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책을 잡으면 원래 잘 놓지 않는 편이긴 합니다만, 이만치 다음 얘기가 궁금해지는 책은 참 오랜만이라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물론 하루키 선생의 책을 처음 읽는 것이 아닌 터라 결국은 끝까지 읽고 나서도 뭔가 한눈에 확 들어오는 명쾌한 설명 같은 것은 기대하면 안 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읽지 않고는 배길 수가 없었습니다. 그야말로 절묘한 글쓰기라 하겠습니다.
여기저기 소개된대로 이 책은 2중 구조로 쓰여져 있습니다. 한 장은 남주인공 덴고의 눈으로, 그 다음 장은 여주인공 아오마메의 눈으로 쓰여져 총 48장에 맞춰져 있습니다.
학원 수학 강사이며 데뷔하지 않은 소설가인 덴고는 어느날 편집자 고마쓰로부터 한 소녀가 쓴 미완성 소설을 제대로 된 소설로 만들어 보지 않겠느냐는 제의를 받습니다. 한편 무술 강사인 아오마메는 어떤 이유에서인지 가는 바늘을 이용해 사람을 해치우는 킬러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아오마메는 야나체크의 '신포니에타'에 이끌려 이 세계와 겹쳐 있으면서도 이 세계가 아닌, 즉 1984년이 아니라 1Q84년인 세계로 넘어가게 됩니다.
소설이 진행되면서 이 두 사람은 서로를 잊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나지만, 이 둘은 지금껏 한번도 서로를 찾으려 하지도 않았다는 사실이 다른 한 켠에 버티고 있습니다. 과연 이것을 사랑이라고 불러도 좋을까 하는 의문이 떠오릅니다.
물론 의문은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질문은 '도대체 리틀 피플이 뭐냐'는 것입니다. 1Q84의 세계에서, 문제의 '교주'는 리틀 피플과 인간을 연결하는 존재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하루키는 칼 융을 인용합니다.
융의 '인간과 상징'을 읽은 분들은 아시겠지만 융은 한 민족, 혹은 한 문화 공동체를 설명하기 위해 '원형'이라는 개념을 사용합니다. 신화나 전설, 꿈은 하나의 공동체를 묶어 주는 역할, 즉 그 공동체를 공동체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 설명입니다.
이 설명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하루키의 리틀 피플은 인간의 무의식 속에 자리잡고 있는 정령과 같은 존재입니다. 끊임없이 하루키가가 이들을 가리켜 '선이나 악이라는 존재로 막연하게 가릴 수 없는 존재들'이라고 주장하는 것 역시, 이들이 단순한 악령이나 외계인이 아니라는 증거입니다.
하지만 이 소설 속에 나오는 '교단'의 모델이 하루키가 일찌기 논픽션 '언더그라운드'를 집필할 때 대상이었던 옴 진리교 사건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굳이 왜 하루키가 이 교단과 리틀 피플에 대해 호의적인 묘사를 하려 하는지 좀 의아해지기도 합니다. 하루키는 칼 융과 프레이저의 '황금가지'를 인용하면서 이 교단의 존재 의미를 인류 공통의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원시적인 종교성으로 설명하려 합니다. 과연 굳이 그렇게 할 이유가 있는지 의문입니다.
공기 번데기와 도플갱어에 이르면 하루키에 익숙한 독자들은 '아아, 또 시작이구나'하는 실망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전형적인 하루키 스타일의 '독자 흔들기'입니다. 사실 하루키 선생은 가끔씩 이렇게 변화구를 던지면서 이야기의 진행에 목마른 독자들을 약올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소설을 위해 하루키가 사용하는 소재와 학설들, 칼 융, 마셜 맥루헌,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그리고 '헤이케 이야기'와 '1984'는 모두 지나간 것들, 흘러간 것들에 대한 참을 수 없는 애착을 드러냅니다. 굳이 2009년에 왜 하루키는 인터넷과 핸드폰이 없는 시대의 이야기를 만들어 냈을까요.
그의 머리 속에서 1984년은 현재, 즉 2009년의 맹아가 될 수 있는 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느 해, 어느 시점도 마찬가지겠지만 1984년의 우리가 뭔가의 방아쇠를 당겼기 때문에 오늘의 우리가 있는 것이죠. 하루키에게는 아마도 그 시간, 1984년의 시간들이 지금에 와서는 아주 먼 과거도 아니고 그렇다고 현재도 아닌, 별 의미 없이 정의되지 않은 시간으로 흘러가 버린 것이 참을 수 없는 일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울러 제가 이 소설에 끌린 것 역시 1960년대에 태어나 1980년대에 젊은 날을 보냈던 사람으로서의 느낌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도 피할 수 없었습니다.
아무튼 하루키 특유의 논지 피해가며 변죽 울리기 - 이 소설에는 "나는 말이지, 특히 소설에 관해서는 내가 다 읽어낼 수 없는 것을 무엇보다 높이 평가해. 내가 죄다 알아버리는 그런 것에는 도대체 흥미가 없어. 당연하지. 지극히 단순한 일이야"라는 대사가 나옵니다 - 는 이 소설에서도 여전합니다. 어떤 독자라도 '한 눈에 모든 것을 알아차리기'는 불가능하게 하겠다는 의지가 확실히 빛을 발합니다.
그런 모든 요소를 하루키의 허세라고 치부해 버리더라도, 이 소설이 갖고 있는 고갱이는 아름답기 그지없습니다. 파란 하늘, 두 개의 달이 빛나는 저녁, 두 개의 달을 보면서 문득 어린 시절의 사랑을 떠올리고 여전히 그를 그리워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는 두 사람의 모습이 그려내는 정경은 하루키의 재능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합니다.
이 책은 하루키의 작품 중에선 '하드보일드 원더랜드(유니콘의 꿈)'와 맞닿아 있다는 느낌을 줍니다. 겹쳐지는 세계라는 면에서는 또 다른 무라카미인 무라카미 류의 '오분 뒤의 세계'를 연상시키기도 하죠. 물론 가리키는 방향은 정 반대입니다.
1Q84는 순간의 인기에 따라 사라질 책은 아닌 듯 합니다. 지금이 아니라 내년, 내후년에 읽어 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 어쩌면 한 10년 뒤 쯤이 가장 좋은 시기가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일독을 권할 만한 책이라는 건 분명합니다. 한번 '빠져 보시죠'.
P.S. 마지막으로 이 소설의 메인 테마라고 할 수 있는 야나체크의 '신포니에타'를 듣다가 몰랐던 사실을 하나 발견했습니다.
야나체크의 '신포니에타'라는 곡은 태어나 제목조차도 들어 본 적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멜로디는 놀랍도록 친숙했습니다. 기억을 더듬어 보니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EL&P)의 라이브 앨범에서 들어 본 곡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곡을 찾아냈습니다. 바로 이거였더군요. 'Knife Edge'.
모처럼 추억 속의 EL&P를 되새겨 보는 계기도 됐습니다.
'전람회의 그림' 가운데 '키에프의 대문'입니다. 익숙지 않은 분은 피하시기 바랍니다.
'기양 살다가 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호동, 윷놀이 더 쉽게 이길 수 있었다 (70) | 2009.10.05 |
---|---|
나영이 사건, 혜진-예슬이의 교훈도 부족했다 (80) | 2009.10.01 |
700석이 꽉 찬 주철환의 특별한 콘서트 (28) | 2009.09.27 |
스타들은 왜 미니홈피에 비키니 사진을 올리나? (68) | 2009.09.22 |
얼짱 최나연, 생얼은 어땠을까? (42) | 2009.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