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시니의 오페라 제목이 '세빌리아의 이발사'에서 '세비야 Sevilla 의 이발사'로 바뀌어 자리잡은 건 아마도 1992년 세비야 엑스포를 전후해서였던 것 같다. 그러고 보면 1992년은 '투우와 태양, 다혈질의 나라'였던 스페인이 '세련되고 매력적인 나라'라는 브랜딩을 위해 전력투구했던 해인 듯 하다. 바르셀로나 올림픽과 같은 해다. 세비야는 이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적 흔적으로 유명한 도시다. 스페인을 대표하는 두 개의 문화 유산, 투우와 플라멩코를 오늘날의 모습으로 정착시킨 곳이 바로 세비야라고 한다. 프랑스 소설가 메리메는 세비야의 담배 공장을 배경으로 소설 '카르멘'을 썼고, 이를 비제가 불멸의 오페라로 만들었다. 카사노바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전설적인 바람둥이 돈 후안의 근거지도 세비야다...
도착하자마자 호텔에 부탁했다. "산 건너편에서 알함브라의 야경을 보면서 식사를 할 수 있는 매우 로맨틱한 식당이 있다고 들었다. 거기서 제일 전망이 좋은 자리를 예약해 다오." 스페인 사람답게 잘 생긴 직원은 씩 웃으며 최고의 장소로 안내하겠다고 했다. 테라스 자리를 달라고 했더니 웃으며 10월 밤 날씨면 테라스에서 밥 먹다가 얼어 죽을 수 있단다. 대신 창이 넓은 식당을 추천하겠다며 '나만 믿어'라는 눈빛을 쏜다. 말로만 듣던 스페인 남자의 눈빛이다. 남녀 안 가리고 쏜다. 그래서 간 곳이 여기. 에스뜨레야스 데 산 니콜라스 Estrellas de San Nicolas. Callejón Atarazana Vieja, 1, 18010 Granada, ; +34 958 28 87 39 산 니콜라스 는 흔히..
그리스 출신의 위대한 작가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스페인 기행'에서 그라나다 편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 "건축물과 음악의 일체감. 나는 이미 코르도바의 이슬람 사원과 세비야의 알카사르에서 이런 것을 짐작했다. 그런데 여기 그라나다에서 그것은 가장 명확하고 매혹적인 모습으로 드러났다. 아랍 건축물의 최후이자 최상의 노력은 모든 물질적 형태를 초월하는 것이다. 그래서 가능한 한 벽을 사라지게 만들었고, 그것을 호리호리한 기둥이나 아치로 대체했다. 혹은 아랍의 카펫처럼 벽들을 조각하고 디자인했다. 그렇게 그것들은 무게에서 해방되었다. 기둥들은 더 가늘어졌을 뿐만 아니라 더 낮아졌다. 아치는 영묘하게 물결친다. 장식물들은 사상처럼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이 된다. 단일한 주제가 주어지고, 이 주제는 수학적인 정교함과 ..
1970년대. 엠비씨 일기예보 배경음악(일설에 따르면 오늘의 주요 프로그램 안내 배경음악이라고도 한다^^)으로 늘 나오던 청승맞은 기타 연주곡이 있었다. 세월이 흐르면서 그 곡의 제목이 '알함브라(궁전)의 추억'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알함브라 궁전? 뭔가 아라비안 나이트 풍의 이름을 가진 이 궁전이 아라비아가 아닌 스페인 땅에 있다는 것도 알게 됐다. 세월이 또 흘렀다. 제법 머리가 굵었고 왜 스페인에 아랍인들의 궁전이 있는지도 알았다. 또 세월이 흘러 그 유명한 알함브라 궁전에서도 가장 유명한 구역은 바로 나스르 궁전이고, 그 나스르 궁전이야말로 이슬람 세력이 스페인 땅에 남겨 놓은 최고의 보물이라는 이야기를 귀가 닳도록 들었다. 그리고, 드디어 왔다. 바닥도 예사롭지 않아. 드디어 건물 안으로 들어..
헤네랄리페에서 알함브라 궁전으로 넘어가는 길에는 이런 다리가 있다. 헤네랄리페를 먼저 보든, 나중에 보든 알함브라 관람은 이 문에서 시작하게 된다. 알함바르 궁전의 동쪽 끝에 있는 문이다. 그러니까 이게 어디냐 하면... 고구마처럼 동서로 긴 알함브라 궁에서 빨간 동그라미가 있는 이 위치다. 다시 말하면 동쪽 끝이란 얘기. 문 위의 문장. 무슨 뜻인지 일일히 알아보기는 쉽지 않다. 알함브라 연구자도 아니고... 알함브라라는 이름은 아랍어의 qa'lat al-Hamra, 즉 '붉은 성(red castle)'에서 왔다고 한다. 물론 선홍빛으로 붉지는 않다. 알함브라의 이름이 사료에 등장하는 것은 9세기부터. 중동/북아프리카를 손에 넣은 이슬람 정복자들의 칼날은 마침내 8세기 초, 지브롤터를 건너 바로 빤히 ..
알함브라 방문은 하루 아침에 이뤄지지 않는다. 몇달 전부터 준비가 필요하다. 그냥 가서 표를 사자면 대략 낭패. 티켓마스터 스페인 홈페이지 http://www.ticketmaster.es/ 를 방문해 따지지 말고 메뉴 맨 윗줄의 'Family and More'를 클릭한다. 그럼 이런 화면이 뜬다. 큼지막하게 La Alhambra 가 보인다. 클릭하고 들어가면 예매 페이지가 나타난다. 주의사항 페이지에는 반드시 읽어 둬야 할 것들이 상당히 많다. 우선 가장 중요한 것. 가령 10월25일의 티켓을 샀다면 그 날짜에는 오전 오후 중 자신이 선택한 시간엔 언제든 궁전 입장이 가능하다. 하지만 나스르 궁전 지역만큼은 입장 시간이 정해져 있다. 그 시간이 아니면 나스르 궁전은 들어가지 못한다. 그래서 예매때 확인하..
그라나다에 알함브라 이외의 볼거리가 많다는 분들도 많았는데 어차피 평생 스페인에서 보낼 게 아니라면 선택은 불가피했다. 아무튼 그라나다에서 주어진 시간은 단 하루. 그것도 아침 일찍 기차에서 내려 좀 휴식을 취하고 나니 대략 오전은 다 지나갔다. 남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바로 호텔을 나섰다. 호텔 정문을 나서 바로 왼쪽 산길로 접어들면 이런 내리막길이 펼쳐진다. 앞에서도 말했듯 알함브라는 시내의 가장 높은 고지에 위치해 있다. 그래서 식당-호텔 등이 몰려 있는 누에바 광장 Plaza Nueva 까지 가려면 약 1Km 정도 산길을 내려가야 한다. 위의 경로와 대략 일치한다. 지도가 커서 멀어 보이지만 약 10~15분 정도 산길을 걸어 내려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내리막길이란게 매우 중요. 오르..
바르셀로나-그라나다로 이동하는 여행자들은 흔히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한다. 야간열차와 (저가)항공이다. 야간열차는 당연히 침대차가 기본이다. 스페인은 매우 큰 나라다. 마드리드-바르셀로나 구간(약 600Km)은 고속전철 AVE가 있어 2시간 30분이면 주파 가능하지만 그보다 훨씬 먼 그라나다-바르셀로나 구간(약 800Km)은 아직 고속화되지 않았다. 야간 열차의 좌석이나 버스로도 이동이 가능하긴 하지만 그건 정말 몸 상하는 일. 비행기를 타고 내리기 위해 이동하는 일(대개 공항은 시내에서 상당히 멀다)을 꽤 싫어하고, 동시에 국내에선 쉽게 접하기 힘든 침대차에 대한 로망이 있는 1인으로서(사실 동행인의 의견은 그리 참고하지 않았다), 당연히 침대차를 선택했다. 늦은 시간. 그래도 산츠 역은 꽤 붐비고 ..
사실 이 집을 소개할까 말까 좀 고민을 했다. 우리가 이 집을 간 건 맛집 소개를 받아서가 아니라, 단지 숙소에서 매우 가까웠기 때문이다. 바깥 여정에서 일찍 돌아온 날, 시내로 나가기 위해 민박집 주인장에서 시내에 가볼만한 식당을 추천해 달라고 했더니 "동네 식당 한번 가 보는게 어때요? 우리도 가끔 가는데, 시내 식당보다 나아요" 라며 이 집을 찍어 주셨다. 그래서 가 본 곳이 라 펠라 La Perla. 풀네임은 La Perla Groupo Reloj. 혹시나 해서 검색해 보니 구글에 있다.^^ https://maps.google.co.kr/maps?ie=UTF-8&q=la+perla+barcelona&fb=1&gl=kr&hq=la+perla&hnear=0x12a49816718e30e5:0x44b0f..
넷째날은 휴식과 쇼핑을 겸한 날이었으므로 포스팅 거리가 그리 많지 않다. 사실 비싼 입장료 때문에 카사 바트요와 카사 밀라 중에서도 하나만 골라 들어갈 생각이었다. 그런데 카사 바트요를 보고 나서 생각이 바뀌었다. 이 정도라면 카사 밀라도 뭔가 관광객을 실망시키지 않을 것 같았다. 게다가 외관 사진도 잘 안 받는 카사 바트요에 비해 카사 밀라는 이렇게 사진발도 잘 받는다. 물론 입장료는 싸지 않다. 1인당 16.15유로. 가까이서 보면 질감이 꽤 거칠어서 카사 바트요에 비해 생활 건축의 느낌이 강하다. 물론 보기는 좋지만 실제로 살기에 그리 편할 것 같지는 않은 느낌.^^ 본래 입구는 이랬다. 투명한 유리를 통해 로비가 보인다. 1층으로 들어가면 카사 밀라 전체를 볼 수 있는 모형이 있다. 천장에 있는 ..
[Txapela] 스페인에 간다고 하면 사람들은 대개 "빠에야 많이 먹고 와"라고 한다. 빠에야 Paella가 유명한 스페인 음식이긴 하지만, 바르셀로나에 도착해 제일 많이 들었던 말이 '아무데나 가서 빠에야 먹지 말라'는 거였다. 일단 스페인 사람들은 '발렌시아가 아니면 빠에야를 먹지 말라'고 한다는데, 사실 요즘처럼 인구 이동이 자유로운 시대에 이건 별 설득력 없는 얘기인 것 같다. 그 다음 중요한 얘기는 '주문하고 15분 이내에 나오는 빠에야는 냉동 빠에야'라는 설명이다(이 이야기는 빠에야 먹은 이야기 때 자세히). 아무튼 그래서 빠에야는 대단히 후순위에 있었고, 대신 타파스 Tapas 에 대한 관심이 더 커졌다. 그런데 현지에 가 보니 타파스에서 한발 더 나간 핀초 Pincho 라는 것이 있다는 ..
바르셀로나를 대표하는 가우디의 작품을 꼽으라면 그건 누가 뭐래도 당연히 라 사그라다 파밀리아다. 그리고 조금 더 꼽아 보라면 카사 바트요 Casa Batillo 와 카사 밀라 Casa Mila 를 꼽게 된다. 두 건물은 모두 바르셀로나의 청담동인 그라시아 거리에 있다. (두 건물과 주변 거리 환경에 대한 이야기는 http://fivecard.joins.com/1181 이쪽 참조. ) 첫날 그 주변을 돌아봤고, 넷째날에는 건물 안까지 들어가서 살펴봤다. 소감을 한마디로 요약하라면 카사 바트요는 가우디의 다보탑, 카사 밀라는 가우디의 석가탑이라고 말하고 싶다. 개인적으로 고르라면 카사 바트요 쪽. 카사 바트요의 모습이 무엇을 본뜬 것인가에 대해서는 나비 모양, 고양이 모양, 해골 모양 등 여러가지 설이 있다..
피게레스를 다녀와 찾은 곳은 누가 뭐래도 바르셀로나의 여러 식당 가운데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곳이 아닐까 싶다. 이미 이곳들 들러 본 사람들의 평을 여러 블로그에서 봤고, 또 민박집 주인장으로부터도 강력한 추천을 받은 곳이다. 바로 엘 레이 델 라 감바 El Ray De La Gamba. '새우의 왕'이라는 뜻이다. 그리 럭셔리하거나 분위기가 엄청나게 로맨틱한 곳은 아니다. 그런 곳들은 따로 있다. 다만 적당한 분위기와 합리적인 가격, 그리고 맛으로 평가할 때 이 집이 준 감동은 매우 컸다. 바르셀로네타는 바르셀로나 시내에서 불쏙 솟아 있는 작은 반도다. 바르셀로나 항구를 위한 천연 방파제 역할을 하기도 햔다. 아무튼 해변이 넓게 발달되어 있고, 제법 정취가 있다. 바르셀로나는 기본적으로 남동 방향으로 ..
달리 미술관의 미로같은 내부를 헤매다 보면 사람들이 길게 줄을 서 있는 방에 도달한다. 유명한 '메이 웨스트의 방 Mae West Room'. 메이 웨스트(1893~1980)는 흑백영화시대 할리우드의 유명 여배우. 1920~30년대의 섹스 심벌이다. 실제 발음은 분명 '메이' 인데, 많은 한국인들이 Mae라는 철자 때문에 이 배우를 '매 웨스트'라고 부른다. 뭐 일본에선 '마에 웨스트'라고 부를 지도 모르겠다. 이렇게 보면 의도가 보이긴 하지만 그냥 방이다. 도시 풍경을 찍은 흑백 사진 작품이 벽에 걸려 있고, 약간 코믹하게 생긴 벽난로가 있다. 마지막으로 입술 모양의 소파가 놓였다. 사람들이 긴 줄을 서서 그 방을 입술 각도에서 바라본다. 물론 전체를 조망하는 큰 돋보기 앞에는 거대한 금발 모양의 가발..
바르셀로나를 간다면 반드시 가야 한다고 생각했던 곳이 바로 인근의 도시 피게레스 Figueres 였다. 이유는 단 한가지. 스페인이 낳은 위대한 화가 살바도르 달리 Salvador Dali 의 고향이며 달리가 직접 구상한 달리 극장 미술관 Theatro-Museo Dali 가 있는 곳이기 때문이었다. 달리에 대한 외경은 아주 오래 전부터 갖고 있었다. 아마도 달리라는 화가를 가장 먼저 기억하게 된 그림은 누구나 다 아는 '기억의 집착'이었지만 그 그림은 전혀 관심을 끌지 못했다. 피카소 이후의 화가들은 전부 이상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했던 시절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중학생 시절의 어느날, 친척집에 있는 꽤 큰 화집에서 놀라운 그림 하나를 보게 됐다. 바로 이 그림이었다. 이른바 '최후의 만찬의 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