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폐비 윤씨가 마침내 사약을 마시고 세상을 떠났습니다. 물론 드라마 '인수대비' 속의 이야기입니다.

 

1482년, 윤씨의 나이는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성종보다 2세 연상설과 12세 연상설이 있습니다), 드라마 '인수대비'가 12세 연상설을 따르고 있으니 성종이 25세, 윤씨는 37세로 추정됩니다. 성종 임금은 한창 피어나는 나이였던 반면 윤씨는 서서히 시들어가는 나이였던 셈이죠. 두 사람 사이에서 1476년 태어난 원자(뒷날의 연산군)는 갓 여섯살. 당연히 어머니의 운명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모른 채, 정현왕후(당시의 숙의 윤씨, 뒷날 중종이 된 진성대군의 어머니)를 친 어머니로 알고 성장합니다.

 

연산군이 왕이 되면 이 일을 그냥 넘기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너무도 자명한 일. 어쨌든 '폐비를 사사하라'는 결정이 내려진 이상 이 임무는 누군가 집행해야 합니다. 여기서 이세좌라는, 임무에 충실했을 뿐인 한 공무원의 운명이 결정됩니다.

 

만약 세자의 어머니에게 사약을 전하라는 조직의 결정이 내려지고 그 책임이 내게 맡겨질 때,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성종 13년 임인(1482, 성화 18) 8월 16일 (임자)

이세좌에게 명해 윤씨를 그 집에서 사사하게 하다

 

임금이 모화관(慕華館)에 거둥하여 열무(閱武)하고, 드디어 경복궁(景福宮)에 나아가서 삼전(三殿)에 문안하고 궁으로 돌아왔다. 영돈녕(領敦寧) 이상 의정부(議政府)·육조(六曹)·대전(臺諫)들을 명소(命召)하여 선정전(宣政殿)에 나아가서 인견하고 말하기를,
“윤씨(尹氏)가 흉험(凶險)하고 악역(惡逆)한 것을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당초에 마땅히 죄를 주어야 하겠지만, 우선 참으면서 개과 천선하기를 기다렸다.

 

기해년에 이르러 그의 죄악이 매우 커진 뒤에야 폐비하여 서인(庶人)으로 삼았지마는, 그래도 차마 법대로 처리하지는 아니하였다. 이제 원자(元子)가 점차 장성하는데 사람들의 마음이 이처럼 안정되지 아니하니, 오늘날에 있어서는 비록 염려할 것이 없다고 하지만, 후일의 근심을 이루 다 말할 수 있겠는가? 경들이 각기 사직(社稷)을 위하는 계책을 진술하라.하였다.

 

정창손(鄭昌孫)이 말하기를,

“후일에 반드시 발호할 근심이 있으니, 미리 예방하여 도모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고, 한명회(韓明澮)는 말하기를,
“신이 항상 정창손과 함께 앉았을 때에는 일찍이 이 일을 말하지 아니한 적이 없습니다.하였다.

 

정창손이 아뢰기를,
“다만 원자(元子)가 있기에 어렵습니다.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내가 만일 큰 계책을 정하지 아니하면, 원자(元子)가 어떻게 하겠는가? 후일 종묘와 사직이 혹 기울어지고 위태한 데에 이르면, 그 죄는 나에게 있다.하였다.

 

심회(沈澮)와 윤필상(尹弼商)이 말하기를,
“마땅히 대의(大義)로써 결단을 내리어 일찍이 큰 계책을 정하셔야 합니다.
하고, 이파(李坡)는 말하기를,
“신이 기해년(己亥年)에는 의논하는 데 참여하지 못하였습니다만, 대저 신첩(臣妾)으로서 독약을 가지고 시기하는 자를 제거하고 어린 임금을 세워 자기 마음대로 전횡(專橫)하려고 한 죄는 하늘과 땅 사이에 용납할 수 없습니다. 옛날 구익부인은 죄가 없는데도 한()나라 무제(武帝)가 그를 죽인 것은 만세(萬世)를 위하는 큰 계책에서였습니다. 그러니 이제 마땅히 큰 계책을 빨리 정하여야 합니다. 신은 이러한 마음이 있는 지 오래 됩니다만, 단지 연유(緣由)가 없어서 아뢰지 못하였습니다.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후일에 그가 발호(跋扈)하게 되면 그 후환이 어찌 크지 않겠느냐? 측천 무후(則天武后)가 조정의 신하들을 많이 죽였던 것은, 자기 죄가 커서 천하(天下)가 복종하지 않을 것을 알았기 때문에 자기의 위엄을 보이려고 한 것이다.
하였다.

 

이어서 좌우에게 묻기를,
“어떻게 하여야 하겠느냐?
하니, 재상(宰相)과 대간(臺諫)들이 같은 말로 아뢰기를,
“여러 의견들이 모두 옳게 여깁니다.
하였다. 이에 곧 좌승지 이세좌(李世佐)에게 명하여 (윤씨를)그 집에서 사사(賜死)하게 하고, 우승지 성준(成俊)에게 명하여 이 뜻을 삼대비전(三大妃殿)에 아뢰게 하였다.

 

이세좌가 아뢰기를,
“신은 얼굴을 알지 못하니, 청컨대 내관(內官)과 함께 가고자 합니다.
하니, 조진(曹疹)에게 명하여 따라가게 하였다. 이세좌가 나가서 내의(內醫) 송흠(宋欽)을 불러서 묻기를,

“어떤 약()이 사람을 죽일 수 있는가?
하니, 송흠이 말하기를,

"비상만한 것이 없습니다.하므로,

주서(注書) 권주(權柱)로 하여금 전의감(典醫監)에 달려 가서 비상을 가지고 가게 하였다.

 

저녁이 되자 전교하기를,
“이세좌는 오지 말고 그 집에 유숙하라.
하였다.

 

사신(史臣)이 논평하기를, “한명회의 말에, ‘항상 정창손과 함께 앉으면 일찍이 이 일을 말하지 않은 적이 없다.’ 하였으니, 이는 아마 후일을 염려해서 한 것일 듯하다. 그런데 전날 임금이 권경우의 아룀으로 인하여 돌아보며 물었을 적에는, 한명회가 이에 말하기를, ‘임금이 사용하던 것이면 비록 미천한 것이라도 외처(外處)에 둘 수 없는데, 하물며 국모(國母)이겠습니까?’ 하였다. 이는 무람없게 거처하는 것을 혐의(嫌疑)함이고 후일을 염려한 것은 아닌 듯하다. 그러니 앞뒤가 어찌 이렇게 서로 어긋나는가? 대신으로서 국가를 위하는 염려가 이와 같아서는 안된다.” 하였다.

이것이 운명의 8월16일 기록입니다. 그런데 이세좌가 처음부터 이 역할을 맡게 되어 있었느냐는 데에는 이설이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본래 허종, 허침 형제가 이 역할을 맡게 되어 있었는데 '지혜롭게' 그 운명을 피해 갔다는 것입니다.

 

서울 경복궁 입구에는 종침교라는 다리가 있었습니다. 지금도 그 자리에는 '종침교 터'라는 비석이 서 있을 정도로 꽤 유서깊은 다리입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이 다리는 연산군 및 폐비 윤씨의 운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허씨 문중에는 오래 전부터 전해오는 이야기라고 합니다.

 

 

 

 

1482년, 폐비의 운명이 풍전등화였던 시절 허종과 허침 형제는 조정의 중신으로 출근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당시 이들 형제의 누님(혹은 고모라고도 함)인 '백세 할머니'라는 지혜로운 여성이 "오늘은 조정에 어떻게 해서든 나가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형제가 이유를 묻자 백세 할머니는 '이미 조정에서 폐비의 일을 결정할 참인데 지금 입궐하여 폐비를 핍박하는 일에 관여하면 나중에 어찌 감당하겠느냐'고 했다. 문제의 심각성을 깨달은 형제는 입궐하다가 종침교(물론 당시엔 다른 이름을 썼을 것으로 추정)에 이르러 일부러 말을 다리 아래로 몰아 떨어져 부상을 이유로 입궐하지 않았다.

 

결국 허종 형제가 없자 조정에서는 숙질간인 이극균과 이세좌를 시켜 사약을 받들고 폐비에게 가게 했다. 뒷날 갑자사화가 일어나 연산군이 이극균과 이세좌의 집안을 멸문시킬 때 허종 허침 형제는 화를 피해 사람들이 백세 할머니의 지혜를 칭찬했고, 다리에 형제의 이름을 붙여 종침교라 불렀다...

 

는 것이 이른바 '종침교'의 고사입니다. 이것이 조선 왕조 500년을 지나면서도 미담으로 남았고, 오늘날까지도 '최고의 처신이란 바로 이런 것'이라는 식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그리 칭찬할 일은 아닙니다. 좋은 일이건 나쁜 일이건, 벼슬에 올라 임금의 뜻이 옳지 않다 생각되면 목숨을 걸고 간하고, 그래도 소용이 없으면 벼슬을 던지고 죄를 청하는 것이 사대부의 도덕률입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폐비에 반대해 처벌을 받았고(물론 그중 많은 사람들은 원자 즉위 후의 '뒷일'을 걱정해 보험에 들어 둔 것일 수도 있지만), 지난번 글에서는 그 이야기를 하면서 조선이라는 나라를 이끌어 온 선비의 기상을 칭찬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종침교의 고사는 결국 일신의 안위를 위해 직무유기를 시도한 공무원의 무사안일한 태도를 보여주는 이야기로 읽을 수 있습니다. 저 고사가 사실이라면(후세에 윤색된 것일 가능성도 물론 있습니다), 되려 임금의 명에 충실했던 이세좌만 고지식한 바보일 뿐이고, 잔머리를 굴리지 않은 죄로 뒷날 멸문의 화를 당한 셈입니다.

 

왠지 이 대목에서 6.25 당시 육군본부의 명령에 따라 한강 인도교를 폭파시킨 죄(?)로 그해 9월 총살당한 최창식 공병감의 모습이 겹쳐지기도 합니다.

 

 

 

물론 종침교의 고사는 역사에 전하는 바는 아니기 때문에 널리 알려져 있다 해도 실제로 두 사람이 말에서 굴렀는지는 알 수 없는 일입니다.

 

그리고 허침은 이미 형 허종과 함께 덕이 높은 선비로 알려져 있었으므로 성종이 세자의 스승으로 삼은 인물입니다. 폐비에 반대한 인물이라 세자의 스승이 되었건, 세자의 스승이라는 의리 때문에 폐비에 반대했건, 아무튼 태도의 일관성을 보인 사람인 것은 분명합니다. 아무튼 이런 일관된 입장 때문인지 갑자사화 때에는 당시 윤씨의 폐비와 사사에 찬성한 사람들을 벌 주라고 앞장서서 외치는 '정권의 나팔수' 역할을 맡기도 합니다.

 

실록의 기록입니다.

 

연산군 10년 갑자(1504,홍치 17)  45 (을축)

유순·허침 등이 폐비의 일을 상고하여 아뢰다

 

 유순(柳洵)·허침(許琛)·이집(李諿)·김수동(金壽童), 《실록(實錄)》을 상고하여 아뢰기를,

회릉(懷陵)이 폐위당할 때, 언문 글 쓴 자는 나인(內人)이기 때문에 상고할 수 없으며, 《실록》이 오르지 않은 것은 상고할 근거가 없습니다. 나인으로서 그 일에 간섭한 자는 권 숙의(權淑儀)·엄 숙의(嚴淑儀)·정 숙원(鄭淑媛)이며, 일을 의논한 사람은 전에 벌써 상고하여 아뢰고 빠진 자는 없습니다. 다만 언문을 가지고 온 자는 노공필(盧公弼)·성준(成俊)이었습니다.”

 

회릉이란 연산군이 생모 폐비 윤씨를 모신 능의 이름으로, 폐비 윤씨를 능호로 부른 것입니다. 즉 '폐비 윤씨'라는 뜻이죠. 언문을 가지고 왔다는 것은 당시 삼전이라 불렸던 세 대비(세조비, 덕종비, 예종비를 말함)가 폐위와 사사의 당위성을 말한 언문 편지를 전달한 것을 말합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준과 공필의 죄는 윤필상(尹弼商)과 벌이 같을 것이다.”

하였다. 순 등이 아뢰기를,

필상은 그 일에 참여하여 의논하였으니, 준과 공필은 이와 차이가 있습니다. 회릉이 폐위되어 사삿집에 거처할 때에 대사헌 채수(蔡壽)가 그것이 불가함을 간했습니다. 그리고 성종께서 의논하여 그 죄를 다스리고자, 공필을 명하여 가서 삼전(三殿)께 아뢰게 하니, 삼전께서 언문 편지를 붙여서 성종(成宗)께 아뢰게 하였으며, 준은 대사를 다 정한 후에 명을 받들어 삼전께 고하니, 삼전께서 언문 편지를 준에게 주어 아뢰게 하였습니다. 두 사람은 다만 삼전 및 성종의 명으로 왕복하며 회계(回啓)했을 뿐이요 건의한 일이 없으니, 그 죄는 필상과 차이가 있습니다.”

 

채수가 폐비가 곤궁하고 살고 있으니 양식과 옷을 대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가 죽을 위기를 모면했다는 이야기는 전에 한 바와 같습니다. 나머지는 윗글에 대한 보충.

 

하니, 전교하기를,

그 죄가, 필상과 함께 벌줄 수는 없다 하더라도, 역시 경하게 논할 수 없는 일이니, 그들의 죄를 의논해서 아뢰라.”

하였다. 순 등이 아뢰기를,

준과 공필은 직첩(職牒)을 거두고, 외방에 부처(付處)하며, 그 아들도 함께 직첩을 거두소서. 또 공필은 전에 벌써 외방에 부처하였으니 먼 고을로 옮겨 정배하소서.” (이하 생략)

 

이처럼 허침은 그저 '지혜롭게 난을 피한' 수준이 아니라, 갑자사화 때 가해자 측에서 폐비를 찬성하거나 방조한 대신들을 죄 주는데 주된 역할을 합니다. 그리 아름다운 행동은 아닙니다.

 

반면 이세좌는 역시 숙질간인 이극돈과 함께 연산군 즉위 후, 무오사화의 주역으로 역사에 나쁜 이름을 남깁니다. 뒷날 갑자사화 때 이세좌가 임인년의 일(폐비 사사)을 이유로 죽음을 당한 것은 억울하다 하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뒷날의 평가가 그리 곱지 않았던 것은 이른바 무오사화 때 김종직과 그 제자들을 처단하는 일에 앞장섰다는 과오를 후세의 사림들이 잊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튼 이처럼 허종, 허침 형제가 '지혜롭고 곧은 인물'로, 이세좌가 '운 없는 인물'로 사람들의 기억에 남은 것은 단지 그때 한 순간의 대처가 어땠느냐만으로 가려진 것은 아니고 그 사람들의 평생 삶이 두고 두고 후세 사람들의 평가를 받은 결과라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허종과 허침 형제가 평생 청백리로 이름을 남겼다는 것도 가산점을 받은 요인이겠죠.

 

물론, 아무래 그래도, '종침교에서 굴렀다'는 이야기가 마치 '좋은 처세'의 본보기처럼 전해지는 것은 역시 문제 있는 시각이라는 생각입니다. 사극의 진짜 교훈은 드라마 밖에서 찾아야 한다고나 할까요.

 

 

 

P.S. 어머니의 비극을 알게 된 뒤 연산군의 보복은 참으로 집요하고도 광기어린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참 알다가도 모를 것은 어머니를 몰아낸 주역으로 윤필상을 꼽아 처단했으면서도, 윤필상의 집안(파평 윤씨)이며 어머니를 '밀어내고' 중전의 자리에 오른 정현왕후에 대해서는 아무 보복을 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심지어 정현왕후의 아들인 진성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기기까지 했죠.

 

대체 무슨 이유에서였을까요. 이건 혹시 연산군이 미치지 않았다는 증거일까요?

 

 

 

 

728x90

전통적으로 한국 사극에서 여주인공과 관련된 킬러 콘텐트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하나는 목욕신이고, 다른 하나는 사약 신입니다. '인수대비'에서도 이번 주말 폐비 윤씨 역의 전혜빈이 약사발을 들이키고 최후를 맞을 전망입니다.

 

여주인공이 사약을 먹고 '피를 토하며' 죽어가는 장면은 그 자체로 강한 비주얼을 제공합니다. 시청자들이 왜 사람이 피를 토하고 죽는 장면을 좋아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아무튼 사약 신이 나오고 시청률 확보에 실패한 드라마는 없다는 것이 대략 정설입니다.

 

그런데 문득 이 대목에서 궁금증 하나가 고개를 들었습니다. 대체 왜 사람이 사약을 먹으면 피를 토하고 죽는 것일까요?

 

 

 

 

생각해보면 간단한 의문입니다. 우선 사람이 피를 토하려면 피를 흘려야 합니다. (....당연한 얘기라고 돌 던지지 마십쇼;;) 그럼 내출혈이 있어야 하는데, 칼에 찔리거나 총에 맞은 사람은 당연히 몸 속에서 피가 날 겁니다. 그럼 입으로 피를 토할 수 있겠죠. 뭐 물론 얼마 전 나온 얘기로는 배를 칼로 찔린다고 해도 거꾸로 매달지 않는 한 입으로 피가 나오기는 쉽지 않다고도 합니다만, 아무튼 가능하긴 할 겁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우리가 수많은 사극 속에서 보아 온 폐비 윤씨, 장희빈, 경빈 박씨 등 역사적인 팜므 파탈들은 대개 입으로 피를 토해 왔습니다.

 

 

 

 

 

 

따라서 그냥 '사약 먹는 장면이 나온다'는 말만 들어도, 소복 입은 여인이 곱게 약사발을 받쳐 들고, 사약을 들이킨 뒤 붉은 피를 토해 소복이 젖는 비주얼이 그려집니다.

 

하지만 이런 장면은 상당히 과장된 것입니다. 어쨌든 고증은 해야 하기 때문에, 후배 의사에게 전화를 걸어 봅니다. 내과 의사나 약사가 더 나을 수도 있겠지만, 아무튼 만만한 사람이 좋기 때문에 산부인과 의사에게 전화했습니다.

 

나: 통화 괜찮음?

의사: 네. 무슨 일로?

나: (불문곡직) 사람이 먹으면 피를 토하고 죽는 독이 뭐가 있냐?

의사: ....사극 쓰세요?

나: 묻는 말에 대답을 하세요.

의사: 글쎄요. 사실 피를 토하기가 쉽지 않아요. 농약 같은 걸 먹어도 시퍼런 약물을 토하지...

나: 그럼 먹자마자 대량 위 출혈을 일으키는 약물은 없나?

의사: 뭐든지 토하다 보면 피가 나오는 경우는 있어도 그러긴 쉽지 않을걸요.

나: 하긴 술먹은 다음날 토하다가도 피 나왔다는 사람이 있더라.

의사: ...암튼 간경변이 있는 사람은 식도 혈관이 상해서 쉽게 피를 토할 수도 있어요.

나: 그럼 강한 산이나 알칼리로 식도가 상하면 피를 토할수 있겠네?

의사: 그럴 수도... 그런데 그런걸 삼킬 수나 있을까요?

 

 

                                          (....삼킬 수 있냐고? 응?)

 

말 그대로 강한 알칼리, 즉 양잿물(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먹으면 피를 토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름이 '양'잿물인데서 알 수 있듯 이건 근현대 이후에 한국사에 편입된 물질이죠. 조선시대에 빨래할 때 쓰던 '잿물'이 과연 그 정도로 독성이 강했는지도 모르겠고, 뭣보다 잿물로 사약을 만들었다고 전해지지는 않는답니다.

 

폐비 윤씨 관련 역사 기록에는 왕이 '비상을 쓰라'고 했다고 나오고, 여기저기서 나오는 얘기로는 초오(草烏)라는 약재가 주로 사용됐다고 합니다. 초오는 미나리아재비과인 바곳이라는 식물의 뿌리로 만든 한약재. 바곳은 투구꽃이라고도 불렸다는군요.

 

투구꽃이라...

 

 

 

바로 영화 '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에 나오는 그 투구꽃입니다.

 

 

초오의 독성이 알려진 건 어제 오늘 일이 아니지만, '한약재'라는 이름 때문에 아직도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다는군요. 약과 독은 정말 한끗 차이.

 

2006년 3월 경기도 연천에 사는 마을 주민 20명이 투구꽃(초오)으로 담근 술을 나눠 마셨다가 집단 중독 증세를 일으킨 사례도 있다. 이는 식물성 천연 독 ‘아코니틴(aconitine)’에 중독된 경우였다. 아코니틴은 투구꽃(초오)에 함유된 독으로, 뿌리>꽃>잎>줄기 순으로 독성물질이 분포돼 있다. 특히 뿌리부분은 독성이 강해 과거에는 독화살 성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투구꽃의 뿌리부분을 말린 것을 한방에서는 ‘부자(附子)’라고 부르며 신경통, 관절염, 중풍 등의 치료에 사용하기도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8&aid=000208495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911554

 

초오가 사람을 죽일 수 있는 독인 것은 분명하지만, 문제는 초오가 마비독이라는 점입니다. 즉 초오 때문에 죽으려면, 호흡중추가 마비되어 죽는다는 거죠. 그러니까 초오를 먹으면 욱 하고 피를 토하며 쓰러져 죽는 것이 아니라, 눈빛이 흐려지면서 쓰러져서 움직이지 못하고 숨이 막혀 죽는 겁니다. 당연히... '충격적인 비주얼'은 기대하기 힘듭니다.

 

 

 

 

그럼 왜 사극에서 사약 마신 주인공들은 피를 토하고 죽어갈까요.

 

많은 사람들은 박종화 원작 소설 '금삼의 피'를 이런 장면의 효시라고 생각합니다. "폐비 윤씨가 사약을 먹고 피를 토한 뒤, 친정어머니 신씨가 그 피묻은 한삼 자락을 간직하고 있다가 뒷날 연산군에게 전하고, 어머니의 피를 본 연산군의 분노가 폭발하며 마침내 갑자사화의 피바람이 분다는 이야기"라고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신 바로 그 작품입니다.

 

하지만 '금삼의 피'를 실제로 읽어 보면, 그 '금삼(비단 한삼)'에 뿌려진 피는 폐비가 사약을 먹고 토한 피가 아니라, 원한의 피눈물이 방울방울 떨어진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기억을 더듬어 보시기 바랍니다. 윤씨가 피눈물을 닦은 수건을 어머니 신씨에게 장면이 분명히 나옵니다. 저도 어린 시절 이 부분을 읽으면서 아니 화끈하게 토한 피가 아니고 피눈물? 하고 살짝 실망(...;;;)한 기억이 납니다.

 

그럼 역사에는 사약을 먹고 피를 토했다는 기록이 있을까요. 사실 그 부분도, 딱 착각하기 좋게 돼 있습니다. '기묘록'의 기록입니다.

 

 

 

 

일찍이 성종(成宗) 기유년에 폐비 윤씨에게 사약을 내려 자결하게 했는데, 폐출되어 사약을 내린 일은 성종조에 나와 있다. 윤씨가 눈물을 닦아 피묻은 수건을 그 어머니 신씨(申氏)에게 주면서, “우리 아이가 다행히 목숨이 보전되거든 이것을 보여 나의 원통함을 말해 주고, 또 거동하는 길 옆에 장사하여 임금의 행차를 보게 해 주시오.” 하므로 건원릉(健元陵)의 길 왼편에 장사하였다. 인수대비(仁粹大妃)가 세상을 떠나자 신씨는 나인들과 서로 통하여 연산주의 생모 윤씨가 비명으로 죽은 원통함을 가만히 호소하고 또 그 수건을 올리니 폐주는 일찍이 자순대비(慈順大妃)를 친어머니인 줄 알고 있다가 이 말을 듣고 깜짝 놀라며 매우 슬퍼하였다. 시정기를 보고 성을 내어 그 당시 의논에 참여한 대신과 심부름한 사람은 모두 관을 쪼개어 시체의 목을 베고 뼈를 부수어 바람에 날려 보냈다.

 

(굵은 부분 원문: 尹氏以拭淚斑血帨。付其母申氏曰。吾兒幸保全。當以是告我哀冤

흔히 볼 수 없는 한자가 몇개 있습니다. 拭: 씻을 식,  帨: 수건 세.

吾兒, 즉 '내 아이'란 당연히 어린 세자, 즉 뒷날의 연산군을 가리킵니다.)

 

그러니까 여기도 문제의 한삼에 젖은 피는 토한 피가 아니라 피눈물의 피였다고 되어 있습니다. 다른 기록을 볼까요. 사실 조금 더 혼동하기 쉽게 돼 있죠. '파수편'입니다.

 

윤씨가 죽을 때에 약을 토하면서 목숨이 끊어졌는데, 그 약물이 흰 비단 적삼에 뿌려졌다. 윤씨의 어미가 그 적삼을 전하여 뒤에 폐주에게 드리니 폐주는 밤낮으로 적삼을 안고 울었다. 그가 장성하자 그만 심병(心病)이 되어 마침내 나라를 잃고 말았다. 성종(成宗)이 한 번 집안 다스리는 도리를 잃게 되자 중전의 덕도 허물어지고 원자도 또한 보전하지 못하였으니 뒷 세상의 임금들은 이 일로 거울을 삼을 것이다.

 

여기는 '토한 수건'이라고 되어 있지만 피를 토했다는 말은 역시 없습니다. '약을 토했다'와 '그 수건을 전달했다'는 맞지만 말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앞으로 방송되는 드라마에서 피 토하는 장면이 없어지거나 하지는 않을 듯 합니다. 다른 무슨 수단을 쓴다 해도 그만한 비주얼을 얻기는 힘들 것이기 때문입니다.

 

결론은 드라마는 드라마일 뿐.... 착각이나 오해는 하지 마시길.^^

 

그리고,

 

이 블로그의 인수대비 관련 글 모음입니다.

 

1. 계유정난은 어떻게 진행됐나  http://fivecard.joins.com/964
2. 폐비 윤씨는 정말 용안에 손톱자국을 냈을까? http://fivecard.joins.com/1003
3. 폐비 윤씨, 사약을 마시고 정말 피를 토했나? http://fivecard.joins.com/1004
4. 폐비 윤씨 사약이 남긴 공무원의 숙명 http://fivecard.joins.com/1007
5. 연산군, 정말 계산 없는 광인이었나?  http://fivecard.joins.com/1012
6. 인수대비 사후, 연산군은 어떻게 몰락했나 http://fivecard.joins.com/1015

 

그리고 긴 말 필요없이, 아래 추천 숫자 좀 눌러 주세요! ^

 

728x90

드라마 '인수대비'가 절정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중전 윤씨(전혜빈)는 아들을 빼앗기고 대비들과의 갈등이 극에 달해 정신을 잃을 지경이 됐고, 마침내 이번주 남편 성종(백성현)이 다른 후궁의 침소에 든 것을 참지 못해 달려들어 싸움을 벌이다 얼굴 손틉자국을 내게 됩니다.

'연산군의 어머니인 폐비 윤씨가 성종과의 사이가 원만치 못해 늘 싸움이 잦았고, 어느날 용안에 손톱 자국을 낸 것이 인수대비에게 알려지며 즉시 폐비에 처해졌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널리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정말로 남편인 임금의 얼굴에 상처를 냈을까요? 임금의 용안과 옥체는 그 무엇보다 귀중하게 여겨지던 것이 당시의 정서입니다. 아무리 제 정신이 아니었다고 해도 그런 일이 가능했을까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그런 기록은 분명히 있습니다. 게다가 임금이 폐비 윤씨를 때렸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말로만 전해지는 야사는 아닙니다.

아무튼 이럴때 가장 확실한 지침은 일단 조선왕조실록입니다. 성종실록에는 성종 10년, 1479년 6월2일 마침내 임금이 폐비를 결심한 내용이 전해집니다.

성종 105권, 10년(1479 기해 / 명 성화(成化) 15년) 6월 2일(정해) 1번째기사

전날 저녁 야대(夜對)를 파(罷)한 뒤에 임금이 급히 승지(承旨)를 불러 입내(入內)하도록 하더니, 조금 있다가 이를 중지시키고, 정승(政丞) 등을 불러 내일 이른 아침에 예궐(詣闕)하라고 명하였다. 이날 여명(黎明)에 영의정(領議政) 정창손(鄭昌孫)·상당 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청송 부원군(靑松府院君) 심회(沈澮)·광산 부원군(光山府院君) 김국광(金國光)·우의정(右議政) 윤필상(尹弼商)이 이르니, 임금이 선정전(宣政殿)에 나아가 인견(引見)하였는데, 승지·주서(注書)·사관(史官)이 모두 입시(入侍)하였다. 임금이 좌우(左右)를 돌아보고, 일러 말하기를,

“궁곤(宮壼)의 일을 여러 경(卿)들에게 말하는 것은 진실로 부끄러운 일이라 하겠다. 그러나 일이 매우 중대(重大)하므로 말하지 않을 수가 없다. 어제 입직(入直)한 승지(承旨)와 더불어 이를 의논하고자 하였으나, 생각하니 대사(大事)를 두 승지와 결단할 수 없으므로 이에 경들에게 의논하는 것이다. 옛사람이 이르기를, ‘선경 삼일(先庚三日) 후경 삼일(後庚三日)’이라고 하였으니, 내가 어찌 생각하지 않고 함이겠는가? 부득이하여서 그러는 것이다.

(선경삼일, 후경삼일이라는 것은 중대사일수록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얼마나 신중하게 결정한 것인가를 설득하는 과정입니다.)

지금 중궁(中宮)의 소위(所爲)는 길게 말하기가 어려울 지경이다. 내간(內間)에는 시첩(侍妾)의 방이 있는데, 일전에 내가 마침 이 방에 갔는데 중궁이 아무 연고도 없이 들어왔으니, 어찌 이와 같이 하는 것이 마땅하겠는가? 예전에 중궁의 실덕(失德)이 심히 커서 일찍이 이를 폐하고자 하였으나, 경들이 모두 다 불가(不可)하다고 말하였고, 나도 뉘우쳐 깨닫기를 바랐는데, 지금까지도 오히려 고치지 아니하고, 혹은 나를 능멸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이것은 비록 내가 집안을 다스리지 못한 소치(所致)이지마는, 국가(國家)의 대계(大計)를 위해서 어찌 중궁에 처(處)하게 하여 종묘(宗廟)를 받드는 중임(重任)을 맡길 수 있겠는가? 내가 만약 후궁(後宮)의 참소하는 말을 듣고 그릇되게 이러한 거조(擧措)를 한다고 하면 천지(天地)와 조종(祖宗)이 소소(昭昭)하게 위에서 질정(質正)해 줄 것이다. 옛날에 한(漢)나라의 광무제(光武帝)와 송(宋)나라의 인종(仁宗)이 모두 다 왕후(王后)를 폐하였는데, 광무제는 한 가지 일의 실수를 분하게 여겼고, 인종도 작은 허물로 인했던 것이지마는, 나에게 있어서는 그렇지 않다.

(다른 후궁의 침소에 왕이 들었는데, 그 침소에 중전이 나타났다는 이야기입니다. 조선시대 왕에게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죠.)


중궁의 실덕(失德)이 한 가지가 아니니, 만약 일찍 도모하지 않았다가 뒷날 큰 일이 있다고 하면 서제(噬臍)를 해도 미치지 못할 것이다. 예법(禮法)에 칠거지악(七去之惡) 이 있으나, 중궁의 경우는 ‘자식이 없으면 버린다.[無子去]’는 것은 아니다.”

하고, 드디어 ‘말이 많으면 버린다[多言去], 순종하지 아니하면 버린다[不順去], 질투를 하면 버린다[妬去]’라는 말을 외우고, 이어 이르기를,

“이제 마땅히 폐하여 서인(庶人)을 만들겠는데, 경들은 어떻게 여기는가?”

하였다. 정창손이 아뢰기를,

“이제 상교(上敎)를 받으니, ‘중궁이 실로 승순(承順)하는 도리를 잃어서 종묘(宗廟)의 주인을 삼는 것이 불가(不可)하다.’고 하였습니다. 상교가 이에까지 이르렀으니, 어떻게 하겠습니까?”

하고, 한명회가 이르기를,

“신(臣)은 더욱 간절히 우려(憂慮)합니다. 성상께서 칠거(七去)로써 말씀하시니, 신은 말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다만 원자(元子)가 있어서 사직(社稷)의 근본이 되는데, 어떻게 하겠습니까?”

하였다. 윤필상이 아뢰기를,

“사세(事勢)가 이에 이르렀으니 어찌할 수가 없습니다.”

하고, 심회가 이르기를,

“태종(太宗)께서 일찍이 원경 왕후(元敬王后)와 화합하지 못하여 한 전각(殿閣)에 벽처(僻處)하게 하고 그 담장을 높게 하였는데, 이것이 선처(善處)하는 도리였습니다. 지금도 역시 별궁(別宮)에 폐처(廢處)하도록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정창손과 윤필상이 이미 임금의 뜻에 따르기로 결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한명회와 심회는 궁 밖으로 내치는 폐서인은 온당치 않다는 입장입니다. 뒤에 보면 정창손마저도 '궁 밖으로 내보내는 것은 무리'라는 주장을 합니다. 그만치 이 폐비는 파격적인 조치였던 것이죠.)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경들은 사의(事宜)를 알지 못한다. 한(漢)나라 성제(成帝)가 갑자기 붕어(崩御)한 것은 누구의 소위(所爲)였던가? 대저 부덕(不德)한 사람은 비의(非義)한 짓을 많이 행하는 것인데, 일의 자취가 드러나게 되면 화(禍)는 이미 몸에 미친 뒤이다. 큰 일을 수행(遂行)함에 있어 만약 일찍 조처하지 아니하였다가 만연이 된 뒤에는 도모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만일 비상(非常)한 변이 생기게 되면 경들이 비록 나를 비호하고자 하더라도 미치지 못할 것이다.”

(한나라 성제는 본래 여색을 밝혀 많은 얘깃거리를 남겼습니다. 그중에서도 당대의 미녀인 조비연, 조합덕 자매를 총애했다고 전해지는데 이들은 성총을 잃지 않기 위해 왕과 다른 궁녀가 동침하면 그 궁녀를 죽이고, 심지어 다른 후궁이 낳은 아이까지도 사라지게 하는 마수를 썼습니다. 그런데도 성제를 그런 악행을 모른체 했고, 이들은 성제의 비호 속에서 더욱 더 못된 짓을 저질렀습니다. 

결국 어느날 성제는 조합덕의 침소에서 죽은 채 발견됩니다. 두 자매가 성제를 죽일 이유는 전혀 없었지만 - 두 자매는 아이가 없어 황제가 죽으면 자신들의 권세도 끝나는 입장이었으므로 - 아무튼 황제가 죽은 뒤 사방에서 두 자매의 죄를 묻는 상소가 빗발치자 어쩔 수 없이 자결해 버리고 맙니다.

이쯤 되면 성종이 중전 윤씨에 대해 갖고 있던 생각은 이미 정나미가 떨어지는 정도가 아니라, '저것을 곁에 두었다가는 내가 비명횡사할지도 모르겠다' 수준까지 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하였다. 도승지(都承旨) 홍귀달(洪貴達)이 아뢰기를,

“중궁의 실덕한 바가 가볍지 아니하니, 진실로 이를 폐하는 것이 마땅하겠습니다. 그러나 원자를 탄생(誕生)하였고 또 대군(大君)을 나았으므로 국본(國本)에 관계되는 바이니, 폐하여 서인으로 삼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 청컨대 위호(位號)를 깎아 내리어 별궁(別宮)에 안치(安置)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원자는 장차 세자(世子)로 봉(封)할 것인데, 어머니가 서인이 되면 이는 어머니가 없는 것이니, 천하(天下)에 어찌 어머니 없는 사람이 있겠습니까?”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강봉(降封)을 하면 이는 처(妻)로써 첩(妾)을 삼는 것이니 크게 옳지 못하다.”

하였다. 좌부승지(左副承旨) 김계창(金季昌)이 아뢰기를,

“중궁은 명(命)을 중국 천자(天子)에게 받아서 이미 위호(位號)가 정당하고 원자를 탄생하였으며, 또 국본이 되어 관계된 바가 매우 중하니, 갑자기 폐하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 옛날 송(宋)나라 인종(仁宗)은 곽후(郭后)를 폐하여 옥청궁(玉淸宮)에 두었으니, 원컨대 별궁에 옮겨 두고서 그 허물을 뉘우치기를 기다리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만약 그렇다고 하면 전일(前日)의 일도 경계할 줄 알아야 할 것이다. 근자(近者)에 또 그 침실(寢室)을 따로 하고 자신(自新)하기를 바랐으나, 그래도 고치지 아니하였는데, 능히 허물을 뉘우치겠는가? 만일 허물을 뉘우칠 기미가 있다고 하면 내가 어찌 감히 폐한다고 하겠는가?”

하였다. 좌승지(左承旨) 김승경(金升卿)이 아뢰기를,

“중궁이 전에도 잘못된 행동이 있어서 성상께서 이를 폐하고자 하였으니, 또한 조금이라도 반성하는 것이 마땅한데, 또 오늘과 같은 일이 있었으니, 뒷날 반드시 이것이 습관이 되어 잘못된 일을 할 것이므로, 한 나라의 모의(母儀)로서는 불가(不可)합니다.”

하고, 우승지(右承旨) 이경동(李瓊仝)이 아뢰기를,

“모후(母后)를 폐치(廢置)하고 어찌 경이(輕易)하게 사제(私第)로 돌아가게 하겠습니까? 더욱 미안(未安)한 일이 되겠습니다.”

하고, 우부승지(右副承旨) 채수(蔡壽)가 아뢰기를,

“성상의 하교(下敎)가 이러하니 신자(臣子)로서는 그 사이에서 감히 무어라고 말할 수가 없습니다.”

(요즘 드라마에 출연하고 있는 채수는 이렇게 폐비에 찬성해 간신으로 보이기도 합니다만, 뒷날 '폐비 윤씨가 어렵게 살아가고 있으니 물자를 대 주어야 한다'고 주장해 성종의 분노를 사 고문까지 당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소신이 강한 사람이었던 듯.)


하였다. 임금이 승지들에게 이르기를,

“출궁(出宮)시킬 여러가지 일을 차비하도록 하라.”

하니, 홍귀달·김승경이 아뢰기를,

“모든 일은 이미 갖추었습니다. 그러나 중궁은 이미 한 나라의 모의(母儀)로 있었는데, 사제(私第)로 돌려보내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

하고, 김계창이 이르기를,

“모시던 귀빈(貴嬪)이 비록 죄고(罪辜)에 저촉되었다 하더라도 오히려 사제로 돌려보내지 아니하는데, 하물며 왕비(王妃)이겠습니까? 원컨대 그대로 두고 여러 번 생각하소서.”

하니, 임금이 성을 내어 이르기를,

“경들은 출궁할 여러가지 일만 주선하면 그만인데, 무슨 말이 많은가?”

하였다. 정창손이 이르기를,

“이미 폐했는데, 어찌하여 반드시 다시 견책(譴責)을 가(加)하는 것입니까? 하물며 이미 중궁이 되어 한 나라의 모의가 되었고, 또 원자를 탄생하여 나라의 근본이 되었는데, 하루아침에 강등을 시키어 서인을 만들어 사제로 돌아가게 하면, 사론(士論)이 어떻하겠습니까? 청컨대 별전에 폐처(廢處)케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별전에 두면 따로이 견책하는 뜻이 없다. 만약 그 아들이 주기(主器)가 되면 마땅히 추봉(追封)할 것인데, 지금 서인을 만드는 것이 어찌하여 무엇이 상하겠는가?”

하였다. 심회가 말하기를,

“별전(別殿)에 폐처하는 것이 사제(私第)에 돌려보내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원컨대 다시 여러 번 생각하소서.”

하고, 윤필상이 이르기를,

“별전에 안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어찌 별전을 새로 건립하겠는가? 정승(政丞)들은 나가도록 하라. 내 뜻이 이미 정해졌으니, 결단코 고칠 수가 없다.”

하였다. 정승과 승지들이 그래도 계속하여 다시 생각하기를 청하니, 임금이 성을 내어 일어서면서 이르기를,

“경들이 물러나지 아니하면 내가 마땅히 안으로 들어가겠다.”

하고, 또 내관(內官)에게 명하여 승지를 불러 나가도록 재삼 말하니, 이에 모두 다 나갔으나, 홍귀달·김승경·이경동·김계창만이 머물러 나가지 아니하고, 다시 요청하다가 오래 되어서 나갔다. 얼마 있다가 중궁이 소교(小轎)를 타고 나가서 사제로 돌아 갔다.

(시일을 두지도 않고 당일 곧바로 폐비가 집행된 것입니다. 하지만 승지들은 굴하지 않습니다. 왕의 진노에도 굴하지 않는 선비들의 정신이 볼만합니다.)

홍귀달 등이 차비문(差備門) 안에 나아가 다시 아뢰기를,

“신(臣) 등이 반복하여 생각해 보니, 후궁이 비록 죄가 있어 견책(譴責)을 당하더라도 오히려 사제로 돌려보내지 아니하는데, 하물며 왕비이겠습니까? 이미 중궁의 정위(正位)가 되었고, 또 원자를 탄생하였는데, 이제 여염(閭閻)에 거처하면 소인(小人)들이 성음(聲音)을 접할 수 있을 것이니, 이는 매우 옳지 못한 것입니다. 청컨대 자수궁(慈壽宮)에 처하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전교(傳敎)하기를,

“사제에 폐거(廢居)하게 되면 모자(母子)가 서로 보는 것도 또한 인정(人情)에 기뻐하는 바이다. 그대들이 만약 혹시 다시 아뢰면 장차 대죄(大罪)를 가할 것이다.”

하였다.

홍귀달 등이 이르기를,

“우리 조정에서는 조종(祖宗) 이후로부터 이러한 일이 있지 아니하였으니, 후세(後世)에 반드시 오늘날의 일로써 법을 삼을 것입니다. 청컨대 경솔하게 거행하지 말고 다시 대비(大妃)께 아뢰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신이 비록 죄를 받는다 하더라도 차마 생각하고 있는 바를 말하지 않겠습니까? 오늘의 거조는 오직 신 등과 정승만이 알고, 외정(外庭)에서는 모두 다 알 수 없었으니, 청컨대 군신(群臣)을 임석(臨席)시켜 교서(敎書)를 반포(頒布)하고 종묘(宗廟)에 고한 연후에 폐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옛날 세종(世宗)께서 김빈(金嬪)을 폐할 때에도 오히려 교서를 반포하였는데, 하물며 왕비이겠습니까? 다만 전지(傳旨)만을 내리는 것도 예(禮)에 합당하지 못한 듯합니다. 종묘에도 오히려 고해야 하는데, 지금 대왕 대비(大王大妃)가 위에서 계시니, 더욱이 품(稟)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교서(敎書)를 반포하고 종묘에 고하는 것은 아뢴 바가 마땅하다. 중궁의 정위는 길사(吉事)이었는데도 내가 오히려 군신을 참여시키지 아니했는데, 하물며 이러한 흉사(凶事)이겠는가? 권정례(權停禮)로써 행하도록 하라. 또 동부승지(同副承旨) 변수(邊脩) 외에는 모두 다 옥(獄)에 가두게 하라.”

하였다. 정승 등이 빈청(賓廳)에서 아뢰기를,

“승지들의 계옥(繫獄)은 무슨 일입니까?”

하니, 전지하기를,

“이미 정승들과 더불어 의논해 결정하였는데, 승지들이 오히려 대비(大妃)께 아뢰기를 청하였으니, 이는 다른 것이 아니고 윤씨(尹氏)를 구제하려는 것이다.”

하였다. 정창손·한명회가 아뢰기를,

“승지들이 무슨 다른 뜻이 있었겠습니까? 오늘은 일이 많으니 우선 용서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전교하기를,

“승지들이 대비께 아뢰기를 청한 것은 대비로 하여금 이를 중지하게 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내가 이미 두 번이나 아뢰었더니, 대비께서 하교(下敎)하기를, ‘내가 항상 화(禍)가 주상(主上)의 몸에 미칠까 두려워하였는데, 이제 이와 같이 되었으니, 나의 마음이 편안하다.’ 하였으니, 남의 자식 된 자가 부모(父母)로 하여금 그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 또한 옳지 않겠는가? 또 이는 이 한 집안의 정사이니, 내가 처치(處置)하는 데에 달려 있을 뿐이다. 대비께서 어찌 그릇되게 여기겠는가? 승지들은 육조(六曹)의 참의(參義)로 개차(改差)하도록 하라. 하였다.

일단 이날의 기록은 여기까지. 어쨌든 임금이 죄를 주겠다, 옥에 가두겠다고 협박을 해도 승지들은 '아닌 건 아닌 것'이라고 직간을 합니다.

 

 

조선시대에 대해 여러가지 이야기가 있습니다만, 왕조실록을 보다 보면 이 직간의 문화만큼은 누가 뭐래도 부정할 수 없는 강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임금이 죽음으로 협박을 해도 당시의 사대부들은 자신의 소신과 맞지 않으면 '그렇지 않다'고 정면에서 맞섰습니다.

임금은 고사하고 한낱 상사들의 눈치나 보는 요즘의 소시민들이 보기엔 참 대단한 기개가 아닐 수 없습니다. 물론, 이런 직언에 귀를 기울였던 당시의 왕들 역시 요즘의 윗사람들보다는 훨씬 행복했을 겁니다. 잘못을 저질러도 다른 사람들이 고쳐주지 않는 것만큼 위험한 일도 없겠죠.

어쨌든 아무리 실록을 훑어봐도 '윤비가 임금의 얼굴에 상처를 냈다'는 내용은 없습니다. 일설에는 '왕이 윤비를 때렸다'는 내용이 전해진다고도 하는데 이건 3일 뒤인 6월5일, 6월2일의 회의 때 없었던 백관들 앞에서 임금이 '너희들이 몰라서 그러는데 윤씨의 죄가 한두가지가 아니다'라고 털어놓는 과정에서 나오는 말입니다.

중요 부분만 발췌하면 이렇습니다.

지난 정유년에 윤씨(尹氏)가 몰래 독약(毒藥)을 품고 사람을 해치고자 하여, 건시(乾柿)와 비상(砒礵)을 주머니에 같이 넣어 두었으니, 이것이 나에게 먹이고자 한 것인지도 알 수 없지 않는가? 혹 무자(無子)하게 하는 일이나, 혹 반신불수(半身不遂)가 되게 하는 일, 그리고 무릇 사람을 해(害)하는 방법을 작은 책에 써서 상자 속에 감추어 두었다가, 일이 발각된 후 대비께서 이를 취하여 지금까지도 있다. 또 엄씨(嚴氏) 집과 정씨(鄭氏) 집이 서로 통하여 윤씨(尹氏)를 해치려고 모의한 내용의 언문(諺文)을 거짓으로 만들어서 고의로 권씨(權氏)의 집에 투입(投入)시켰는데, 이는 대개 일이 발각되면 엄씨와 정씨에게 해가 미치게 하고자 한 것이다. 항상 나를 볼 때, 일찍이 낯빛을 온화하게 하지 않았으며, 혹은 나의 발자취를 취하여 버리고자 한다고 말하였다. 비록 초부(樵夫)의 아내라 하더라도 감히 그 지아비에게 저항하지 못하는데, 하물며 왕비가 임금에게 있어서이겠는가? 또 위서(僞書)를 만들어서 본가(本家)에 통하여 이르기를, ‘주상(主上)이 나의 뺨을 때리니, 장차 두 아들을 데리고 집에 나가서 내 여생(餘生)을 편안하게 살겠다.’고 하였는데, 내가 우연히 그 글을 얻어보고 일러 말하기를, ‘허물을 고치기를 기다려 서로 보도록 하겠다.’라고 하였더니, 윤씨(尹氏)가 허물을 뉘우치고 말하기를, ‘나를 거제(巨濟)나 요동(遼東)이나 강계(江界)에 처(處)하게 하더라도 달게 받겠으며, 남방기(南方記)에서 발원(發願)한 대로 사람의 허물을 무량수불(無量壽佛) 앞에서 연비하여 이를 맹세하겠습니다.’라고 하므로, 내가 이를 믿었더니, 이제 도리어 이와 같으므로, 전일(前日)의 말은 거짓 속이는 말이었다.

曩在丁酉, 尹氏陰懷毒藥, 謀欲害人, 至以乾柿砒礵, 同置囊中, 安知不欲食我也? 或無子, 或半身不遂, 凡害人之方, 書諸小冊, 藏于篋中, 事覺, 大妃取之, 至今猶在。 又僞作嚴氏家與鄭氏家相通, 謀傾尹氏, 諺文, 故投于權氏之第, 蓋欲事覺, 害及兩氏也。 常見我, 未嘗和顔, 或言欲取我足跡, 而去之。 雖樵夫之妻, 尙不敢抗其夫, 況妃之於君乎? 又作僞書, 通于本家曰: ‘主上打我腮, 將率吾二子, 出居于家, 以安吾生也。’ 予偶得其書, 謂之曰: ‘俟改過, 乃相見。’ 尹氏悔過曰: ‘使處我於巨濟遼東江界, 亦所甘受, 願於南方記, 人過無量壽佛前, 燃臂以矢之。’ 予乃信之。 今反如此, 前日之言詐也。

腮가 뺨을 뜻하는 '뺨 시' 자였군요. 아무튼 가정폭력이 만만치 않았으니, 거꾸로 윤씨가 성종의 얼굴을 할퀴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어쨌든 성종은 만 22세의 혈기방장한 나이. 윤씨의 나이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성종보다 두살 많거나 열두살 많은(드라마 '인수대비'는 12세 연상설을 택했습니다) 나이입니다. 나이가 많으니 자신이 시들고 꽃다운 새 후궁들에게 임금을 빼앗긴다는 것이 견딜수 없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미 원자를 낳은 몸, 조금 마음을 누그러뜨리고 처신했더라면 연산군의 비극도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정작 중전이 성종의 뺨을 할퀴었다는 기록은 다른 책에 나옵니다. 1638년 나온 '기묘록'에는 이런 내용이 전해집니다.

성종조(成宗朝)에 공혜왕비(恭惠王妃)가 죽은 다음 숙의(淑儀) 윤씨를 올려서 비(妃)로 삼았다. 성화(成化) 병신년에 연산을 낳아 은총이 융숭하니, 교만하고 방자하여 여러 숙원(淑媛: 양가(良家)의 딸이었던 정씨(鄭氏)와 엄씨(嚴氏)를 말한다) 을 투기하였고 임금에게도 불손하였다. 하루는 임금의 얼굴에 손톱 자국이 있으므로 인수대비(仁粹大妃)가 크게 노하여, 천위(天威)를 격동시켰다. 임금이 외정(外庭)에 나가자 대신 윤필상(尹弼商) 등이 영합하여 의논을 올려 윤씨를 폐하여 친정으로 나가게 하였다.

成宗朝。王妃恭惠薨。陞淑儀尹氏爲妃。成化丙申生燕山。寵隆驕恣。妬忌諸媛不遜於上。一日聖顏有爪痕。仁粹妃 大怒。激成天威。出視外庭。大臣尹弼商等將順獻議。廢出私第。

 

뒷날의 '연려실기술'에서도 인용하고 있으니 근거 없는 얘기는 아닐 듯 합니다. 다만 드라마에서 볼 수 있듯 바로 그날, 그 '임금이 다른 후궁의 침소에 간 날' 몸싸움이 벌어져 손톱자국이 났는지까지는 알 수 없습니다.

어쨌든 손톱자국이 결정적인 역할을 해서 궁에서 쫓겨나는 몸이 된 중전 윤씨. 사실 이때까지만 해도 '죽음'까지 생각한 사람은 많지 않았을 듯 합니다. 그러나 결론은 사약으로 이어지고, 비극은 수십년 뒤까지 이어집니다.

물론 그 얘기는 나중에 잇겠습니다.



조 아래쪽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우연히 포털에서 '아역 김소현 손예진 닮은꼴 미모 화제'라는 얘기가 눈에 띄었습니다. 김소현이라면 '러브 어게인'에 김지수의 딸로 나오고 있는 처자. 1999년생이라는 무시무시한 출생 연도를 갖고 있는 만 13세 소녀입니다. 아닌게 아니라 '러브 어게인' 1회를 보다가 '어라, 저 이목구비가 예사롭지 않은 저 아이는 누구지?' 했던 참이었습니다.

 

문득 시대를 넘어 세상을 울리고 웃겼던 브라운관 속 소녀들의 모습이 뇌리를 스쳐 갔습니다. 그중 몇몇은 '잘 자랐다'는 말을 듣고, 또 다른 몇몇은 성인으로서의 모습이 어린 시절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기도 합니다.

 

아무튼 아역 시절 이미 레전드의 반열에 오른 분들을 한번 돌이켜 보자는 것이 이번 포스팅의 의도입니다.

 

 

 

 

사실 우리의 김소현 양은 상당히 아슬아슬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엄밀히 말해 아역이라고 불리려면 최소한 7~8세에는 데뷔를 해서 그 즉시, 혹은 10~12세 이전에 스타덤에 올라야 하는 법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각광받기 시작한 것이 15세 쯤이라면 방송계에서 통상 아역으로 분류하더라도 이미 하이틴 탤런트로 보아야 하는게 맞습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일단 '미모의 아역' 얘기를 할 때 15세 이후에 빛을 발한 분들은 제외합니다. 임예진 김혜수 강주희 뭐 이런 분들, 그리고 가까이는 송혜교 한지민 등이 '아역' 시절 떴지만 실제로는 아역이라고 볼 수 없는 분들입니다.

 

그렇게 해서 시작해 봅니다.

 

 

 

 

기억이 희미하실 분들부터 시작합니다. 맨 처음 강수연이 TV에 나왔을 때 - 아마도 TBC 어린이 드라마 중 한편이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많은 사람들이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그 당시까지 아역 배우의 기본 조건이라고 생각하던 동글동글하고 귀여운 얼굴에서 벗어난, 이목구비가 뚜렷한 어른 얼굴의 소녀가 등장해 있었기 때문입니다.

 

살짝 패인 보조개, 오똑한 콧날, 그리고 이미 '애기 소리'가 아닌 목소리(성인이 된 지금의 목소리와 거의 차이가 없었습니다). 한국 아역사에서 '미모'를 논하게 된 계기가 바로 강수연이라는 데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남달리 미모를 뽐냈던 이 소녀는 결국 베니스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받으며 일세의 국민 여배우로 떠오릅니다. 일각에서(방송이든, 연예 기사든) '잘 자란 아역' 운운 하는 얘기가 나올 때마다 그 리스트에 강수연이 빠져 있는 걸 보면 코웃음을 치게 됩니다. 그만치 그런 콘텐트를 만드는 사람들의 시야가 좁다는 걸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어린 시절의 미모, 연기력, 화제성, 그리고 성인이 된 뒤 연기자로서의 성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지금까지 한국에서 강수연을 능가할 아역 배우는 나오지 않았다고 봐야 할 듯 합니다.

 

 

 

(자료의 부족으로 강수연의 소시적 미모를 제대로 보여드릴 수 없어 아쉬울 뿐.)

 

 

 

나이는 강수연 보다 아래지만 강수연보다 먼저 데뷔한 아역 스타 가운데 윤유선을 빠뜨릴 수 없습니다.

 

윤유선은 강수연과 달리 '전형적인 어린이 얼굴'의 배우였습니다. 미모라고 부르는 게 미안할 정도의, '살인적인 귀여움'을 갖고 있던 어린이였습니다. 드라마도 드라마지만 '호돌이와 토순이' 등을 통해 진행자로도 주목받았죠.

 

성인 연기자로는 20대의 나날을 어물어물 지나가 버린 느낌이 있습니다만, 오히려 30대 이후에 연기자로도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40대에 접어들어서도... 어린 시절과 거의 차이가 없다는 슈퍼 동안의 대명사로 군림하고 있죠.

 

 

 

 

한동안 '강수연=예쁜 아역의 대명사'였던 시절에 종지부를 찍은 것이 바로 이상아였습니다. 일각에서는 '김지미의 어린 시절과 똑같다'는 말이 전해지는데 확인할 길이 없어 아쉽기도 합니다. 아무튼 영화 '길소뜸'에서 김지미의 어린 시절을 연기하며 이상아의 아역 시대는 화려하게 열렸습니다.

 

이 리스트에 있는 누구와 비교해도 어린 시절의 미모로는 감히 따를 사람이 없었던 이상아. 그런데 아역 시절 이상아는 가녀린 외모에 어울리지 않는 심한 허스키 보이스로 사람들의 기억에 남아 있기도 합니다. 어른이 되었을 때에는 엄청난 노력으로 목소리의 약점을 극복, 놀라운 의지의 소유자임을 증명하기도 했죠.

 

 

 

 

90년대 아역의 최고봉을 꼽자면 이재은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미모는 물론이고 아역 본연의 귀여움과 연기력 면에서 단연 발군이었죠.

 

특히 이재은의 강점은 한복을 입었을 때 드러나는 이마. 밥 먹는 옆에서 대본 한권을 읽어 주면 다시 볼 필요도 없이 줄줄 외웠다는 총명함까지, 당대의 이재은은 역대 최고를 다투기에 손색이 없었습니다. 성인이 된 뒤에는 주로 극성맞은 역할('인수대비'의 한명회 부인 같은...)을 맡고 있는데, 격세지감을 느끼게 됩니다.

 

 

 

 

비교적 근대(?)로 오면 문근영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저 맑디 맑은 눈망울에서 떨어지던 수정 같은 눈물방울을 기억하지 못하는 분들이 거의 없을테니 설명도 필요 없겠죠.

 

특히나 문근영은 10세 이하에서 20대 중반에 이르는 현재까지, 공백기나 쇠퇴기가 사실상 없었다는 점에서 매우 특이한 케이스입니다. 절정에 달했던 것은 13세 때인 2000년의 '가을동화' 지만 그 이전이나 이후, 문근영의 명성은 줄곧 상승곡선을 그렸습니다. 이른바 '국민여동생'이라는 말이 아깝지 않습니다.

 

 

 

 

문근영보다 세 살 아래, 문근영의 영향권 안에 있었다고 봐야겠지만 미모 하나만큼은 역시 레전드로 꼽아 아깝지 않은 소녀가 있었습니다. 바로 '반올림'의 고아라죠. 역시 13세때인 2003년 '반올림'으로 데뷔했습니다.

 

사실 스무살이 넘은 지금도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는 점도 그렇고, '아역 고아라'를 말할 때 과거형을 쓴다는 게 좀 어색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 점은 고아라에게 상당히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하죠. 뭐 성인 변신을 위한 확실한 작품을 아직 만나지 못했다는 점이 아쉽기도 하고.

 

(여담: 고아라에 비하면 유아인은 참 어른 얼굴이 된 셈이군요.^^)

 

 

 

 

위의 여섯 아역 스타들과 비교해 볼 때도 일단 미모를 따진다면 김소현은 충분히 경쟁력을 갖는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최근들어 갑자기 많은 작품('해품달' '옥탑방 왕세자' '러브 어게인')에 출연하며 관심이 집중됐다는 면도 있지만, '손예진 닮은꼴 미모'가 갑자기 거론되는게 그리 공허한 호들갑은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물론 10년, 20년 뒤에도 사람들의 기억에 남을 정도인지는 더 지켜봐야 알 수 있겠죠.

 

여러분이 직접 '아역 미모'의 순위를 매기신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합니다. 사실 제가 생각하는, 제가 지금까지 본 역대 최고의 아역은 이 친구입니다.

 

 

 

 

솔직히 아역을 평가할 때 '어른 얼굴'에 가까운 미모가 그리 중요하다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서신애를 능가할 아역을 지금까지는 못 본 듯 합니다. 귀여운 얼굴, 연기력, 어딘가 보고 있는 사람의 가슴을 무겁게 하는 청승맞은 눈빛까지... 완벽합니다.

 

P.S. 자료를 찾다 보니 이 아역이 눈길을 끄는군요. 누구일까요?

(눈썰미 있는 분이라면 금세 아실 수 있을 겁니다. 사실 지금 얼굴이 그대로 있죠.^^)

 

 

 

 

 

728x90

김지수가 일본 드라마 '동창회-러브 어게인 증후군'을 모태로 한 JTBC 수목드라마 '러브 어게인'의 주연으로 발탁됐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문득 생각난 작품이 있었습니다. 만들어지지는 않았지만 김지수는 2년 전, '도쿄 타워'라는 드라마의 주인공 물망에 오른 적이 있습니다.

'도쿄 타워'라는 제목은 좀 흔합니다.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건 아무래도 오다기리 조 주연의 영화 '도쿄 타워'(2007)죠. 어머니와 아들의 찐한 사랑 이야기인 이 영화는 같은 제목의 드라마를 모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김지수가 물망에 올랐던 2004년작 영화 '도쿄 타워'는 이와는 좀 다른 얘깁니다. 20대 초반 청년과 40대 유부녀(극중에선 엄마의 친구로 설정)의 비련 이야기였죠. 일본 최고의 인기남 중 하나인 오카다 준이치가 주인공이었습니다.


이 영화를 모태로 한 한국 드라마 '도쿄타워(물론 가칭입니다. 한국 드라마 제목을 '도쿄타워'라고 붙일 수는 없는 일... '남산 타워' 였으면 그것도 코미디였을 것이고...^^)'는 남녀 주인공까지 캐스팅되는 등 제작 초읽기 단계까지 갔지만 결국 만들어지지 못했습니다. 이유는 남자 주인공 물망에 올랐던 J군이 갑작스레 심각한 문제에 휘말렸기 때문입니다. 의혹은 사실로 밝혀졌고, J군은 긴 자숙에 들어갔고, 드라마는 무산돼 버렸습니다.

 

 



김지수가 출연한 그 많은 작품들 가운데 유독 이 두 작품을 놓고 얘기하는 이유는... 아마도 일본 문화에 관심있는 분들은 금세 눈치채실 수 있을 겁니다. 일본 드라마 '동창회'와 영화 '도쿄 타워'의 주인공이 구로키 히토미라는 같은 배우이기 때문입니다.

쿠로키 히토미라고 쓰는게 정확한 발음에 가깝겠지만 어쨌든 아직 한국의 일본어 표기법은 첫 음에서 '쿠'와 '구'는 모두 '구'로 쓰게 되어 있습니다. 1960년 생. 일본의 독특한 문화 요소인 다카라즈카 출신입니다. 모든 등장인물을 여성들이 소화하는 다카라즈카는 일본 연예계의 엘리트 코스로 불리기도 합니다. 구로키 히토미를 비롯해 '여왕의 교실', '보스'의 아마미 유키(아마도 '일본의 고현정'이라고 불러도 좋을 듯 합니다)나 미녀 배우 단 레이 같은 경우가 다카라즈카 출신의 대표적인 여배우로 꼽히죠.

 

 

 

 

다카라즈카의 특징은 남자 역을 맡은 배우는 미모와 관계 없이 다소 중성적이고 카리스마 있는 연기가 몸에 배고(아마미 유키를 보신 분이라면 충분히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반대로 여자 역 전문 배우는 여성스러움을 극대화한 연기의 달인이 됩니다. 구로키는 대표적인 다카라즈카의 여자 역할 배우였다고 합니다.

 

 

 

 

나이를 봐도 알 수 있지만 구로키는 스타가 된게 오래 전의 일입니다. 아마도 좀 나이드신 분들은 1990년대 말 일본 대중문화 개방의 물결과 함께 자주 거론됐던 '실락원'이라는 영화를 기억하실 지도 모르겠습니다.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한 '실락원'은 남편과 갈등을 겪던 청순한 유부녀가 훨씬 연상인 중년의 잡지 편집장과 불륜을 겪는 이야기입니다. 흔히 '일본의 안성기'라는 식으로 비교되는 야쿠쇼 코지가 남자 주인공을, 구로키 히토미가 여주인공을 맡았죠. 주인공들의 이름값에 비해 상당한 수위의 노출이 포함돼 있었기 때문에 일본에서도 화제였고, 국내 도입을 놓고 '수준높은 예술영화'냐 '왜색 에로영화'냐 하는 논란이 상당히 거셌습니다.

 


아무튼 이 영화가 1997년작이니 지금부터 15년 전. 이미 37세였던 구로키는 50대가 된 지금도 중년 여성의 로망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아마 국내 시청자들에게 알려진 드라마를 꼽자면 일본판 '하얀 거탑'을 들 수 있겠습니다. 이 드라마에서 구로키는 한국 드라마로 치자면 장준혁(김명민) 박사의 애인인 카페 사장(한국에선 와인바 주인) 역을 맡았습니다. 한국판에선 김보경이 연기한 역할이죠.

 


구로키는 올해도 '추정유죄'라는 드라마에서 주역을 맡았습니다.

출연작들을 훑어보면 배우의 이미지가 대략 그려집니다. 나이에 상관없이 '여자'의 느낌을 가진 배우죠. 특히 '세월이 흘러도 늙지 않는 여자'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일본을 대표하는 '방부제 복용 배우'의 이미지가 강합니다. '40대의 나이에도 20대 남자와 연애할 수 있는 여자'의 대표자로 꼽히기도 합니다.

 

일본 사람들이 특히 좋아하는 앙케이트 조사에서도 젊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모시고 싶은 여자 상사', 3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모델로 삼고 싶은 중년 여성' 등의 상위권에 단골로 뽑힙니다. 1991년 결혼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남편의 신상 등은 잘 알려지 있지 않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이 있으면 좀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여담이지만 일본 연예계와 연예 저널리즘의 관계는 한국인들의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경우도 대단히 많습니다. 가끔 보면 놀라울 때가 한두번이 아닙니다.)

 

 

 

 

 


이쯤 되면 김지수와 구로키 히토미의 비교가 그리 무리가 아니라는 것을 느끼시게 될 겁니다. 나이를 무시한 방부제 미모, '연하남'이라는 코드, 꾸준한 인기, 여성들의 선망. 물론 12년의 나이 차이가 납니다만, 구로키 히토미를 통해 대략 12년 후 김지수의 모습을 상상해 볼 수도 있을 듯 합니다.

 

아무튼 현재의 모습은 오늘 밤에도 방송되는 '러브 어게인'.^^

 

 

 



728x90

제목을 보시면 '응? 주지훈과 류정한이 무슨 관계지?' 하실 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드라마 마니아라면 다르시겠죠. 두 사람 모두 드라마의 거장 황인뢰 감독이 '깜짝 주인공'으로 캐스팅한 인물들이라는 점을 쉽게 아실 수 있을 겁니다.

 

드라마 제작 현장의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캐스팅 과정이야말로 진짜 드라마'라는 말을 합니다. 작가와 연출자가 처음 대본을 만지면서 생각했던 주인공들이 그대로 캐스팅되는 경우는 100에 하나가 될까 말까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처음 구상과는 전혀 다른 주인공이 등장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깜짝 신인이 '혜성과 같이 나타나서' 스타덤에 오르기도 합니다. 물론 이런 경우도 있고, '누가 봐도 망할 수가 없는 주인공'을 캐스팅한 드라마가 산산조각이 나는 경우도 흔합니다. 그것이 드라마의 세계죠.

 

 

 

 

최근 끝난 '아내의 자격'의 안판석 감독과 현재 방송중인 '러브 어게인'의 황인뢰 감독은 각기 일세를 풍미한 명 드라마 연출자로 유명합니다. 이 분들의 작품들 가운데서 신인 기용과 관련해 대조적인 경우가 문득 떠오릅니다.

 

안판석 감독은 '아내의 자격'의 주인공 이성재를 처음으로 주인공에 기용한 연출자입니다. 바로 1997년작인 드라마 '예스터데이'죠.

 

 

 

당초 이 드라마는 메인 주인공인 영호 역을 비워 놓고, 영호의 의붓형인 민수 역에 이종원을, 그리고 두 남자주인공을 갈라 놓는 여주인공 역으로 김소연을 캐스팅해놓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메인 주인공 캐스팅은 잘 되지 않았습니다.

 

결국 안 감독은 이종원을 영호 역으로 바꾸고 대신 민수 역에 거의 완전히 신인인 이성재를 기용하는 모험을 합니다. 이 작품으로 이성재는 호평을 받았고, 두 남자 사이에는 별 문제가 없었지만(오히려 강한 인상의 이종원이 선한 주인공으로, 선하고 유약한 인상의 이성재가 이종원에게 앙심을 품는 역으로 등장하며 신선한 느낌을 줬다는 평이 주류였죠) 대신 이종원과 김소연이 너무 나이 차이가 커 보이며 케미스트리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드라마는 크게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이와는 정 반대 케이스가 '궁'입니다. 궁은 일찌감치 김정훈을 남자 2번 격인 이율 역으로 캐스팅하고, 주인공으로 모델 출신 신인 주지훈을 캐스팅합니다. 당시 지명도로 보나, 인기로 보나 UN 출신의 김정훈이 주지훈보다 높은 급의 배우였죠.

 

당연히 김정훈을 메인 주인공으로 올려 놓고 두 배우의 역할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지만 제작진은 단호하게 그런 주장을 잘라 버렸습니다. 주지훈의 외모에 대해서도 어딘가 이상하다(지금 들으시면 깜짝 놀랄 얘기지만 '궁'이 방송되기 전에는 이런 얘기가 꽤 많았습니다)는 의견이 나왔지만, 역시 황인뢰 감독은 끄덕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궁'은 히트했고, 주지훈은 바로 톱의 자리에 올랐죠.

 

물론 이런 선택 때문에 '궁'은 히트하고 '예스터데이'는 실패했다는, 말도 안 되는 얘기를 하자는 건 아닙니다. 드라마가 성공하고 실패하는 데에는 엄청나게 많은 변수가 있기 마련이죠. 다만 당시 '궁'의 연출자가 황인뢰 감독이고, '궁'에 이어 다시 한번 남자 주인공에 드라마 경험이 한 번도 없는 신인을 기용한 거라는 점에서 유사점을 느낄 수 있다는 겁니다.

 

 

 

 

또 류정한이 연기 경력이 없는 신인이냐면 그건 또 아니고.^

 

최근 김무열 조정석 엄기준 주원, 멀게는 오만석 신성록 송창의 박건형 등등 뮤지컬계에서 내로라 하는 이름들이 드라마나 영화에 진출해 각광받고 있는 건 어제 오늘 얘기가 아닙니다. 그런 수많은 스타들 가운데서도, 뮤지컬 본령에서 류정한의 이름을 넘어선 연기자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있다면 조승우 정도?)

 

 

 

 

뮤지컬 출신 배우들이 성공하는 이유는 뭘까요. 아마도 가장 먼저 꼽을 수 있는 것이 안정된 발성입니다. 위의 연기자들 가운데서 목소리가 매력적이지 않은 배우는 없다고 봐도 좋을 것이고, 그 중에서도 류정한의 적당히 기름기 있는^^ 저음은 특히 매력적이죠. '러브 어게인'에서 보면 '과연 저런 목소리의 형사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좀 들긴 하지만, 아무튼 목소리 참 좋다는 데에는 이견을 달 수가 없습니다.

 

연기력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도 있을 수 있습니다. 대극장 무대에서의 연기와 클로즈업이 들어갈 수 있는 드라마/영화에서의 연기가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야구로 치자면 내야에서의 송구냐, 외야에서의 송구냐 정도 차이일 뿐, 기본적으로 어깨가 탄탄한 선수라면 어느 쪽이든 적응하게 되어 있습니다.

 

 

 

가능하면 류정한이 드라마에서도 노래하는 장면을 한번 정도 보여주면 기존의 팬들 외에 새로운 팬들을 확보하는 데에도 상당히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바람이 있었지만, 본인의 뜻과 다르다 보니 그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혹시 모르겠습니다. 뒤로 가면 한번쯤 가능할지도...^^) 뭐 뮤지컬 배우가 되고 싶었지만 강력계 반장이 된 형사... 괜찮지 않을까요.

 

그런 의미에서 류정한의 노래 한 곡.

 

 

 

만약 류정한을 드라마에서 처음 보신 분이라면, 지금은 드라마 속 역할 때문에 조용조용 나지막한 목소리로 속삭이는 남자라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노래를 들어 보시면 그 안의 열정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728x90

'어벤저스'라는 영화가 나오기 까지의 과정에 대해 미국 그래픽 노블('만화책'에 대한 공손한 표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니아들에게 물으면 '그걸 어떻게 한두시간에 설명하란 말이냐'는 표정을 짓곤 합니다.

물론 그 엄청나게 복잡한 계보와 역사(절대 정리되지 않습니다. 작가가 바뀔 때마다 새로운 우주가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를 일반 관객들이 이해할 필요는 절대 없습니다. 일단 '미국 만화'에는 DC 계열과 마블 계열이 있다는 것, 그리고 영화화를 기준으로 볼 때 DC 계열보다는 마블 계열이 훨씬 결속력이 강하다는 정도만 이해하시면 될 듯 합니다.

아니, 사실은 이런 사전 지식도 필요 없습니다. '아이언맨' 이후 '퍼스트 어벤저-캡틴 아메리카', '토르' 같은 영화들은 이미 '어벤저스'를 만들기 위한 밑밥이라는 점을 관객들에게 너무나 분명히 알렸기 때문입니다. 즉 위 두 편의 영화는 독자적으로 존재한다기 보다는 '어벤저스'의 사전 홍보 영상같은 의미라고 봐야겠죠.

 

줄거리. '어벤저스'는 가장 직접적으로, '토르'에서 이어집니다. 토르에게 한번 박살이 난 토르의 의붓동생 로키는 외계 전사 종족의 후원을 받게 되고, 자신만의 독특한 스파이 능력을 이용해 이 외계 전사들을 지구로 불러들여 지구인을 멸망시킬 계획을 실천에 옮깁니다.

한편 로키에게 큐브를 빼앗긴 퓨리 국장과 SHIELD는 슈퍼 히어로들의 연대를 통해 지구를 위협하는 적을 물리친다는 '어벤저 프로젝트'를 실천에 옮깁니다. 하지만 예상대로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배너 박사(헐크), 토르 등 개성 강한 히어로들은 절대 합심하지 못하고, 결국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사태가 빚어집니다.

사실 지금 리뷰랍시고 이 글을 쓰고 있지만 실상은 그냥 잡담이 될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그런 쪽이, 이 영화를 만든 사람들이나 보고 즐기는 사람들의 동기에 더 부합하는 일이 될 것 같기 때문입니다. 남들이 웃자고 하는 일에 죽자고 달려드는 것처럼 바보같은 일은 없겠죠.^^

굳이 볼까 말까를 물으신다면, 시원시원한 볼거리를 원하시는 분들은 당연히 보셔야 할 작품입니다. 뭣보다 한국형 히어로 아이언맨이 나오잖습니까.

배트맨이나 스파이더맨과는 다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어차피 잡담이니까 번호 붙여 정리합니다.

1. 영화의 전반부를 보다 보면 제작진의 고민이 그대로 관객에게 전해집니다. 사실 이 영화를 만드는 데 있어 가장 큰 장애는 '우리편이 너무 강하다'는 데 있습니다. 주인공들이 이미 신격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체 얼마나 강한 적을 붙여야 관객이 긴장하게 될까요?

이미 지나치게 강한 우리편과 듣보잡 상대편이 균형을 이루게 하는 방법 가운데 가장 간단한 해결책은 결국 '자중지란'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반부의 이야기는 참 바보같고 한심한 오해와 과민반응의 연속이라 보는 사람을 짜증나게 하기 쉽지만, 또 그럴 수밖에 없다는 제작진의 사정을 이해하고, 넓은 마음으로 얼른 전반부가 지나가기를 기대하는 것이 올바른 관객의 태도입니다.

 

                                ...너무 약한 적. 그래. 바로 너.

2. 사실 말이 나왔으니 얘긴데, 지금도 이미 너무 강한 어벤저스지만 여기에 같은 마블 코믹스 소속인 스파이더맨이나 X맨의 일부 멤버들까지도 포함될 수 있었다는 걸 생각하셔야 합니다. 물론 지금도 혼자서 잘 먹고 잘 살고 있는 스파이더맨이 굳이 이 판에 숟가락을 들고 낄 이유가 없고, X맨과의 연대는 안 그래도 복잡한 히스토리를 더욱 더 꼬이게 할 우려가 있으니, 지금 정도의 선에서 마무리한 것이 현명한 선택이란 생각입니다.

아무튼 1, 2번의 어려움을 생각하면 조스 웨든 감독의 솜씨는 인정하게 됩니다.

 

3. 사실 진정한 슈퍼히어로 연합이라면 아이언맨, 캡틴, 헐크, 토르 정도까지가 적당합니다. 이미 이 정도만 해도, 솔직히 토르는 신이고 다른 멤버들은 사람인데 토르와 아이언맨이 동등하게 치고받고 한다는 것부터 좀 불편하죠. 게다가 실전에서 가장 위력적인 멤버가 방패도 없고 맨살로 뛰어다니는 헐크라는 건 아무래도 좀 무리라는 생각이 듭니다만...

하지만 이보다 더 큰 문제는, 정작 실전에서 '히어로'인 캡틴 아메리카가 '아무 초능력 없는 진짜 사람'인 호크아이나 블랙 위도우에 비해 뭐 하나 뾰족하게 나은 게 없더라는 점입니다. 물론 그의 가장 큰 강점은 '무적의 방패'입니다만, 그 방패 없는 나머지 멤버들도 적들의 사격은 그냥 야구장 레이저 정도로밖에 여기지 않습니다(한방도 안 맞아요). 그 결과, 맨주먹으로 맞서는 캡틴은 그냥 명예 멤버 역할이나 하고 있습니다. 캡틴 아메리카의 팬들에겐 참 안타까운 일일수도...

 

 

4. 이 영화의 시각은 은근히 우익적입니다. 영화 도중 아이언맨은 SHIELD에서 외계의 에너지원인 큐브를 이용해 무기를 개발하고 있었다고 폭로하고, 캡틴 아메리카와 (권력기관 민간인 사찰의 직접적인 피해자인) 배너 박사가 "내 너희 기관원들이 하는 짓이 그렇게 음흉할 줄 알았어! 니들 나한테도 *****하게 했잖아!"라고 흥분합니다.

하지만 결론은 '그걸 니들이 알아봤자 이런 소란밖에 더 피워?'와 '입만 살아 있는 무책임한 히어로들보다는, 욕먹을 각오를 하고 묵묵히 아무도 모르는 위험에 대비하고 있었던 SHIELD가 짱'이라는 쪽.

 

5. 새로 추가된 배우가 워낙 없기도 하지만, 개인적으론 코비 스멀더스의 출연이 매우 반가웠습니다. 시트콤 'How I met your mother'의 미녀 로빈을 아시는 분들이라면 마찬가지로 반가우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 영화에선 별 존재감 없는 역이었지만 감독 조스 웨든이 극장판 '원더우먼'을 계획할 때 타이틀 롤을 맡기려고 했던 인재입니다. 물론 취소된 프로젝트. 아래 사진은 아마도 그 프로젝트에서 영감을 얻은 팬 아트인 듯 합니다.

완전히 박살난 TV판 원더우먼 리메이크는 대체 왜 그런 캐스팅을 했는지, 다시 한번 생각납니다. 거기에 비하면 코비 다이애나 프린스는 여신이군요.

6. '어벤저스'의 제작과 거의 확실한 '어벤저스2'의 예고에도 불구하고 '아이언맨3'가 2013년에 나올 예정이라는 건 역시 '어벤저스' 프랜차이즈가 아이언맨 없이는 존립 불가능한 상황이라는 걸 대변해 주기도 합니다. 아이언맨이 유재석인 '무한도전'이라고나 할까요. 아무리 전투력은 헐크가 최강이라도 결국 멋진 역할이나 재미있는 장면은 모두 아이언맨 차지. 애인이 나오는 캐릭터도 아이언맨 혼자 뿐.

이렇게 보면 '어벤저스'는 '아이언맨' 2편과 3편 사이의 간격을 메워 주는 '아이언맨 2.5' 의 역할이라고 보는게 좋지 않나 싶습니다.

그나저나 이렇게 전 우주적으로 놀게 된 아이언맨을 다시 지구 안으로 끌어들이려면 '아이언맨3' 제작진은 얼마나 더 고민해야 할까요.

 

7. 베스트 신은 헐크가 보여주는 '분노의 빨래 털기'.^^

   이 한 장면만으로도 입장료가 아깝지 않습니다. 후련합니다.

 

P.S. 대체 항공모함이 공중에 떠 있으면 얻을 수 있는 이점에는 뭐가 있을까요?

       어뢰에 맞지 않는다? 기뢰 공격을 피할 수 있다? ㅋ

       ('첼로리스트'는 워낙 많은 분들이 지적하신 터라 뭐 굳이.)

 

 


조 아래쪽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JTBC 새 수목드라마 '러브 어게인' 첫방이 나갔습니다. 탄탄한 줄거리와 배우들, 연출력이 뒷받침 된 드라마이다 보니 첫 방송이지만 반응도 괜찮았습니다. 4%대 시청률로 막을 내린 '아내의 자격'의 후속이라서인지 첫회가 2%대 시청률을 기록했습니다.

그런데 드라마를 보다 보니 가장 먼저 생각나는 건 드라마 줄거리보다 여주인공 김지수였습니다. 곰곰히 생각해 보니 제가 김지수를 TV에서 처음 본 게 1994년의 '종합병원'이더군요. 뭐 저 뿐만 아니고 거의 모든 분들이 그랬을 거라고 생각되는데, 놀랍게도 김지수의 모습이 그때와 별 차이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요즘 '뱀파이어녀' 혹은 '방부제녀'라는 말이 좀 장난스럽게 쓰이곤 하는데, 김지수야말로 진정한 뱀파이어족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이건 바로 이번주 월요일에 있었던 '러브 어게인' 제작발표회장에서 찍힌 김지수의 모습입니다. 김지수는 1972년생. 오는 10월이면 만 40세가 됩니다. 극중 설정 나이가 얼추 45세면 실제 나이에 비해 큰 무리는 아닐 듯 하지만, 저 비주얼로 45세...라는 것은 진짜 45세 전후의 여성들에겐 참 불쾌한 일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쨌든 서서히 거슬러 올라가 봅니다.

 

2008년작 '태양의 여자' 때 한 잡지와의 인터뷰 사진입니다.

'태양의 여자'가 벌써 4년 전 드라마라는 것도 그렇지만, 지금과 김지수는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뭐 4년 전이니 당연히 그럴 법 합니다. 

 

2005년작, 영화 '여자, 정혜' 때의 스틸입니다.

지금보다 살짝 어려 보이는 건 헤어스타일 탓인 듯도 하고... 아무튼 뭐 그닥 달라진 건 없는 얼굴입니다. 아무튼 중요한 건 지금부터 7년 전의 모습이라는 것. 

 

2001년작 드라마 '온달왕자들'에서의 모습. 자, 한번 맨 위의 사진과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어찌 보면 며칠 전에 찍힌 사진보다, 이 모습이 나이들어 보인다고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무려 11년 전의 모습입니다.

 

 일일드라마로 공전의 히트작이던 '보고 또 보고' 시절의 사진. 고인이 된 박용하가 옆에 있어 세월을 느끼게 하지만 아무튼 엊그제 찍은 사진이라고 해도 놀라지 않을 정도.

어쨌든 1998년, 지금부터 14년 전입니다.

 

1997년작 '내안의 천사' 시절. 오른쪽에는 장진영의 모습이 있습니다. 이 사진 역시 지금보다 조금 나이들어 보인다고도 할 수 있는 모습...^^

 

이게 실질적인 데뷔작인 '종합병원' 때의 모습입니다. 1994년. 진짜 데뷔작은 1993년의 '머나먼 쏭바강'이지만 아무튼 사람들이 기억하는 첫 작품은 이거라고 해야 할 듯 합니다.

 

이해 11월 경향신문의 인터뷰 기사에 실린 사진. 역시 지금과 다른 점이라면 살짝 남은 볼살 정도? 대개는 이 볼살이 빠지면서 좀 더 성숙한 분위기를 풍기기 마련이지만 김지수는 볼살이 없어지면서 오히려 점점 더 젊은 얼굴이 되어 간 듯 합니다.

어쨌든 제 느낌으로는 이 사진이 더 나이들어보입니다. 다른 분들에게도, 최소한 18년 전의 모습으로 보이지는 않을 듯 합니다.^^ 보통 사람들과 비하면 더욱 그렇고, 연예인들 가운데서도 18년 전의 모습과 지금의 모습이 이 정도인 사람은 몇이나 될지 모르겠습니다.

엊그제 김지수가 나온 드라마 '러브 어게인'의 티저 영상 가운데 김동률의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를 배경에 깐 버전이 공개됐습니다. 아마 드라마로는 4부 정도에 나오는 장면일 겁니다.

 

이 영상 속에 나오는 김지수와 다음 영상 속 김지수를 한번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쪽은 2001년 공개된 김동률의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 공식 뮤직비디오입니다. 공교롭게도 이 영상에서도 김지수가 주인공을 맡았습니다. 화장법이 요즘 유행과 좀 달라지긴 했지만 참 세월이 흘러도 이렇게 안 변할 수가 있나 싶더군요.

 

김지수가 데뷔한게 벌써 19년 전. 참 여러가지로 놀랍습니다.

뭐, 그냥 그렇다는 얘기죠.^


조 아래쪽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아내의 자격'이라는 드라마를 보고 있으면 참 여러가지 생각이 떠오릅니다. 팔이 안으로 굽어서인지는 모르지만, 매회 볼 때마다 사람을 놀라게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아내의 자격' 10회는 한국 드라마에 나오는 이혼 이야기 속에서 새로운 한 획을 그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그 중에서도 가장 놀라운 부분은 이혼한 부부의 자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흔히 한국 드라마에서 그려지는 이혼한 부부의 모습은 '폭력 남편', '바람피는 남편'과 '폭력 피해자 아내' 또는 '자식새끼 내버리고 튄 화냥년'이라는 아주 전형적인 형태를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아내의 자격'은 다르더군요. 특히 자녀에게 이혼을 설명하는 부모의 모습은 지금까지 본 적이 없는 광경이었습니다.

이혼을 맞는 주인공들의 모습에서 '아내의 자격'이 다른 드라마들과 어떻게 다른가 한번 정리해 봤습니다.

 

10회에서 서래(김희애)는 초등학교 5학년생인 결이를 찾아갑니다. 과연 5학년인 아들에게, 이 문제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더구나 이렇게 '자식을 버리고 바람나서 달아나는' 경우를 아이에게 어떻게 전할까.

대부분의 경우라면 이런 부모들은 그냥 바로 숨어 버릴 겁니다. 드라마 속에서도 아예 죄책감 때문에 아이와의 관계를 끊는 것으로 그려지죠. 하지만 서래는 아이를 만나 차분하게 설명합니다.

 

왜 엄마와 살 수 없느냐는 질문에 "양육권은 경제력이 있는 사람에게 주어지고... 엄마가 잘못해서"라는 설명이 이어집니다. "아빠 말고 다른 아저씨를 좋아하게 되어서"라는 말에도 결이는 심하게 충격받지 않습니다. 그게 자기가 좋아하는 치과 의사 아저씨라는 데에서야 놀랄 뿐입니다. 이미 초등학교 5학년만 되어도 자신의 부모들이 이혼할 수 있다는 것, 다른 사람을 좋아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는 요즘 아이들의 모습입니다. 그래서 결이는 엄마를 만났다는 사실을 아빠에게 이야기하면 이렇게 말합니다.

"나혼자 이런 저런 상상 많이 했는데 다 알게 돼서 좋았어요. 다음주에는 엄마 만나러 가고 싶어요."

그런 조숙한 아이에게 서래가 전하고 싶은 것도 "엄마는 너를 버리는게 아니야"라는 한마디입니다. 아이의 아버지를 떠난다고 아이의 엄마가 될 자격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 한국 드라마에서 이런 이야기를 이렇게 가슴으로 전하는 여주인공이 지금까지 몇이나 있었을까요.

(사실 '아이에게 말하기'라는 것은 이런 경우의 부모들에겐 고문에 가까운 일일 겁니다. 그걸 잘 알기에 지선(이태란)도 태오(이성재)에게 "딸에게는 네가 저지른 짓, 직접 얘기하라"고 쏘아붙입니다.)

 

또 하나, 이 드라마가 보여주고 있는 것은 '이혼의 이유가 불륜' 만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동안의 수많은 드라마에서는 '바람 피우다 이혼하는' 수없이 많은 커플들이 등장해왔습니다. 하지만 이 드라마에서 태오-지선 부부가 갈라서게 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부부가 함께 살다가 헤어지는 이유에는 수천만가지가 있다는 것을 넌즈시 보여줍니다.

지선은 두 사람이 헤어지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하다가 문득 '강남좌파 이야기'를 꺼냅니다. 이른바 '패션좌파'라고도 불리는 강남 부유층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태오가 대학생이던 시절 운동권이었다는 것은 이미 태오의 선배이자 서래 남편 상진의 친구인 진만(현재 국회의원이 되어 있는)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런 태오와 캠퍼스 커플이었던 지선 역시 그 영향 속에 있었을 겁니다. 아마도 '동지적 관계'였을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지금 지선은 강남 한복판에서 상위 1%의 사람들이 다음 세대를 키워내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학원 강사가 아니라 성공한 경영인으로 변신해 있고, 학원기업을 일으키자는 야망도 갖고 있습니다. 또 '내 딸 만큼은 상위 0.1%로 키워내야겠다'는 속내를 내비치기도 합니다.

그런 지선 때문에 호의호식하는 것도, 지선이 변해가는 모습을 보는 것도 태오에겐 모두 불만입니다. 이것이 어느새 부부 사이를 냉랭하게 만든 것이죠. 그리고 태오에게만 불만이 있었던 건 아닙니다. 지선도 태오의 그런 모습을 보면서 늘 하고 싶던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다들 강남 좌파라고 한껏 폼 내고 사는데 이 남자(태오)는 왜 그렇게 못 할까. 화염병 만들던 애들이 빈티지 와인 마시고, 가끔 소탈한 척도 해야 하니까 막걸리도 있는 종류대로 골라 마시고, 다들 그렇게 사는데 왜 이 남자는 그걸 못하나."

이런 불만이 쌓이고 쌓여 결국은 부부가 갈라서게 되었다는 설명입니다.

 

마지막으로 정성주 작가는 이혼 이야기의 전개에서도 새로운 장을 열어 보입니다. 지금까지 부부 사이의 위기, 혹은 '불륜' 문제를 진지하게 다룬 드라마들은 대부분 '이혼을 하느냐 마느냐'를 정점으로 삼았습니다. '아내의 자격'과 간혹 비교되곤 했던 '애인'에서도 유동근과 황신혜가 연기했던 두 주인공은 결국 고뇌 끝에 가정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막을 내렸죠.

하지만 김희애와 이성재는 16부작 드라마의 10회에서 갈라서 버립니다. 나머지 6회는? 기존의 드라마 진행속도로 본다면 이건 보너스인 셈이죠. 말하자면 지금까지는 '아내의 자격 1부'였던 셈이고, 이제 '아내의 자격 2부'가 제대로 시작할 조짐입니다.

 

물론 서래의 눈물겨운 고생담도 지금부터 시작일 듯 합니다. 태오에게는 동화책에 삽화를 그리는 일러스트레이터로 고생 없이 살고 있는 척 하지만, 실제로는 생활을 위해 고기집에서 한밤중까지 불판을 닦는 고된 삶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11회에서는 그런 현실을 태오가 알게 되는 듯 하더군요. 이래저래 차회가 기다려집니다.^^

 

728x90
요즘 입소문 최강인 영화 '건축학개론'. 명성대로 잘 만들어진 멜로드라마입니다. 이용주 감독의 '불신지옥'을 보고 '이야, 이렇게 뻔할 듯한 이야기를 갖고 이만치 재미있는 영화를 만들어 내다니!' 하고 재능에 감동한 게 엊그제같은데 어느새 새로운 영화, 특히 전작과는 전혀 다른 장르의 영화를 가지고 이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는 게 감개무량합니다.

소문대로 이 영화는 Y대 건축공학과를 나온 감독이 90년대초 Y대 건축공학과 학생을 주인공으로, Y대 건축공학과 출신인 가수 김동률의 노래 '기억의 습작'의 도움을 받아 만들어 낸 영화입니다. 시대의 디테일이 살아 있는 것은 물론이고, 영화를 보는 사람이 30대 이상의 성인이라면 누구라도 자신의 '바보같은 스무살 시절'을 떠올릴 수 있는 촉촉한 작품입니다.

그래서 하고 싶은 말은 이 정도. "날이 더 더워지기 전에 얼른 보세요."



현재. 건축사무소에서 일하고 있는 승민(엄태웅)에게 어느날 갑자기 잊고 살던 15년 전의 첫사랑 서연(한가인)이 찾아옵니다. 처음에는 서현을 알아보지도 못하는 승민. 그런 승민에게 서현은 의사 남편과 함께 살고 있다며 제주도에 지을 집을 설계해 달라고 요청합니다.

15년 전(1997년?). 건축공학과 신입생 승민(이제훈)은 1학년 2학기 건축학개론 시간에 음대생 서연(배수지)을 보고 가슴이 설렙니다. 알고 보니 한 동네에 살고 있는 서연. 제훈과 서연은 갑작스레 가까워지고, 건축학개론 과제를 위해 꽤 멀리까지 함께 나다니는 사이가 됩니다.

하지만 워낙 경험이 없는 탓에 이 감정을 어떻게 주체해야 할지 모르는 승민. 갓 스무살의 신입생에게 사랑이란 너무나 힘든 일입니다.




그렇습니다. 처음 이런 감정을 느끼는 사람들은 '크로니클'에서 갑작스런 초능력을 갖게 된 10대들이나 마찬가집니다.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가장 에너지로 충만해 있는 시기죠(감정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모두 그렇습니다). 문제는 첫사랑이라는 것을 느끼게 될 때, 이 에너지는 어느 방향으로든 건드리기만 하면 폭발하려는, 상온에서의 니트로글리세린같은 상태가 된다는 겁니다.

감정은 느끼되 그 감정을 통제할 수 있는 이성과 경험이 현저하게 부족하기 때문이죠. 에리히 프롬이 젊음에 대해 '사랑은 충만해 있으되 그 사랑을 어디로 쓸 줄 모르는 상태'라고 한 말이 생각납니다. 그래서 사소한 오해, 별 것 아닌 힌트, 아무 일도 아닌 위기감, 그리고 질투, 선망, 동경 등등 미세한 감정의 흐름에 의해서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방향으로 치닫곤 합니다.

'건축학개론'은 제목대로(?) 바로 이런 '첫사랑에 대한 개론' 역할을 톡톡히 합니다. 첫사랑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온갖 낭만적인 병리적 증상을 남김없이, 그리고 매우 뛰어나게 보여주고 있는 영화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첫사랑에 대한 잘 만든 영화가 어디 한두편일까마는,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주제의 영화가 흥행하기 위해서는 상당 기간 - 한 영화가 우려먹고 지나가고, 그 세대가 흘러가 다음 세대가 비슷한 주제를 찾을 때까지 - 이 소요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영화는 1986년의 '겨울나그네', 2000년의 '번지점프를 하다'에서 적절한 거리를 두고 있다는 점이 매우 고무적입니다. 이제 '첫사랑'이라는 단어를 2012년의 '건축학개론'으로 자연스럽게 연결짓는 세대가 나타나겠죠.)



개인적으로 - 뭐 다른 많은 분들도 비슷한 분들이 많겠지만 - 이 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뭐니뭐니해도 신입생 시절의 승민과 서연이 아파트 옥상에 올라가 김동률의 노래를 듣는 장면입니다. 

승민은 서연이 건네 주는 이어폰의 한쪽 끝을 귀에 꽂습니다. CD 플레이어가 작동되기까지 약 2,3초간의 정적이 흐르고(물론 이 정적이 대단히 인상적입니다. 아무 것도 들리지 않는 이 순간은 서연에 대한 승민의 마음을 0의 상태, 즉 컴퓨터로 말하자면 초기화시키는 시간인 셈입니다), 김동률의 익숙한 첫 가사, '이젠/ 버틸수 없다고...'가 흘러나옵니다.

아마도 승민은 먼 훗날 누군가로부터 '언제 서연에게 처음 사랑을 느꼈느냐'는 질문을 받는다면 이 순간을 기억할 겁니다. 관객도 마찬가지일테죠. 이렇게 이용주 감독은 필요한 부분마다 적시타를 날려 주는 강타자의 면모를 보입니다.




표면상 주인공은 엄태웅/한가인으로 되어 있지만 사실 이 성인 부분은 그냥 간판 역할입니다. 진짜 영화의 핵심은 이제훈/배수지에게 가 있죠. 이 사실은 모든 사람이 다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캐스팅은 매우 절묘했습니다.

이제훈은 갓 명문대에 입학한, 다소 어려운 집안의 젊은이로서 완벽합니다. 잘생겼으면서도 어딘가 어두운 듯한 그늘이 스스로에 대한 자부심과 함께 한국사회가 본격적인 빈부 양극화로 접어들기 직전, '한국사회에서 강남이 갖는 의미와 강남 문화를 접했을 때 본능적으로 느끼는 위축감'을 완벽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반면 (최고의 걸그룹 출신인) 배수지는 그런 부분에서 묘한 존재입니다. 승민이 서울 강북 지역에서 자라났고, '강남/강북'의 구도가 그에겐 너무나 익숙하고 폭력적인 느낌이라면, 아예 서울 사람이 아니었던 서연에게는 그런 구도가 큰 의미가 없다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제주도에서 자라나 '서울 사람'으로의 편입을 꾀하는 서연에게는 '기왕이면 강남이 더 멋지지 않아?'라는 의식이 너무나 자연스럽습니다.

승민과 서연의 첫사랑이 무참히 사라진 이유 이면에는 이처럼 '강남/강북'이라는 지리적, 문화적 구조에 대한 두 사람의 인식 차이가 큰 역할을 합니다. 좀 더 노골적으로 말하자면, 이미 서울 지역에서 '강남 문화'에 대한 열등감과 적대감을 느끼고 있던(말하자면 '계급에 대한 인식'인 거죠) 승민은 그 외곽으로부터 진입해서 너무나 자연스럽게 강남 문화에 대한 선망과 편입 의지를 보이는 서연을 용납할 수 없습니다. 서연을 사랑할수록 그 불만은 점점 깊어갈 뿐입니다. 

아마도 승민은 서연이 자신의 처지나 시각을 '알아서' 공유해 주기를 바랐겠지만, 불행히도 그런 '강남/강북'에 대한 인식이 없는 서연은 이런 승민이 불안하고 어색해 보일 뿐입니다. 안경 쓴 선배는 그 '강남'을 상징하는 존재지만 '그날밤의 사건'은 사실 둘이 헤어지는 데 부수적인 이유일 뿐입니다. 애당초 이런 인식 차이가 있는 한 승민과 서연은 잘 될 수가 없는 관계였죠. 이용주 감독은 그 부분을 잘 알고 있고, 관객에게도 너무나 선명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영화를 보신 분들은 아마 이해하실...)



승민의 눈에 비치는 서연은 '예측불가능한 요정'입니다.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없는 신비로운 존재인 것이죠. 이런 대상이 되려면 '너무 예쁘고 세련되어서 감히 접근할 수 없는' 존재여서는 안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영화 속 서연 역을 구현하는 배수지의 스타일과 연기는 완벽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드림하이' 때와는 비교할 수 없는 발전이 엿보입니다.





영화에서 표제곡으로 등장한 노래는 다 아시는 '기억의 습작'이지만, 영화를 보다 보면 절로 떠오르는 노래는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 입니다. 물론 영화 속에서 직접 들었다면 줄거리의 균형을 깨는 요소로 작용했겠지만. (이렇게 쓰고 보니 이 영화의 포스터 중에 이 카피가 써 있는 버전이 있군요.^^)



P.S. '우리는 모두 누군가의 첫사랑이었다'는 말은 사실 거짓말입니다. '우리중 인기있는 누군가는 여러 사람의 첫사랑'이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우리' 중 많은 '나'는 어느 누구의 첫사랑도 아니었을 겁니다. (네. 불편한 진실이죠.^^ 대중은 속고 있습니다.) 


P.S.2. 납뜩이 짱!^^ 


조 아래쪽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JTBC 수목드라마 '아내의 자격'을 보다 보면 가슴이 서늘해지는 한마디가 툭툭 튀어나올 때가 있습니다.

회사가 회사다 보니 주변에 널린 게 기자들입니다. 요즘은 신문과 방송이 한 건물 안에 있으니 신문기자, 방송기자가 다 있습니다. 그중 한 선배에게 요즘 '아내의 자격' 보느냐고 물었습니다. "야, 말도 마라. 요즘 집에서 마누라 그거 못 보게 하느라고 마크하는데 진땀 뺀다."

아니 회사의 간판 프로그램인데 못 보게 하다니, 이게 무슨 말인가 싶었습니다. "그 남편, 얼마나 찌질하게 나오냐? 거기다 기자잖아."


'아내의 자격'에서 극중 방송사 중견기자 한상진 역으로 나오는 배우는 장현성. 왕년에 '놀러와'에 출연해 "지적인 외모 때문에 한때 길에서 정치범(?)으로 오해받은 적도 있다"는 바로 그 배우입니다.

그런데 이 드라마에서 상진 캐릭터는 정말 '먹물 찌질이'의 대명사라 할만한 캐릭터입니다. 뭔가 아는 것도 많고, 방송에 나와서 하는 말은 다 그럴듯하지만 방송 밖으로 나오면 금세 본색이 드러납니다.


서래와 결혼할 때만 해도 뭔가 이상을 추구하는 사람인 듯 보였겠지만 결국은 출세와 성공을 기준으로 인생을 평가하는 그런 남자일 뿐입니다. 이런 사람들일수록 집에서는 큰소리를 쳐야 하고,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있어 보이는 말'로 자기를 포장하기 바쁩니다.

'이런 남자'에 대한 정성주 작가의 서릿발같은 비판은 이미 시청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바 있습니다. 바로 왕년의 히트작 '아줌마'에서 강석우가 연기했던 장진구라는 캐릭터입니다. 대학교수가 되기 위해 몸부림치는 속물 지식인이었던 장진구는 늘 학력 컴플렉스가 있는 아내 앞에서 자신의 지식을 대단한 양 포장해 떠들지만 자신의 실체와는 영 거리가 있는 모습일 뿐입니다.


14일 방송된 '아내의 자격'에서 상진은 한술 더 뜹니다. 캠핑장 가는 길을 못 찾자 "이런데 캠핑장 만드는 것 부터가 자연 훼손"이라고 욕을 하더니 캠핑장이 마음에 들자 "역시 사람은 자연의 기를 자주 들이마셔야 한다"고 금세 팔랑거리고, 처음 만난 태오 부부에게도 바로 '학번'과 '학교'를 묻고 그 학교의 '아는 사람'을 들먹이며 선배 행세를 합니다.

15일로 넘어가면, 상진은 무슨 생각에서인지 자신과 친한 태오의 선배를 불러내 굳이 술자리를 갖고, 술에 취해 나뒹구는 추태를 보입니다. 아무튼 학벌/인맥/사회적 지위 앞에 한없이 작아져 '언론인의 기개'같은 것은 어디론가 사라져 버리는 나약한 지식인의 모습을 한껏 보여줍니다.


사실 너무 익숙한 광경이어서 소름이 끼칠 정돕니다. 어쩌면 '주위 사람들에게 내가 저런 모습으로 비치고 있는게 아닌가'하는 불안감도 있습니다. 이쯤 되면 "집에서 그거 볼까봐 겁난다"는 선배 말이 가슴에 확 와 닿습니다.



아무튼 14일 가장 눈길을 끈 것은 불륜의 적발 장면. 늦은 밤 캠핑장에서 혼자 불 곁에 앉아 술을 마시던 태오는 담요를 뒤집어쓰고 나온 서래와 마주칩니다. 코를 고는 남편 때문에 잠을 이룰 수 없어 나온 것이죠. 차에 가서 자겠다는 서래를 따라 나선 태오는 서래의 차 옆자리에서 잠이 듭니다.

다음날 아침 햇살에 눈을 뜬 서래는 차창 밖에서 자신을 노려보고 있는 지선과 눈이 마주칩니다. 순간 헛것을 본 것이 아닌가 생각하는 서래. 모두 다 모인 자리에서는 전혀 내색하지 않던 지선은 각자 집으로 돌아가기 직전, 서래를 꼭 껴안고 귀에 나지막히 속삭입니다. "내가 결이 엄마 좋아하는 거 알죠?"


결국 다시 '내가 미쳤지 미쳤어'의 자세로 돌아간 서래는 지선을 찾아가 "모두 내 불찰"이라며 간곡히 사과합니다. (물론 주인공들이 이 선에서 마무리한다면 아무 일도 없는 평온한 가정이 회복될지도 모르겠지만, 그러면 드라마가 안 되겠죠.ㅋ) 하지만 이미 서래의 남편 상진과 시누이 명진이 사건의 추이를 알고 있는 이상, 간단히 일이 마무리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이번 주 방송에서는 두 개의 대사가 기억에 남습니다. 첫째는 태오에게 "이건 밥도 아니고, 공기도 아니에요'라고 말하는 서래의 대사. 뒤늦게 찾아온 감정이 소중하긴 하지만, 없어서 죽는 건 아니라는 걸 가리키는 얘기죠.

하지만 다음주 예고에서 서래는 "10년만에 내가 여자라는 걸 알게 됐다"고 합니다. 드라마며 소설에서 많이 나오는 말이지만 여운이 남다릅니다. 글쎄, 여자가 아닌 제가 이해하기는 참 힘든 얘깁니다만... 남자들이라고 매일 매 시간 '나는 남자다'라는 걸 스스로에게 다시 인식시키며 살지는 않죠. 그럼 남자들은 언제 '나는 아직 남자다'라는 걸 느낄까요. 그게 그렇게 소중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조 아래쪽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아내의 자격 - 김희애, 이성재 주연 JTBC 수목드라마]

드라마 '아내의 자격'에서 서래(김희애)의 대사 가운데 유독 눈길을 끄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미쳤어"입니다. 입으로는 계속 '미쳤어' '미쳤어'를 되뇌면서도, 마음이 몸을 어찌 하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대치동 교육 현실을 본격적으로 파고 들었던 1,2부에 이어 이번주 3,4부에서 '아내의 자격'은 서래와 대오의 격정이 명진과 은경의 감시망에 걸려드는데에까지 이어졌습니다. 작품의 완성도에 대한 찬사가 이어지는 가운데, 남성 시청자들에게는 한가지 의문이 생긴 듯 합니다. '과연 한번 빠지면 저렇게까지 될까?' 라는 질문으로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3부. 서래의 집에 시댁 식구들이 다 와서 저녁을 먹고 서래 남편 상진이 진행하는 '생생경제학'이라는 뉴스 꼭지를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양로원에 가서 서래 엄마의 치과 치료를 하고 돌아오는 태오가 계속 문자를 보냅니다. '전해드릴 물건이 있습니다', '지금 배에서 내렸습니다', '터널 막 지났습니다'. 그 문자를 계속 확인하는 서래는 금방이라도 손에서 그릇을 놓쳐 깨뜨릴 사람처럼 보입니다.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밝은 낮에 주세요' 이 한마디를 왜 못하나 화가 날 지경입니다. 마지막에 서래는 '경비실에 맡겨주세요' 이 한마디를 못 하죠. '경비실에 맡겨 주세요'를 문자로 다 쳐 놓은 뒤에도 서래는 끝내 보내질 못하고 달려나갑니다. 그리고는 태오의 차 옆자리에 앉아 숨을 헉헉거리며 이렇게 털어놓습니다.

"집에 시댁 식구들 다 와 있는데 거짓말 하구 나왔어요. 결혼해서 단 한 번두 안해본 짓이예요. 엄마가 치매라는 거두 숨기구 싶었지만 그러믄 내가 더 속상할 거 같아서 다 말했어요. 애 학원에선, 애 땜에 의논 좀 하자는데 그냥 내뺐어요. 그 학원 보낼려구 온갖 짓을 다 하구,원장 말이라믄 자다가두 벌떡 일어나야 마땅한데, 도망쳤다구요.  어떻게든 김태오씨 만나구 싶어서요. 지금, 원장이 전화 하라는데두, 안하구 싶어요. 내일 하구 싶어요. 말두 안되는 일이예요. 정신이 나간 거예요."

(정성주 작가님 존경합니다. 대사의 생생함이 피부로 느껴집니다.)

정말 미친게 맞습니다.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지금 시댁 식구들 다 와 있어요. 다음에 주세요'라고 했겠죠. 태오야 뭐 사정을 알리 없으니 그냥 문자 계속 찍어 보내는 거고. 아무튼 얼마든지 미룰 수 있었는데 서래는 미루질 못합니다. 왜. 그냥 당장 보고 싶은거죠. 당장 그 사람 얼굴을 못 보면 안될 것 같은 거고. 애가 초등학교 5학년인 주부가 말입니다.

실제로도 그런지는 제가 알 길이 별로 없지만, 영화나 드라마에서, 금단의 사랑에 빠져드는 여자들은 흔히 '미친 것'으로 묘사되곤 합니다. 예는 많습니다. 영화 '해피엔드'에서 전도연을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빠를 겁니다. 너무 남자(주진모)가 만나고 싶었던 전도연은 젖병에 수면제를 타 아기를 재워 놓고 달려나갑니다. 그 결과는... 유혈극이죠.



영화 '쌍화점'에서도 왕비 송지효는 왕의 심복인 무사 조인성에 대한 격정을 이기지 못하고 끝내 사고를 치고 맙니다. 이처럼 많은 작품에서 여자들은 '한번 사랑에 눈을 뜨면 세상 무엇으로도 막을 수 없는 격정을 가진 존재들'로 그려지곤 합니다.

사실 속설로도 이런 얘기는 자주 등장합니다. '남자는 어쩌다 바람을 피워도 금세 제자리로 돌아오곤 한다. 그냥 한번의 바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자가 바람이 나면, 남편이며 자식이며 다 버린다. 여자란 사랑에 눈멀면 아무 것도 안 보이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얼마나 맞는 얘기인지 알 수 없지만 참 많이 들은 얘깁니다.



제목은 저렇게 달았지만, 남자인 저로서는 참 궁금합니다. 왜 여자는 '스쳐가는 바람에 인생을 거는' 존재로 그려질까요. 왜 남자는 한번 스치고 지나가서도 흘러간 시절을 가끔씩 기억하며 잘 사는 반면, 여자는 평생을 잊지 못하고 한을 품는다고들 한 것일까요. 이런 건 정말 옛날, 여자들이 억압받고 살던 시절이나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 시절에나 통하던 얘기일까요?

그런데 정말 더 궁금한 건, '아내의 자격'을 보면서, 이 21세기의 다 열린 시대에도 여자들은 여전히 김희애의 심정이 이해가 간다고들 하는 겁니다. 과연 여자는 원래 그런 존재일까요?




P.S. 사실 김희애에 가려 잘 안 보이긴 하지만 '아내의 자격'에는 또 하나의 '미친 여자'가 있습니다. 바로 서래의 앞집에 사는 은주(임성민)입니다.

은주는 서래의 시누이인 명진(최은경)과 친구 사이지만 사실은 명진의 남편 현태(박혁권)를 공유하고 있는 사이입니다. 은주가 혼자 기르는 아들 재훈이 바로 현태의 아들인 것이죠. 한 동네에서 두집살림을 하다니 이게 말이 되느냐는 분들도 있지만, 사실은 치밀한 구성이 숨어 있습니다. 3부에 나온 바로 이 대화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은주-설마 당신 오늘 저녁 때 우리 앞집에 납실 건 아니겠지?
현태-돌았냐?!
은주-명진이가 늦더라두 오래던데?
현태-말이 그렇지!
은주-당신 명진이 말 잘 듣잖아. 좋은 남편 행세하느라 왔다가 재훈이랑 정면으루 마주치믄 참 볼 만 할거야,그치?
현태-얼른 가. 쓸데 없는 걱정 말구.  
은주-알았어...비루하지? 처남 집에두 맘놓구 못다니구.
현태-가라고!
은주-재훈이 국제중 들어갈 때까지만 참어. 나두 그 때 바라보구 참는 거야. 그리구,재훈이 아침 공부 매일 해 줘.일주일에 하루,거지한테 적선해? 나 그거 싫거든?
현태-아,아니,이거 봐,
은주-조현태씨. 재훈 아빠.나 당신 쫌 많이 알어. 나는 최후에 터질 폭탄이지만, 그러기 전에, 내 맘에 안들게 굴믄 터뜨릴 게 무수히 많다구...당신 별명이 2차 대마왕이라지?
현태-누가 그따위 소릴 해!
은주-당신 나 어디서 만났니...나 아직 그쪽 인맥 안 끊었어...왜냐,당신이 여전히 출입하구 있으니까.
현태-그,그거야 업무의 연장,
은주-뭐?
현태-아,알았어,일단 가.누가 보기 전에.

그러니까 이 대화를 통해 시청자들은 은주가 한때 룸살롱에 나갔다는 것, 현태는 여전히 룸살롱 업계의 큰 고객이라는 것, 두 사람은 호스티스와 손님 사이로 만났다는 것, 그리고 처음부터 한 동네였던 게 아니라 혼자 아들(재훈)을 키우던 은주도 바로 '교육 때문에' 현태와 명진이 사는 바로 그 동네로 왔다는 것 등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정도로 은주 또한 미쳐 있는 거죠. 분명 현태가 유부남인 것도 알고 만났겠지만, 어쨌든 자기가 온전한 가정을 갖지 못한다는 불만이 늘 가득 차 있고, 그것 때문에 현태의 목줄을 쥐고 놓지 않고 있는 겁니다.

이 정도가 되면 사랑에 미친 것인지, 아니면 사랑 때문에 미친 것인지 구별하기 힘들어지지만, 이 광기는 왜 은주가 서래와 태오의 관계를 폭로하지 못해 안달을 하는지를 설명하는 중요한 동기가 됩니다. 자기가 차지하지 못한 현태를 차지하고 있는 명진에 대한 질투심 때문에, 명진이 늘 자랑하는 '완벽한 가족'을 파괴하고 싶은 것이죠. 아무튼 이런 광기 때문에 '아내의 자격'은 더욱 흥미로워집니다.

[아내의 자격 - 김희애, 이성재 주연 JTBC 수목드라마]





728x90

김희애 주연 '아내의 자격'이 첫 전파를 탔습니다. 연출 안판석, 극본 정성주, 주연 김희애 이성재 이태란 장현성. 이 정도면 어디에 내놔도 손색 없는 라인업입니다.

처음 대본을 대했을 때의 느낌은 '정성주 작가의 화려한 귀환'이었습니다. 1999년 최진실-김혜자가 환상의 고부간 연기로 시청자를 사로잡았던 '장미와 콩나물', 2000~2001년 원미경 주연의 '아줌마'로 남자들의 위선적인 가부장주의를 거침없이 공격했던 대 작가였죠(한 시대를 풍미한 미남 스타 강석우가 찌질남의 대명사 '장진구'로 불리게 됐던 바로 그 드라마입니다). 이 시기의 정성주 작가는 포스트 김수현의 선두로 불러 아깝지 않은 필력을 과시했습니다. 특히 홈 드라마에서 여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힘은 대단했죠.

그러나 '고질적으로 대본이 늦는다'는 혹평과 함께 드라마 '술의 나라' 파동을 겪은 이후 정 작가의 작품에선 이전의 파괴력을 엿보기 힘들었습니다. 최정원 주연의 '애정만세'도 일정 수준 이상의 시청률을 기록했고, '변호사들'은 마니아 층의 뜨거운 성원을 받았지만 예전의 정 작가 드라마를 기대하는 사람들에겐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하지만 '아내의 자격'은 정 작가가 절치부심 뽑아낸 작품이라는 느낌을 주기에 충분했습니다. 사소한 조연급 인물 하나 하나의 동작에도 이유가 설명되어 있는 것은 물론, 대사 하나 하나에도 섬세한 디테일이 잘 지시되어 있었습니다.



'아내의 자격'은 아들 교육을 위해 대치동으로 전세를 얻어 이주한 주부 서래(김희애) 이야기입니다. 전형적인 강남 중산/부유층에서 자라나 방송사 기자로 일하고 있는 남편 상진(장현성)이 '아들 결이의 장래를 위해 이대로 상황을 방치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입니다. 물론 누이동생(최은경)의 딸이 국제중에 입학하는 장면을 본 다음의 결론입니다.

하지만 예상보다 '강남의 벽'은 높았고, 결이는 국제중 입학을 위해 다녀야 할 학원 시험에서마저 꼴찌를 하는 참혹한 성적을 기록합니다. 궁지에 몰린 서래는 학원 원장인 '홍마녀'(이태란)를 찾아가 결이를 받아줄 것을 간청하고, 서래에게서 일반적인 대치동 아줌마들과 다른 뭔가를 본 홍마녀는 결이에게 기회를 줍니다.

날아갈 것 같지만 여전히 대치동 생활이 낯설고 힘든 서래는 동네 치과를 갔다가 언젠가 자신의 도둑맞은 자전거를 찾아 준 태오(이성재)를 다시 만납니다. 그리고 서래와 태오는 양로원에 있는 서래의 어머니 치료를 위해 먼 길을 떠났다가 귀경하는 배를 놓칠 위기에 놓입니다. (여기까지가 1~2부의 주요 내용)



대본상으로 여기까지 내용을 접했을 때 가장 놀라웠던 것은 여기 저기 나타나는 치밀한 취재의 흔적이었습니다. 대본은 강남 아이들이 학원 시험을 치르는 과정, 실제 가족의 식생활을 책임지는 '반찬 아줌마'들의 네트워크, 가족관계와 대화 내용 등 '대치동 라이프 스타일'의 디테일을 생생하게 살려 놓고 있었습니다.

물론 이 드라마 속에 나오는 '대치동'은 하나의 상징입니다. 흔히 '욕망 `1번지'로 불리는 강남 일대. 그 가운데서도 자녀들의 미래가 교육에 걸렸다는, 가장 첨예한 욕망이 들끓어 오르는 곳입니다. 몇해 전부터 유행하던 말입니다만 흔히 자녀 교육의 성공에는 '할아버지의 재력, 엄마의 정보력, 동생의 희생, 그리고 아빠의 무관심'이라는 네가지 요소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물론 이 중에서 '아빠의 무관심'이란 - 있어 봐야 도움이 안 되니 쓸데없이 간섭하지 말고 그냥 방해나 안 되게 멀찌기 가 있는게 낫다는 뜻 - 남자들이 지어낸 말 같기도 합니다만, 드라마 '아내의 자격'을 보시면 이 네가지 요소의 의미를 뼈저리게 느끼실 수 있습니다.

이 드라마를 대외적으로 소개할 때 가장 간단한 요약은 '김희애의 불륜 스토리'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제작진은 이런 소개에 상당히 거부감을 갖습니다. 이 드라마가 현재 대한민국 사회에서 갖는 의미를 지나치게 축소시키기 때문입니다.



이 드라마는 이미 1, 2회를 통해 '강남 교육특구에서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와, '2세 교육이 현대 한국 부부들에게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쉽게 대답하기 힘든 부분입니다. 예전만큼 부모 자식간의 유대가 굳지 않고 어떤 부부도 노후 대비를 자녀들에게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게 됐지만 한국인의 교육열은 그 전의 어느 세대 못지 않게 치열합니다. 그 경쟁의 강도를 놓고 보면 사상 최고 수준일 수도 있습니다. 1편에서 서래의 남편은 '이건 전쟁'이라고 선언하기도 합니다.

물론 그 의미 못잖게 서래와 태오의 관계 역시 이 드라마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입니다. 자칫하면 '불륜 미화'라는 말을 들을 수도 있죠. 두 사람의 만남이 수채화같은 영상 속에서 아른아른 그려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의도를 따져 보면 단순히 불륜 미화라고만 할 수는 없습니다. 사람은 나이를 먹어 가면서 자기 자신으로 살아가기 보다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정립해가기 마련입니다. 누군가의 아버지, 누군가의 아내, 누군가의 아빠, 누군가의 아들, 누군가의 선배 등으로 규정되어 가는 것이죠.



이런 관계들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두 성인이 기존의 관계와 정면으로 위배되는 감정을 느꼈을 때, 과연 그것을 어떻게 처리해 가는지를 바라보자는 것이 이 작품의 의도라 할 수 있겠습니다. 좋은 작가와 나쁜 작가의 차이가 있겠지만, 정성주 작가의 시선은 두 사람이 가족과 사회에 대한 의무감을 등지고 개인의 욕망을 향해 가는 과정을 참 설득력있게 그려냅니다.

이들이 과연 어떤 결말을 맞게 될지...는 저도 아직 모릅니다. 단지 지켜볼 뿐입니다. 물론 응원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네. 누군가 지켜보고 있습니다. ㅋ)

마무리는 이 드라마의 주제곡처럼 쓰이게 된 Byrds의 Turn, Turn, Turn으로.





조 아래쪽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빠담빠담'이 이제 두 회를 남겨 두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1일 개국 때부터 종편방송은 낙인이라도 찍힌 것처럼 외면하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 그런 환경에서도 드라마 한 편이 나쁜 얘기 한마디 듣지 않고 방송되고 있는게 참 다행이란 생각이 듭니다.

새로 시작하는 방송사에서 '빠담빠담'을 방송하는 것도 사실 그리 쉬운 일은 아니었습니다. 개국 첫 드라마를 무엇으로 하느냐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였기 때문입니다. 나름 돈 깨나 써서 방송하는 드라마인데, 그래도 반향이 꽤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 민간 상업방송인데 시청률이 우선이라는 의견 등등.

하지만 그래도 '빠담빠담'이라는 작품을 검토하는 과정에서는 '그래도 이런 작품을 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쉽게 모아졌습니다. 안 그래도 흰 눈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을 방송, 이 작품이라면 누구에게도 떳떳하게 얘기할 수 있을 거라는 게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그렇게 해서 방송이 시작되고 나니 묘한 반응이 일각에서 나왔습니다. 쏟아지는 호평 한 구석에서 "왜 이런 드라마는 '종편'에서 해서 사람을 갈등하게 만드냐'는 의견(아니 종편이 무슨 유신 시절의 대남방송이라도 된단 말입니까 ㅋ ), 그리고 '지상파에서 했으면 20%는 나왔을 걸작인데 방송사를 잘못 만나 참 안타깝다'는 의견 등등.

그런데 과연 지상파에서 방송됐다면 '빠담빠담'은 빅 히트를 기록했을까요. 현재 '빠담빠담'은 2% 안팎의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어차피 지상파 채널도 아니고, 아직 채널의 존재도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고, 서울을 벗어나면 '채널15'라고 자신있게 말할 처지도 아닌 상태에서 이 정도면 대단히 선전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써 본 글입니다. <과연 '빠담빠담'이 지상파에서 방송됐다면 그만치 달라졌을까?> 미리 얘기하자면 개인적으로는 '크게 달라질 건 없었다'는 의견입니다. 

시작합니다.



얼마 전, 드라마 <천일의 약속>(SBS, 2010)을 집필하던 김수현 작가가 트위터에 올린 한마디가 화제가 됐다.

‘이미숙이 수애 남매 생모일 것이라는 점치기가 있었던가 본데 하하’, 이어서 ‘이젠 사촌 오빠 이상우가 수애를 좋아한다는 얘기가… 좋아하는 건 맞습니다. 그러나 사촌 누이동생에 대한 순수한 사랑과 배려가 전부, 숨겨놓은 카드 같은 건 전혀 없습니다. 그리 아시길’이라는 내용이었다. <천일의 약속>을 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이미숙은 지형(김래원)을 끝까지 애닯게 사랑하는 향기(정유미)의 엄마 역으로 출연했다. 만약 자신의 딸을 버린 지형에게 서연(수애)이란 연인이 있다는 걸 알았다면 찾아가서 어떤 행패를 부렸을지 모를 캐릭터였다.

물론 이 드라마가 <천일의 약속>이 아니고, 작가가 김수현이 아니었다면, 이 분위기의 드라마에서 ‘알고 보니 이미숙이 어려서 수애 남매를 버리고 달아난 생모였다’는 식의 진행은 충분히 가능했을 거다. 최근 몇 년간 지상파 드라마를 주의 깊게 보아 온 시청자들이라면 충분히 할 수 있는 상상이었다. 그걸 알기 때문에 김수현 작가도 일단 ‘하하’ 하고 반응했던 것이다.

드라마 <빠담빠담…그와 그녀의 심장박동 소리>가 종편 채널 JTBC에서 방송되고 있다.

면면이 일단 화려하다. 국가대표 작가 노희경과 <아이리스>(KBS2, 2009)의 김규태 PD가 힘을 합쳤고, 정우성 한지민 김범이라는 출연진도 화려하다. 이 드라마는 현재 전국 기준으로 2퍼센트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 요즘 “<빠담빠담…그와 그녀의 심장박동 소리>(이하 <빠담빠담>)가 지상파에서 방송됐다면”이라고 개탄하는 사람들이 간혹 있다. <빠담빠담>의 기획안은 각 지상파 방송사의 드라마국 데스크에 올라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이 작품을 거부했다. ‘장사가 될 것 같지 않다’는 이유에서였다.

사실 <빠담빠담>은 전통적인 한국 드라마 시장에서 살아남을 것 같지는 않은 드라마다. 첫 장면부터 주인공 강칠(정우성)이 교수대에 목이 매달리고, 그 다음 장면에서 다시 살아난다. 사건의 물리적 순서도 불분명하다. 귀휴로 교도소 밖에 나가 있던 강칠과 국수(김범)가 어느새 교도소 안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꿈인지, 환각인지도 분명치 않은 장면들이 이어진다.

그러나 신경 말초를 박박 긁는 드라마에 지친 시청자들은 이 드라마에 호평을 아끼지 않는다. 이들은 강칠에게 이어지는 기적이 과연 환상인가, 아니면 자칭 천사인 국수가 일으키는 기적인가를 궁금해 한다. 그러면서 10대 시절 교도소에 들어가 16년 옥살이 끝에 출감한 강칠이 여주인공 지나(한지민)를 만나 조금씩 삶의 기쁨에 눈떠 가는 과정을 숨죽이며 지켜보고 있다.


과연 <빠담빠담>이 지상파에서 방송됐다면 10퍼센트대의 시청률을 올리며 선전했을까.

노희경 작가의 전작 <그들이 사는 세상>(KBS2, 2008)도 완성도에서는 결코 부족하지 않았다. 현빈과 송혜교라는 주인공의 무게 역시 <빠담빠담>에 비해 못할 것이 없다. 극 중 사극 제작 신(<그들이 사는 세상>은 드라마 PD들의 삶과 사랑 이야기다)에서 단 1회를 위해 사극 세트를 세웠다가 바로 불태워버렸을 정도로 투입된 물량도 <빠담빠담>을 넘어섰다. 그렇게 해서 얻은 결과가 최고 시청률 7.7퍼센트였다. <그들이 사는 세상>을 거부한 시청자들이 과연 <빠담빠담>은 받아들였을까. 알 수 없는 일이다. 그런 의미에서, <빠담빠담>의 현재 시청률은 적잖은 의미를 갖는다.

유료방송 채널이라는 약점과, 종편에 대한 일각의 반감을 극복하고 이만한 수의 시청자들이 이 작품의 진가를 인정하고 있다는 게 놀랍고 반갑다. ‘화학조미료를 좋아하냐’는 질문에는 거의 모든 사람이 얼굴을 찌푸리지만, 아는 사람은 다 안다. 주방에서 MSG를 쓰지 않는 식당은 며칠 못 가고 망한다는 것을. 드라마 시장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소수라도 진짜 음식 맛을 기억하는 사람들, 그리고 그게 얼마나 중요한지 아는 사람들이 있다는 건 참 다행스러운 일이다.  <끝>



입맛에 대해 얘기를 하고 나니 이런 이야기가 부담이 될 수도 있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경영 압박이 심해지면 퀄리티를 훼손하는 경우가 생길 가능성을 100% 부인할 수는 없겠죠. 하지만 최대한 초심을 잃지 않고, 이 기조를 간직하도록 노력할 생각입니다.

'빠담빠담' 19회와 20회. 마지막까지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끝까지, '빠담빠담'은 기대를 저버리지 않을 겁니다. (사실 결말은 저도 모릅니다.;;)



다음주부터는 송창의, 한혜진, 조재현, 박건형 주연의 '신드롬'이 방송됩니다. '브레인'과 비슷한 느낌이 아닐까 걱정하시는 분들도 있었는데, 이번에는 뇌수술을 통해 인간의 지각을 바꿔 놓으려는 위험한 시도가 펼쳐집니다.

(그런데 김성령이 송창의와 모자관계로 나온다니... 이건 좀 가슴이 아프군요. 아직 너무 젊으신데...)





728x90

'밀레니엄-여자를 증오한 남자들'을 봤습니다(극장을 찾은게 얼마만인지...ㅜㅜ).

아시는 분은 다 아시겠지만 이 영화는 '세븐' '파이트 클럽'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등으로 유명한 데이빗 핀처 감독이 만든 2011년작입니다. 스웨덴 작가 스티그 라르손의 원작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됐고, 이미 2009년에 작가의 모국 스웨덴에서 영화화된 적이 있습니다. 이 영화는 '밀레니엄 1부'라는 제목으로 이달초 국내에서도 개봉됐는데, 사실 이 영화에도 관심이 갔지만 개봉관이 매우 한정되어 있습니다.

사실 '밀레니엄'이라는 소설이 "이상하게도 국내에서는 반향을 일으키지 못하고 있다"는 이야기는 여러 차례 들었는데, 그동안도 쉽게 손이 가지는 않았습니다. 영화가 개봉한다는 소식을 듣고 한번 봐야겠다는 마음을 먹은 뒤에는 더욱 '영화부터 보자'는 마음을 굳게 먹었습니다.

주연 여배우 루니 마라의 'W' 지 화보에서는 더더욱.




현대. 스톡홀름. 시사잡지사 '밀레니엄'에서 일하고 있는 저널리스트 미카엘 블롬크비스트(Blomkvist, 다니엘 크레이그)는 기업 총수 베너스트롬(Wennerstrom)의 비리를 폭로했지만, 명예훼손으로 역공을 당해 패소하고 60만 크로나라는 엄청난 배상금을 물어내게 됩니다.

좌절해 있던 미카엘에게 스웨덴의 오랜 재벌 가문인 방예르(Banger) 가문에서 연락이 옵니다. 방예르 가문의 가주 역할인 헨리크(크리스토퍼 플러머)는 천재적인 조사관 리스베트(루니 마라)를 이용해 미카엘이 믿을만한 사람인지를 조사해놓고 있죠.

헨리크는 미카엘에게 40년 전 갑자기 사라진 조카딸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지를 밝혀내 주면 베너스트롬을 몰락시킬 수 있게 해 주겠다고 떡밥을 던집니다. 영하 20도를 넘는 한겨울, 몸이 덜덜 떨리는 시골 저택의 별채에서 미카엘은 뭔가 음습하고 비밀이 넘치는 방예르 가문 사람들에 대한 조사에 들어갑니다.



영화의 도입부를 보면 왜 이 작품이 소설로 국내에서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는지도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게 됩니다. 블롬크비스트, 베너스트롬 같은 낯선 이름. 흔히 해외 유명 작품들이 무대로 삼는 런던, 파리, 제네바 같은 도시가 아니라 퍽 생소한 스톡홀름 등의 배경이 확실히 몰입을 방해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Blomkvist라는 이름은 이전의 상식대로라면 Blomkwist, 즉 '블롬퀴스트'라고 읽어야 할 듯 하지만 여기선 또 '블롬크비스트'라는 발음이 등장합니다. 사실 '헤르미온느'나 '케드릭' 이후 한국 번역가들의 이름 발음 문제에 대해서는 큰 신뢰를 갖지 않게 됐지만, 북유럽 이름까지 가면 누군가에게 책임을 묻기 힘든 지경에 이릅니다. 문득 올림피크 리옹에서 뛰던 노르웨이 스트라이커 John Carew의 이름 표기를 놓고 벌어졌던 왕년의 해프닝이 떠오릅니다. 존 캐루 - 욘 캐루 - 욘 카레우 - 욘 카레브 - 욘 사레브까지 온갖 한글 표기들을 검색하실 수 있을 겁니다.^^ 요즘처럼 좋은 시절이라면 http://ko.forvo.com/word/john_carew/#no 를 검색해서 '욘 카레브'라고 자신있게 쓸 수 있었겠죠.)



어쨌든 핀처의 솜씨는 레드 제플린의 명곡 'Immigrant Song'으로 시작하는 격렬한 그래픽의 타이틀에서부터 관객을 사로잡습니다. 원작을 읽지 않았으므로 비교는 쉽지 않겠지만, 편집의 대가답게 핀처는 대단한 속도감으로 전반부를 폭풍처럼 휩쓸어 갑니다. 꽤 숙련된 관객에게도 '늘어지는 부분 없이 달려나간다'는 느낌을 주기 충분한 속도입니다. 반면 비숙련 관객에게는 '뭐야. 얘기를 따라갈 수가 없어'라는 당혹감을 줄 수도 있을 듯 합니다. (포탈 감상평을 일별하면 이런 요소가 이 영화의 흥행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물론 그렇게 달려가는 영화 사이사이에도 스웨덴이라는 낯선 나라의 풍광은 핀처의 세심한 배려 덕분에 충분히 관객을 사로잡습니다. 눈덮인 평야와 들, 차갑고 건조한 느낌을 주는 사물들. 모든 등장인물이 영어로 대사를 하고 있지만 '뭔가 대단히 이질적인' 이 느낌들은 관객이 이 영화의 긴장감을 놓치지 않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전편을 통틀어 가장 인상적인 캐릭터는 당연히 천재 조사관(우리나라로 치자면 흥신소나 심부름센터;; 직원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죠. 전문적으로 남의 뒷조사를 하는 사람입니다)인 리스베트 살란데르 역의 루니 마라입니다.


아마 이 장면도 기억하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저 말고도 '소셜 네트워크'를 보신 분이라면 놀라실 수밖에 없었을 겁니다. 저도 이 배우가 '소셜 네트워크'에서 저커버그로 하여금 페이스북을 만들 동기를 부여한, '예쁜이 여대생 에리카'였다는 사실을 알고 기절할 뻔 했습니다.




물론 배우 노릇으로 밥을 먹고 사는 사람이라면 욕심 내지 않을 수 없을 정도로 리스베트 역할은 매력적입니다. 23세. 어려서 아버지를 죽이려 시도한 죄로 금치산자 판정. 천재 해커. 발군의 운동능력. 살인도 충분히 할 수 있는 과단성과 일반인과는 사뭇 다른 도덕관("정말 죽여도 돼요?"에서는 '주유소 습격사건'에서 유오성이 연기하던 무대포 캐릭터의 "정말 죽여?"가 떠오릅니다^^). 한눈에 확 들어오는 펑크 스타일의 패션. (위 사진. 페레즈 힐튼에 따르면 저 피어싱은 모두 진짜랍니다.)




(네. 솔직히 이 분이 떠오르는 건 인지상정입니다. 코믹하지 않아서 그렇지... 딱 스웨덴의 김꽃드레라고 할 수 있죠.)

고만고만한 20대 여배우 풀이 넘쳐 나는 세상, 데이빗 핀처 같은 감독이 이런 역할을 제안한다면 그건 정말 '감사합니다' 하고 절을 백번 해야 마땅한 일일 겁니다. 이 역할 하나로 루니 마라는 수년간 고민했을 '존재감' 문제를 단박에 해결할 수 있게 됐습니다. '반지의 제왕'의 골룸이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살인자 안톤(하비에르 바뎀)에 비견할 만한 압도적인 캐릭터라고나 할까요.

1차적으로 이 역할을 잘 수행해 낸 루니 마라를 칭찬해야겠지만, 간장보다는 고추장이 인상적인 맛을 내기 쉬운 재료이듯 이런 역할이 배우의 기량을 100% 끌어낸다는 사실 또한 인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3편의 원작이 모두 영화화된다면 루니 마라는 그때 가선 '어떻게 리스베트 캐릭터로부터 도망쳐야 할지'를 고민해야 할 수도 있을 겁니다. 그렇지만 워낙 본 모습과 멀리 떨어진 캐릭터인 만큼 그건 그때 가서 해결할 문제 -.

(일각에서는 스웨덴 판에서 리스베트 역할을 한 누미 라파스와 비교하는 시각이 있습니다만... 글쎄, 일단 사진만으로는 23세라는 설정과 라파스는 좀 거리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23세가 원작과는 관련 없는 나이일 수도 있겠군요. 라파스에게서는 마라에게서 느껴지는 '불안한 미성숙'의 느낌이 풍겨나오지 않습니다.)



리스베트 캐릭터가 빛이 나는 만큼 다니엘 크레이그가 연기한 블롬크비스트는 그닥 인상적이지 않습니다. 007 배우가 육체적으로 전혀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역할에 도전하고 싶어하는 것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일이지만, 오히려 너무 무기력하게 리스베트에게 리드당하는 역할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이게 핀처의 의도인지, 원작자의 의도인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만약 대단한 미스테리를 기대하고 '밀레니엄'을 보신 분이 있다면 실망하시기 십상일 겁니다. 어차피 범인이 될 수 있는 사람의 수는 제한적이고, 결과를 볼 때 그리 엄청난 수수께끼는 없습니다. 하지만 상당히 아날로그적인 방식과 첨단 디지털 기법을 병행해 가며 묵묵히 사건의 실체에 접근해 가는 리스베트/블롬크비스트 콤비의 노력은 대단히 흥미롭고, 충분히 돈 값을 합니다. 죽도록 달려 목표에 도달하는 본 요원이나 헌트 요원 못잖게, '죽어라고 머리를 쓰는' 것으로도 긴장감 유발이 가능하다는 걸 입증했다고나 할까요.

리스베트의 여성성을 강조한 에필로그가 참 마음에 들었습니다. 이 에필로그를 보고도 2편이 기대되지 않는다면 상당히 건조한 삶을 살고 계신 분이 아닐까 하는 생각. 아무튼 핀처 판 '밀레니엄'은 강추작입니다.



P.S. 헨리크 역을 맡은 할아버지는 '사운드 오브 뮤직'의 폰 트랩 대령 크리스토퍼 플러머. 사실 단역에 해당하는, 대사 하나 없는 '젊은 헨리크' 역을 줄리언 샌즈(58년생인데 '젊은 헨리크'...)가 맡을 정도로 호화 캐스팅이라는 점이 눈길을 끕니다.



P.S.2. 날이 갈수록 동태눈 증세가 심해지는지, 로빈 라이트와 대릴 해너가 헷갈릴 지경에 온다는 건 분명 문제가 있는 듯 합니다.

P.S.3. 도입부의 'Immigrant Song'과 '해커1'의 NIN 티셔츠는 웃음 포인트.^



조 아래쪽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