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실 거의 대부분의 드라마들에서 주역은 청춘들입니다. 아무리 '제빵왕 김탁구'같은 드라마에서 '실질적인 주연'은 전인화와 정성모 같은 중년 배우들이었다고 해도 제목이 '김탁구'인 이상 김탁구 역의 윤시윤이 드라마의 중심에 있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마찬가지. '우리가 결혼할수 있을까'(이하 우결수)도 실질적인 주인공은 한 딸의 이혼과 한 딸의 결혼을 온 몸으로 추진하고 있는 억척 엄마 들자 역의 이미숙이지만 아무리 그래도 드라마의 핵심은 정훈(성준)과 혜윤(정소민) 커플입니다. 이 두 젊은이의 가파른 결혼 길이 드라마의 갈 길이고 말입니다.

 

이렇게 해서 이 두 사람이 드라마의 커플 1번, 그리고 공기준(김영광)-동비(한그루) 커플이 2번으로 드라마를 진행시키고 있습니다. 당연히 이혼 위기에 있는 혜윤의 언니 혜진(정애연) 부부가 3번이죠. 그런데 4번 커플이 드라마 전면으로 죽죽 치고 나오고 있습니다. 바로 민호(김진수)와 들래(최화정)의 중년 커플입니다.

 

 

극중 민호는 세 번의 이혼 경력을 갖고 결혼생활에 질려 할리 데이비슨 모터사이클 타는 취미로 사는 40대 중년남입니다. 그래도 '건물 하나 정도 갖고 있는' 재력 덕분에 사는 데 지장 없고, '20대 아니면 여자로 보이지 않는' 생활을 계속해 왔습니다.

 

반면 혜윤의 이모 들래는 50세의 노처녀 어린이집 교사. 예전엔 예쁘다는 말도 수없이 들었고, 소녀적인 정서를 아직 갖고 있는 탓에 이상형의 남자는 어디까지나 미소년-미중년으로 진화했을 뿐 무식하고 교양없는 중년의 아저씨에겐 눈길조차 줄 생각이 없었던 인물입니다.

 

그런데도 참 사람 일이라는게, 하다 보니 들레가 모터사이클에 대한 묘한 동경을 갖고 있고, 그러다 보니 민호와 들래 사이가 남녀 사이가 됩니다. 과연 이런 일이 있을까 싶지만 실제론 꽤 있습니다.

 

 

들레 같은 스타일의 노처녀들은 점점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이 분들의 특징은 몸도 늙고 마음도 늙어가는데, 유독 취향은 늙지 않는다는 겁니다. 자신들의 현실과는 아무 상관 없이, 이 분들의 이상형은 드라마나 영화 속에서만 발견됩니다. 

 

전문직 종사자들이 많은 만큼 대부분 먹고 사는데에는 큰 지장이 없지만, 현실에서의 로맨스는 그만치 멀리 있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소녀시절의 판타지가 날이 갈수록 공고해지는 분들이기도 합니다.

 

 

 

 

이런 분들에 대한 하명희 작가의 시선은 코믹하지만 냉엄합니다. 이미 지난주 10회에서 드러났듯, 나이 50에 생물학적으로 처녀인 들레의 꿈 속에서 저승사자로 변한 언니 들자(이미숙)는 "사랑하지 않는 자 유죄라는 말 알죠? 아직까지 성경험이 미개봉 상태이기 때문에 그 몸으론 저승에 갈 수 없어요. 영원히 구천을 떠돌게 될 거에요"라고 악담을 던진 뒤 주저없이 들레의 관 위로 삽질을 해 댑니다.

 

 

 

"언니 나는 어디로 가?"

 

 

"생전에 날 알던 사람인가본데, 난 저승사자가 되어 전생의 기억이 없어요."

 

 

"어디보자. 혼전순결이 미개봉 상태라서 이 상태론 저승에 갈 수가 없어요. 사랑하지 않은 자 유죄란 말 알죠?" 

"...그럼 전 어떻게 되나요?"

"이대로 구천을 떠돌게 되는 거죠."

 

 

이 뒤로는 이런 상상에 충격을 받은 들래가 민호에게 "중간 과정 생략하고 빨리 자자"고 재촉하는 코믹한 장면이 이어집니다. 아무리 농담이라도, 나이 50에 처녀라는게 생매장당할 죄라고 한다면 분노하실 분들도 있을 겁니다. 세상이 그럴 기회를 주지 않았다고 하실 분도... 뭐 따지다 보면 정말 억울한 분들도 있겠죠.;; (이런 얘기는 여기까지.)

 

사실 민호-들레 커플이 인기를 얻는 것은 실제 생활에서 그런 처지에 있는 분들이 이 커플을 좋아하시기 때문은 아닐 겁니다. 반대로 그와는 전혀 거리가 먼 분들에게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훨씬 높아 보입니다.

 

그리고 다른 무엇보다, 이 커플에 대한 하명희 작가의 따뜻한 시선이 눈길을 끕니다. 아마도 이 커플이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이런 마음이 담겨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겉으로는 자신만만한 척, 언제라도 젊은 여자들과 어울리면서 센 척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사실은 민호도 외롭습니다. 남자 생각 따위는 전혀 없는 것처럼 행세하지만 들레가 외로운 건 굳이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눈에 보입니다.

 

그런 두 사람이 서로의 외로움을 자신의 외로움에 겹쳐 보면서, 두가지 외로움이 서로 닮아 있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민호의 별스러운 모습을 보면서 들레는 생각합니다. "이 사람은 이렇게 외롭구나. 이렇게 같잖은 짓을 하면서까지 친해지고 싶어하는구나. 내가 뭐 잘났다고. 나도 아는데. 외로운 게 뭔지."

 

여기서 핵심은 바로 '내가 뭘 잘났다고'.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마음을 여는 데에는 사실 긴 시간이나 논리적인 설득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대개는 첫 눈에 서로 눈이 맞아 뭔가가 시작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즉 일단 한쪽이 다른 한쪽에게 먼저 호감을 갖기 시작한 경우라면 바로 이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내가 뭘 잘났다고.' 거기서부터 공감과 대화가 시작되는 것이죠.

 

그러고 보면 '우결수'는 결혼적령기의 젊은이들이 보게 만들어진 드라마인 듯 하지만 사실은 퍽 어른용 드라마입니다. 대사 하나 하나마다 통찰이 숨어 있고, 인생이 녹아 있습니다. 웃음 속에 페이소스가 있고, 한숨 속에 지혜가 있습니다. "나에 대해 속속들이 알게 하고, 이해를 구한게 잘못이야?" "잘못이지. 그럼. 왜 다 알게 해. 생각만 복잡해지게."

 

 

728x90

[우결수]라는 드라마가 있습니다. 본래 긴 제목은 '우리가 결혼할수 있을까' 입니다. 많은 분들이 보고 계시지만, 아직도 모르는 분들이 더 많습니다.

 

이 드라마는 지난주부터 매주 월,화요일 저녁 9시50분에 방송됩니다. 10시대는 본래 KBS 2, MBC, SBS 지상파 3사의 드라마가 격돌하는 시간이죠. 그런데 과감하게 그 시간에 뿌리를 박았습니다.

 

사실 근거 없는 자신감은 아니었습니다. 그만치 드라마의 품질에는 자신이 있었기 때문이죠. 여러가지 이유로 힘들긴 하지만 어지간한 드라마들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건 분명했습니다. 지금도 기대 이상의 성원을 받고 있습니다. 아울러, 이만한 성원을 받게 된 것은 바로 SNS 덕분이라는 것도 드러나고 있습니다.

 

 

 

'우결수'는 처음부터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홍보에 힘을 기울인 작품입니다. 방송 1주일 전, 포털사이트 다음을 통해 '우결수' 1회가 먼저 공개됐습니다. 그러니까 정규 편성으로 방송되기 1주일 전에 드라마 1회를 인터넷으로 먼저 볼 수 있게 한 것이죠. 예고편이나 편집본이 아니라 정규 1회를 말입니다.

 

 

 

그리고 1회 영상을 SNS로 공유하기만 해도 선착순으로 캔커피를 그냥 드리는 이벤트를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방송 전 1주일간 이 1회는 13만회나 플레이됐습니다. 지금까지 총 20만 네티즌이 이 1회 영상을 보셨습니다.

 

방송이 시작된 뒤, 출연진들이 적극적으로 SNS를 통해 자신의 출연작 홍보에 나섰습니다.

 

남자 출연진 중 최고참이라고 할 수 있는 김진수.

 

 

 

물론 가장 영향력 크고(?) 열심한 사람은 정훈 역으로 출연중인 성준입니다.

 

 

 

성준의 가장 큰 위력은 파급력. 성준이 한번 트위터에 글을 남기면 수많은 팔로워들이 그 글을 널리 퍼뜨립니다. 그런데 성준 팔로워들은 "오빠, 키스신이 너무 많아서 못 보겠어요"라는 하소연을 할 때도 있더라는...^^

 

뒤늦게 트위터 활용에 나선 김영광.

 

 

 

이 역시 300여회가 넘는 리트윗을 기록하는 위력이 엿보입니다.

 

성준-김영광 투톱의 힘은 SNS에서 두드러집니다.

 

그리고 정애연,

 

 

한그루도 열심입니다.

 

 

 

지금까지 여러 편의 드라마를 방송했지만 이렇게 출연진이 자기 드라마에 애정을 갖고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경우는 처음 보는 듯 합니다.

 

이렇게 출연진이 열심이다 보니 다른 쪽으로도 전파됩니다.

 

이 드라마와 전혀 상관 없는 김수로도.

 

 

 

지금 포털사이트의 실시간 검색을 이용해 '우결수'를 검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출연진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남긴 호평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어떤 전문가가 쓴 리뷰보다 생생합니다. 그만치 이 드라마가 볼만한 작품이라는 걸 알 수 있게 해 주죠.

 

결론은: 얼른 동참하십쇼.^^ 지금부터 보셔도 충분합니다.

 

 

728x90

[무자식 상팔자]라는 드라마가 조용히 시청자들을 흔들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미 보고 계십니다. 하루가 다르게 반응의 크기가 달라지고 있죠. 이 드라마가 붐을 일으키고 있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김수현이라는 작가의 힘을 가장 먼저 꼽지 않을 수 없죠. 이건 어찌 보면 너무 당연한 얘기입니다.

 

그렇다면 김수현이라는 작가는 대체 어떻게 해서 이런 무소불위의 위력과 권위를 갖게 된 것일까요. 일단 대본만 읽어 봐도 그 깨알같은 설정과 마약같은 감칠맛에 감탄하게 되지만, 촬영장에 가 보면 그게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정을영 감독을 비롯한 현장 스태프들이 그 대본을 영상화하는데 얼마나 심혈을 기울이는지 느낄 수 있습니다.

 

아마도 시청자들 가운데 아래 나오는 세 장의 졸업사진을 보신 분은 안 계실 겁니다.

 

 

 

 

김수현 작가가 '무자식 상팔자' 전에 마지막으로 집필한 미니시리즈는 수애 김래원 주연의 '천일의 약속'입니다. 나날이 치매로 시들어가는 수애의 가련한 모습이 많은 시청자들을 안타깝게 했던 작품이죠.

 

이 드라마 방송 도중 주제와는 아무 상관 없이 디테일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 적이 있었습니다. 수애가 요리하는 장면이었죠.

 

 

 

수애가 손에 들고 있는 마늘통을 냉장고 냉동실에서 꺼내고, 끓고 있는 찌개에 넣는 대목입니다. 이게 왜 문제일까요. 마늘을 빻아 놓고 냉동실에 넣고 쓰는 분들은 한둘이 아닌데.

 

한 시청자가 "냉동실에서 꺼낸 마늘이 너무 부드럽다. 그냥 찌개에 떠 넣을 정도일 리가 없다"고 문제제기를 했습니다. 생각해 보면 그렇습니다. 얼어 있어야죠. 이런 경우를 대비해 빻은 마늘을 아예 각설탕처럼 깍둑썰기를 해서 쓰시는 분들도 있죠.

 

아무튼 이 지적에 대한 김수현 작가의 반응(당시에는 트위터를 하고 계셨습니다)은 이랬습니다. "나도 열 받아 머리가 뜨끈했었어요. 아이고 음식 소품 담당이 제대로 챙겼어야 했는데. 그런 실수 나올 때마다 끔찍해요"

 

 

 

사실 모든 드라마가 찍다 보면 이런 사소한 실수를 하지만, 모든 작가가 이렇게 '머리가 뜨끈해 질 정도로' 민감하게 반응하지는 않습니다. 드라마 현장이 얼마나 군사 작전처럼 움직이는 지 다들 잘 알기 때문에 웬만한 건 그냥 넘어가게 돼 있죠. 그런데 '김수현 드라마의 디테일'은 그냥 디테일이 아닙니다. 그 디테일이 바로 드라마가 갖는 힘의 일부죠.

 

일단 '무자식 상팔자' 스튜디오로 한번 가 보시겠습니다.

 

 

 

JTBC 사옥 지하로 내려가면 이런 긴 복도가 있고,

 

 

그 끝에 J2 스튜디오가 있습니다.

 

 

스튜디오 바로 앞 부조에선 연출부의 지휘가 한창입니다. 가운데 팔을 높이 드신 분이 바로 연출자인 정을영 감독. 살짝 보이는 자양강장제 상자가 제작진의 노고를 엿볼 수 있게 합니다.

 

 

이건 스튜디오 안의 세트 모습. 마침 슛이 진행중이라 들어갈 수 없습니다. 멋모르고 문을 열었다간 정면에 앉아있는 저 연출부 스태프의 따가운 눈총을 받을 겁니다.

 

안으로 들어가면 집안 방 방이 모두 세트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중에서 할아버지(이순재) 할머니(서우림)의 방.

 

 

 

 

 

바로 이런 장면이 연출되는 공간입니다. TV 화면으로도 어렵풋이 보신 분이 있겠지만, 사진으로 보면 문 위쪽에 졸업사진이 죽 붙어있는게 눈에 띕니다.

 

 

네. 이 세 손자 손녀의 졸업사진입니다.

 

 

그 옆의 큰 가족사진. '산수연'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산수(傘壽)는 80세를 가리키는 이름이죠. 드라마에서 두 분의 나이를 직접적으로 거론하는 일은 없지만, 어쨌든 이 사진으로 보아 팔순의 나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무자식 상팔자'가 처음 기획되고 배우들이 모두 소집됐을 때, 제일 먼저 한 작업이 바로 이 가족사진 촬영이었습니다. 몇가지 버전의 가족사진이 촬영돼 목적에 따라 조금씩 수정을 거쳐 이렇게 쓰이고 있습니다.

 

화면에 저 깨알같은 사진 하나 하나가 비쳐질 일은 아마도 없을 겁니다. 예전에는 저 자리에 그냥 느낌이 비슷한 가족사진을 붙여 놓는 일도 적지 않았죠. 그렇다고 이 사진이 드라마 설정상 사용할 일도 아마 없을 것이고. 하지만 이런 디테일 하나 하나가 '김수현의 드라마'를 만들어 온 힘인 것입니다.

 

 

 

방 앞쪽에 보이는 할머니의 화장대. 할머니들이 쓰실법한 노인용 화장품 세트(아마도 자녀들 중 누군가가 사다 드린 것이겠죠) 앞에 정말 할머니 풍의 반달 빗 하나가 놓여 있습니다. 빗 하나까지도 어찌나 서우림 할머니 느낌인지.

 

아무튼 이런 것이 바로 디테일이고, 디테일이 곧 힘입니다.

 

 

다음엔 이 출연진들이 어떻게 드라마 속에 녹아드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아래쪽 추천 상자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무자식 상팔자]라는 드라마를 모르는 사람은 있어도 [유동근] 이라는 배우를 모르는 한국인은 거의 없을 겁니다. 근 10년 이상 각종 여론조사에서 '왕 역할이 가장 어울리는 연기자' 순위의 1위를 석권해온,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연기자 중 하나죠.

 

그런 유동근이 최근 JTBC 주말드라마 '무자식 상팔자'에서 또 한번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면서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습니다. 그것도 지금까지 주로 맡아 온 역할과는 전혀 다른 이미지로 말이죠. 생각해 보면 이 배우야말로 변신의 대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현재 '무자식 상팔자'는 부모도 감쪽같이 모르게 미혼모가 된 소영(엄지원)을 중심으로 한창 이야기가 진행중입니다. 소영도 소영이지만 그 소영을 바라보는 아버지(유동근)와 어머니(김해숙)의 마음고생이 많은 시청자들의 공감을 사고 있습니다.

 

 

 

위의 모습이 감동적인 것은 저 역할을 하고 있는 배우가 웬만하면 왕 아니면 대기업 회장 역만 하던 배우라는 것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듯 합니다.

 

한국 드라마에서 '유동근=왕'이라는 공식은 매우 선명하지만 사실 유동근이 왕 연기를 그리 많이 한 것은 아닙니다. 곰곰 생각을 해 봐도 '용의 눈물'에서 태종 역할, '장녹수'에서의 연산군 역할 외에는 똑부러지게 왕이라고 할만한 역할이 거의 없었다고나 할까요. 더 거슬러 올라가면 왕년의 '파천무'라는 드라마에서 세조 역을 한 적이 있지만 이걸 기억하시는 분은 거의 없을 겁니다.

 

 

 

 

물론 '명성황후'에서 대원군 역, 그리고 '연개소문'에서 연개소문 역 등이 있지만 이건 엄밀히 말해 왕 역은 아니죠. 어쨌든 '굉장히 많이 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리 왕 역을 많이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도 많은 사람들이 '유동근=왕'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은 매우 의미가 깊습니다. 횟수와는 무관하게 카리스마와 남성적인 힘 부문에서 비교할 만한 경쟁자가 없을 정도로 독보적인 연기를 보여줬기 때문일 겁니다.

 

또 유동근은 '무자식 상팔자' 이전에도 몇 차례 전혀 다른 모습으로 시청자들을 놀라게 한 전력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황신혜와 공연했던 드라마 '애인'.

 

 

 

 

불륜에 대한 새로운 조명으로 장안의 화제가 됐던 드라마입니다. 더구나 '유동근의 멜로드라마'라는 점이 관계자들 사이에선 특히나 화제가 됐죠. 잉크색 셔츠나 멜빵 바지처럼 그 전까지 '아저씨'들에게선 전혀 볼 수 없었던 차림새가 이 드라마를 계기로 유행할 정도로 반향이 컸습니다.

 

아마도 이 '애인'을 유동근의 첫번째 변신이라고 봐도 좋을 듯 합니다.

 

 

 

반면 유동근의 코믹 연기는 주 무대였던 드라마에서는 거의 볼 수 없었습니다. 영화 쪽에서는 두어 차례 선보인 적이 있었죠. 차태현 손예진과 공연한 '첫사랑 사수 궐기대회'에서 유동근은 말이 선생님이지 사실상 건달 두목같은 연기로 또 다른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어쩌다 보니 이 영화가 사실상의 데뷔작이라 청룡영화상 신인상까지 손에 쥐었습니다. 

 

그 다음엔 '가문의 영광'의 건달 가문 장남 역이 생각납니다. 제왕의 품격은 어디로 갔는지 영화 속 건달 연기는 너무나 자연스럽게 녹아들었습니다. 그 뒤로 이 '가문' 시리즈는 지금 5탄이 제작중일 정도로 한국 영화사에서 보기 드문 연작 성공사례가 됐습니다. 그 기틀을 닦은 것이 유동근의 건달 연기였다고 봐도 좋을 듯 합니다.

 

이것이 두번째 변신이라고 봐도 좋을 듯.

 

 

그런데 '무자식 상팔자'에서 유동근은 또 한번 변신했습니다. 그가 연기하는 희재는 호식(이순재)의 삼형제 중 장남. 평생 고등학교 국어 교사로 일하다 정년퇴직했고, 당뇨와 혈압이 지병이라 '절대 흥분하지 말자'를 좌우명으로 삼은 인물입니다. 더구나 천성이 우유부단(좋게 보면 그냥 온유)이라 이 말을 들으면 이 말이 옳고 저 말을 들으면 또 솔깃한 양반.

 

어디를 보나 평소 유동근이 자랑하던 카리스마와는 거리가 먼 인물이지만, 놀랍게도 유동근이 이 역할을 맡고 나자 너무나 입던 옷처럼 잘 어울리는 마술이 펼쳐집니다. 어려서부터 유난히 총명했고 커서 기대대로 판사가 된 딸(엄지원)이 어느날 갑자기 만삭이 되어 나타났을 때, 딸에 대한 배신감도 배신감이지만 무엇보다 딸의 남은 인생이 걱정되어 눈물을 흘리는 아버지의 모습에서 많은 시청자들이 감동을 경험했습니다.

 

 

 

게다가 그 딸이 낳은 아기를 어떻게 처리하느냐를 놓고, 이 말도 들었다 저 말도 들었다 흔들리며 결정하지 못하는 희재의 모습은 과연 유동근이 이 역할을 맡지 않았으면 어떻게 됐을지 궁금할 정도입니다.

 

사실 체격은 크지만 소심하고 우유부단한 남자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캐릭터입니다. 그리고 그런 캐릭터를 구상하고 드라마에 세운 것은 누가 뭐래도 김수현 작가의 힘이죠. 여기에 그 캐릭터가 유동근의 손에 들어가니 너무나 생기넘치는 모습으로 형상화됐고, 그것이 '무자식 상팔자'라는 드라마의 상승세에 큰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지금 드라마의 중심은 아무래도 아이를 낳은 소영 본인이고, 그 뒤로는 아내와의 갈등을 견디지 못하고 가출하는 희명(송승환) 쪽으로 서서히 주도권이 넘어갈 전망입니다. 여기에 아직은 고양이와 개처럼 싸우고만 있는 성기(하석진)과 선배(오윤아) 사이, 그리고 졸지에 애아버지가 된 준기(이도영)와 도저히 어른들이 이해할 수 없는 신인류 수미(손나은)도 충분히 흥미를 자아낼 듯 합니다.

 

 

 

하지만 모든 것이 기초가 있어야 가능한 법. 초반 이 드라마가 이만한 화제를 모으게 된 데에는 누가 뭐래도 유동근의 역할이 가장 컸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그 연기가 다른 사람 아닌 유동근의 놀라운 변신에서 나왔다는 것 또한 다시 한번 감탄을 자아냅니다.

 

 

아래쪽 추천 상자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루퍼]라는 제목은 아무래도 '무한 루프'라는 말을 느끼게 합니다. 끝없는 순환의 고리를 가리키는 말이죠. 타임 머신을 다룬 SF 팬들에게는 그리 멀게 느껴지지 않는 말이기도 합니다.

 

라이언 존슨 감독의 '루퍼'는 그동안 '터미네이터' 이후 수백편 쯤 등장했던 '미래에서 온 킬러'에 대한 영화입니다. 이런 영화의 성패는 당연히 얼마나 참신한 상상력에 기초하고 있느냐에 달렸습니다. 그런 면에서 '루퍼'는 근래 나왔던 몇몇 영화들 가운데서 단연 첫손에 꼽힐 만한 매력적인 요소들을 갖고 있습니다.

 

혹시 라이언 존슨 감독의 데뷔작 '브릭'을 보신 분이라면 이 감독의 기발함이 예사롭지 않다는 것을 기억하실 겁니다. 금주법 시대의 시카고나 1950년대 LA 암흑가를 배경으로 할 만한 이야기를  한 고등학교를 무대로 바꿔놓았던 희한한 영화였죠. 그리고 그 주인공이 바로 10대를 갓 지난 조셉 고든 래빗이었습니다.

 

 

("대체 누가 고든 래빗이라는 거야?"라고 말해도 이상하지 않을 특수분장의 힘.^^)

 

먼저 '루퍼'의 기본 설정.

 

근미래인 2044년. 이 시기에는 30년 뒤인 2074년의 악당들과 손잡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태깅 기술(?)의 발달로 시체의 완벽한 처리가 힘들어진 2074년의 범죄조직은 그들의 죽여야 하는 사람들을 타임 머신 기술을 이용해 2044년으로 보내고, 2044년의 악당들은 미래에서 전달되는 살해 대상들을 죽이고 시체를 정리하는 일을 맡습니다. 그 댓가로 은괴를 받죠. 이 일을 해서 먹고 사는 자들을 루퍼(looper)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에는 미래의 조직이 이 루퍼들과의 관계를 부담스러워 하고, 2074년의 루퍼들을 2044년의 그 자신에게 보내게 됩니다. 이걸 '해고'라고 부르죠. 얼굴을 가린 채 미래에서 날아오는 살해 대상에게 샷건을 날린 뒤, 평소 '동봉되어' 오던 은괴 대신에 금괴 뭉치를 발견하면 그건 죽은 사람이 그 자신이라는 뜻입니다.

 

영화의 앞부분은 이 설정을 관객에게 가르쳐 주는데 소요됩니다. 사실 이런 설정이라면 그 다음에 진행될 과정은 뻔한 셈이죠. 루퍼로 살아가고 있는 주인공 조(조셉 골든 레빗) 앞에 미래의 자신(브루스 윌리스)이 나타나고, 순간 당황한 조가 미래의 자신을 제거하는 데 실패하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루는 영화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그 다음은 그리 뻔하지 않습니다.^^

 

 

 

 

타임머신을 다루는 영화 가운데 몇몇은 평행우주론을 받아들이고 있지만, 대부분은 단선적인 시간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대개 과거를 바꿔 놓으면 바로 현재에 영향을 미친다는 쪽이 스토리를 만들어내기기 때문일텐데, '루퍼'의 경우도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 조의 친구 세스(폴 데이노)가 미래의 세스를 죽이는 데 실패했을 때, 조직은 미래의 세스를 굳이 찾아다닐 필요가 없습니다. 현재의 세스를 죽이면 미래의 세스는 아무리 멀리 도망가도 바로 소멸되어 버립니다.

 

그러니까 2044년의 시공간에 '현재의 조(젊은 조)'와 '미래의 조(늙은 조)'가 동시에 존재하는데, 현재의 조는 미래의 조에 대해 모르지만 미래의 조는 현재의 조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 그건 현재의 조가 미래의 조에게 있어 '기억'의 대상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30년 전의 기억이라 약간 희미할 수도 있겠지만.

 

이 기본 설정에서 더 나아가 '루퍼' 속 세계에서는, 현재의 조가 그때 그때 하는 행동이 모두 미래의 조의 기억에 영향을 미칩니다. 심지어 젊은 조가 어디 가서 무슨 행동을 하고 있든, 늙은 조는 거의 실시간(약간의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옵니다)으로 젊은 조가 보고 느끼는 것을 바로 알게 됩니다. 젊은 조의 모든 행동은 늙은 조의 '기억'이기 때문이 그렇다는 얘기죠.

 

두 사람이 같은 시공간에서 살아 움직이는데도 그 '기억'의 매커니즘이 작동한다는 게 어찌 보면 말이 안 되기도 하지만, 물리학자들에 따르면 과거로의 시간 여행 자체가 모순이라고 하니, 까짓 '어차피 말이 안 되는 이야기인데 받아들이자'는 마음이 들게 됩니다.

 

그리고 이 '기억의 작용'은 '루퍼'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루퍼'를 매력있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라고나 할까요.

 

(사실 이 부분 외에도 '루퍼'의 시간 여행 설정에는 상당히 허점이 많지만,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진행하는 데에는 별 상관이 없습니다. '중요한 건 그게 아니야'인 상황이죠. 그리고 따지자니 우리가 시간여행을 해본 것도 아니고...^^)

 

 

 

라이언 존슨의 영화 두 편('브릭'과 '루퍼')을 보고 나면, 그는 좋은 시나리오 작가이긴 하지만 아직 좋은 감독으로는 부족한 면이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 말하자면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지만 구변은 좀 모자란 친구'와 같다고나 할까요. 화면 속 사건들은 재기넘치고 흥미롭지만 이야기를 끌고 가는 감독으로서의 스킬은 아직 더 갈고 닦아야 할 듯 합니다.

 

간혹 '루퍼'를 지루하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이야기에 완급 조절이 없기 때문입니다. 존슨의 이야기는 그냥 고저장단 없이 계속 일정한 톤으로 관객에게 전달됩니다. (이게 '그만의 스타일'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겠지만, 스타일이라면 좀 곤란한 스타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퍼'를 칭찬할 수밖에 없는 것은, 너무나 독특한 방식으로 상상력을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오늘날의 젊은 내가 30년 뒤의 세게에서 날아온 '내일의 나'를 죽여야 하는 상황. 그러니까 이 영화는 관객에게 질문을 던집니다. "당신에게 꽤 많은 돈을 주면서, '이 돈은 30년 뒤에 당신이 죽는다는 것을 전제로 한 퇴직금'이라고 말하는 상대가 있다면 과연 당신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이런 질문이죠.

 

'30년 뒤에 죽는 대신 거금을 받을래, 아니면 그냥 목돈 없이 살래?'라는 선택이 주어진다면 더 좋았을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사실 인생에서 일어나는 큰 사건의 대부분은 개개인의 선택 밖에서 결정되곤 합니다. 그리고 '루퍼'의 경우에는, 그 자신이 현재의 세계에서 루퍼로 일하고 있다는 것이 하나의 선택인 셈이죠.

 

그 일을 해서 현재의 세계에서 먹고 사는 이상 딱 30년이든, 그보다 약간 긴 시간이든 자신의 인생이 어떻게 끝나게 될 것이라는 것을 대략은 짐작하게 되니 말입니다. 다시 말하면 루퍼들은 '언제든 남이 아닌 바로 자신의 미래를 향해 총을 쏘게 될 사람들'로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사뭇 상징적입니다.

 

어찌 보면 오늘 벌어 내일을 사는 사람들은 모두 자신의 미래를 향해 총질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개개인을 봐도 그렇고, 인류 전체를 봐도 역시 마찬가지. (물론 어찌 보면 직장생활에 대한 우화로 읽히기도 합니다.^^)

 

 

 

'루퍼'의 세계관에서 또 한가지 매력적인 점은 모든 인물들이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상황에서의 대립을 그려내고 있다는 점입니다. 각자의 인물에게 분명한 명분이 있고, 그 명분의 성취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주인공과 상대역(악역?)이 경쟁할 때, 싸울 이유가 한 쪽에만 있거나, 승부가 어느 한 쪽의 태만이나 무능으로 결정된다면 참 그보다 맥빠지는 일도 없죠.

 

하지만 '루퍼'의 주역들은 모두 마음 한 구석에서 '내가 정말 이래도 될까. 나 하나 잘 되자고 이렇게 남을 희생시켜도 되는 걸까'라는 의구심을 갖고 있으면서도 '이건 나 자신보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을 위한 일'이라며 전력을 다합니다. 자연스럽게 설득력이 솟아납니다.

 

 

 

 

물론 '루퍼'의 성취는 좋은 배우들의 가세 덕분이라는 점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브루스 윌리스와 닮아 보이기 위한 특수분장으로 아예 인상을 바꿔 버린 조셉 고든 래빗은 다소 나약해 보이는 평소 이미지를 벗고 또 한번 연기 폭을 넓혔습니다.

 

 

 

 

에밀리 블런트도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때만 생각해선 큰일 날 변화를 보여줍니다.

 

 

'루퍼', 아무튼 자신있게 권할만한 작품입니다. 상영관이 얼마나 남았는지 모르겠지만.

 

라이언 존슨의 전작 '브릭'도 은근히 볼만한 작품입니다. 특히 '밀러스 크로싱'이나 '말타의 매' 같은 작품들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빠져들 법 합니다. 꽤 오래 전에 썼던 리뷰입니다.

 

'브릭'을 보면 '말타의 매'가 보인다 http://blog.joinsmsn.com/fivecard/9125446

 

P.S. 브루스 윌리스의 아내 역으로 나온 중국 여배우는 허청(許晴, Xu Qing)입니다. 진개가의 왕년 역작 '현위의 인생' 등에 나왔다는데 그 뒤로는 TV 활동에 더 주력한 모양이군요.

 

아, '코요테 어글리'로 깜짝 스타가 될 줄 알았던 파이퍼 페라보는 갈수록 역할이 작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영화에선 젊은 조가 은근히 좋아하는 애 딸린 스트리퍼 역입니다.

 

 

아래쪽 추천 상자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우결수] 두 편의 따끈따끈한 드라마가 방송 대기중입니다. 그중에도 '무자식 상팔자'는 전 방송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신상품입니다. 삼척동자도 다 아는, 작가이면서 연기자의 지명도를 능가하는 유일한 작가, 김수현 작가의 신작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배우들까지 이순재, 유동근, 김해숙, 송승환, 임예진, 윤다훈 등등등 이름만 대도 모르는 사람이 없는 연기 9단들로 포진해 있습니다. 한마디로 국가대표 드라마라고 해도 손색이 없습니다.

 

사실 그런 가운데서 찜찜했던 것은 다른 한 편의 드라마, 바로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이하 우결수)'였습니다. 전사적으로 '무자식 상팔자'를 지원하는 분위기라 거의 비슷한 시기에 방송되면서도 안팎의 관심이 덜 몰릴 수밖에 없었던 상황. (개인적으로는 '엄마 왜 나는 학원 안 보내줘?'라고 묻는 둘째의 눈망울을 보는 듯한 느낌이랄까...)

 

하지만 그런 미안한 마음을 물리쳐주는 계기가 있었습니다. 바로 23일의 온라인 공개.

 

 

 

사실 두 편의 드라마 모두 1회를 인터넷을 통해 선공개하면서도, 아무래도 더 큰 관심이 몰렸던 쪽은 '무자식 상팔자'입니다. 위에서도 말했듯 작가와 배우들의 지명도에서 비교가 안 되는 상황이었기 때문이죠. 공개의 장이 된 포털사이트 다음에서도 '무자식 상팔자' 쪽에 훨씬 큰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아무래도 온라인에서 힘을 발휘할 쪽은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 쪽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유는 말할 필요도 없는 성준/김영광 투탑. 10대와 20대 여성층을 사로잡을 수 있는 모델 출신의 두 신인이 어지간히 위력을 발휘해 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그리고 그 기대대로, '우결수'는 방송 첫날 이미 3만 뷰를 넘기며 돌진하고 있습니다. 어디까지 갈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아래 보시는 바와 같이 첫 방송 당일인 29일에는 12만 뷰를 바라볼 정도로 열기가 뜨겁습니다. 너무 많이 보시는게 아닌가 우려될 지경입니다.^^)

 

 

 

물론 다른 무엇보다 연출 김윤철 PD와 하명희 작가가 전력의 핵심입니다. 김윤철 감독은 누가 뭐래도 당시의 국민 드라마였던 '내이름은 김삼순'의 연출자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하명희 작가는 지명도에서는 다소 뒤질지 몰라도 매주 금요일 밤 주부 시청자들을 사로잡았던 '사랑과 전쟁'을 오랫동안 지휘한 베테랑입니다.

 

스토리라인도 20대에서 50대까지 여성 시청층의 관심을 끌 만 합니다. 여기 한 엄마가 있습니다. 이름은 들자(이미숙). 남자 하나 잘못 만나 인생을 망쳤다고 생각하는 탓에 두 딸의 결혼에 자신의 인생을 겁니다. 애들 시집 잘 보내는 것이 인생의 목표죠.

 

 

 

그런 소신 덕분에 큰 딸 혜진(정애연)을 의사 남편(김성민)에게 시집보내는 데 성공합니다. 물론 정상적인 방법은 아니죠. 아무튼 그러고 나니 눈에 걸리는 것이 둘째 혜윤(정소민)입니다. 탐문해 본 결과 혜윤이 사귀고 있고, 결혼하겠다고 나선 상대는 겉보기에 그냥 그저 그런 정훈(성준)입니다. 아버지가 소아과 의사라는 것 외에는 탐탁치 않습니다.

 

당연히 들자의 평소 성격대로 갈라놓기에 들어갑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정훈네 집이 그렇게 희망 없는 집은 아니라는 정보가.... 이때부터 '그렇다면 너는 내 사위' 작전이 시작되겠죠?

 

 

 

이런 들자와 두 딸 커플 사이로 들자의 동생 들레(최화정)과 40대 후반 노총각 민호(김진수), 그리고 정훈의 선배이며 둘도 없는 '원조 나쁜 남자'인 레스토랑 사장 기종(김영광)과 겉보기에만 여권론자인 동비(한그루) 커플들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한마디로 바람기 있는 의사 남편과 재혼한 커플, 그저 사랑밖에 믿는게 없는 젊은 커플, 뒤늦게 사랑에 눈뜬 중년 처녀총각 커플, 그리고 나쁜 남자인 걸 뻔히 알면서도 헤어지지 못하는 겉으로만 쿨한 커플까지 네 커플이 포진해 있습니다. 이 네 커플이 서로 죽이네 살리네, 오만가지 사랑의 양상을 그려내는 드라마가 바로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 줄여서 '우결수' 입니다.

 

 

 

 

물론 이 드라마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은, 비록 자신은 연애 상대가 없지만 온 커플을 다 휘젓는 엄마 들자입니다. 두 딸, 여동생, 그리고 둘째딸의 친구까지 네 커플의 여자 쪽은 모두 들자의 영향권에 있는 인물들이죠.

 

그런 들자 역을 맡은 이미숙의 목소리는 여느 때보다 훨씬 크고 우렁찼습니다. "난 겁날게 없는 사람이야! 남자 없는 집이라고 우습게 볼 생각이거들랑 애저녁에 집어 치워! 내 딸 해치는 놈은 난 죽을 때까지 쫓아가서 끝장을 봐!" (뭐 정확하진 않지만 대략 이런 내용입니다) 이런 대사를 이미숙보다 더 잘 소화할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 싶습니다.

 

('신데렐라 언니'에서보다 전투적이고, '천일의 약속'에서보다 딸 사랑이 지극합니다. 그리고 1부 엔딩의 바나나 우유 신... 압권입니다.^^)

 

 

 

 

23일 시사회장에서 유리알같이 매끄러운 '우결수' 1회를 봤습니다. 영상미 하나만큼은 정말 대한민국 어떤 드라마에 비겨도 부족함이 없는 장인 정신이 돋보입니다.

 

 

솔직히 말해, 같은 편이지만 흠을 잡자면, 약간 아쉬웠습니다. 대본으로 보았을 때의 재미가 95라면 드라마로 느낀 재미는 88 정도? 그만큼 대본으로 만들어 놓았을 때의 완성도가 높았던 반면, 역시 20대 초반 연기자들의 대본 구현 능력은 좀 떨어졌다고 볼 수 밖에 없을 듯 합니다. 이쪽에서 퉁 때리면 길지도 짧지도 않은, 아주 적절한 간격을 두고 저쪽에서도 퉁 때리며 대사의 랠리가 이어지는 리듬감, 그 화려한 리듬감까지 기대하기엔 성준-김영광-정소민-한그루 라인은 아직 더 많은 숙련이 필요할 듯 했습니다.

 

하지만 그런 게 그렇게 중요한 게 아니라는 듯, 네 젊은 배우들은 비주얼의 위력을 뽐냈습니다. 그 중에서도 굳이 꼽자면 어린 시절의 송승헌을 연상시키는 성준이 역시 발군.

 

 

 

 

또 하루 종일 정애연과 함께 검색어 순위를 오르내리던 한그루도 차세대 베이글녀 자리를 내놓지 않을 분위기였습니다.

 

아무튼 여기 저기서 하명희 작가의 '대삿발'은 불을 뿜었습니다. "내가, 니가 며칠 안에 다시 나 찾아온다는데 10원 건다." "돈 잘버는 아들은 며느리 거, 똑똑하고 학벌좋은 아들은 장모 거, 그리고 신용불량자 아들만 내 거라더라" 같은 대사는 쉽게 잊혀지지도 않습니다.

 

여자가 살아가는 데 있어 신경써야 할 돈이라면 두 가지가 있습니다. 뭣보다 첫째는 혼수, 그리고 둘째는 위자료일 겁니다. 결국 '우결수'는 그 두 가지 돈에 대한 드라마가 될 전망입니다.

 

 

 

20대라면 '바로 내 연애' 이야기, 30대라면 '내가 왜 연애에서 성공하지 못했나'하는 이야기, 40대라면 '내가 노처녀라면 겪었을 법한 이야기', 50대라면 '내 딸들이 내 속 썩였던 이야기'를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예전에 '아내의 자격'이 방송되던 시절, 많은 20대, 30대 미혼녀들이 "내가 결혼하면 겪게 될, 너무 리얼한 이야기라고 생각하니 호러 같더라"는 애기를 했습니다. '우결수'도 그 못잖은 리얼한 이야기지만 호러보다는 웃음이 넘칩니다. 일단 1회를 보시고 직접 느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는... 매주 월,화요일 11시를 기다리시면 됩니다. 물론 밤입니다.

 

728x90

[무자식상팔자] 새 드라마 '무자식 상팔자' 첫회가 27일 방송됐습니다. 물론 이미 지난 22일, 제작발표회와 함께 온라인으로 1회가 선공개된 터라 미리 보신 분들도 적지 않겠지만, 역시 드라마는 본 방송으로 봐야 제맛인 듯. 방송 시간에 맞춰 여러 포털의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는 모습이 역시 믿음직 합니다.

 

'무자식 상팔자'는 방송 전부터 한국 드라마를 대표하는 김수현 작가의 집필로 가장 큰 관심을 모아 왔습니다. 굳이 설명이 필요 없을 겁니다. 한류라는 말이 생기기 전부터 이미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로 한국 드라마가 해외에서 통한다는 것을 증명한 분이기도 하죠.

 

그리고 오랜만에 자신의 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주말형 홈 드라마로 돌아왔습니다. 일찌기 '사랑이 뭐길래', '목욕탕집 남자들', 그리고 최근에는 '인생은 아름다워'로 건재를 과시했던 장르죠. 이번에는 '무자식 상팔자'.

 

대본을 보는 순간 '이것이 최고 작가의 관록'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폭포수처럼 쏟아지는 대사의 위력.

 

 

 

 

사실 김수현 작가의 드라마가 어떤 스타일이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별로 없겠고, 어지간한 배우들은 아예 그 대본을 소화하지 못한다는 것도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대본을 먼저 보고 드라마를 보면 제아무리 최고의 연기자들이라고 하더라도 그 대본을 100% 살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니까 눈으로 대본을 읽으면 10초 정도에 뇌에서 처리하게 될 정보를 드라마로 보게 되면 4~5초에 지나가게 됩니다. 대부분 작가들의 드라마는 그 속도에 맞춰 쓰여지는게 보통이죠. 하지만 김수현 작가의 드라마는 꼬박 10초를 써야 처리할 수 있는 정보량이 꽉 채워져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드라마로 만들어진 상태에선 대사의 맛이 100% 살지 못한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이런 건 드라마를 먼저 보고 대본으로 나중에 보는 분들도 공통적으로 느끼곤 합니다. '아, 그때 그 대사에 이런 의미가 또 들어 있었구나'하는 걸 발견하게 된다는거죠. 재방송을 봐도 재미있게 느껴지는 이유랄까요.^^)

 

 

 

 

'무자식 상팔자' 첫회는 그 '대사의 신'이 또 한번 화력시범을 시작했다는 걸 느끼게 합니다. 서울 근교의 지방 소도시. 아직도 정정한 80대 부모와 세 아들 부부, 그리고 손자들이 한 동네 이웃 사이에 모여 살고 있습니다. 첫회에선 일단 이렇게 '어른들'의 캐릭터가 소개되고, 장남의 맏딸이며 판사인 소영(엄지원)이 느닷없는 임신으로 평지풍파를 일으키는 내용이 등장했습니다. 정말이지 속도감이며 말맛이 지금까지의 대표작들에 비쳐 손색이 없습니다.

 

 

 

 

김수현 선생의 작품이 늘 그렇듯 이번 드라마도 마땅히 딱 꼬집어 누가 주인공이라고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사건으로 보면 핵심 인물은 혼전 임신으로 초점이 된 엄지원이라고 봐야겠지만, 세 형제와 며느리 사이에 이야기가 충분히 분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무자식 상팔자'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건 아버지와 세 형제의 캐릭터입니다. 특히 아버지 역의 이순재. 언제 어떤 작품에서든 진가를 드러내는 한국 드라마의 간판답게 이번 작품에서도 빛을 발합니다. 이번 캐릭터는 '잔소리 폭격기'.

 

수돗물 한방울에서 더덕구이에 붙은 고추장 양념까지 어느 것 하나 눈에 거스르면 절대 그냥 넘어가지 않습니다. 따지고 보면 다 맞는 말이라 뭐라 반박하기도 쉽지 않지만, 원래 잔소리는 맞는 말이 더 지긋지긋하 법이죠. 게다가 한번에 끝나는 법도 없고, 한번 꼬투리를 잡히면 죽을 때까지 되풀이하는 집요함까지 갖춘 캐릭터.^^

 

평생을 같이 살아 온 할머니(서우림)는 이제 습관이 됐을 법도 하지만, 60년을 함께 있어도 잔소리는 역시 잔소리. 서서히 할머니도 이 끝없는 잔소리에 대대적인 반격을 준비합니다.

 

 

 

 

장남 희재 역의 유동근은 속없는 무골 호인. 이 말을 들으면 이 말이 맞는 듯, 저 말을 들으면 저 말이 맞는 듯. 일생을 조용조용 지내온 소심한 장남이지만 한 순간에 일생의 수양이 물거품이 됩니다. 시집 안 간 딸이 만삭이 되어 온 광경을 보면 아니 그럴 수가 없겠죠.

 

 

 

둘째 희명 역의 송승환. 중견 기업 임원으로 일하다 정년퇴직한 인물. 회사 생활에선 유연하고 원만한 사람이지만 그런 사람들이 막상 출근할 일이 없으면 급속도로 위축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특히나 경제권을 아내(임예진)에게 빼앗긴 뒤라 더욱 심합니다.

 

 

 

세째 희규 역의 윤다훈. 두 형에 비해 공부도 짧고 생각도 짧은 막내. 대신 가족에 대한 사랑이 깊고 나이에 비해 생각도 젊은 인물입니다. 사실 어찌 보면 '김수현 드라마'에서 윤다훈이 계속 유지해 가고 있는 그런 캐릭터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거기에 추가된 건 '닭살 부부'. 슬하에 아이 없는 커플로, 아내 역의 견미리와 나이를 잊고 펼치는 닭살 행각이 웃음을 자아냅니다.

 

 

첫회의 엔딩은 다시 한번 갈등이 폭발한 희명 부부가 신음에 가까운 비명을 지르는 데서 끝났습니다. '인생은 아름다워'의 엔딩 때 등장인물들이 번갈아 가며 넘어졌던 걸 생각하면 이번엔 혹시 매회 비명을 지르는 장면이 마지막이 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만...^^ 아무튼 대본을 다 읽어 본 저로서도 2회가 어떻게 만들어져 나올지 궁금합니다.

 

 

이번 작품을 앞두고 이번달 여성중앙과 함께 하신 인터뷰입니다. 흥미롭습니다.

http://woman.joinsmsn.com/article/article.asp?aid=12126

 

 

 

아래쪽 추천 상자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스카이폴]의 예고편은 너무나 멋졌습니다. 스피디하면서도 품격있고, 스토리를 내비치는 듯 하면서도 정작 궁금할만한 점은 그대로 남겨둔, 그야말로 예고편의 클래식이라고 부를 만 했습니다.

 

특히나 감독의 이름은 샘 멘데스. 물론 아직도 1999년작인 '아메리칸 뷰티'의 명성을 뛰어넘을만한 영화를 내놓지 못하고 있긴 하지만 정교하고 세련된 연출은 일찌기 정평이 난 인물입니다. 그런 그가 전혀 인연이 없을 것 같던 제임스 본드 영화를 만든다는 것도 상당히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

 

그런데 그 결과물은... 매우 실망스럽습니다. 물론 만족하는 사람도 꽤 있을 겁니다. 액션 영화가 갖고 있는 카타르시스의 기능에 별 관심이 없는 사람, 정교한 이야기 구조에도 관심이 없는 사람, 007 시리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낙천적 세계관에도 역시 별 의미를 두지 않는 사람, 그저 다니엘 크레이그만 멋지게 나오면 다른 건 무시해도 좋은 사람, 이 영화의 PPL에 자사 상품을 넣은 사람, 그리고 '다크 나이트'와 '다크 나이트 라이즈'가 지상 최고의 영화이고, 심지어 주인공만 바꿔 이 영화들을 다시 찍어도 걸작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박수갈채를 보낼 영화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니까 제목부터 이상합니다. '스카이폴'이 아니고, '다크 본드' 혹은 '다크 본드 라이징'이라고 지었어야 할 영화죠.

 

 

 

일단 대략의 줄거리.

 

제임스 본드(다니엘 크레이그)는 이스탄불에서 빼앗긴 하드 디스크를 회수하는 작전에 투입됩니다. 나토 공작원들의 리스트가 담긴 디스크를 회수하기 위해 M(주디 덴치)은 어떤 희생도 감수하겠다는 태도. 본드와 탈취범이 격투를 벌이고 있는 일촉즉발의 순간, M은 저격수에게 냉정하고도 잔혹한 명령을 내립니다.

 

그로부터 얼마 뒤, 런던의 MI6 본부가 사이버 테러로 공격당하고, 사라진 리스트에 포함됐던 스파이들이 여기저기서 정체가 드러나 살해당합니다. M은 은퇴 압력을 받게 되고, MI6에 대해 원한을 품은 듯한 적의 정체는 드러나지 않습니다.

 

 

 

 

23번째, 원조 '카지노 로얄'과 '네버 세이 네버 어게인'을 포함하면 25번째 007 영화인 '스카이폴'은 놀랄만큼 매끄러운 오프닝 시퀀스로 시작합니다. 오프닝의 마지막에서 총소리가 울려 퍼지며, 몇몇 관객들의 마음 속에 '이게 뭐야!'라는 생각을 불어 넣지만, 이어지는 아델의 주제가 'Skyfall'과 거기에 곁들여진 매혹적인 영상 구성이 다시 관객을 매료시킵니다.

 

하지만 바로 위에 쓴 '줄거리' 까지의 부분, 그 이후로 영화는 도저히 건질 수 없는 수렁으로 점점 빠져듭니다. 최소한 제가 보기에는 그렇습니다. 물량도, 배우도, 만듦새도 전혀 문제가 없지만 참을 수 없는 것은 '이야기'의 흐름입니다.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스토리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면서 관객의 심기를 건드리거나, 그 반대로 졸음의 세계로 내몰아 버립니다.

 

 

 

 

이 영화는 앞 시리즈에 대한 철저한 부정입니다. 이 영화에 나오는 수준의 지능을 가진 M이라면 도저히 MI6에 오르지 못했을 것이고, 역시 제임스 본드가 이 영화 수준의 지능이었다면 '카지노 로열'이나 '퀀텀 오브 솔라스'에서 살아남지 못했을 것입니다.

 

게다가 상당수 관객에게 이 영화는 '다크 나이트'를 두번 보는 효과를 강요합니다. 전혀 어울리지도 않는 무책임한 인용(내지는 내놓고 리메이크)의 연속입니다. 007은 대놓고 배트맨 흉내를 내고, 악당 실바(하비에르 바르뎀)는 아예 조커의 쌍둥이입니다. "007도 만들고 싶고, 생각있어 보이고도 싶은" 욕심이 이 영화를 망친 주범입니다.

 

길게 얘기해 봐야 스포일러만 나올 듯 하니 일단 여기서 한번 접겠습니다. 전혀 추천하고 싶지 않지만, 혹시 애스턴 마틴 DB5의 광팬이시거나, 아래 상품들이 이 영화에서 어떻게 나오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 '스카이폴'은 근래 본 영화들 중 가장 화려한 광고판입니다. 아래 주장에 따르면 PPL 수입이 2900만파운드에 달한다는군요.

 

The London 'Mirror' newspaper reported that about £29 million or about a third of the film's budget was raised from commercial deals. Product placements, brand integrations and promotional tie-ins for 'Skyfall' include Heineken Lager Beer; Coca Cola's Coke Zero; Visit Britain Tourism's 'Live Like Bond' campaign; Procter & Gamble fragrance; Virgin Atlantic; 'Literary Review' magazine; Tom Ford clothing; Omega Watches including a 50th anniversary 007 watch; Swarovski jewelery; the London 2012 Olympics; Hornby Scalextric car sets; Jaguar & Land Rover vehicles; Activision's video-game; Sky TV's Sky Movies 007 HD Bond channel and Sony Electronics products including Bravia TVs, Vaio laptops & computers, and Xperia tablets & smart-phones, the Sony Xperia TL phone and Heineken beer being two of the products making brandcameos in the film.

 

 

 

 


(정작 애스턴 마틴은 스폰서 리스트에서 잘 보이지 않는...?)

 

 

 

(심지어 이런 것도 70불이나...^^)

 

그리고 아래는 줄거리를 건드리지 않으면 하기 힘든 이야기들. 영화 보실 분들은 건너 뛰시기 바랍니다.

 

 

 

 

 

 

 

이 영화의 첫 시퀀스부터 M은 장기를 이기기 위해 하위 기물들을 닥치는대로 희생시키는 잔혹한 체스꾼의 면모를 과시합니다. 죽어가는 요원을 발견한 본드에게 "내버려두고 범인이나 추적하라"고 강요합니다. 본드가 기차 위에서 탈취범과 맨손 격투를 벌이고 있는 상황에선 저격 라이플을 조준하고 있는 요원 이브(나오미 해리스)에게 기다리지 말고 쏴 버리라고 명령합니다.

 

물론 M의 이런 캐릭터를 부각시키는 이유는, 바보가 아니라면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악당 실바가 MI6와 M을 증오하게 된 이유를 강조하기 위한 토대를 다지자는 것이죠. 뭐 스파이 마스터가 이 정도의 냉철함을 갖고 있다는데 뭐랄 사람은 없을 겁니다. 하지만 이 첫 시퀀스의 억지가 바로 '스카이폴'의 정체를 결정해 줍니다.

 

영화를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본드와 탈취범은 기차 지붕 위에서 싸우고 있습니다. 이브는 저격 가능지점에서 총을 겨누고 있죠. 기차는 곧 터널로 들어가고, 격투중인 두 사람은 곧 이브의 시야에서 사라집니다. 본드가 이긴다면 다행이지만, 진다면 하드 디스크 회수는 어려워집니다.

 

 

 

 

이 대목에서 M이 "쏴버려"라고 말하는 것은 "누가 이길지 모르니 지금 네가 막아야 한다. 어쨌든 최대한 적을 겨냥하고 쏴라. 본드가 맞아도 그건 어쩔 수 없다. 어쨌든 이 상태로 터널에 들어가선 안된다"는 것입니다. 이브가 다마고치가 아니라면 "쏴버려"라는 말이 이런 뜻임을 이해하지 못할 리는 없습니다.

 

하지만 영화 속의 이브는 단 한발의 총을 쏘고, 본드가 그 총에 맞고 철교 아래로 떨어지고, 탈취범이 황당한 표정으로 서 있는 가운데 "AGENT DOWN"이라고 보고해 버립니다. 마치 명령이 본드만 쏴 버리라는 뜻인 듯 말이죠. 정상인이라면 표적을 가리는 본드가 사라진 뒤 100발을 더 쏴서 탈취범을 쓰러뜨렸을 겁니다.

 

이 장면을 보고 나서 혼란에 빠졌습니다. 이건 이브가 MI6의 적이라는 복선일까? (아닌데, 복선 치고는 너무 노골적인데...?) 아니면 맨데스는 '왜 이브가 단 한방만 총을 쏘고 탈취범은 쏘지 않았을까'라는 의문을 전혀 느끼지 않은 걸까? (에이 설마...?) 혹시 이브가 자신이 쏜 총에 본드가 맞는 걸 보고 너무 놀라서 자신의 임무를 망각해버린 걸까? (훈련받은 요원이...?)

 

그런데 영화를 보면 볼수록 2번이더군요. '스카이폴'을 보다 보면 MI6는 천하의 무능한 세금 도둑 기관입니다. 이건 아무리 봐도 배트맨 시리즈의 뉴욕 경찰이지 007 영화의 MI6가 아닙니다. 제임스 본드 혼자 기를 쓰고 뛰는 동안 관객을 머리 속엔 의문이 떠오릅니다. '대체 MI6엔 다른 요원은 하나도 없나?'

 

 

 

 

그럼 그동안은 007이 제임스 본드의 독무대가 아니었느냐는 반론이 나올 법 합니다. 당연히 그랬습니다. 하지만 그동안의 과정은, '이 정도는 남의 손을 빌릴 필요도 없어. 나 혼자 해결해도 충분한 걸'이라는 식이었죠. 반면 '스카이폴'의 제임스 본드는 뭐 하나 해결하지 못하고 쩔쩔 매는데도, 조직의 도움은 전혀 받지 못합니다. 실바가 탈출한 가운데서도 본드 혼자 실바를 쫓아 뛰어갈 뿐, 목표가 M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Q는 현장에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못합니다.

 

(네. M에게 '얼른 피신하라'는 메시지를 보내긴 합니다. 하지만 상식적인 사람이라면, 청문회장 주변에 '위험 인물이 그쪽으로 가고 있다'고 경고하고 경비를 강화하지 않았을까요. 실바 일행이 도착할 때 청문회장은 사실상 무방비상태입니다.)

 

정말 웃기는 최후의 대결 장면. Q와 본드, 그리고 새로운 M이 되는 말로리(레이프 파인즈)는 기껏 머리를 쓴답시고 써서 스코틀랜드의 스카이폴 저택으로 실바 일당을 유인합니다. 그리고 본드는 장비 하나 없이 두 노인과 함께 몇명이 올 지 모르는 적을 맞서 싸울 준비를 합니다. (이건 뭔가요. '나홀로 집에?' 아니면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패러디?) 그 많은 다른 MI6 요원이며 SAS는 대체 뭘 하고 있는 걸까요. 이 영화의 MI6는 '지원'이란 개념이 없는 걸까요?

 

한마디로 처음 30분을 제외하면 뭔가 시원한 맛이라곤 없습니다. 일상의 권태와 피로를 잊기 위해 극장을 찾은 사람들에게 짜증을 더해 주는 007이란... 참 상상하기 힘듭니다. 과연 그런 것이 007의 본분일까요.

 

 

 

 

언제부터 007 영화에서 논리적인 진행을 따졌느냐고 묻는 분들, 맞습니다.

 

하지만 본래의 007은 '어쨌든 우리 편이 다 이겨' 혹은 '본드 혼자도 다 처리할 수 있어'라는, 아주 낙관적이고 동화적인 세계 위에 건설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다니엘 크레이그 이후의 본드는 종래의 본드보다는 제이슨 본을 더 추종하는 캐릭터입니다. 세계관도 진짜 피가 튀는 세상으로 바뀌었죠. 리얼 액션은 리얼 월드의 리얼 플롯을 필요로 합니다. 만약 제이슨 본 시리즈가 이따위의 형편없는 플롯으로 만들어졌다면 2편과 3편은 꿈도 꿀 수 없었을 겁니다.

 

앞서 말했듯 저는 샘 멘데스가 "007을 연출하면서도 생각 있는 지적인 감독으로 보이고 싶다"는 이상한 야망을 품은 것이 실패의 출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불편한 야심 탓에 '액션 영화에도 지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 최고의 성공사례'에 집착하게 되고, 그래서 크리스토퍼 놀란의 세계에 지나치게 몰두하게 되고, 아예 그의 최고 성공작에 007의 껍질만 입혀서 다시 만들어 보겠다는 정신나간 판단을 하게 된 듯 합니다.

 

그 결과는 엉망진창의 혼란입니다. 실바 같은 위험한 적에게 "다음 총알은 빗나가지 않을 거야"라고 말하는 제임스 본드가 과연 제임스 본드일까요(본드라면 그냥 쏜 다음에 농담 한마디를 남기죠). 악당은 노골적으로 조커 코스프레를 하고, 본드는 배트맨이 빙의된 양 본분을 잊고 살인을 주저합니다. 물론 그 한 순간 뿐, KILLER LICENSE의 소유자답게 그 앞뒤에서는 아무렇지도 않게 살인을 재개합니다. 한마디로 본드 캐릭터의 일관성 같은 것은 샘 멘데스의 머리 속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정작 메시지는 공허합니다. 정말 공허합니다. 영화 속에서 M은 "이 냉전도 사라진지 오래인 고도 정보화 사회에 구태의연한 스파이 조직이 필요하냐"는 비판에 봉착합니다. 거기에 M은 "그래도 필요하다"는 논지로 맞서죠. 그래서 몇몇 사람들은 이 영화를 가리켜 "오늘날에도 왜 007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답을 던지는 영화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건 전형적인 '받아쓰기'입니다. 그런 의도로 만들어진 영화인 것은 분명해 보이지만, 이 영화에 '고전적 첩보원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는 내용'이 나오긴 하는 걸까요? 오히려 이 영화를 보고 나면, 본드 같은 바보 요원보다는 Q 같은 똑똑한 해커들을 양산하는 것이 21세기 형 지능 범죄와 머리 좋은 악당들을 막는 데 훨씬 더 바람직한 방안으로 보입니다.

 

샘 멘데스는 이 영화 이후에 다시 007 영화를 연출할 생각이 없다고 했답니다. 시리즈의 운명을 위해서도 참 다행이란 생각이 듭니다. 새로운 M(레이프 파인즈, 이 영화에서 가장 놀라운 점은 볼드모트가 좋은 역이라는 점입니다), 새로운 머니페니(나오미 해리스, '캐리비안의 해적'과는 전혀 다른 모습^^), 새로운 Q(벤 위쇼, '향수'의 그르누이군)의 진용은 나쁘지 않습니다. 부디 새로운 멤버들이 새로운 감독과 협력해서 다시 새로운 007의 역사를 잘 써 주기를 바랄 뿐입니다.

 

 

 

 

이 영화의 소득 중 하나라면 33세의 모델 출신 베레니스 말로히. 중국계 캄보디아인과 프랑스인의 혼혈이라고 하는데 최소 4개 민족이 섞인 듯한, 오래 전 실크로드 한복판에서나 보였을 법한 독특한 외모가 특징입니다. 강렬합니다.

 

아래쪽 추천 상자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아주 오래 전, 지상파 TV가 방송의 전부이던 시절의 방송인들은 흔히 그런 말을 했습니다. "방송이 제일 강력한 미디어인데 대체 방송을 어떻게 다른 매체로 홍보하냐?" 그래서 TV 드라마를 널리 알리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채널을 통해 예고를 내보내는 것이었습니다.

 

지상파 방송에서는 아마도 이 상식이 아직 깨지지 않았을 겁니다. 하루 평균 시청률 5%가 넘는 채널을 갖고 있다면 자기 채널을 이용한 홍보가 최고일 수밖에 없죠. 물론 현재 지상파 방송보다 유력한 매체가 없는 건 아니죠. 주요 포털의 메인 홈페이지에 노출하는 방법도 있겠습니다만, 거기 들어가는 엄청난 비용을 생각하면 사실 그림의 떡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 지상파가 아닌 방송사가 콘텐트를 널리 알리고 살아남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고심 끝에 한가지 수를 냈습니다. [만약 방송 드라마를 방송이 아닌, 온라인으로 먼저 공개한다면 어떻게 될까] 하는 것이죠.

 

 

 

 

JTBC는 이번에 한국 TV 사상 처음으로 두 편의 드라마를 본 방송보다 앞서 온라인으로 론칭시켰습니다. 바로 27일부터 방송되는 '무자식 상팔자'와 29일부터 방송되는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입니다. '무자식'은 22일, '우결수'는 23일부터 온라인으로 공개됩니다. 포털사이트 다음, 그리고 JTBC(www.jtbc.co.kr)와 중앙일보(joongang.co.kr) 홈페이지를 통해서입니다.

 

 

 

 

('무자식 상팔자'나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 동영상을 카페, 블로그, SNS로 공유하시기만 해도 캔커피가 공짜! 이벤트 진행중입니다. 선착순입니다.

 이벤트 페이지 바로가기는 이쪽: http://home.jtbc.co.kr/Event/Event.aspx?prog_id=PR10010127&menu_id=PM10015634 )

 

드라마를 '첫 방송 10월27일 오후 8시50분'이라고 예고하면서 온라인으로 먼저 공개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그러니까 예고편도 아니고, 특집판도 아니고, '미리보기'도 아니고 정규 1회를 먼저 온라인으로 내놓는다는 겁니다. 한국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라 반대도 만만찮았습니다. 이를테면 가장 상식적인 반응은 당연히 이런 겁니다. "아니, 그걸 인터넷으로 먼저 다 보여주면, 누가 본방을 봅니까?"

 

물론 다 보여주는게 아니라 1회만 보여준다고 해도 불안해 하시는 분들이 한둘이 아닙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처음이다 뿐이지, 미국에서는 어느 정도 상식이 되어 가고 있는 사전 홍보 방법입니다.

 

 

 

 

올해 7월, 미국 NBC는 9월에 시작하는 새 시리즈 6편의 첫회(파일럿)를 온라인으로 먼저 풀었습니다. 'The New Normal' 'Go On' 'Guys With Kids' 'REVOLUTION' 'Animal Practice' 'Chicago Fire' 까지 6편을 길게는 한달 전, 짧게는 2주 전에 인터넷을 통해 공개한 것입니다. 방송사 자체 홈페이지는 물론, 유튜브나 훌루 등 온갖 사이트가 동원됐습니다. 물론 광고도 들어 있지 않았습니다.

미국에서도 비슷한 질문이 나왔습니다. 온라인으로 먼저 보여주면 본방 시청률이 떨어질 게 아니냐는 얘기였죠. NBC 드라마의 온라인 론칭을 다룬 인터넷 기사에 달린 댓글들입니다.

 

맨 위의 댓글이 그런 우려를 담고 있지만 그 아래 댓글들이 '그렇지 않다'고 설명해 줍니다.

 

 

 

 

미국 드라마업계에서 수년간의 실험 끝에 확인한 것은, "온라인 선공개가 본방 시청률을 떨어뜨리는 경우는 없다"는 것입니다. 물론 온라인으로 그 첫회를 먼저 본 사람들이 본방송 1회를 다시 볼 가능성은 별로 없겠죠. 하지만 먼저 드라마를 본 사람들은 그 드라마에 대한 평을 주위 사람들에게 전하기 마련입니다. 그렇게 하고 나면, 온라인 선공개를 경험한 사람에 비해 몇 배나 되는 새로운 시청자들이 본 방송에 관심을 갖게 된다는 얘깁니다.

 

NBC가 온라인 선공개에 적극적인 것은 당연히 올 연초, 뮤지컬 드라마 'SMASH'를 온라인으로 론칭한 것이 드라마의 성공에 좋은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NBC만 하고 있는 건 아닙니다. FOX의 'New Girl', ABC의 'The River' 같은 경우가 대표적인 성공 사례입니다. 그리고 온라인선공개는 점점 더 확산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물론 온라인으로 드라마를 론칭하는 것이 만병통치약은 아닙니다. 홍보나 마케팅은 어디까지나 보조 수단일 뿐, 드라마 성공의 키는 작품의 질이 쥐고 있죠.

 

 

 

 

사실 드라마의 질이 문제가 있는 경우, 온라인으로 먼저 공개하는 것은 글자 그대로 '쥐약'이 될 수 있습니다. 악평이 더 널리 퍼질테니 말입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라면, 온라인으로 선공개를 하건 말건 망가지는 데에는 전혀 차이가 없을 겁니다. 본 방송으로 시작해도 망할 드라마는 망하고 말테니 말입니다.

 

그리고 이번에 JTBC가 공개하는 두 편의 드라마는 모두 퀄리티 면에서 확신을 갖게 합니다. '무자식 상팔자'는 김수현-정을영 콤비에 이순재 유동근 김해숙 송승환 등 연기 9단들이 즐비합니다.

 

 

 

29일부터 방송되는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도 '내 이름은 김삼순'의 김윤철 PD가 연출을 맡고 이미숙 최화정 김성민 김진수 등 베테랑들이 탄탄한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론칭을 하면서 기대하는 것은, 시청자의 선택입니다. 좀 더 긴 유효기간에 걸쳐 좀 더 많은 시청자들이 JTBC의 콘텐트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것이죠. 늘 보시던 채널만 고집하다 보니, 굳이 채널 바꿀 필요성을 못 느껴서, 어쩐지 별로 볼 것도 없을 것 같아서 시도하지 않았던 분들이라면 이 기회에 한번 자신의 취향을 시험해 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지금 '무자식 상팔자' 관련 이벤트는 너무 많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버스 사냥 이벤트를 비롯해 티저 사냥 이벤트, 동영상 퍼가기 이벤트 등등, 상품 갯수만도 2000개 이상입니다.

 

http://drama.jtbc.co.kr/mujasik/?cloc=jtbc|header|drama

 

이런 기회를 놓치시면 억울하겠죠?

 

 

조 아래쪽 추천 상자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한국 방송계에서 '김수현 드라마'만큼 확고부동한 브랜드는 없습니다. 그 뒤를 잇는 스타 작가들도 즐비하지만, 그 누구도 '김수현'이라는 이름만큼 강력한 신뢰를 구축하고 있지는 못합니다.

 

그런 김수현 작가의 새 드라마가 오는 27일부터 JTBC에서 방송됩니다. 제목은 '무자식 상팔자'. 들어 보신 분도 있고 아닌 분도 있겠지만, 이순재 서우림 유동근 김해숙 송승환 임예진 윤다훈 견미리 엄지원 등 출연진도 화려합니다.

 

눈을 크게 뜨시면 시내에 '무자식 상팔자'라는 광고를 옆구리에 붙인 버스들이 달리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그 버스를 사냥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아이패드2, 에스프레소 머신 등 상품이 쏟아집니다.

 

 

 

 

 

 

이렇게 사진으로 찍으시면 됩니다.

 

(안내 페이지는 이쪽)

http://home.jtbc.co.kr/Board/Bbs.aspx?prog_id=PR10010127&menu_id=PM10015317&bbs_code=BB10010230

 

 

그렇게 썩 잘 찍지 않아도 됩니다.

 

대강만 보이면 합격!

 

 

 

사실 이렇게 대대적인 캠페인을 벌이려면 아무래도 작품에 자신감이 있어야 할 건 당연지사. 그리고 그 방송 한달 전인 지난 25일, 서울 신세계 백화점에서 그런 신뢰를 확인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바로 한국 드라마 사상 처음으로 열린 '방송전 드라마 시사회' 입니다. 드라마 방송 직전 열리는 기자 간담회에서 전편을 상영한 드라마는 몇번 있었지만, 일반 시청자들을 상대로 한 드라마 시사회는 유례가 없는 일입니다.

 

 

 

 

사실 드라마가 방송되기 전, 방송 관계자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것은 '일반 시청자들은 이 드라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지'입니다. 대본을 보고 짐작하는 방법이 있지만, 대본을 보고 나서 이 드라마가 어떤 모양으로 그려질지를 알 수 있는 사람은 이미 일반 시청자가 아닙니다. 대개는 아무리 객관적으로 보려 해도 볼 수가 없는 사람인 경우가 많죠.

 

그래서 한번쯤 우리가 방송할 드라마를 일반 시청자들이 먼저 본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가 배우 궁금했습니다. 하지만 장소가 문제였죠. 극장을 빌려 상영하면 간단하지만 사실 비용이 만만찮습니다.  만원 기준으로 표값을 다 계산해야 합니다. 즉 시청자 한 분을 모시는데 극장표 1장 값이 드는 겁니다. 좀 부담스럽습니다.

 

그러다 문득 백화점마다 있는 문화공간에 생각이 닿았습니다. 신세계 백화점 측도 OK. 당초 목적대로 2~3회 정도 시사회를 하는 것은 불발이었지만 어쨌든 첫 테이프를 끊었습니다. 9월25일로 시사 날짜가 잡혔습니다.

 

(그러니까 저 위에 있는 분들이 저희 사장님보다 먼저 이 드라마를 보신 겁니다.)

 

 

 

물론 뭐든 처음 하려면 문제가 생기는 법. 회사에선 멀쩡하게 돌아가던 DVD가 현장에서 말썽을 부립니다. 회사에서 황급히 테이프와 데크를 공수했습니다. 아찔한 순간은 지나가고, 시청자들이 입장하셨습니다. 약 200분 정도.

 

웃음이 터져나옵니다. 느낌으로는 당연히 시사 성공. 하지만 뭔가 확인을 해야 합니다. 설문지 수거 및 분석.

 

 

 

 

그렇게 해서 약 200명의 시청자 중 144분이 응답해 주신 설문지 분석 결과 10점 만점에 9.07의 평점으로 '무자식 상팔자'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습니다.

 

필요하다면 드라마를 여기서 보여드리고 싶지만 그건 불가능하고...^^

 

 

 

사실 모든 분들이 선명하게 사진을 찍지는 못합니다.^^

 

아무튼 결론은, 이렇게라도 버스 사냥에 참여해 보시라는 얘깁니다.

 

의외로 찍기가 쉽지 않아서(폰카 켜는 사이에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경쟁률 그리 높지 않습니다. 당첨 기회를 보면 이만한 이벤트도 드물 겁니다.

 

항상 긴장을 놓치지 마시고, 버스 정류장에서는 전화기를 꺼내 들고 계세요. 그럼 행운이 찾아올겁니다.^^

 

 

 

 

728x90

'테이큰'은 그저 그런 액션 영화들로 매너리즘에 빠져 있던 할리우드에서 한발 앞선 잔혹성으로 차별화에 성공한 사례로 꼽힙니다. 리암 니슨이 연기한 브라이언 밀스는 일반적인 할리우드 액션 스타들에 비해 생명 존중 사상이 심하게 부족한 캐릭터였죠.

 

밀스는 모든 도구를 사용해 확실하게 악당들을 해치워주는 확실한 실력과, 절대 주저하지 않는 결단력을 겸비한 보기 드문 인물이었습니다. 이런 덕분에 2500만달러 제작비의 저예산(?) 영화였던 '테이큰'은 미국에서만 1억 달러 넘는 흥행 성공을 거뒀습니다. 덕분에 '테이큰2'가 만들어지게 됐죠.

 

할리우드 액션 영화를 보다 보면 다음과 같은 시퀀스와 쉽게 마주치게 됩니다. 주인공의 조력자가 범인의 머리에 총을 겨누고 있으면 주인공은 "쏘면 안돼! 그놈을 데려다 정당한 재판을 받게 한 뒤에 감옥에 쳐 넣어 죄값을 치르게 하자구!"라고 주절주절 떠들고, '우리편'이 주인공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사이, 악당은 벌떡 일어나 기관총으로 '우리편'의 몸에 수십개의 구멍을 내 놓는 뭐 이런 진행 말입니다. 하지만 '테이큰' 시리즈라면 이런 일은 절대 벌어지지 않죠.

 

'테이큰'이 미국에서도 성공을 거둔 것은 미국 관객들도 판에 박힌 '소심한 주인공'에는 질려 있었다는 것을 알려 주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테이큰2'는 1편으로부터 그리 긴 시간이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시작합니다. 동유럽의 어느 작은 마을, 1편에서 밀스(리암 니슨)에게 죽음을 당한 인신매매 조직원들의 장례가 치러지고 있습니다. 마을의 좌장인 무라드(라데 세르베지야)는 밀스를 찾아 복수하겠다고 맹세합니다.

 

미국으로 돌아온 뒤 밀스는 딸 킴(매기 그레이스)의 안전에 더욱 민감해지고, 전처 레니(팸키 젠슨)는 남편과 문제가 생깁니다. 밀스는 모녀와의 관계 회복을 위해 자신이 이스탄불에서 일을 마치면 함께 휴가를 즐기자고 제안합니다. 그리고 세 가족(?)은 밀스를 잡기 위해 이스탄불로 찾아온 무라드 일파에 의해 안전을 위협받게 됩니다.

 

 

 

 

감독은 1편의 피에르 모렐에서 '트랜스포터3'의 올리비에 메가톤(물론 예명입니다. 그런데 설마 메가톤이라는 성이 실제로 있을까 하는 의문이...)으로 바뀌었지만 그로 인한 위화감은 전혀 없다고 봐도 좋을 듯 합니다. 1편의 주역들이 그대로 다시 등장하는데다, 왕년의 명감독 뤽 베송이 제작자 겸 시나리오 라이터로 시리즈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테이큰2'의 긴장감은 1편에 비해 심하게 떨어집니다. 니슨이 연기하는 밀스는 여전히 조금도 주저하지 않고 양민(?)들을 학살하는데, 1편에 비해 악당들이 뭔가 강화됐다는 느낌을 주는 영화적 장치가 전혀 등장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아무도 밀스 가족의 안전한 구출을 의심하지 않는 가운데, 크로아티아 배우 라데 세르베지야(Rade Serbedzija)는 훌륭한 악역을 보여주지만 이미 주인공 니슨부터 맥이 풀린 느낌을 주는 만큼, 그의 힘으로 영화를 일으켜 세울 수는 없습니다.

 

뭐 영화가 잘 되고 못 되고에 대해 긴 이야기는 필요 없을 듯 합니다. '테이큰'을 보신 분에겐 그냥 또 다른 '테이큰'일 뿐이고, 자극의 강도는 확실히 약하다는 정도면 충분할 겁니다.

 

이 영화를 아직 안 보신 분이라면 여기까지. 이후부터는 이 영화에 나타난 '미국 시민의 생명의 가치'에 대해 얘기하려 합니다. 스포일러(라는 것이 과연 이 영화에 존재하는지 잘 모르겠지만^^)가 싫은 분들은 여기서 아래로 내려가지 마시기 바랍니다.

 

(제목의 '미국 시민'이라는 말은 American Citizen의 번역입니다. 모든 미국인이 city에 사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시민'이라고 번역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지만 '시민권' 등의 말에서 관용적으로 쓰이는 표현이므로 그냥 넘어가기로 합니다.)

 

 

 

 

 

알란 파커 감독의 1978년작 '미드나잇 익스프레스'는 터키에서 마약 밀매 관련 협의로 체포된 미국 청년이 터키의 법에 따라 형무소에 수감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영화 속 주인공은 말도 안 되는 부당한 대접을 받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터키 사람들이 보기에 이 영화는 편견의 덩어리입니다.

 

'터키에서 죄를 지으면 터키 사법제도에 의해 처벌받는 것이 당연하지 않느냐'는 정당한 질문 앞에 이 영화의 기본 설정은 매우 뻔뻔스럽습니다.  "아니 우리 미국 시티즌을 너희 나라의 법 따위로 구속한다고? 심지어 너희 나라의 감옥 따위에 가둔단 말이야?" 라고 대놓고 주장하는 셈이니 말입니다.

 

 

 

뭐 이런 생각은 수많은 할리우드 영화 안에서는 너무나 당연한 것처럼 여겨지고, 자국민을 대상으로 한 것이라기엔 좀 과도한 판타지도 등장합니다. 세계 어디에 있건 미국 시민은 미국 정부의 보호를 받고, 미국 정부가 그를 위해 하는 행위는 다소 거칠어 보여도 일단 정당하다는 식의 미화 말입니다.

 

앙트완 후쿠아의 '태양의 눈물'에서는 미국 정부가 미국인 여성 모니카 벨루치(그것도 미국에서 태어나 자란 것도 아니고 미국 남자와 결혼해 미국 시민이 된 여자)를 구출하기 위해 브루스 윌리스가 이끄는 특공대를 파견합니다.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서 유발된 판타지라기엔 좀 너무 심합니다. 당연히 이 특공대는 아메리칸 시티즌 구출을 위해 현지인들을 거리낌없이 살해합니다. (뭐 정당방위처럼 보이긴 하죠.^^)

 

 

 

아마도 이같은 성향의 최고봉은 마이클 베이의 '나쁜 녀석들 2'가 아닐까 합니다. 미국 마이애미 경찰의 특수기동대는 아예 대규모 인원이 무기와 장비를 갖고 쿠바에 침투해 작전을 펼칩니다.

 

이게 독립국가인 쿠바의 주권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고, 말하자면 전쟁 행위라는 것에는 아무 관심이 없습니다. 아주 조용히 작전을 치르고 무사히 빠져나왔다면 또 모를까, 백주에 살상행위(물론, 대상은 끔찍한 악당들이죠)를 실컷 저지른 다음, 쿠바 영토 끝에 있는 미국령 관타나모로 탈출만 하면 '만사 오케이'라고 생각하는 겁니다.

 

 

 

 

'테이큰'에서도 전직 첩보원 밀스는 프랑스의 사법권을 심각하게 침해하고, 프랑스 경찰의 친구(?)는 이런 그의 행동을 저지하려고도 하지만 사실은 그의 행동에 다른 동기가 있었다는 것이 밝혀지며 영화 속에서 무마됩니다.

 

하지만 '테이큰2'에서는 도를 넘습니다. 밀스는 터키 경찰을 살해하고(물론 그 경찰이 터키 폭력조직과 내통한다는 설정이지만, 밀스는 그런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한 채 단지 그가 자신에게 총을 겨눈다는 이유로 사살합니다), 그로 인한 터키 경찰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시내를 다 뒤집어놓는 자동차 경주 끝에 미국 대사관으로 피신합니다.

 

심지어 그러고 난 바로 다음날, 밀스는 총기까지 휴대하고 다시 이스탄불 시내를 휘젓습니다. 네. 전처가 악당들의 손아귀에 있는 안타까운 상황이라는 건 관객들이 잘 알고 있지만 남의 나라에서 이건 좀 너무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물론 지금까지는 어처구니없는 영화 속 이야기지만, 한국 해경 선박을 들이받은 중국 어선의 어부들을 별 책임도 묻지 않고 풀어주는 한국 경찰의 처지를 보거나, 심지어 한국 해경을 살해한 중국 어부들을 자기네 나라로 돌려보내라고 주장하는 일부 중국내 세력들의 시위를 보고 있으면, '테이큰' 시리즈 속의 이야기들이 반드시 허무맹랑한 얘기라고만 볼 수는 없을 것 같다는 불길한 느낌도 듭니다.

 

 

 

 

P.S. 밀스는 폭력과 피가 피를 낳는 복수의 고리를 끊으려 제의를 하지만 결국 그 제의는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밀스는 결국 다시 폭력을 행사하죠. 이게 만약 미국과 테러리즘에 대한 거대한 비유라면, 이런 논리는 9.11 전에나 통했을 법한 것입니다. 지금은 미국 본토도 안전지역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테이큰2'에선 밀스 가족이 미국에서 행복한 일상을 찾지만, 만약 '테이큰3'가 만들어진다면, 그건 LA 시내가 생지옥이 되는 이야기가 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이런 이야기를 총지휘하고 있는 것이 프랑스인 뤽 베송이라는 건 대체 무슨 의미일까요. 혹시 '테이큰' 시리즈는 은근히 미국민에게는 반성을, 비 미국인들에게는 반미감정을 촉진하려는 프랑스제 프로파간다였던 걸까요?^^)

 

조 아래쪽 추천 상자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광해, 왕이 된 남자'가 흥행에 가속을 붙이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면 추석 연휴도 '광해'의 차지가 되지 않을까 하는 예상이 전혀 이상하지 않을 정도죠.

 

'광해'는 역사 다큐멘터리가 아닙니다. 역사에 대한 상상력에서 발생한 픽션이죠. '바람의 화원'이란 드라마에서 화가 신윤복이 '혹시 여자가 아닐까' 하는 상상에서부터 이야기를 끌어나갔고, '공주의 남자'에서 김종서의 아들과 세조의 딸이 연인 사이였다면 하는 상상을 출발점으로 삼았던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광해군과 쌍둥이처럼 닮은 남자가 있었는지 말았는지, 지금으로선 전혀 알 길이 없습니다.

 

물론 이 정도는 당연히 이해하고 계시겠지만 그 밖의 이야기들, 영화 '광해'가 다루고 있는 광해군 시대의 여러가지 모습들 중에도 고개를 갸웃거리게 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다는 아니겠지만 가끔씩 영화를 역사 교과서로 생각하고 '아~~ 정말 그랬었구나. 난 몰랐네'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분들을 위한 선 긋기에 해당하는 글입니다.

 

 

 

 

분명히 말해 둘 것은, 이 글은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의 작품성과는 아무 상관 없는 글이라는 점입니다. '광해'는 매우 잘 만들어진 오락 영화고, 영화는 본래 역사 교과서가 될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영화를 보면서 '실제로도 저랬나?' 라든가, '저건 실제론 어땠지?'라는 궁금증을 느낀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그냥 리뷰가 필요하신 분은 이쪽:

'이병헌, 사실은 1인3역이었다. http://fivecard.joins.com/1050 '

 

사실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를 보지 않은 분이 이 글을 읽으면 왜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인지 종잡을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당연히, 아주 당연히 이 글은 영화의 결말을 거론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미 영화를 보신 분이나, '나는 결말을 알고 가야 영화가 더 잘 들어온다(네. 이런 분 분명히 있습니다)'는 분들만 이 글을 읽으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고서 스포일러당했네 어쩌네 하는 분들이 없으셨으면 합니다.

 

 

 

 

1. 광해군 8년, 광해는 위기였나?

 

사실 광해군은 즉위 내내 위기였다고 말해도 좋을, 매우 불안한 권력 위에 있었습니다. 임진왜란중 이미 아버지 선조를 대신해 국정을 맡을 정도로 뛰어난 기량을 보였지만, 선조는 뒤늦게 정궁에서 낳은 아들 영창대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싶어 했습니다. 가까스로 왕위에 오른 뒤에도 왜 형 임해군이 아닌 둘째 광해군이냐는 명의 질문에 대답해야 했고, 결국 형 임해군의 의문사에 이어 즉위 6년차에는 어린 동생 영창대군을 귀양지에서 죽게 하는 데 이릅니다.

 

이런 상황이니 언제 반대파가 들고 일어나든, 누군가 수라에 독을 타든 그리 놀라울게 없는 상황이 계속됩니다. 그런 상황이고 보면, 광해군이 '나와 똑같은 가짜를 써서 적들을 혼란에 빠뜨리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한다 해도 그리 놀랄 일은 아닐 듯 합니다. 이 대목에서 '광해'의 설정은 상당히 그럴싸합니다.

 

여기서 한번 광해군 관련 연보를 짚고 넘어갑니다.


1569 허균 탄생
1575 광해 출생

1576 중전 유씨 탄생

1592 임진왜란
1600 인목대비, 19세 나이로 51세 선조와 혼인
1606 영창 출생
1608 즉위, 대동법 실시
1613 5년 칠서지옥, 영창대군 서인
1614 6년 영창 살해
1616 8년. 2. 28 "숨겨야 할 일들은 조보에 내지 말라"
1618 10년 강홍립 파병, 인목대비 서궁유폐, 허균 역모로 능지처참

1623 15년 인조반정. 광해군 폐위

1641 광해군 사망

 

 

 

2. 중전 유씨는 한효주의 느낌이 났을까?

 

사실 사극에 나오는 중전마마들은 거의 한결같이 우아하고 기품있는 미인들인데 과연 모든 중전마마들이 그랬을지는 모를 일입니다. 그때 본 사람이 지금 있을 수 없으니 이건 뭐 하나마나한 얘기.

 

그런데 사실 나이 부분은 좀 걸립니다. 왕비 유씨는 1576년생으로 광해군 보다 한살 아래. 이 말은 문제의 광해군 8년인 1616년에 유씨가 만 40세라는 뜻이 됩니다. 물론 하선도 실제 광해군과 비슷한 또래였긴 했겠지만 17세기의 40세는 지금의 40세와 상당히 다른 느낌이죠. 최소한 한효주의 느낌은 아니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나이 부분을 아래 댓글 지적을 받아 수정했습니다.;; 이런 기초적인게 틀리면 안되는데...;;)

 

그리고 실제 왕비 유씨는 柳씨지만 영화 속의 유씨는 兪씨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왜 굳이 성의 한자를 바꿨는지는 저도 궁금합니다. (아울러 영화 속 중전의 오빠는 긍정적인 인물로 그려지지만, 실제 중전 유씨의 오빠는 광해군 때의 권신 유희분입니다.)

 

 

 

 

3. 허균은 도승지가 아니었다?

 

영화 속 허균은 도승지로 광해군의 최측근 역할을 하지만 사실 허균은 도승지라는 벼슬을 한 적이 없습니다. 한때 좌승지로 임금의 비서 역할을 한 적은 있죠.

 

하지만 역시 1616년의 허균은 종계변무의 마무리를 위해 명에 사신으로 다녀왔고, 이 공로를 인정받아 형조판서-좌참찬으로 출세일로를 걷습니다.

 

물론 판서는 정2품으로 정3품의 도승지보다 높은 자리지만, 도승지는 왕을 측근에서 보좌한다는 특별한 역할 때문에 품계에 관계없이 요직으로 여겨졌습니다. 정작 광해군 시대에 도승지 자리를 가장 오래 유지한 사람은 이덕형입니다. 바로 '오성과 한음'으로 잘 알려진 그분이죠. 이덕형은 허균보다 8년이나 연상이지만 광해군이 밀려나는 그날까지도 도승지였습니다.

 

[이 대목에서 오류를 범했습니다. 광해군 때 오래 도승지 자리를 유지한 사람은 한음 이덕형(李德馨 1561~1613)이 아니라 또 다른 이덕형(李德泂 1566~1645)이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두 '이덕형'이 활동했다는 사실은 이번에 처음 알았습니다. 아래 댓글 지적에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이렇게 되면 이덕형은 허균보다 8년이 아닌 3년 연상이 됩니다.]

 

아무튼 허균이 1616~1617년에 걸쳐 광해군의 총신이었던 것은 분명하니 뭐 벼슬이 그리 중요할까 싶기도 합니다.

 

 

 

4. 서인 정권 속의 외로운 왕?

 

'광해'에는 하선이 백관들과 마주해 명에 보내는 공물 등을 논하며 "그대들같은 서인이 아니라는 이유로!"라고 질타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영화 '광해'와 현실이 가장 크게 빗나가는 부분이 바로 이 대목입니다. 그 대신들은 대부분 서인이 아닌 북인의 일부, 대북파였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당시 정권을 좌우하던 당은 바로 광해군을 옹립한 세력으로, 이이첨을 중심으로 한 대복이었습니다. 서인은 소수파에 지나지 않았고, 그래서 인조반정을 일으킨 서인 세력 들 중 중앙 고위직은 찾아보기 힘들었고, 대부분 지방의 부사, 부윤 급 정도였습니다.

 

물론 광해군이 매사에 대북 일파와 좋은 관계를 유지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광해'는 '보수파=서인=친명 세력=수구적=주자학 교조적'이라는 국사교과서의 상식에 너무 매달린 나머지, 광해군도 서인 대신들 속에 파묻힌 것으로 오도하고 있습니다. '광해'와 '영원한 제국'을 혼동할 정도로 말입니다.^^

 

 

 

 

5. 광해군은 반명(反明)적이었나

 

사실 광해군의 정책은 똑부러지게 '반명'이라든가 '친청'이라고 규정하기 힘듭니다. 당시 조선 사대부의 여론은 확실히 재조지은, 즉 임진왜란 때 원병을 파견해 왜군을 물리쳐 준 명과의 의리를 잊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대세였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감히 광해군도 부정할 수 없는 시대의 대의였죠. 광해군도 후금과의 관계 조정은 어디까지나 '미봉'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1619년의 실록. 명의 요청에 따라 조선군을 이끌고 후금과 전투를 벌인 강홍립이 광해군의 밀명에 따라 전투를 회피하다가 패전 후 항복한 데 대해 신하들이 강홍립의 가족을 벌주자는 건의를 하고, 거기에 광해군이 답변한 내용입니다.

 

 

광해 139권, 11년(1619 기미 / 명 만력(萬曆) 47년) 4월 8일(신유) 1번째기사
왕이 노추를 잘 미봉하고 명에 대한 의리로 국방의 계책을 삼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적신 강홍립 등이 명을 받고 싸움터로 나갔다면 오직 적만을 쫓아야 할 일입니다. 그런데 도중에서 먼저 통역을 보내어 미리 출병하는 까닭을 통지하는 등 마치 당초에 싸울 뜻이 없는 것처럼 하였습니다. 이어, 도망쳐 돌아온 사람들의 말을 듣고도 반신반의하였다가 그들의 장계를 보니, 힘이 모자라 함락을 당하였다는 정상은 조금도 없고 또한 구차하게 살아난 것을 부끄러워하는 뜻도 없이 가는 길의 행군한 절차를 차례로 서술하고 감히 미리 통지하여 낭패하였다는 등의 말을 버젓이 아뢰면서 스스로 그들이 한 일이 당연한 것처럼 여기고 있으며, 끝에 가서는 다시 회답할 말을 지시해 주어 살아서 돌아오기를 꾀하고 있습니다.

신하로서 적에게 항복하는 것은 천하에 가장 나쁜 행실입니다. 이것을 범하였을 경우 그 처자를 감금하여 법으로 처치하는 것이 국가의 일상적인 형법인데 (중략) 이 때문에 신들이 그들의 처자를 감금하고 정응정 등을 나포하여 문초하는 일에 대해 번거로움을 피하지 않고 누누이 청한 것입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지금 계사를 보니, 뜻은 좋다. 그러나 내 비록 혼미하고 병들어 맑은 정신은 아니지마는 처음부터 알고 있었다. 경들은 이 적을 어떻게 보는가? 우리 나라의 병력을 가지고 추호라도 막을 형세가 있다고 여기는가? (중략)


지난해 군병을 들여보낼 때 경들은 마치 일거에 탕평할 것처럼 여겼는데, 병가(兵家)의 일은 어찌 두렵지 않겠는가. 옛사람들이 감히 가벼이 사용하지 아니한 것은 이 때문이었다. 명나라에서 만약 군병을 진열하여 무력을 과시하고 중국의 국경을 굳게 지킨다면 마치 호랑이나 표범이 산 속에 있는 형세와 같아 적이 비록 날뛴다고 하더라도 감이 업신여기지 못할 것이다. 그런데 이 점은 생각지 않고 가벼이 깊이 들어갔으니 반드시 패하리라는 것은 의심할 것이 없었다. (중략)


강홍립 등의 사건에 있어서도 비록 적에게 항복하였다고 하나 이처럼 급하게 다스릴 것이 뭐가 있겠는가. 강홍립 등이 불행히 적진 중에 함몰되었으나 보고 들은 것들을 밀서로 계문하는 것이 무엇이 안 될 것이 있는가. 진실로 본사의 계문과 같이 한다면 비록 노중(虜中)에 함락되었더라도 보고 들은 것들을 기록하여 보내지 않아야 옳다는 말인가. 아, 묘당에 사려 깊은 노성(老成)한 인재는 거의 죄다 내쫓아 참여하지 못하게 하고 젊고 일에 서투른 사람이 비국에 많이 들어갔으니 국가 운영을 잘 못하는 것은 이상하게 여길 것조차도 없다.

대국 섬기는 성의를 더욱 다하여 붙들어 잡는 계책을 조금도 해이하게 하지 말고 한창 기세가 왕성한 적을 잘 미봉하는 것이 바로 오늘날 국가를 보전할 수 있는 좋은 계책이다. 그런데 이것을 버려두고 생각지 않은 채 번번이 강홍립 등의 처자를 구금하는 일만 가지고 줄곧 계문하여 번거롭히고 있으니, 나는 마음 속으로 웃음이 나온다. 본사에서 누차 청하는 뜻을 나 또한 어찌 모르겠는가. 천천히 선처하여도 진실로 늦지 않다. 오직 국가의 다급한 것을 급선무로 삼아야 할 것이다. 노추의 서신이 들어온 지 이미 7일이 되었는데 아직도 처결하지 못하였다. 국가의 일이 이 지경에 이른 것은 모두 하늘의 운수이니 더욱 통탄스럽기만 하다.”

하였다. 당초에 강홍립 등이 압록강을 건너게 된 것은, 상이 명나라 조정의 징병 독촉을 어기기 어려워 억지로 출사(出師)시킨 것이었지, 우리 나라는 애초부터 그들을 원수로 적대하지 않아 실로 상대하여 싸울 뜻이 없었다. 그래서 강홍립에게 비밀리에 하유하여 노혈(虜穴)과 몰래 통하게 하였던 것인데 이 때문에 심하(深河)의 싸움에서 오랑캐의 진중에서 먼저 통사를 부르자 강홍립이 때를 맞추어 투항한 것이다 이때에 이르러 구금되어 있으면서 장계를 써서 종이 노끈을 만들어 보냈는데, 화친을 맺어 병화를 늦추자는 뜻을 자세히 언급하였다. 정응정 등은 도망쳐 온 것이 아니고 오랑캐가 풀어 보낸 것인데, 보는 이들은 모두 노추(奴酋)가 전쟁을 늦추려는 계획이라고들 하였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조선왕조실록의 광해군 기록은 모두 광해군이 폐위된 뒤에 편집된 것이라는 점입니다. 당연히 광해군의 패륜과 실정에 주목하고, 인조반정을 합리화하는 방향으로 쓰여져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 기록은 사관이 광해군의 말에 심히 공감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오늘날 역사를 배운 사람들은 하나같이 이 시절 조정 대신들이 명분론에 매달려 나라를 망쳤다고 한탄하지만, 이 명분론이란 역사에 대의와 인과응보가 있어야 한다는 주장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요즘으로 치면 '과거사'와 '역사의 정의'를 말하는 주장과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광해군도 명을 부정하기 보다는, 다만 '미봉'이라는 말로 한창 일어나고 있는 후금을 무시할 수 없다는 주장을 할 뿐입니다. (광해군이 어떻게 조정 대신들을 압도할 수 있는 정보력을 갖게 됐는지도 사실 궁금합니다. 비밀 정보조직이라도 운영한 것인지...)

 

 

 

 

6. 허균은 역성혁명을 일으켰나?

 

이건 제작진이 '역성혁명'이란 말에 얼마나 의미를 부여했는지 몰라 약간 애매합니다. 역성혁명(易姓革命)이란 글자 그대로의 의미, 그러니까 '한 왕조를 멸망시키고 새로운 성씨의 왕조를 세운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역사의 기록대로만 보면, 허균에게 씌워진 혐의는 역성혁명이 아니라 의창군 광을 추대하려 했다는 것입니다. 의창군은 광해군의 막내 동생뻘이며 허균의 조카사위입니다. 의창군 역시 조선의 왕족이므로 이건 역성혁명이 될 수가 없는 것이죠. (조선시대에도 역성혁명을 시도한 사람은 꽤 됩니다. 유명한 정여립이 - 물론 진짜 반란을 일으켰는지는 알 수 없으나 -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이렇듯 허균이 '역성혁명'을 시도했다는 것은 역사적인 근거가 없는 얘기입니다. 이 부분은 시나리오의 마지막 수정자가 역성혁명이란 말의 의미를 잘 몰랐는지, 아니면 김탁환의 '허균의 마지막 19일' 등에 나오는 '허균 역성혁명 가설'을 선택한 것인지 정확하지 않습니다. 물론 영화 안의 맥락으로 봐선 허균이 하선을 보고 '새로운 왕'의 가능성을 봤고, 하선을 살려 보낸 사실이 광해군에게 드러나면서 '역성혁명을 시도했다'는 죄목으로 처단됐다는 설명이 맞아 떨어집니다.

 

(어쩌면 제작진의 머리 속에는 '광해, 왕이 된 남자'가 끝난 뒤 허균이 다시 하선을 찾아 나서고, 하선을 다시 왕으로 만들기 위해 거대한 음모를 짜다가 들통나고, 결국 하선과 허균이 함께 능지처참을 당하는 장대한 속편의 구상이 담겨 있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건 마치 알렉상드르 뒤마의 '삼총사' 속속편인 브라즐론 자작의 3부 - 흔히 '철가면'이란 제목으로 알려진 - 같은 느낌이군요.^)

 

 

 

거듭 말씀드리자만 '광해'은 오락 영화로서 탁월한 완성도를 갖고 있는 작품입니다. 그리고 영화를 만드는 사람은 역사를 상상력으로 다시 재단해 자유롭게 구성할 권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간혹 - 보다는 꽤 많이 - 영화 속의 역사 재구성을 마치 '감춰진 역사 발굴'로 착각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 글은 그런 분들의 오해를 막기 위해 쓰여진 것입니다.

 

(그러니 '영화는 그냥 영화로 봐라'라는 말씀 사절.)

 

 

조 아래쪽 추천 상자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광해, 왕이 된 남자] 왕이 있고, 왕과 똑같이 생긴 남자가 있습니다. 영화적으로는 당연합니다. 두 인물은 1인 2역으로 같은 배우가 연기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보다 보면 1인2역이 아니라 1인3역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반드시 왕이 아니더라도 이런 이야기가 효과적이려면 두 남자는 생김새와 목소리가 똑같지만 신분상으로서는 상당한 격차가 나야 합니다. '왕자와 거지'를 보건, '가게무샤'를 보건 한쪽 남자가 비천한 신분인 것은 매우 당연한 공식입니다. 그리고 그 비천한 남자는 빠른 속도로 변해갑니다.

 

'광해, 왕이 된 남자'는 하선이라는 한 평범한 남자가 왕과 닮았다는 이유로 15일간 왕 노릇을 하고, 그 길지 않은 시간 사이에 새로운 사람으로 변신하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그 변신 이야기는 놀라운 완성도로 이미 큰 성공이 예견되고 있습니다. 어떤 이유에서일까요.

 

 

 

 

 

조선의 왕 광해(이병헌)은 암살의 위협을 다시 한번 넘기고 심복 허균(류승룡)에게 "나와 용모가 꼭 닮은 자를 구해 오라"고 지시합니다. 그렇게 해서 발견된 것이 기방에 출입하며 광대놀음을 하던 하선(이병헌). 왕의 용모는 물론 목소리까지 똑같이 흉내내며 글도 읽을 줄 아는 하선에게 왕과 허균은 만족하고, 하선은 이따금씩 왕의 미행을 감추는 대리 역할을 합니다.

 

그러던 어느날 광해가 알 수 없는 독극물로 혼수상태에 빠지고, 허균은 왕의 변고를 감추기 위해 하선을 궁으로 데려온 뒤 왕을 은밀한 곳에 숨겨 치료하게 합니다. 이렇게 해서 하선은 언제 깨어날 지 모르는 광해를 대신해 조선의 왕 노릇을 하게 됩니다. 비밀을 아는 사람은 허균과 조내관(장광) 두사람 뿐. 비밀이 드러날 것에 대비해 "비빈들, 특히나 중전(한효주)은 절대 가까이 하지 말라"는 엄명이 떨어지지만....

 

 

 

 

 

 

조선의 여러 왕들 가운데 조선시대와 대한민국 시대에 가장 큰 평가의 변화를 겪은 임금을 하나 꼽으라면 광해군을 빼고 생각하기 힘들 듯 합니다. 연산군과 함께 패륜과 폭정의 상징이었던 광해군은 20세기의 눈으로 볼 때 중국의 명-청 교체기에 현명한 판단으로 전쟁 개입을 피하려 했던 외교의 대가요, 대동법을 도입한 선각자에다 임진왜란의 피해 극복을 지휘한 위대한 지도자로 탈바꿈했습니다.

 

사실 다들 아시겠지만 조선은 충보다도 효를 더 강조했던 윤리의 나라였습니다. 20세기 초, 전국에서 모인 의병을 이끌고 서울로 진공하려던 의병장 이인영이 모친상을 당한 몸으로 군을 이끌 수 없다며 귀향해 상을 치르고 체포된 것이 상식으로 여겨질 정도였으니 말입니다. 광해군 시대를 기록한 사서의 표현에서는 광해군의 정책에 대해 일면 긍정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어머니에 해당하는 인목대비(선조의 계비)를 유폐하고 어린 이복동생 영창대군을 살해하는 등 '패륜'을 저지르고서는 왕위를 제대로 보전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하긴 세월이 많이 흘렀다 해도 지도자를 선정할 때 개인적인 윤리 차원의 '검증'이 필요 이상으로 중시되는 걸 보면 이건 한국인의 내재된 속성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그런 광해에 대한 아쉬움이 이 영화에서는 꽤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비슷하게 왕과 똑같이 생긴 남자의 이야기를 다룬 '나는 왕이로소이다'에서는 세종 때라는 배경이 특별한 의미가 아니지만, 이 '광해'는 비슷비슷한 다른 영화들에 비해 '시대'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물론 모든 시대극은 그냥 시대극으로만 그쳐선 관객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기 힘듭니다. 일본 작가 아쿠다가와 류노스케가 "나는 단지 내 이야기에 가장 맞는 시대적 배경을 고를 뿐"이라고 말한 이후 이건 상식이 됐죠.

 

'광해' 역시 사극의 외피를 쓰고 있지만 결국 하고 싶은 이야기는 현대에 머물러 있습니다. 물론 많은 한국 영화들이 이걸 지나치게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있고, '광해' 역시 이런 부분에서 다소 무리수가 보이지만, 그동안 나왔던 수많은 팩션 가운데 그래도 '역사의 무게'에 대한 인식에선 확실히 한발 앞서 있는 영화가 바로 '광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이게 '광해' 속의 당시 정치 상황이 역사에 기록된 모습과 상당히 일치한다는 얘기는 절대 아닙니다. 다만 역사에 대한 나름대로의 해석이 존중할 만 하다는 것입니다. 뭐 '높은 것들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목숨을 걸고, 아랫 것들은 사소한 의리에 따라 목숨을 건다'는 식의 지나치게 도식적인 배치는 아니 나왔으면 더 좋았겠지만 말입니다.^)

 

 

 

 

이를 포함해 '광해'에서 가장 두드러진 강점은 '무거운 이야기'와 '가벼운 이야기'의 황금비율입니다. '둘 다'를 소화해 낼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배우 중 하나인 류승룡이 영화의 중심에 서 있다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류승룡의 움직임에 따라 두 이야기의 배분이 조절되기 때문이죠. 류승룡이 중심을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코믹함이 돋보이는 배우 김인권이 강직함을 표상으로 하는 도부장 역을 맡아도 이상하게 보이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장면은 칼 관련 에피소드, 즉 김인권의 "저~~~~~언 하~~~ 히잉" 이었습니다.^^)

 

이밖에도 전반적으로 코미디와 관련된 '호흡'과 '박자' 면에서 추창민 감독은 장인의 솜씨를 보여줍니다.

 

 

 

 

 

 

배우들 이야기로 넘어가면 이병헌의 호연은 굳이 따로 거론할 필요가 없을 정도입니다. 사실 영화 초반에는 하선과 왕을 가르는 선이 그리 분명치 않아 보이기도 합니다. 왕은 그 자리에 있지만 하선이 지나치게 지적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하선이 지나치게 시정 잡배처럼 보여선 안된다'는 제작진의 의도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뒤로 가면서 하선1(광대놀음을 하던 원래 하선)이 하선2(왕이 된 뒤 변모한 하선)로 바뀌어 가면서 이병헌의 연기는 빛을 발합니다. 열정적이고 정의로운 왕 하선2와, "용상에 앉았던 천한 것을..."이라며 서늘한 분노를 감추는 광해는 선명하게 대비를 이룹니다.

 

이렇게 해서 이병헌은 세 인물을 연기하는 셈이 됩니다. 물론 광고 영화인 '인플루언스'에서 이미 1인3역을 했다고 볼 수 있겠지만, 이 영화가 하선이라는 인물의 성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세 인물 가운데서도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은 '하선2'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부분에서 이병헌의 연기가 돋보일 수밖에 없는 것이죠.

 

 

 

 

한효주는 이미 사극에 익숙했기 때문인지 비련의 중전 역할에 너무나 잘 어울리는 아우라를 풍겼습니다. 역할의 특성상 눈에 띄는 자극적인 연기는 주어지지 않았지만, '광해'의 중전 역할을 할 배우가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은 '관객의 공감'입니다. 즉 '저런 중전이라면 하선이 자기 목숨을 위태롭게 해 가면서도 보호하려 기를 쓰는게 당연해'라는 생각을 줄 수 있는 배우여야 한다는 것이죠. 그런 의미에서 한효주의 캐스팅은 탁월했습니다.

 

 

 

 

 

가짜와 진짜 사이의 에피소드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마크 트웨인의 '왕자와 거지'입니다만 '광해'에서는 구로자와 아키라의 '카게무샤'의 영향이 좀 더 느껴집니다. 가짜가 어느 한 순간 자신의 가능성을 각성하고, 진짜가 되어도 큰 무리가 없는 '가짜 진짜'가 되어 가는 과정이라는 면에서 그렇습니다.

 

 

 

 

 

개인적으로 또 하나 기억나는 영화는 션 코너리 주연의 고전 영화 '왕이 될뻔한 사나이 (The man who would be king)' 입니다. 국내에서 극장 개봉은 없었던 듯 하고, TV에서 방송될 때에는 '나는 왕이로소이다'라는 제목을 달았던 작품이죠. 인도에 파병됐던 두 명의 영국군 낙오병이 네팔 부근의 오지로 들어가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룬 작품입니다. 그중 한 병사(션 코너리)는 몇번의 우연이 겹치면서 알렉산더 대왕의 재림으로 오해받게 되고, 서서히 그 자신도 자신이 왕이 될 운명이 아니었나 혼동을 일으킵니다.

 

널리 알려진 영화는 아니고, 쌍둥이가 나오지도 않지만 가짜가 스스로의 운명에 대해 생각하고, 자신의 것이 아닌 새로운 삶에 눈을 뜨면서 벌어지는 사소한 성공들, 도주의 기회, 자발적인 거부, 그리고 그 결과로 인한 비참한 몰락 등으로 이어지는 연결은 광해와 상당히 흡사합니다. 그리고 이런 요소들이 주인공에 대한 안타까움을 강하게 불러 일으킨다는 점에서, 양쪽 영화 모두 성공적입니다.

 

(DVD 출시명은 '왕이 되려고 한 사나이'로군요.)

  

 

 

'광해'에서 인상적인 점 중 하나는 빛의 사용입니다. 진짜 왕 광해는 빛을 등에 이고(후광이라고 할까요^) 있거나, 인공적인 조명의 도움을 받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하선은 왕위에 있을 때도 자연광 앞에 노출됩니다. 이런 배치는 '태어난 왕'과 '만들어진 왕'의 차이를 은연중에 관객에게 심어주는 데 상당히 효과적이었고, 전체적인 완성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생각입니다.

 

길게 얘기했지만 어쨌든 결론은: 얼른 보세요.

 

 

 

P.S. 사실 광해군은 33세에 왕이 됐고 중전 유씨는 당시 30세. 배경이 광해군 8년이므로 광해군은 41세고 유씨는 40세... 뭐 이런 생각을 하면 '광해'의 로맨스가 깨질 우려도 있지만 아무튼 그렇다는 얘깁니다. 이런 이야기는 별도 포스팅으로.^^

 

 

 

 

바로 위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익스펜더블 2, 실베스터 스탤론, 척 노리스] 1985년, 노량진 대성학원 옆에는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흔한 다방이 하나 있었습니다. 커피는 한잔에 천원. 그런데 특징이라면 차를 파는게 주업이 아니라 비디오를 틀어 주는게 주업이라는 점이었죠.

 

비디오라는 말에 눈을 반짝이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그 시절에 '빨간 비디오'를 틀어 주려면 시간이 그래도 새벽 한시는 넘어야 가능했을 겁니다. 그런 야한 영화가 아니라, 당시 극장에서 접할 수 없었던 할리우드의 최신작 영화들을 틀어 주는 전문이었습니다. 인터넷은 커녕 삐삐도 없었고, LP와 카세트 테이프가 음반 산업의 주축이던 시절, 어디서 그런 영화들을 구해 오는지 매우 의문이었습니다.

 

그러던 그해 여름, 학원생들 사이에서 당시 화제의 영화였던 '람보2'를 '그 다방'에서 틀어 준다는 소문이 쫙 돌았습니다. 극장 개봉 전이기도 했거니와, 극장 영화 표값이 한 2500원 정도 했던 시절. 가 보니 다방 안에 발디딜 틈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영화는 항의로 상영(?)이 중단될 뻔 했습니다. 아무리 무지몽매한 재수생들이었지만 보다 보니 주인공이 실베스터 스탤론이 아니고, 영화도 람보2가 아닌 것이 너무 분명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전혀 그런 사실을 파악하지 못하고, 지금도 그날 본 그 영화가 람보2였다고 굳게 믿고 살아가고 있는 사람이 몇명은 있을 거라고 믿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론 별로 항의하고 싶지 않았던 것이, 진짜가 아닌 짝퉁 람보2였다고 하더라도 충분히 넘어갈 만큼 영화는 재미있었습니다. 당시만 해도 월남전 배경 영화는 흔치 않았던데다 서부극 못잖게 '쏘면 다 맞는' 영화는 현대전 영화에서 매우 드물었기 때문이죠. 아울러 수염 기른 남자주인공 또한 사뭇 매력적이었습니다.

 

 

 

 

짐작하실 분도 계시겠지만 그 영화는 'Missing in Action(1984)'이었고, 그 주인공은 척 노리스였습니다. 그렇게 세월이 흘러, 한 재수생의 머리 속에서 인연을 맺은 척 노리스와 실베스터 스랠론은 27년만에 한 영화에서 만나게 된 것입니다. '익스펜더블2'.

 

 

 

1편을 보신 분이나 안 보신 분이나, 아무 상관없는 줄거리지만,

 

바니 로스(실베스터 스탤론), 크리스마스(제이슨 스타댐), 양(이연걸) 등은 1편의 악역이었던 거너 젠슨(돌프 룬그렌)을 멤버로 받아들여 여전히 용병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도입부는 네팔 어딘가에서 이들이 포로가 된 트렌치(아놀드 슈워제네거)를 구해 주는 장면. 신나는 불꽃놀이가 펼쳐집니다.

 

그러던 어느날 미국 정부 일을 하고 있는 미스터 처치(브루스 윌리스)가 과거의 부채를 거론하며 로스에게 동구권 어딘가에 추락한 비행기 금고에서 모종의 물건을 가져오라는 미션을 줍니다. 이들을 돕는 요원으로 젊은 중국인 여성 매기(여남餘男, 흔히 위난이라고 불립니다)가 파견되죠. 하지만 로스 일당은 현장에서 빌런(장 클로드 반담) 일당에게 기습을 당해 물건도 빼앗기고 인명 피해도 입죠. 분노한 로스는 매기의 도움으로 빌런 일당을 추격해 러시아로 갑니다.

 

 

 

 

이후의 전개에도 놀랄 일은 하나도 없습니다. 반전도, 복선도, 보는 사람의 머리를 복잡하게 할 수 있는 어떤 요소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냥 좋은 편은 악당들을 뭉개 버리고, 모든 사람이 가장 행복해질 수 있는 결론을 향해 영화는 달려갑니다.

 

물론 이건 영화를 보기 전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입니다. 영화 한 편에 실베스터 스탤론, 브루스 윌리스,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다 나오고 이들이 같은 편인데 대체 누가 그걸 당해낼 수 있겠습니까. 장 클로드 반담? 어림없죠.

 

 

 

 

이 영화를 보시는 분들의 마음 자세는 - 당연히 그렇겠지만 - 지금 현재가 아니라 '왕년'에 가 있어야 합니다. '왕년'의 극장가를 뒤흔들었던, 그리고 관객들의 마음을 들뜨게 했던 바로 그 액션 영웅들이 얼마나 늙고 몸도 굼뜨게 변했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지금의 은지원이나 문희준이 여전히 팬들을 졸도하게 할만한 슈퍼스타는 아니지만, 어쨌든 '응답하라 1997'은 그 시절을 보냈던 연령층에게는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그런 마음의 자세가 필요합니다.

 

이 영화가 표방하는 대표적인 유머 역시 철저하게 관객의 추억에 기대고 있죠.

 

 

더 알아듣기 쉽게 하자면 이렇습니다.

 

아놀드 슈워제네거: 총알이 떨어졌다. I'll be back('터미네이터'의 상징적 대사).

브루스 윌리스: 그만 좀 돌아와! 이제 내 차례야. (제발 그 'I'll be back' 좀 그만 써먹어!)

아놀드 슈워제네거: 그래. Yippe-kai-yay ('다이 하드'에서 맥클레인의 상징적 대사)

 

 

 

 

1편에서 이미 그런 정서를 이용해 꽤 많은 돈을 번 '익스펜더블' 프로젝트는 2편에 들어가면서 부커(척 노리스)와 트렌치(아놀드 슈워제네거)를 보강하고, 미스터 처치(브루스 윌리스)까지 실전에 투입하며 기세를 올립니다.

 

 

 

 

사실 이 시리즈의 아이디어는 역시 추억의 명화인 '지옥의 특전대(Wild Geese)'에 가깝지만, 그 어떤 비장미도 찾아볼 수 없다는게 특징이죠. 영화 중반에서는 어쩐지 '황야의 7인(혹은 '7인의 사무라이')' 쪽으로 흘러가려는 듯한 느낌이 잠시 조성되기도 하지만, 그런 기대는 일찌감치 접으시는게 좋습니다.

 

1편과 달라진 것이 있다면 몇몇 추가 멤버들과 함께 구질구질한 멜로드라마가 아예 삭제됐다는 것 뿐인데, IMDB 평점(6점대에서 7점대로), 로튼토마토 지수(41->64) 모두 상승했습니다. 글쎄 뭐가 그리 나아졌는지 알 수 없긴 하지만, 지금의 3,4,50대 남성 관객들이 두어 시간 동안 세상 시름을 잊고 1,2,30년 전을 그려 보기엔 딱 좋은 영화가 아닐까 합니다. (뭐 여자분들에게도 나쁘지 않은 선택일 수도...)

 

 

그런데 굳이 따져 보니 척 노리스는 70대였군요.^^ 진짜 액션 그랜드파...

 

척 노리스 1940.3.10

실베스터 스탤론, 1946. 7.6.

아놀드 슈워제네거 1947.7.30

브루스 윌리스 1955.3.19

돌프 룬그렌 1957.11.3

장 클로드 반담 1960.10.18

이연걸 1963.4.26

제이슨 스타댐 1967.9.12

 

 

 

 

자, 이제 3편에서는 누가 기다리고 있나 보겠습니다. 웨슬리 스나입스(1962.7.31)와 스티븐 시걸(1952.4.10)이 있군요. 1편에서 악역을 거부했던 반담도 가세했으니 시걸에게는 다이어트만 남은 셈인가 봅니다.

 

 

 

조 아래쪽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장미없는 꽃집'이라는 일본 드라마는 사실 제 관심사가 아니었습니다. 제목은 스치듯 들어본 기억이 있었지만, 사실 일본 풍의 순정 멜로 드라마는 제게 대부분 지루하게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호평일색인 '1리터의 눈물' 같은 드라마도 힘겨웠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일본 드라마는 '미녀 혹은 야수' 풍의 코믹터치입니다.)

 

게다가 여주인공이 다케우치 유코라는 것도 그닥 관심이 가지 않는 부분이었습니다. 미인이라는 데에 이견을 달 수는 없지만 취향이라는 것도 있어서...^^ 그런데 어쨌든 회사 일 때문에 이 '장미없는 꽃집'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네. 2일부터 JTBC에서 방송됩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이 '장미없는 꽃집'은 정말이지 겉보기와는 전혀 다른 드라마였습니다. 그야말로 드라마의 내숭이라고나 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 드라마는 '전혀' 순정 멜로 드라마가 아닌 겁니다.

 

 

 

줄거리. 에이지(카토리 신고)는 작은 역 앞 꽃집을 경영하며 살아가고 있는 30대 가장. 아이 엄마는 딸 시즈쿠(야기 유키)를 낳다가 죽었고, 그 추억 때문에 이 꽃집은 장미를 팔지 않습니다. 그러던 어느 비오는 날, 미모의 맹인 여성 미오(타케우치 유코)가 꽃집 앞에 나타납니다. 그리고 외로운 두 사람은 서로 의지하게 됩니다. 여기에 우연히 에이지에게 얹혀 살게 된 호스트(마츠다 쇼타)까지 얽히며 미오와 에이지의 밀당이 시작됩니다.

 

...뭐 이렇게 쓰면 역시 전형적인 순정 멜로드라마의 시작입니다. 남자 주인공 에이지는 심지어 슈퍼에 물건을 사러 가도 일부러 노인 뒤에 줄을 설 정도로 착하디 착한 남자. 이유는 "성질 급한 사람이 노인 뒤에 줄을 섰다가 빨리 계산하지 못한다고 구박이라도 받을까봐"입니다. 당연히 일본 드라마의 남주답게 절대 애정 문제에서도 박력이나 패기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미오에게 끌리는 것도 사실이지만, 절대 미오에게 자신의 흑심을 드러내지 못합니다. '저쪽은 처녀고 나는 애아빠...'라는 식의 한국적인 생각 아닙니다. 그냥 일본 풍으로 주저하는 겁니다. 아주 그냥.

 

그런데, 문제는 이게 이 드라마의 주제가 아니라는 겁니다. 우선 2회쯤 되면 미오가 사실은 맹인이 아니었다는 사실이 밝혀집니다. 그리고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새로운 사실. 즉 처음에 설정되어 있던 인물들의 구조가 회를 거듭하면서 완전히 새로운 것으로 재구성된다는 게 이 드라마의 매력입니다. 즉 순정 멜로인 줄 알았던 장르가 미스터리 휴먼 성장 드라마로 탈바꿈하게 되는 것이죠.

 

 (아니...뭐... 그렇다고 링은 아니고...)

 

출연진입니다.

 

薔薇のない花屋

 

2008年3月24日放送終了

 

香取慎吾  汐見英治
竹内結子  白戸美桜
釈由美子  小野優貴
松田翔太  工藤直哉
八木優希  汐見 雫 

 

 


 

가토리 신고는 일본 문화에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도 들어봤음직한 슈퍼 아이돌 그룹 SMAP의 막내입니다. 아무리 막내라 해도 77년생. 이제 30대 중반으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어쨌든 팀내 캐릭터는 장난꾸러기 막내라서 이전까지 '손오공' 류의 캐릭터나 예능 프로그램에서의 황당무계한 변신이 그의 주업이었지만, '장미없는 꽃집'에서는 진지한 정극 연기자로 새롭게 탄생합니다.

 

 

물론 개인적으로는 이 친구가 나이가 들면 이런 모습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만...^^ (팬들이 보면 큰일나겠군요.)

 

 

 

타케우치 유코. 일본을 대표하는 순정파 여배우. 보호본능을 자극하는 가녀린 선이 특기입니다. 90년대 이후 한국과 일본을 휩쓴 이른바 민폐형 여배우 캐릭터의 화신이라 할 수 있죠. 국내에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기무라 타쿠야와 공연한 '프라이드'.

 

2005년 나카무라 시도와의 결혼과 함께 활동을 중지했지만 2008년 이혼과 함께 복귀합니다. 그 복귀작이 바로 이 '장미없는 꽃집'입니다. 그 뒤로 다시 승승장구. 최근에는 미국 ABC 드라마 '플래시포워드'에도 출연합니다.

 

 

 

아마도 '로스트'의 김윤진이 성공을 거둔 이후 미국 드라마 시장에서 아시아 여배우에 대한 새로운 가치 판단이 있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플래시포워드는 시즌1으로 제작 중단.

 

 

 

그런데 이 드라마에서 가장 주목받는 여배우는 타케우치가 아니라 시즈쿠 역의 아역 야기 유키입니다. 눈물 연기는 기본. 물론 '백한번째 프로포즈'를 쓴 천재 작가 노지마 신지의 위력이기도 하겠지만, 드라마 중반에 나오는 명장면 '시즈쿠 찾기' 등을 통해 야기는 일본 최고의 아역으로 자리잡습니다.

 

 

 

그밖에 눈길을 끄는 배우는 '꽃보다 남자'에 나왔던 마츠다 쇼타,

 

 

 

그리고 일본의 야쿠자 전문 배우 데라지마 스스무가 아직도 '청춘의 로맨스'를 마음 속에 간직하고 있는 에이지 앞집의 카페 주인으로 등장, 웃음을 자아냅니다.

 

 

한번 보시면 다음 진행이 궁금해지는 드라마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