 거짓말을 하니, 다른 것으로 시험해 보고 맞히지 못하면 벌을 가해야 한다고 임금에게 말했다. 임금이 상자 속에 쥐 한 마리를 넣고 봉한 다음, 무엇이 들었는지 맞혀 보라 했는데, 추남은 쥐 여덟 마리가 들었다고 대답했는데, 왕은 쥐 한 마리가 들었기 때문에 잘못 대답했다고 해 추남을 죽였다. 그런데 상자 속의 쥐를 꺼내 배를 갈라보니 새끼 일곱 마리를 배고 있었다.

 

추남은, 자신이 억울하게 죽으니 다른 나라 장군으로 태어나 고구려를 멸망시키겠다고 말하고 죽었는데, 이날 밤 임금의 꿈에 추남이 신라 서현공 부인 품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았다. 꿈 얘기를 들은 고구려 사람들은 모두 추남이 원수 갚기 위해 신라 김유신으로 태어났다고 믿고 있어, 김유신을 제거하려고 했던 것이다. 김유신은 이야기를 듣고 백석을 사형에 처한 후, 음식을 마련해 지역 수호신에게 제사를 모시니, 신들이 나타나 흠향했다.

 

 

그러니까 홍계관의 사망 관련 설화는 아무래도 삼국시대 추남의 이야기, 혹은 그 이전부터 전해오던 용한 점쟁이의 이야기가 슬쩍 변형되어 '홍계관'이란 유명한 점쟁이의 이름에 덧씌워진 것으로 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조선시대의 문헌이 '홍계관골이라는 지명이 있었다'는 기록을 전하고 있는 걸 보면 홍계관이라는 용한 점쟁이가 있었다는 건 사실인 듯.

 

 

 

아무튼 홍계관의 일화에서도 알 수 있듯 점쟁이와 관련된 모든 이야기는 점쟁이의 초인적인 능력을 인정하되,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운명의 힘이란 점 따위로 비껴갈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짚어 내고 있습니다. 결국 영화 '관상'의 결론도 그런 것이 아니었나 싶은데, 홍계관과 재상 상진(尙震)의 일화는 그 예외는 바로 '선행'이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결국 점쟁이 이야기를 후세에 전하는 뜻은 그런 교훈담이었다는 이야기.

 

상진 관련 설화를 마지막으로 전합니다. 출전은 '연려실기술'.

 

점쟁이 홍계관(洪繼灌)이 공의 일생을 점쳐 보니 길흉화복이 조금도 어긋나지 않았고, 죽을 해까지도 말하였다. 공이 지난 일이 다 맞았으므로 그해에 이르러 미리 초상에 쓸 것을 준비하고 기다렸다. 홍계관이 마침 일이 있어 호남에 가 있으면서, 서울에서 오는 이를 만나면 꼭 공의 안부를 물었는데 1년이 다 지나도 공은 탈이 없으니, 홍이 매우 이상하게 여겨서 서울에 오는 길로 곧 공을 찾아 인사하니, 공이, “내가 자네의 점을 믿고 명이 금년으로 다 된 줄 알았더니, 어찌 맞지 아니하는가.” 하였다.

 

홍이 말하기를, “대감의 명수를 보면 어긋남이 없을 것이오나, 예전 사람이 음덕으로 수명을 연장한 이가 있었으니, 대감께서 반드시 그런 일이 있었을 것입니다.” 하였다.

 

공이 말하기를, “어찌 그런 일이 있겠는가. 다만 내가 수찬으로 있을 때 퇴근하여 집으로 돌아오는데 노상에 붉은 보자기가 있어서 주워 보니, 순금 잔 한 쌍이라 가만히 간직해 두고 대궐 앞에 방을 붙이기를, ‘아무날 물건을 잃은 자는 나를 찾아오라.’ 하였더니, 이튿날 한 사람이 와서 말하기를, ‘소인은 대전 수랏간 별감(大殿水刺間別監)이온데 자질의 혼인이 있어 몰래 주방에 있는 금잔을 빌려 내왔다가 잃었으므로 이미 죽을 죄를 범하였으니, 후일 탄로가 나면 반드시 죽을 것입니다.대감께서 얻으신 것이 그 물건이 아닌지요.’ 하기에, ‘그렇다.’ 하면서 내어주었다.” 하니, 홍이 말하기를, “대감의 수명이 연장된 것이 반드시 이 때문입니다.” 하였는데, 15년 후에 죽었다.

 

결론: 착하게 삽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