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배트맨(크리스천 베일)은 레이첼(메기 질렌할)의 새 연인인 고담 시의 새로운 지방검사 하비 덴트(아론 에커트)가 범죄에 맞설 수 있는 강한 의지와 인기를 갖고 있다는 사실에 관심을 갖습니다. 배트맨과 덴트, 그리고 고든 반장(게리 올드만)은 조직범죄를 싹쓸이하기 위해 힘을 합칩니다.

한편 고담시에는 유례가 없는 대악당 조커(히스 레저)가 등장, 시민들뿐만 아니라 조직 보스들도 공포에 떨게 합니다. 배트맨과 덴트가 조직들의 자금줄을 죄자 보스들은 마침내 조커에게 배트맨을 제거해 줄 것을 부탁합니다. 배트맨과 조커의 대결이 본격적으로 벌어지는 거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89년 팀 버튼의 '배트맨'으로 시작된 네 편의 영화는 그나마 음침함을 유지하고 있던 팀 버튼이 손을 떼면서 완전히 동화의 세계로 들어가 버렸습니다. 하지만 크리스토퍼 놀런은 '배트맨 비긴즈'를 통해 이 시리즈에 새로운 숨을 불어 넣었죠. 보다 그럴듯 하고, 보다 성인용인 배트맨의 세계 말입니다.

아무래도 '다크나이트'를 얘기할 때는 조커를 제일 먼저 언급하지 않을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히스 레저의 조커는 대단히 유니크한 범죄자입니다. 그는 단순한 범죄자의 차원이 아니라 악마 자체죠. '순수악'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것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배트맨 영화라면 칙칙한 밤 장면이 많이 나오는게 당연하지만, 조커의 존재는 이 영화를 더욱 어둡고 무겁게 만듭니다. 당연한 일입니다. 조커는 수세기에 걸친 악의 본질에 대한 연구를 담은 캐릭터기 때문입니다.

오래 전, 현자들이 정리한 선과 악에 대한 정의들을 종합하면 결국 선은 '타자와의 공존을 지향하는 의지', 악은 '타자의 생존 가치를 부정하는 이기적인 의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세상에 순수선과 순수악만 존재한다면, 결국 세상은 사라져버리고 말 겁니다. 이론적으로 선이란 악에게 자리를 내줄 수밖에 없기 때문이죠. 그래서 때로는 전체의 선을 위해서 소수의 악을 제거할 수 있다는 이른바 '필요악'이 등장합니다. 이것 바로 정의라고 불리는 것이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사람들은 '이 정의라는 필요악이 지나치게 거대해져서 그것이 사람들을 억압하는 존재가 되어 버리면 어떻게 해야 할까'를 늘 걱정합니다. 특히 정의가 어떤 특정 이념을 신봉하는 세력에 의해 운영될 때 그렇습니다. 실제로 어떤 가치나 신념도 전제하지 않은 정의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악명 높은 인종 청소를 하는 사람들도 나름대로는 정의를 실현하고 있다고 믿을지도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선진 문명일수록 절차와 합의를 중시하고, 정의의 실현에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나 사사로운 정의의 실현(예를 들면 부모의 복수)은 엄격한 경계의 대상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조커와 배트맨의 대결은 이런 전제를 바닥에 깔고 있습니다. 조커는 순수악의 상징, 배트맨과 하비 덴트는 건전한 정의의 상징입니다. 이 상징이란 사람들의 믿음의 대상이기도 하죠.

영화 속의 세계로 들어가 설명하면 배트맨과 덴트가 있어 고담 시민들은 세계가 안전하고 정의롭게 운영될 수 있다는, 또는 실제로 그렇게 운영되고 있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그쪽을 지향하고 있다는 믿음을 갖게 됩니다. 하지만 조커는 그런 상징을 파괴하려 끊임없이 시도합니다. 결국 어느 정도는 성공하게 되죠.

'다크 나이트'는 바로 악과 싸우는 정의라는 필요악의 존재, 그리고 이 필요악은 과연 어느 정도까지 허용될 수 있는가에 대해 냉엄한 질문을 던지고 있는 영화입니다. 이 영화가 흔한 블록버스터로 보이지 않는 것은 이 때문이죠. 이 과정에서 놀런의 솜씨는 대단합니다.


아울러 월 스트리트 저널이 이 영화의 배트맨을 부시 대통령과 비교한 칼럼을 게재한 것도 전혀 얼토당토 않은 일은 아니었습니다. 영화의 요점을 꿰뚫어 봤기 때문에 가능한 시도였죠. (그 글의 방향이 옳다는 뜻은 아닙니다.)

(무슨 얘긴지 잘 모르시는 분들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과연 일반 관객들이 영화의 뒷면까지 속속들이 이해하고, 놀런이 던지는 질문에 대해 생각할까요. 그걸 기대하기는 힘들 겁니다. 이 영화의 흥행 기록을 날로 갱신하고 있는 미국 관객들 역시 마찬가지일테구요. 이들이 좋아하는 것은 영화의 나머지 절반, 즉 순수 블록버스터로서의 '다크 나이트'입니다. 그리고 이쪽 절반 역시 대단히 훌륭합니다.

사실 '다크 나이트'의 액션에는 두가지 이점이 있습니다. 하나는 주인공 배트맨의 강력한 의상으로 인해 스턴트맨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이죠. 배트맨의 주연 배우가 그렇게 자주 바뀐 건 우연이 아닙니다. 누가 입어도 구별이 안 되는 의상이 그렇게 만든 겁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번째는 주인공의 특성상 대부분의 액션 신이 밤을 배경으로 한다는 점이죠. 상대적으로 덜 정교해도 됩니다. 사소한 실수가 발견돼도 그냥 CG로 슥슥 검게 지워버리면 되니까요. 하지만 이런 점들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도시 한복판에서 콘테이너 트럭을 직각으로 뒤집어 버리는 차원의 액션은 입이 떡 벌어지게 합니다. 홍콩과 고담(극중에선 시카고)의 스카이라인을 배경으로 한 시원시원한 액션 역시 아름답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배우들 얘기로 넘어가면 더더욱 할 말이 없어지죠. 크리스천 베일과 히스 레저는 동급 최강의 연기를 보여줍니다. 조커는 매우 연기하기 쉬운 역할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저의 연기력은 발군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밖의 배우들, 게리 올드만, 모건 프리맨, 마이클 케인, 아론 에커트의 진용은 '오션스 11'이 부럽지 않죠. 이 영화의 배우 남용은 엄청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배트맨 비긴즈'에선 주역이었던 킬리앙 머피가 스케어크로 역 그대로 카메오 출연합니다. (왼쪽에서 두번째 앉은 사람이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심지어 단 한 신 나오고 마는 은행 경비원 역으로 윌리엄 피트너가 나올 정도라니 말 다 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주인공이 메기 질렌할이라는 건 좀... 제작비 절감 차원이라고 봐야 할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마디로 축복받은 영화라고 부를 만한 '다크나이트'지만 한국에서의 흥행 성적에 대한 예측은 그리 밝지만은 않습니다. 지난 글에서 얘기했다시피, 이 영화의 배트맨은 너무나도 '한국적인 슈퍼 영웅'과 거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건 배트맨의 본질적인 성격과 관련이 깊죠. 배트맨은 '다이 하드'의 브루스 윌리스가 아닙니다.

(배트맨의 답답성 본질(^^)에 대한 내용은:)




배트맨은 악당은 물론이고 자기를 깨무는 개조차도 죽이지 못합니다. 이건 그의 원칙에 따른 것인데(물론 '다크나이트'에는 배트맨 외에도, 기회가 왔을 때 조커를 죽이지 못하는 캐릭터가 또 있습니다), 이런 그의 원칙에 따른 행동거지가 과연 한국 관객들의 구미에 맞을지, 그건 확인해 보기 전엔 장담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벌써 '속터져서 못 보겠더라'는 관객이 있는 걸 보면 말입니다.

남 얘기가 아닙니다. 보면서 마음속으론 조커를 열두번도 더 죽였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실지 궁금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s. 히스 레저의 명복을 빕니다.



이 글을 추천하시려면 왼쪽숫자를 누르시면 됩니다.
 


근래 영화 리뷰는

http://isblog.joins.com/fivecard/category/영상을%20훑다가/영화를%20보다가

(자동이동이 안되는군요. 긁어다 주소창에 붙이시길)



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크 나이트' 개봉을 앞두고, 조커역을 맡은 히스 레저의 연기력에 대한 경탄이 줄을 잇고 있는 가운데, 이 영화가 한국 관객들에겐 지나치게 답답한 게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어찌 보면 당연한 얘깁니다.

이번 글은 그 '답답함'이 바로 배트맨의 본질적인 요소라는 데 대한 얘깁니다. 영화 리뷰는 아직 아닙니다.




악과 싸우는 고뇌를 너희가 아느냐
고지식한 미국식 영웅 배트맨의 귀환
송원섭 기자 | 제73호 | 20080802 입력  
 
배트맨, 1939년생, DC 코믹스의 간판 스타, 일명 다크 나이트(Dark Knight).

70 평생을 사는 동안 수많은 만화가에 의해 수십 차례 다시 태어난 수퍼 스타지만 설정의 주요 부분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본명은 브루스 웨인. 성경에 나오는 죄악의 도시 소돔과 고모라의 이름을 합한 고담 시티(사실은 뉴욕) 최고의 재벌 후계자이며 미남 독신자.

당연히 바람둥이지만 이런 행각에는 자신의 정체를 감추려는 의도가 포함돼 있다. 수없이 많은 미국 만화 속 수퍼 히어로 중에서 배트맨처럼 초자연적인 능력이 없는 영웅은 아이언맨 정도밖에 없다. 그의 무기는 두뇌와 체력(무술), 그리고 웨인 그룹의 막대한 재산이 투입된 첨단 과학 장비다. 무장과 의상에서부터 자동차·모터사이클, 심지어 비행기까지 동원한다. 당연히 장난감 회사가 가장 사랑하는 수퍼 영웅은 배트맨이다.

물론 그를 규정하는 특징을 꼽을 때 내면의 어둠을 빼놓을 수 없다. 배트맨은 어린 시절 부모가 살해당하는 장면을 직접 목격했고, 그로 인해 복수의 화신이 됐다. 그의 정의 실현은 아무래도 복수의 연장선상에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초창기의 그는 어둡기보단 냉정함이 돋보이는 캐릭터였다. 66년부터 방송됐을 때의 의상이 밝은 보라색이었던 반면 89년 팀 버튼의 극장판 ‘배트맨’ 이후에는 완전히 밤에 녹아 드는 검은색 의상이 자리를 굳혔다. 의상 색깔이 어두워진 배트맨의 성격을 대변해 주기도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그의 가장 큰 고민은 낮과 밤이 다른 정체성이다. 고담시의 시민으로서 법 질서를 무시한 자신의 정의 구현이 과연 어디까지 정당한 것인지 고민한다. 그의 역할은 범인을 잡아 사법기관에 넘기는 것. 손에 피를 묻히는 일도 거의 없다.

사실 이런 영웅답지 않은 성격으로 인해 한국과 미국 시장에서 그에 대한 선호도에는 꽤 큰 차이가 난다. 국민 기질과 사회 분위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액션 영화의 주인공이 자기 편을 제지하며 “악당이라도 함부로 죽이면 안 돼! 법의 심판을 받게 해야지!”라고 외치는 순간 한국 관객들은 한숨을 쉬며 시계를 본다.

뒷일이야 어쨌든 ‘테이큰’이나 ‘아이언맨’처럼 화끈하게 자기 손으로 모든 걸 처리해 버리는 주인공이 한국인의 정서엔 더 어울리는 것 같다.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를 상식으로 안고 사는 한국인들에게 ‘수퍼 영웅이라도 법과 질서를 지켜야 한다’는 배트맨의 고지식함은 답답하게 느껴질 뿐이다.

그런 면에서 7일 개봉하는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두 번째 배트맨 영화 ‘다크 나이트’의 한국 흥행 성적에 관심이 쏠린다. 배트맨 최고의 적수인 조커(히스 레저 분)는 이 영화에서 인간의 내면과 타락을 조종하는 절대악을 상징한다. 조커를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조커는 끊임없이 정의의 수호자들에게 “너희도 나도 똑같다”며 마음을 흔든다.

당연히 배트맨도 '내가?'하는 고민에 빠진다. 이러니 미국에서 ‘다크 나이트’는 역대 단기 흥행 기록을 모두 허물며 약진 중이지만, 한국 관객들은 조커를 보자마자 기관총으로 벌집을 만들어 버리지 않는 배트맨을 보고 더욱 울화가 치밀 수도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은 최근 이 영화 속의 배트맨이 부시 대통령과 닮았다는 한 우익 작가의 칼럼을 실어 눈길을 끌었다. 룰을 지키지 않는 테러집단과 맞서 싸우기 위해선 어느 정도 인권의 제한이 불가피하지만 그걸 무시하는 진보 진영(원문은 ‘좌경 세력’)은 ‘자유의 투사’들을 범죄자로 몰고 있으며, 따라서 현재 부시가 욕을 먹는 것은 정의로운 배트맨이 오해와 모함에 시달리는 것과 같다는 주장이다. 어쩐지 많이 듣던 얘기라 더욱 흥미롭다.

이번 배트맨은 ‘배트맨 비긴스’에 이어 크리스천 베일이 연기한다. TV 시리즈 때의 애덤 웨스트에서 시작해 마이클 키튼, 발 킬머, 조지 클루니로 이어지는 박쥐 가면의 주인이다. 외모와 연기력에서 가장 이상적인 배트맨이란 극찬을 받았지만 이번 작품의 개봉 시기와 맞물려 어머니와 누나를 구타한 혐의로 경찰에 체포되기도 했다. 스타의 두 얼굴과 배트맨의 두 얼굴이 절묘하게 교차된 셈이라고나 할까. (끝)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배트맨과 부시의 관계에 대한 글은 저 아래 링크되어 있습니다.)

사실 누가 만든 배트맨이든, 배트맨은 너무 생각을 많이 하고, 행동은 상대적으로 덜 합니다. 행동을 한다 해도 슈퍼맨처럼 미사일을 받아 던지거나 하는 일은 불가능하니 성에 차지 않을 가능성이 높죠.

저는 이런 생각은 한국 관객들만 하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우연히 발견한 미국 유머 사이트에 나온 다음 유머를 보니, 그런 생각은 미국에서도 보편적인 인식인가보더군요. 제목은 '슈퍼맨과 배트맨이 한 영화에 같이 나오지 않는 이유(Why The Superman/Batman Movie Will Never Happen)입니다.

원문 주소는
http://www.collegehumor.com/article:1757347. 대충 번역하면 이렇습니다. 시나리오 형식입니다.



고담시 경찰서. 배트맨이 짐 고든 경찰청장과 경찰관들에게 얘기하고 있다.

배트맨: 낭비할 시간이 없어. 투페이스(배트맨 만화 시리즈의 단골 악당)가 은행에 인질을 잡고 있어. 그리고 우리는...

슈퍼맨, 요란한 소리와 함께 등장.

슈퍼맨: 헤이, 브루스-맨, 늦어서 미안해. 상황이 어떻지?
배트맨: 글쎄, 내가 보낸 상황 요약 메모에 적힌 바와 같이...
슈퍼맨: 오, 걱정마. 대강 봤으니까. 그놈 이름이 더블페이스였던가? 그놈의 무기가 뭐랬지? 눈에서 레이저가 나오던가? 아니면 엄청 빨라?
배트맨: 아냐. 음. 그놈은 사실 '2'라는 숫자에 굉장히 민감하지.
슈퍼맨: 하하! 장난하지 말고. 뭘 할줄 알지? 심리 조종?
배트맨: 글쎄, 피부 트러블이 좀 심하지.
슈퍼맨: 나랑 농담하자는거야! 1초만 기다려.

슈퍼맨, 벽을 뚫고 사라지다.

배트맨: 사실 그 피부의 문제라는 것은 즉 그의 이중성에 대한 은유로서...

슈퍼맨, 수갑을 채운 투페이스를 데리고 재등장.

슈퍼맨: 끝났어.
투페이스: 뭐야, 이거,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거야?
슈퍼맨: 그냥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서 범죄를 예방한 것 뿐이야. 그게 전부야.
배트맨: 하지만... 그 사명이란 것도 있고... 우리 부모님은...(우물쭈물)
슈퍼맨: 친구, 걱정은 좀 그만 해. 자네는 좀 더 밝게 살 필요가 있어.

배트맨의 의상 사이로 눈물 한 방울이 비친다.

슈퍼맨: 어쨌든 난 지금 갈건데 누구 혹시 태워줬으면 하는 사람 있나?

경찰관 한명이 손을 든다.

슈퍼맨: 이봐, 내가 '누구 혹시'라고 말하면 그건 방에 있는 여자들 중에서 누구란 뜻이야. 없어? 그럼 댁들 손해지 뭐. 나중에 보자고!

슈퍼맨, 다른 쪽 벽을 뚫고 사라지다. (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습니다. 만화에서는 수시로 같이 등장하는 슈퍼맨과 배트맨이 영화에서 함께 나온다면 저런 식으로 배트맨이 바보되기 십상일 거란(?) 날카로운 지적이군요. 물론 웃자는 얘깁니다.

아무튼 '다크 나이트'를 보면 한국 관객들은 대단히 울화가 치미는 경험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그건 배트맨의 본질에 기인한 것이지, 결코 영화를 잘 못 만들어서 그런 건 아니라는 변명 한마디. 영화 자체는 대단히 훌륭합니다.

'다크 나이트' 리뷰는 다음번에 다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배트맨과 부시의 관계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보시려면:



'다크 나이트'를 보시고 이 글을 읽어보시면 아주 황당무계한 얘기는 아니더군요.^




아무튼 이 글을 추천하시려면:







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4명의 은행털이범들이 맨하탄 한복판의 은행을 점거합니다. 경찰이 출동해 인질극이 벌어지고, 엄청난 대치상태가 계속되다가 갑작스레 상황이 끝나지만 범인은 사라지고 은행의 피해도 없다는 결론이 내려진다면?
<인사이드 맨>은 처음부터 묘한 상황을 만들어 놓고 관객에게 만만찮은 도전장을 내밉니다. '자, 네가 그렇게 영화 보는 눈이 까다롭다면 이 영화에 맞서 봐라. 내가 무슨 얘기를 하고 있는지 알겠어?'라는 식입니다.

영화를 만든 사람을 알면 호승심이 일어날 만도 합니다.스파이크 리는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벌어지는 NBA 뉴욕 닉스의 홈경기에는 빠지지 않고 예의 수건 패션으로 열렬한 응원을 퍼붓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옳은 일을 해라> 이후로 백인 주도의 미국 사회에 대한 치열한 비판으로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고 있는 스파이크 리가 수천만원대의 가격인 매디슨 스퀘어 가든의 지정석에 앉아 있다는 것은 미국이라는 나라의 묘한 단면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아무튼 흑인 사회에서도 '성공한 흑인의 모범 사례'로서 그를 바라보는 시선은 제법 관대한 것 같습니다.

그 성공의 덕분인지 마냥 거칠기만 하던 스파이크 리의 영화들은 점점 세련된 양식미를 갖춰가기 시작합니다. 그 성공의 이른 예는 2002년작 <25시>였습니다. 게오르규의 원작, 앤서니 퀸 주연의 영화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작품이지만 리의 <25시>는 9.11이 미국인들에게 어떤 상처를 줬는가에 대한 가장 탁월한 해석 중 하나라는 평을 얻으며 스파이크 리의 '후기 시대'를 여는 작품으로 평가받기 시작했습니다.그런 그가 스릴러라는 새로운 장르에 도전장을 내밀었다는 얘기가 나왔을 때부터 그의 팬들은 웅성거리기 시작했습니다.

피카소가 하이퍼 리얼리즘으로 전향한다면 이런 느낌일까요. 언제나 줄거리보다는 메시지가 앞서 있던 그가 굳이 새로운 장르에 손을 대는 것은 결국 "내가 못해서 안 하는 건줄 알아, 별로 하고 싶지 않으니까 안 하는 거지"라는 식의 투정(?)일 거란 생각이 지배적이었습니다.이런 식의 의도된 변신은 성공하기 쉽지 않지만, 스파이크 리는 멋지게 해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인사이드 맨>은 스파이크 리의 영화 중 유례가 없는 흥행 성과(약 8800만달러)를 거뒀습니다. 본전이 4500만달러라니 거의 두배 장사를 한 셈이죠.과연 이 영화는 어떤 영화일까요. 일단 줄거리부터 살펴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크린이 열리면 달튼 러셀(클라이브 오웬)의 독백이 등장합니다. 그는 세 패거리를 이끌고 뉴욕의 한 은행을 점거합니다.  독직 혐의를 받고 있는 프레지어 형사(덴젤 워싱턴)는 니고셰이터 역할을 맡아 현장으로 출동하지만 뭔가 이상한 느낌을 받습니다.이어 현장에는 해당 은행의 실질적 소유주인 아서 케이스(크리스토퍼 플러머)가 등장해 유난히 저자세를 보이고, 케이스로부터 권한을 이양받은 매들린 화이트(조디 포스터)가 시장을 등에 업은 자세로 범인을 만나게 해 줄 것을 요구합니다.사무엘 잭슨과 케빈 스페이시의 연기가 빛났던 <니고셰이터> 이후로 니고셰이터와 인질범의 두뇌 싸움에 대한 영화는 제법 많이 나왔지만 이 영화에서처럼 팽팽한 대결을 벌이는 맞수들은 그리 흔치 않았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영화의 전제 중 하나는 이겁니다. 사람은 누구나 복면을 쓰면 비슷해 보인다. 그 사람이 백인이건 흑인이건, 또는 인도인이건, 남자건 여자건, 미국인이건 알바니아인이건 그게 그거라는 얘깁니다. 중요한 것은 그의 악의일 뿐, 그의 외적인 조건이 아니라는 겁니다.일단 눈길을 끄는 것은 화려한 출연진입니다. 덴젤 워싱턴과 조디 포스터, 클라이브 오웬은 물론이고 윌렘 데포가 별다른 역할이 없는 관할 서장 역할로 우정출연(?)을 할 정도니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트레이닝 데이>를 통해 부패 경찰로 이미지 변신을 노렸던 워싱턴은 이번엔 뇌물 수수 혐의로 궁지에 몰린 - 이건 뭔가 누명인 듯 하지만 왠지 그 밖에도 켕기는 게 있는 듯 한 - 프레이저 형사 역으로 멋진 새출발을 선언합니다. <클로저>에서도 제목대로 클로즈업에 강한 면모를 보여줬던 클라이브 오웬 역시 차세대 제임스 본드 제1 후보의 명성에 걸맞게 냉철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조디 포스터가 자기 몫을 못할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겠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지만 이 수많은 배우들의 명연보다 빛나는 것은 역시 대본의 힘입니다.  이 영화의 대본 크레딧에는 러셀 거위츠라는 사람의 이름만이 올라와 있습니다. 게다가 영화 데뷔작이군요.거위츠와 리 콤비는 사건 발발 이후 거의 40분에 이르는 동안 '대체 저 놈들이 뭘 하려는 걸까' 하는 궁금증으로 관객들의 눈을 스크린에서 잠시도 떼놓지 못하게 합니다. 한 40분이 지나야 비로소 그들의 음모가 어느 정도 윤곽이 잡힙니다.

그 동안 리와 거위츠의 호흡으로 이뤄지는 화면은 그야말로 명인의 칼춤을 연상시키듯 매끄러우면서도 아찔합니다....여기서 잠깐 한마디 곁길로 새자면, 만약 <출발 비디오 여행> 등으로 이 영화의 진행 방향을 미리 알고 있는 관객들이라면 이 시간은 더럽게 느린 진행때문에 지루함에 떨 수밖에 없을 그런 시간입니다. 부디 양식있는 관객, 그리고 영화의 제 맛을 보고 싶은 관객들은 이런 프로그램들이 방송될 때 잠시 채널을 끄고 산책이라도 다녀오시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성공한 은행가인 한 노인의 과거. 그 과거를 이용해 돈을 벌려 하는 남자. 아주 조금은 부패했을 지도 모르지만 아무튼 세상을 살아가는 기본적인 양심을 갖고 있는 남자. 이 세가지 요소의 결합은 멋진 오락물을 만들어 냅니다. 신나게 총 빵빵 쏘는 장면 따위는 등장하지 않는데도 이 영화가 주는 스릴은 제법 긴 롤러코스터를 방불케 합니다.물론 눈에 거슬리지 않는 선에서 스파이크 리의 메시지는 끊임없이 전달됩니다. 이 영화가 겨냥하고 있는 것은 소위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고 자부하는 미국의 지도층, 미국 자본주의의 핵심 세력들이 과연 과거사를 캐 볼때 떳떳하기만 하느냐는 스파이크 리의 당돌한 질문입니다.

아울러 미국을 이끌고 있다는 엘리트들이 과연 미국의 평범한 시골 사람들 앞에서 9.11을 팔고, 애국심을 팔 만큼 도덕적으로 온전하냐는 비판도 곁들여져 있습니다. 대표적인 미국의 파워 엘리트를 상징하는 매들린 화이트조차도 '빈 라덴의 사촌이 미국 내에서 살 집'을 대신 알아봐 주고 있을 정도니까요. 이런 메시지들이 숨어 있긴 하지만 <인사이드 맨>은 결코 메시지 과잉의 정치색 짙은 영화는 아닙니다. 그런 면에서 스파이크 리는 과거와의 단절을 보여주고 있죠. 이 영화로 '스릴러도 만들 줄 안다'는 것을 만천하에 과시한 스파이크 리가 과연 다음번에는 어떤  재주를 보여줄지 궁금하기 짝이 없습니다. (2006. 7. 23)

728x90


실제로 연예인들 중에는 귀신을 직접 본 경험이 있다는 사람이 유난히 많습니다. 웬만한 가수들은 녹음 한번 하면 귀신을 접해 본다고 하고, 가끔 귀신들이 이번 드라마가 잘 될지, 이번 영화가 잘 될지 아닐지를 알려준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 사람들은 왜 귀신과 유난히 가까운 걸까요? 전부 지어낸 얘기들일까요? 그럴 지도 모르지만 이 바닥(?)에선 나름대로 오래 된 설명이 있습니다. 대략 이런 설명입니다.

아무리 연기를 못하는 여배우도 술집 작부 역할과 무당 역할은 잘 한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왜일까요. 세 가지 종류의 직업에 필요한 '끼'가 서로 통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는 사람도 있죠. 이 '끼'는 바로 '신끼'라고 흔히 부르는 그것과 본질적으로 같은 거라는군요.

가수들의 녹음실이나 영화 현상실 등에는 귀신들이 많이 산다는 소문이 파다합니다. 하지만 그런 장소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귀신을 두려워 하지 않습니다. 음악이나 영화를 좋아하는 귀신들은 착한 귀신이기 때문에 웬만해선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도 하네요.

뭐 당연히 믿거나 말거나 얘깁니다. 어지간한 괴담에 질린 분들, 마지막 얘기까지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타괴담 - 귀신을 만난 스타들


영화 스튜디오나 음반 녹음실에는 흔히 귀신이 돌아다닌다. 왜일까. 스타들이 갖고 있는 '끼'가 이 세상에 속하지 않은 것들과 소통하는 신기(神氣)와 통하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있지만, 아무튼 스타들과 관련된 괴담은 한두가지가 아니다.

영화 사상 가장 많은 괴담에 휩싸인 작품은 윌리엄 프리드킨 감독의 걸작 공포영화 <엑소시스트>일 것이다. 흥행과 비평 양면에서 성공을 거둔 이 영화는 선과 악이 한 소녀의 몸속에서 펼치는 영화를 소름끼치면서도 박진감있게 그려냈다. 한데 이 영화의 힘이 바로 진짜 악마의 개입에 의해 빚어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 영화를 찍기 시작한 뒤로 배우와 스태프를 포함해 9명이 죽었고 특히 배우 잭 맥고원과 바실리스키 말리아로스는 영화가 개봉되기 전에 죽었다. 세트에서는 원인 모를 불이 나기도 했고, 수많은 관계자들이 악몽으로 시달렸다는 저주받은 영화다.

한국에선 영화 <실미도>를 촬영할 당시 인민군복을 입은 귀신이 출몰했다는 소문도 있지만, 이 정도의 '저주받은 영화'는 아직 못 들어봤다. 귀신을 직접 봤다는 스타 중에는 김보성의 목격담이 유명하다. 김보성은 이 경험에 대해 이야기를 다시 꺼내는 것도 꺼려할 정도다.

영화 <하얀 전쟁> 촬영을 위해 베트남 현장을 찾은 일행은 동네 호텔에 여장을 풀었다. 하지만 유독 김보성의 방에서는 여자 웃음소리가 나고 옷장 안에서 소리가 나는가 하면 자다가 깬 김보성의 눈에 흰 옷을 입은 여자가 물끄러미 자신을 내려다보는 광경이 목격되는 등 웬만한 사람 같으면 기절할 일들이 계속 일어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서운 것도 무서운 거지만 밤에 잠을 못 자 피곤해서 견딜 수가 없다'는 김보성에게 한 스태프가 묘방을 가르쳐 줬다. "듣자하니 이 동네에 사는 처녀귀신이라고 하는데, 굳이 남자 방에 나타나서 괴롭히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을 게다. 오늘부터는 베개 하나를 더 꺼내 머리맡에 놓고, '자, 여기서 편히 자라'고 말해 보라"는 거였다.

시키는 대로 했더니 과연 귀신의 요동은 멎었고, 김보성도 편히 잘 수 있었다. 하지만 가끔 자다가 보면 침대에서 누군가 옆에 누워있는 듯한 기운이 느껴지기도 하고, 누군가 들어왔다 나가는 듯한 소리도 들리곤 했다는 증언이다.

가수들 중에서 귀신과 가장 친한 사람을 꼽으라면 김민종이 다섯 손가락 안에 든다. 귀신 이야기를 물으면 김민종은 "어려서부터 절에 살아서 귀신과 친하다"고 스스럼없이 말한다. 그가 흔히 본 것은 우산 귀신. 비 오는 날, 방과 후에 산길을 걸어 절로 가다 보면 우산 저 모퉁이에 뭔가 하얀 것이 꾸물꾸물하고 매달려 있었다. 우산이고 뭐고 다 팽개치고 달려간 민종에게 외할머니는 "절 근처에 못된 귀신은 못 산다. 귀신이 살아도 착한 귀신이고, 네가 집에 잘 오나 돌봐주는 거였을 게다. 다음부터는 친하게 지내라"고 해 줬다. 그 다음부터는 가수가 되고 나서 녹음실에서 귀신을 봐도 그리 무섭지 않더라는 얘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김민종이 아니더라도 가수들의 녹음실에서 귀신이 나오는 일은 엄청나게 흔하다. 이 녹음실 귀신에 대해서는 심수봉의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다. 목소리만 들어도 귀기가 느껴질 정도로 음기가 강한 심수봉의 목소리는 귀신과도 쉽게 어우리진다는 얘기가 있다. 실제로 심수봉이 녹음에 들어가면 녹음실 기사들은 아예 캄캄한 밤에 더듬더듬 일할 각오를 해야 한다. 이상할 정도로 심수봉만 노래를 시작하면 멀쩡하던 형광등이며 전구가 모조리 터져버린다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 연예계에서 가장 귀신을 싫어하는 연예인을 꼽으라면 당연히 이승환이 첫 손에 나올 것 같다. 지난 97년 발표한 <애원>의 뮤직비디오의 지하철 기관사 옆에 웬 흰 옷을 입은 여자가 서 있는 장면이 찍혀 있었던 것. 이 뮤직비디오를 놓고 진위 논쟁이 벌어지고, 일각에서는 '음반 홍보를 위한 조작 아니냐'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여기에 심한 상처를 받은 이승환은 뒷날 <귀신소동>이라는 노래까지 발표하며 '멀쩡한 사람을 음반 팔아먹으려고 귀신까지 만들어내는 놈으로 만들었다'고 질색을 했다. 그러니 귀신이라면 치가 떨릴 수밖에.(끝)






이밖에도 남동생과 한 방에서 자는데 벽장에서 웬 여자가 걸어나와 동생의 목을 조르기에 황급히 깨웠더니 동생이 웬 여자에게 끌려가는 꿈을 꾸고 있었다는 가수 김현정의 목격담도 있습니다.

제가 아는 이야기 중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여가수 J양(이니셜입니다)의 이야기인데 이 이야기는 그의 전 매니저에게 직접 들은 것입니다.

어느날 그가 J양을 태우고 밤길을 달리고 있었는데, 천천히 자동차 보닛 위에 사람의 형상이 나타나더랍니다. 차창을 가릴 정도는 아니고, 차 맨 앞부분에서 앞유리 쪽으로 기어올라오려고 하는데, 무척이나 힘들어 보이더라는군요.

형상은 머리가 긴 걸 보니 여자인데 얼굴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뭉개져 골수가 흘러내리고 있고, 두 팔 역시 모두 엉망으로 뒤틀리고 피투성이였다는군요(당연히 하체는 보이지 않았답니다). 이 매니저는 태어나서 자기가 상상력이 풍부하다고 생각한 적은 없었는데 그런 그가 척 보기에도 교통사고를 당해 죽은 시체의 형상이더라는 겁니다.

아무튼 이런 형상이 갑자기 달려들었으면 급브레이크라도 밟았을텐데, 느릿느릿 나타난데다 왠지 '차를 세우면 정말 무서운 일이 일어날 것 같다'는 생각때문에 세울 수가 없더라는군요. 그렇게 인적이 드문 길로 차를 계속 달리는데 너무 무서워서 눈물이 나더랍니다. 그렇게 무서워 본 적이 없었다는군요.

이때 자고 있는 줄 알았던 뒷자리의 J양이 나지막하게 한마디 하더라는군요.



"...오빠도 보여?..."



당연히 네게도 보이냐고 반문을 했겠죠. 그랬더니 J양의 대답.



"오빠는 처음 봤구나. 나는 자주 봐. 그런데 그래도 무서워."



그제서야 그는 평소에도 가끔 J양이 "오빠 저거 보여?"하고 아무것도 없는 방향을 가리키던 생각이 나더랍니다. J양에게는 다른 사람에게 보이지 않는 것들이 계속 보였던 거죠. 그날따라 그 보닛 여자 형상은 왜 매니저에게도 보였던 걸까요.

아무튼 이것이 그가 J양의 매니저를 그만둔 이유라고 합니다.

...뭐, 믿거나 말거나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p.s. 가수 J양이라니까 이 가수 'J'인줄 아시는 분들이 가끔 있는데, 윗글에 나오는 J양이란 이 J가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강시민공원의 흔히 볼 수 있는 박스형 매점에 사는 한 가족이 있습니다. 아버지(변희봉)의 속을 무던히도 썩히는 덜떨어진 장남 강두(송강호)는 딸 현서(고아성)가 학교에서 돌아오자마자 여동생 남주(배두나)의 양궁 경기로 채널을 돌립니다. 그러나 이날 괴물이 한강 밖으로 몸을 드러내고, 강두는 두 눈 앞에서 딸이 괴물에게 납치되는 광경을 봅니다.

가족 중 유일하게 대학물을 먹었지만 운동권 출신으로 날건달처럼 지내고 있는 둘째 아들 남일(박해일)은 현서의 영정이 놓인 합동 영결식장에 모습을 나타냅니다. 그 와중에 아버지의 한마디가 관객들의 웃음보를 풀어놓습니다.

"현서야~~ 너때문에 다 모였다~~ 우리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괴물>의 기자시사회가 치러진 이후 전국은 <괴물>을 칭송하는 소리로 가득 찼습니다. 온갖 언론과 평론들이 입을 모아 <괴물>의 위대함을 찬양하고 나섰습니다. 저는 일반인 대상의 시사를 통해서나 영화를 접할 수 있었습니다. 당연히 기대가 컸죠.

하지만 영화를 보고 나서는 발걸음은 왠지 그리 가볍지 않았습니다. 일단 인정할 건 인정해야죠. 110억원. 큰 돈이지만 사실 1000만 달러를 조금 웃도는 정도의 돈입니다.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1/10 가격으로 저 정도의 CG 괴물을 볼 수 있다는 것은 대단한 일입니다. 이 괴물은 몸에 불이 붙었을 때 외에는 거의 흠을 잡을 수 없을 정도로 정교합니다.

배우들의 연기 역시 더 이상 기대하면 곤란할 정도로 훌륭합니다. 네 명의 가족들은 각기 톱니바퀴처럼 자신의 캐릭터를 완벽하게 수행해냅니다. 아무래도 가장 인상적인 역할은 아버지 역의 변희봉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젊어서 '철없이 밖으로만 나돈' 아버지 변희봉은 강변 노점 벽에 걸린 멧돼지 얼굴이 보여주듯 상당히 거친 과거를 가친 인물입니다. 비록 지금은 한강시민공원에서 컵라면을 파는 노인에 불과하지만, 사제총(혹은 엽총)을 들고 괴물과 맞서는 일순간, 그의 젊은 날을 짐작할 수 있는 표정이 얼굴을 스치고 지나갈 때 저는 소름이 돋았습니다. 이거야말로 노련미  넘치는 노장의 진가가 드러나는 장면이었죠.

이밖에도 송강호 박해일 배두나에게 굳이 연기를 잘했네 어쩌구 하는 것은 새삼스럽게 이승엽의 방망이질이 날카롭네 힘차네 하는 거나 마찬가지이니 생략해도 좋을 듯 합니다. 특히나 무슨 일이 있어도 뛰지 못하는 배두나의 거북이 캐릭터는 너무 실감이 넘쳐서 분통이 터질 정도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살인의 추억>만큼은 아니지만 영화 곳곳에 숨어 있는 유머도 빛을 발합니다. 송강호의 답답한 캐릭터는 좀 지나치게 과장되어 있어 짜증스럽기도 하지만 이미 유명해진 'NO VIRUS' 신을 비롯해 관객들의 폭소선은 여러번 터집니다. 이 대목에서 박노식과 김뢰하가 별 특징 없는 장면에 투입된게 좀 아쉽습니다.

마지막 장면의 "밥먹자"는 <살인의 추억>의 "밥은 먹고 사냐?"를 연상시키는 대사이긴 합니다만 두 '밥'의 의미는 완전히 갈립니다. 후자의 '밥'은 '너 따위도 모진 목숨을 이어갈 자격이 있느냐'는, '생존의 자격'을 내포한 단어라면 전자의 '밥'은 그저 살아 있는 생명체라면 누구라도 느끼는 것이 당연한 '생존의 욕구'를 보여주는 표현입니다. 아무튼 밥을 먹는 라스트신은 너무도 인상적인 마무리입니다.

(중간에 가족들이 밥을 먹는 장면에 현서가 나타나 밥을 함께 먹죠. 이건 '제사밥'이라는 한국 고유의 전통을 생각나게 하는 장면이라 가슴을 뭉클하게 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괴물>은 매끈하게 잘 만들어진 영화입니다. 그런데도 불만이 있다면 기대가 지나친 탓이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우선 이 영화를 보다 보면 '대체 괴물이 상징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하게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선 이 영화는 그저 그대로 내러티브를 따라가면서만 보(아도 사실 별 상관은 없겠지만)면 어쩐지 엉성한 느낌을 감출 수 없습니다. 일단 아무리 괴물이 무서운 존재라 해도, 어느 정부가 '바이러스가 발생했다'는 이야기에만 정신이 팔려 괴물의 수색 자체를 포기하겠습니까. 게다가 미국의 생화학부대까지 파견돼 한강을 죽음의 강으로 만들려 하는 것은 이 영화를 좀 지나치게 정치적인 작품으로 만드는 악수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튼 이 영화는 거대한 한편의 우화입니다. 우화라면 무엇에 대한 우화일까요. 봉준호감독은 일찌감치 인터뷰를 통해 '이 영화는 프로파간다가 아니다'라는 말을 통해 이 영화에 제기될 반미 시비를 차단하려 합니다. 봉감독을 옹호하는 평론가들 역시 '그저 반미라기보다는 반미를 넘어선 권력 자체에 대한 비판'이라며 박자를 맞춥니다. 하지만 그 '권력'의 주체가 결국 미국이라는 점은 이 영화가 위치하고 있는 노선을 너무도 선명하게 보여줍니다.

물론 진보적인 성향을 가진 감독들이 위압적인 권력이나 부패한 사회를 괴물이나 유령으로 형상화하는 작품들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습니다. <살아있는 시체들의 새벽>에 나오는 좀비들이나 <천녀유혼>에 나오는 귀신들은 모두 부조리의 화신들이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다면 골뱅이를 닮은 괴물은 무엇일까요. 어떤 존재를 1:1로 상징한다기보다는 부패한 권력 자체를 가리킨다는 해석도 가능하지만 이 부분에서 봉감독은 해석의 여지를 충분히 열어 둡니다. 어떤 이의 말대로 괴물은 '미국의 독(포르말린)에 의해 만들어진 독재 권력'을 상징하는지도, 또는 그 괴물과 접촉한 사람을 무조건 격리시키게 하는 북한 정권을 상징할 수도 있습니다. 또는 아예 '분단이라는 모순' 자체를 상징할 수도 있죠.

쇠파이프(송강호)와 화염병(박해일)으로 무장한 '민중'들이 맞서야 하는 존재라면 말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국 이렇게 쏟아지는 상징과 암호들은 이 영화를 그저 웃고 즐길 수만은 없는 작품으로 만들어 버립니다. 반미 코드요? 물론 그저 '반미'라고만 요약하기는 쉽지 않지만, 이 영화는 미국이 누리고 있는 전 지구적인 권력에 대한 강력한 비판의 메시지를 쉴새없이 전달합니다.

'바이러스를 처리하러 왔는데 바이러스는 발견되지 않는다'는 코멘트는 누가 뭐래도 이라크전을 상징하는 것이죠. 아무튼 이런 수없이 많은 '기호들' 이 때문에 이 영화의 오락적인 효용은 자꾸만 뒷전으로 밀려납니다.

비유하자면 이런 식입니다. 현악 4중주를 들으러 갔는데 풀 오케스트라는 물론, 전자기타와 가야금, 투베이스 드럼까지 등장한데다 어디선가 천둥소리, 대포소리, 폭포수 소리, 귀신 우는 소리까지 들려오기 시작한다면 청중은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정작 들으러 왔던 현악 4중주는 '자, 이건 기본이니까 안 들어도 알지?'라는 듯한 지나친 생략 때문에 사뭇 위축돼 있다면 막상 듣는 사람은 그리 행복하지만은 않을 것 같습니다.

이런 청중들에게 '그저 현악 4중주만 들으려 했는데 천상의 소리가 다 나더라. 기대한 것 이상으로 듣고 나니 정말 행복하다'는 '신선'들의 고담준론은 왠지 허탈하게 들릴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p.s 고백할게 있다면, 저는 주인공이 바보스러운 영화를 대단히 싫어합니다. 특히 뭐 하나 제대로 챙겨먹지 못하는 이 답답한 가족 이야기가 제게는 참으로 부담스러웠습니다. 이 영화가 편하지 않았던 것은 구구절절 풀어놓은 이야기와는 달리 그저 제 개인적인 취향 탓일 수도 있습니다. 아마도 이 영화의 공과는 직접 보시고 평가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그만치 공들여 잘 가꿔진 영화라는 점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겁니다. (2006. 7. 20)


 

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실 '미이라'가 처음 만들어 질 때만 해도 3편까지 나올 거라고 기대한 사람은 별로 없었을 겁니다. 스티븐 소머즈가 대단한 기대주였던 것도 아니고, 브랜든 프레이저 역시 관객동원력 있는 배우가 아니었죠. 하지만 이 샘은 파도 파도 제법 단 물이 나오는 명천이었습니다.

누구나 아다시피 '미이라' 시리즈는 '인디애나 존스' 시리즈를 생각하지 않으면 존재하기 힘든 시리즈입니다. 게다가 최근에는 '내셔널 트레저' 시리즈까지 등장해 박스오피스를 휘젓는 바람에 올해 개봉되는 '미이라' 시리즈가 3편이라는 말에 '어? 3편은 벌써 보지 않았나?'하고 잠시 생각했더랬습니다. 이 영화 저 영화에서 서로 설정을 꿔다 쓰는 바람에 한 4편 정도는 이미 나와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미이라 3' 는 앞선 두 편과는 몇가지 차이가 있습니다. 일단 감독이 'XXX'의 롭 코헨으로 바뀌었고, 오코넬 부인 역이 레이첼 바이스(Weisz는 이렇게 읽는답니다)에서 마리아 벨로로 교체됐습니다. 아, 뭣보다 무대가 이집트에서 중국으로 옮겨졌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줄거리는 이렇습니다. 2차대전이 끝난 1946년, 릭 오코너(브랜든 프레이저)와 이블린(마리아 벨로) 부부는 은퇴 생활이 좀이 쑤셔 죽으려는 시점에 상해로 중요한 보물을 갖고 가 달라는 요청을 받고 냉큼 수락합니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이들 부부의 아들 알렉스(루크 포드)가 진시황(이연걸)의 병마용갱을 발견해놓고 있었죠.

그래서 진시황을 부활시키려는 군벌 양장군(황추생)과 그를 저지하려는 린(양낙시), 그리고 빠지면 섭섭한 이블린의 오빠 조나단(존 해너)가 뒤얽혀 엎치락 뒤치락 대 활극을 펼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이라' 시리즈는 '인디애나 존스' 시리즈의 수많은 아류작 중에서 가장 밝은 색채를 자랑합니다. 여기서는 주인공 중 누가 죽거나 다칠 일을 기대할 수가 없습니다. 너무도 마음 편히 처음부터 끝까지 볼 수 있는 영화죠. 물론 생각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뭐 얘기의 진행이 저 따위야?'라고 화를 내지 않을 정도의, 최소한의 얼개는 짜 놓은 상태라 그냥 마음 편히 따라가면 됩니다.

갑자기 왜 이렇게 줄거리에 관대해졌느냐고 따질 분이 있을까 싶긴 하지만, 그다지 마음에 드는 훌륭한 스토리는 아니라 해도 스토리가 갖춰야 할 기본적인 요소들은 모두 충족하고 있습니다. 쓸데 없는 곁가지로 '대체 왜 얘기가 이런 데서 겉도는 거야?'하는 느낌을 주거나, 쓸데도 없는 설명으로 템포만 뜰어뜨리지는 않고 있으니까요. 아, '가족 이야기'가 좀 지루하게 느껴지긴 하지만 그건 가족영화로서의 이 영화가 갖춰야 할 최소한이라고 생각하시는게 마음 편할 겁니다.


이 영화에서 부인 역의 배역 교체가 일어난 것은 무엇보다 레이첼 바이스가 '엄마 역할'에 너무 크게 초점을 맞춘 대본에 불만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애엄마 역을 좋아하는 배우는 사실 없다고 봐도 좋겠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아들 역으로 루크 포드가 새로 등장한 것은, 이번 작품으로 브랜든 프레이저와 '미이라' 시리즈의 계약이 끝나기 때문에, 차기작부터는 루크 포드를 중심으로 영화를 이어갈 수 있게 하기 위한 포석이라는군요. (하지만 이 설명을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루크 포드의 매력이 너무 약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이라 3'는 기본적으로 지나치게 많은 부분을 이미 만들어 진 다른 영화들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카리스마틱한 과거의 제왕을 되살리려는 현대의 악당들이 반드시 등장해 이야기를 복잡하게 만든다는 건 그냥 이 시리즈의 특징이라고 칩시다. 영생의 샘물과 그걸 마셔야만 하는 이유는 '인디애나 존스 3 - 최후의 십자군'에서도 봤던 얘깁니다(생각해보면 다친 사람이 누군지도 똑같죠). 이밖에도 유사한 영화들로부터 빌려 온 설정이나 클리셰는 이루 헤아릴 수가 없을 정도입니다.

마지막에 매드 독이 비행기를 타고 날아오는 장면에서는 아주 잠깐, 아예 '인디애나 존스'의 메인 테마가 울려퍼진 것 같기도 한데, 혹시 들으신 분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배우들은 별로 언급할 게 없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브랜든 프레이저의 주름살이 좀 안쓰럽고, 마리아 벨로는 레이첼 바이스보다는 케이트 베킨세일을 훨씬 닮았고(롭 코헨이 스티븐 소머즈의 시리즈를 이어 가는 영화라니까 '미이라 3'가 아니라 '반 헬싱 2'인줄 알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앞서도 얘기했지만 루크 포드는 너무 개성이 없고, 이연걸이나 양자경은 사실 이런 영화에 이런 역으로 나오는 것이 좀 망신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굳이 가장 반가운 얼굴을 꼽으라면 존 해너였고, 역시 가장 관심이 가는 건 양낙시(梁洛施, 이사벨라 렁)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양낙시는 포르투갈계 아버지를 둔 올해 만 20세의 홍콩 여배우입니다. 가수로는 앨범을 다섯장이나 냈지만 아직 배우로는 이렇다할 경력이 없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얼굴은 왕년의 장민과 장백지를 섞어 놓은 듯한 느낌인데, 앞으로 차세대 홍콩의 주역으로 기대해도 될 것 같습니다. 지난 연말 대만 금마장에서 이준기가 탕유(탕웨이)에게 신인여우상을 시상할 때 동반 시상자였다는 인연도 있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눈치채셨겠지만 굳이 이 양낙시의 뒷조사를 하고 있는 건 영화에 대해 그리 할 말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미 '미이라' 1편과 2편을 보신 분인데, 두 영화에 대한 기억이 좋았다면 이 영화를 보시는 건 반대할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만약 앞의 두 영화를 못 보셨다면 아무래도 가장 먼저 권할 것은 '미이라 3'가 아니라 '미이라' 입니다. 3편은 그 다음에 볼지 말지를 생각해 보시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굳이 한마디만 토를 단다면, 놀이공원의 기구들도 안전할수록 스릴은 떨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대신 매우 마음 편하게 탈 수 있는게 장점이죠. 그 밖의 다른 부분이요? 유머란 써먹으면 써먹을 수록 위력이 약해지는게 당연한 거죠. 그리고 농담에 대한 한 롭 코헨에 비해 스티븐 소머즈가 열 배는 뛰어납니다. 그런 부분은 아무래도 아쉽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p.s. 롭 코헨은 아무래도 용에 무슨 한이 맺힌 것 같습니다. 제목에 용이 들어가는 영화를 만든 게 벌써 세번째거든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특히 두번째 작품 '드래곤 하트'에 나오는 용(숀 코너리가 목소리를 맡았던)과 이 영화의 용을 비교해보시는 것도 흥미로울 듯 합니다.


p.s. 2. 극중에선 아무도 진시황이라고 부르지 않지만 이건 누가 봐도 진시황일 수밖에 없는 얘깁니다. 그런데 우리가 아는 중국인들이라면, 아무리 살아 생전에 악행을 많이 저지른 진시황이라도 '양키들'의 손에 의해 무참하게 부활을 저지당하는 걸 보고 싶어 하진 않을 것 같습니다.

홍콩에선 지난달 31일에 이미 개봉했는데 중국 본토에선 개봉하기 힘들겠죠?


p.s.3. (영화를 보신 분만 이해하시겠지만) 정말 4편에는 잉카 제국이 등장할까요?





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성원에 힘입어 이벤트를 마감합니다.

생각보다는 오답이 많이 나왔군요. 모두 46분이 참가하셨습니다. 아쉽게 정답을 맞추지 못한 분들은 다음 이벤트를 기대하시기 바랍니다.^

정답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메일 앞 부분입니다.

wlsl* 님, hae*님, nunul*님, shcc*님, piggy*님, jooye*님, next* 님, choijs* 님, exlud* 님, lonely* 님, y.soob* 님, infin* 님, naka1* 님, seawa* 님, nanjap*님, khoon* 님, m007* 님, parab* 님, jwrhe*님, anny* 님

사실 선착순 같은 건 전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퀴즈를 냈습니다. 물론 전에도 얘기했지만 살아가는 데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정보들입니다.






아무튼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있으니 정답 공개.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작가 딘 쿤츠는 70년대 가명으로 한 TV 시리즈 작가로 일한 적이 있습니다. 이 드라마는 두 명의 남자 주인공이 주축이었습니다. 그 중 '판초렐로'라는 이름의 멕시코계 남자가 국내에서도 매우 인기가 높았는데요, 이 역할을 맡은 배우의 이름은 뭘까요?

=> '기동순찰대(CHiPs)'는 국내에서도 대단한 인기를 누린 드라마였고, 주인공 판치(판초렐로) 역의 에릭 에스트라다가 이 작품을 통해 빅 스타로 떠올랐습니다. 하지만 다른 작품에는 적응에 실패해 그냥 이 드라마로 끝난 스타이기도 하죠.

40대쯤 되는 분들에겐 서비스 문제.^^



2. 오드 토머스 이야기는 '오드 패신저(Odd Passenger)'라는 제목의 인터넷 드라마로도 만들어졌습니다(바로 저 위의 동영상입니다). 이 드라마에서 오드 토머스 역을 맡은 배우의 이름은 뭘까요?

=> 안소니 막스. 자막에도 나옵니다. 참고로 인터넷 드라마는 그닥 재미있는 편은 아닙니다. 4편까지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딘 쿤츠의 원작 소설 'Demon Seed'는 영화화 된 뒤 한국에 들어와 '프로테우스 4' 라는 생뚱맞은 제목이 붙여졌습니다. 그 이유는, 정상적인 경우라면 이 영화에 붙여졌어야 할 제목을 이미 한 고전 공포영화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그 제목을 차지한 고전 공포영화의 원제는 무엇일까요?

<죄송합니다. '프로메테우스 4'는 오타였습니다. '프로테우스 4'가 맞습니다.>

=> 로만 폴란스키의 '악마의 씨'의 원제는 Rosemary's Baby 입니다. 뱃속의 아이가 악마의 씨라는 것을 안 임신부 미아 패로의 공포를 그린 영화죠. 공포영화사에서는 대단히 중요한 작품입니다.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 '악마의 씨' 혹은 'Demon Seed'라는 엉뚱한 답을 대신 분들이 있습니다. 안타깝습니다.



4. '살인예언자'에서 추리작가 역으로 나오는 리틀 오지는 작중 화자인 오드 토머스에게 아가사 크리스티의 '애크로이드 살인사건'처럼 쓰라고 합니다. '애크로이드 살인사건'은 추리소설 역사상 언페어플레이 논란으로 유명합니다. 다른 작가들이 이 소설을 공격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 이 문제때문에 '애크로이드 살인사건'을 읽지 못하게 됐다는 분이 있어 죄송합니다. 혹시라도 이 작품을 읽어보실 분을 위해 이 부분은 역상으로 처리합니다. 마우스로 긁으시면 답이 보일겁니다. 이 작품의 범인은 작중화자, 그러니까 소설을 이끌어 가는 사람입니다. 이 결말을 두고 수많은 독자들과 다른 작가들이 '반칙'이라고 주장한 겁니다. 사실 납득이 갑니다.

이 문제도 엄밀히 따지면 오답인 분(정확한 답을 대지 못한 분)이 꽤 많았습니다만, 그냥 홍익인간의 취지를 살려 정답처리 했습니다.





5. 쿤츠가 쓴 오드 시리즈의 최신판은 소설이 아니라 만화(Graphic Novel)인 'In Odd We Trust'입니다. 이 만화를 그린 여성 만화가는 누굴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당연히 사진의 인물입니다. 누굴까요?

=> 중국계 만화가 퀴니 찬입니다.




6. 본래 대머리인 쿤츠는 어느날 갑자기 머리를 심고 콧수염을 깎은 모습으로 대중 앞에 나서기 시작했습니다. 그에게 용모를 바꾼 이유를 묻자 그는 '이 사람처럼 보일까봐'라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이 본래의 쿤츠, 오른쪽이 문제의 인물)

워터게이트 사건의 핵심 인물 중 하나인 이 사람은 누굴까요?

=> 조지 고든 리디입니다.

워터게이트사건으로 옥살이도 했고, 출감한 뒤 토크쇼 진행자(?)도 했다는군요.^^





이상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다른 출판사에서 비슷한 이벤트 의뢰가 왔군요. 흠... 올 여름은 책 읽다 다 갈 것 같습니다.^^

이번 기회를 놓치신 분들, 기대하시기 바랍니다.

'살인예언자'는 곧 발송하도록 조처하겠습니다.

다산북스 관계자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이벤트는 마감했습니다.)

며칠 전 책 한 권을 받았습니다.

제목은 딘 쿤츠(Dean R. Koontz)의 '살인예언자(Odd Thomas, 다산북스)'. 원제는 주인공의 이름입니다. 솔직히 오드 토머스건 딘 쿤츠건 제게는 친숙한 이름이 아닙니다만 쿤츠의 작품은 38개국에 번역돼 3억2000만부나 팔렸다는군요. 오드 토머스 시리즈는 4탄까지 출간됐습니다. 인기가 없었다면 4탄까지 나왔을 리가 없겠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작가 쿤츠의 모습입니다. 머리가 가발 같다구요? 다 이유가 있습니다.^^)

살짝 맛을 보자면 주인공 오드 토머스는 아주 뛰어나게 사회성이 강하지는 않아 보이는 스무살의 청년입니다. 영화화한다면 스무살 언저리의 에드워드 노튼이 맡았다면 아주 잘 어울렸을 것 같은 인물이죠. 바람기 많은 아버지와 신경쇠약(자살충동)이 심한 어머니의 이혼으로 상처를 많이 받은 것 말고, 겉으로 보기엔 아주 평범한 청년이지만 그에겐 놀라운 재능이 있습니다. 바로 죽은 사람을 볼 수 있다는 거죠.

죽은 사람들 중 일부는 그에게 하소연을 하기도 하고, 그 때문에 그는 여러 차례 살인사건을 해결해 냅니다. 피해자들이 범인을 지목해주기 때문이죠. 그럼 왜 제목이 '살인해결자'가 아니라 '살인예언자'일까요. 이유는 오드 토머스가 사고를 칠 것 같은 사람에게 몰려드는 악령같은 존재들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작품에서 작가의 문체는 명인의 솜씨를 느끼게 합니다. 그림 전체를 한번에 보여주지 않고, 일부러 독자의 시야를 좁혀서 망원경으로 보게 하죠. 그렇게 조금씩 시야를 확대해가다 보면 처음에는 고양이 꼬리인 줄 알았던 것이 호랑이가 되기도 하고, 냉장고인줄 알았던 것이 TV이기도 한 일이 발생합니다.

미국에서 장르문학이 크게 발달한 데에는 나라의 크기가 큰 역할을 했다더군요. 국내선 비행기도 2시간 이상 걸리는 노선이 대부분이다 보니 뭔가 읽을 거리가 절실했다는 얘깁니다. 그러다 보니 심오한 주제보다는 책장이 잘 넘어가는 책들이 큰 시장을 이룰 수 있게 됐다고 합니다.

'살인예언자'가 노벨문학상 후보에 오를 책은 절대 아니겠지만, 여름 휴가를 위한 책으로는 손색 없는 작품입니다. 496페이지나 되지만 순식간에 읽어 버리게 하더군요. 특히 오드 토머스의 캐릭터는 참 묘한 느낌을 줍니다. 어려서 가정폭력을 경험한 작가의 투영일 지 모르지만, 그를 묘사하는 쿤츠의 손길에는 남다른 애정 - 혹은 애처로워하는 느낌 - 이 담겨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 그럼 지금부터 이벤트 시작입니다.

이 책을 스무 분에게 보내 드릴 수 있게 됐습니다. 가능하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분들이어서, 책을 읽으신 뒤 뭐라고 한 줄이라도 코멘트를 할 수 있는 분들이었으면 좋겠지만, 뭐 활짝 열린 집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그런 것까지 바랄 수는 없겠죠?  (양해의 말씀을 구하자면, 해외 배송은 곤란하다고 합니다. 국내에 계신 분들만 참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무튼 다른 때와 마찬가지로 종목은 퀴즈입니다. 물론 기본 상식으로 풀 수 있는 분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퀴즈는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여러분의 검색 능력을 테스트할 뿐입니다. 지식과는 아무 상관 없고, 검색으로 답을 알아낸 뒤에도 어디 하나 써먹을 데 없는 하찮은 퀴즈입니다. 따라서 여러분의 지적 능력과도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성황리에 마감됐습니다. 참가해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답을 아신 분들은
fivecard@naver.com으로 즉시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엔 아예 주소(우편번호 포함)와 전화번호(택배회사가 확인하는데 필요하다는군요)를 함께 적어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물론 못 맞춘 분들의 주소를 알고 있어 봐야 제가 어디다 팔아 먹을 데도 없으니 그런건 안심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자, 그럼 문제 나갑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작가 딘 쿤츠는 70년대 가명으로 한 TV 시리즈 작가로 일한 적이 있습니다. 이 드라마는 두 명의 남자 주인공이 주축이었습니다. 그 중 '판초렐로'라는 이름의 멕시코계 남자가 국내에서도 매우 인기가 높았는데요, 이 역할을 맡은 배우의 이름은 뭘까요?



2. 오드 토머스 이야기는 '오드 패신저(Odd Passenger)'라는 제목의 인터넷 드라마로도 만들어졌습니다(바로 저 위의 동영상입니다). 이 드라마에서 오드 토머스 역을 맡은 배우의 이름은 뭘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딘 쿤츠의 원작 소설 'Demon Seed'는 영화화 된 뒤 한국에 들어와 '프로테우스 4' 라는 생뚱맞은 제목이 붙여졌습니다. 그 이유는, 정상적인 경우라면 이 영화에 붙여졌어야 할 제목을 이미 한 고전 공포영화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그 제목을 차지한 고전 공포영화의 원제는 무엇일까요?

<죄송합니다. '프로메테우스 4'는 오타였습니다. '프로테우스 4'가 맞습니다.>



4. '살인예언자'에서 추리작가 역으로 나오는 리틀 오지는 작중 화자인 오드 토머스에게 아가사 크리스티의 '애크로이드 살인사건'처럼 쓰라고 합니다. '애크로이드 살인사건'은 추리소설 역사상 언페어플레이 논란으로 유명합니다. 다른 작가들이 이 소설을 공격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5. 쿤츠가 쓴 오드 시리즈의 최신판은 소설이 아니라 만화(Graphic Novel)인 'In Odd We Trust'입니다. 이 만화를 그린 여성 만화가는 누굴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당연히 사진의 인물입니다. 누굴까요?




6. 본래 대머리인 쿤츠는 어느날 갑자기 머리를 심고 콧수염을 깎은 모습으로 대중 앞에 나서기 시작했습니다. 그에게 용모를 바꾼 이유를 묻자 그는 '이 사람처럼 보일까봐'라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이 본래의 쿤츠, 오른쪽이 문제의 인물)

워터게이트 사건의 핵심 인물 중 하나인 이 사람은 누굴까요?






p.s. 이 이벤트는 이사온 새 집에서의 100호 포스팅 기념 사업의 일환입니다. (뻥 - 쓰고 나서야 100번째인줄 알았으면서 ;) 그리고 책을 제공해주신 다산북스 에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블로그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성연화, 1600년 전의 러브스토리  (37) 2008.08.07
CHECK EVENT 정답 공개  (26) 2008.08.01
정말 별 정신병자가 다 있군요  (26) 2008.07.30
텍스트큐브 블로그 한달  (34) 2008.07.29
08.07.10 지나가는 길에  (7) 2008.07.10
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포스팅은 시대의 흐름, 트렌드의 핵심인 '빠삐놈 현상'에 대한 중간 보고서입니다. 너무나 진도가 빨리 나가서 빠삐놈 현상을 꿰 차고 있는 분들에게는 뒷북으로 보일 수도 있으니 읽기 전에 침착하시기 바랍니다.)


아무튼 '빠삐놈 동영상'이라는 게 인터넷을 완전히 차지해버렸습니다.

이게 지금까지 나온 최종 버전인 것 같습니다. 말보다 직접 보는게 빠릅니다.





오래전 전설의 CF였던, 고인돌 가족이 나오는 삼강 빠삐코 애니메이션과 영화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이하 놈놈놈)'의 주제음악으로 쓰였던 'Don't Let me be misunderstood'에다 DJ쿠(구준엽), 전진, 엄정화 등 수많은 이미지들이 한데 섞여 들어간 대중문화의 정수(?)라고 할만 합니다.



자, 대체 이 괴물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요. 차근차근 짚어드립니다.

우선 누구나 다 아는 Santa Esmeralda의 Don't Let Me Be Misunderstood라는 노래가 있었습니다. 이 노래가 '놈놈놈'의 후반부 추격장면에 쓰이면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런데 네티즌들이 묘한 걸 생각해냅니다. 바로 고전 중의 고전인 이 물건이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습니다. 당시엔 아무도 신경쓰지 않았지만, 저 고인돌 아빠가 부르는 "빠빠라빠라바라밤"이 문제의 그 노래 구절이었던 겁니다.

당시 저 광고를 녹음하던 성우가 일이 이렇게 될 줄 짐작이나 했을까요. 아무튼 그러고 나서 (누구도 첫번째라고 인정하진 않았지만) 첫번째 작품으로 보이는 물건이 탄생했습니다.

아마도 전진이 가장 먼저 희생자가 된 듯 합니다.




해외라고 온전하지 않습니다. 톰 존스.




장르도 가리지 않습니다. 링킨파크까지.




건담도 제물이 됩니다.





온갖 연예인이 범벅이 된 초기 버전.




결국 현재까지 최종 버전은 맨 위의 대표 화면인 듯 합니다.

참 애니메이션 하나가 다양한 발전으로 사람들을 즐겁게 하네요. 중독성도 장난 아닙니다. 박수동 화백은 이런 일이 있을지 짐작이나 하셨을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무튼 빠삐코 아직 팔리고 있습니다. 이 노래 덕분에 대박나겠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p.s. 그런데 이 조사 과정에서 알게 된 부산물이지만, '빠삐코'라는 게 한국산 오리지날 빙과가 아니었군요. 한 6년 전에 '까리뽀'도 한국산이 아니란 걸 알게 됐는데...

결국 국산은 '아이차'와 '쭈쭈바' 뿐이라는?




728x90
아주 불쾌한 일입니다. 살다 보니 참 별 일이 다 있군요.

이런 일이 있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거짓말은 하지 말라니. 심지어 거기 동조하는 사람까지 있습니다. 아, 물론 한 사람이 위치를 바꿔가면서 장난을 칠 가능성도 있겠군요.

물론 증명할 필요도 없겠지만, 증명할 방법이 하나 생각났습니다. 다음 블로거 뉴스는 글을 전송할 때 제목을 한번 달면 수정되지 않습니다.


블로거뉴스에서 제가 쓴 글 중 하나를 임의로 클릭해 보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럼 우측 상단에 '블로거뉴스'라고 써 있는 박스가 뜹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박스에서 노란 펜촉 옆에 있는 제 이름을 클릭하면, 그동안 블로거뉴스로 송고한 글들의 목록이 뜹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쪽 '월남전 영화 속의 노래들'이란 제목을 보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글을 클릭하면 '님은 먼곳에와 월남전 영화 속 노래들'이란 제목의 글이 뜹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목이 다릅니다. 이건 다음 블로거뉴스에 '월남전 영화 속의 노래들'이란 제목으로 기사를 보낸 뒤 제목을 수정했기 때문에 일어난 일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죽 아래로 내려와서, '놈놈놈에 이야기가 없다고?'라는 제목은 지금 블로그에 있는 글의 제목과 똑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즉, 만약 저 어이없는 작자들이 주장하는 대로 제가 최근에 제목을 수정했다면, 지금 저 다음블로거뉴스의 목록에 제목이 지금과 똑같이 되어 있을 수가 없다는 것이죠.

이상입니다.

하도 어처구니없고 기가막힌 일이라 하소연삼아 올렸습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별별 쓰레기를 다 만나 봤고, 자기가 썼던 글을 수정하면서 바락바락 우기는 정신병자도 본 적이 있습니다만, 이런 경우는 또 처음이군요.




'블로그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ECK EVENT 정답 공개  (26) 2008.08.01
CHECK CHECK CHECK EVENT! (종료됐습니다)  (69) 2008.07.31
텍스트큐브 블로그 한달  (34) 2008.07.29
08.07.10 지나가는 길에  (7) 2008.07.10
08.07.07 중간점검  (32) 2008.07.07
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태지의 음반 가격이 1만원이라는 데 대한 반감이 확산되는 것 같습니다.





달랑 4곡이 들어 있는 싱글 한장에 1만원. 인터넷 쇼핑몰들에서 1만원에서 1만1천원 사이의 가격으로 팔리고 있습니다. 물론 비싸긴 비쌉니다. 다른 가수들은 요즘 앨범도 1만1천원 선에서 팔리고 있기 때문이죠.

쇼핑몰 yes24의 가격으로 보자면 서태지가 4곡(실제로는 3곡)에 10400원입니다. 그런데 이효리는 13곡에 11900원. 이렇게 따지면 서태지가 3배 넘는 가격을 받고 있는 셈이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서인영도 6곡(리믹스 빼면 역시 사실상 3곡) 담긴 '미니 앨범'에 9700원을 받고 있습니다. 서태지와 700원 차이밖에 나지 않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나라도 이제 음반 가격이 가수마다, 파는 곳마다 천차만별이지만 미국은 더 심합니다. 아마존에서 아무 파트나 들어가 봤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인 인치 네일스의 Closer to God은 6.49달러, 역시 나인 인치 네일스의 다른 싱글은 6.7달러. 하집만 사라 맥클라클랜의 Live Acoustic은 달랑 5곡 담긴 싱글이지만 17.99달러나 합니다(그런데 이건 사실 캐니다에서 나온 수입반이라는군요). 뭐 같은 극장에서 상영하는 영화의 표 값도 다 다른 미국에서야 어쩌면 너무나 당연한 일입니다.

-> 이 부분을 이해하지 못하는 단순한 분들이 있는 것 같아서 몇마디 덧붙입니다. 맥클라클랜의 음반이 수입반이므로 적절치 못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소비자의 입장에선 여전히 마찬가지입니다. 결국은 5곡에 17.99달러를 내야 하는 거죠. 지금 몇몇 어리숙한 분들이 주장하는 대로라면 이 역시 말도 안 되는 고가일 뿐입니다. 뒤집어 말하면 이 가격에 내놔도 살 사람이 있기 때문에 통하는 가격이죠.

마찬가지로 서태지 음반이 4곡인데 왜 비싸냐... 이런 얘기 하시는 분들은 똑같은 3000cc 차인데 왜 어느 차는 3천만원이고 어느 차는 1억대냐고 주장하는 것과 비슷하죠. 어떤 차는 수입이라 비싸고, 어떤 차는 한국산이라 싸다고 우긴다 해도 결국 똑같은 배기량의 차를 몇배 더 내고 사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그 가격이 존재하는 겁니다.

결론은 - 비싸서 당신이 안 사기 때문에 그 차 회사가 망할 것 같으면 그 차 회사는 중대한 실수를 한 겁니다. 하지만 당신 외에 불만 없이 그 차를 사는 사람이 많다면 그건 그 회사의 탁월한 결정인 거죠.

그리고 한마디만 덧붙인다면 - 참 태어나서 서태지 편이라고 욕먹는 날이 올 줄은 정말 몰랐습니다. 오래된 서태지 팬들이 혹시 이름을 기억한다면 거품을 물고 쓰러지겠군요.






일단 음반이 전반적으로 안 팔리는 추세이면서도 음반 가격이 떨어지지 않는 것은 시장의 특징 때문이라고 봐야겠죠. 사실 지금보다 10% 정도 더 비싸도 음반을 살 사람은 다 살 거라는 생각이 깔려 있습니다. 반대로 가격을 10% 정도 떨어뜨린다고 해서, 그만큼 더 팔리지는 않는다는 것도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즉, 가격이 떨어지면 소비가 늘어난다는 경제학의 기본 원칙과 현재의 음반 시장은 전혀 맞지 않습니다. (이유는 다 아실테니 생략.)

그리고 음악에 정가가 있다는 생각은 아무래도 빨리 버리는 게 좋겠죠. 팔리는 가격이냐, 안 팔리는 가격이냐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작곡가나 아티스트의 입장에서는 "작품자의 영혼 1g이 들어간 작품과, 전체 영혼을 다 쏟아 부어 만든 작품의 가격이 어떻게 똑같냐"고 충분히 주장할 수 있습니다. 뭐 이런 주장을 확대해 나가면 미술계에서도 '(화가 A가 그린)사방 30m짜리 그림과 (화가 B가 그린)사방 1m짜리 그림의 가격이 어떻게 똑같을 수가 있어!'라는 말까지 나올 수 있죠.

게다가 그걸 사는 사람이 10만명이나(물론 1만명이 10장씩 샀을 수도 있지만^^) 된다는 건 감히 누가 가격 얘기를 하느냐는 의미도 됩니다. 아, 물론 에르메스 백이 1천만원씩 한다는 걸 욕하듯, 누구에게나 욕할 자유는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엔 그만한 공감을 얻기도 그리 쉽지 않을 것 같네요.

그럼 우선 모아이를 한번 맛뵈기로.




네온사인 덫을 뒤로 등진 건
내가 벗어두고 온 날의 저항 같았어
떠나오는 내내 숱한 변명의 노를 저어
내 속된 마음을 해체시켜 본다.

때론 달콤한 내 거짓으로도
때론 아이 같은 응석에 두 손을 벌려도
이제 ALL I NEED 모아이들에게
나의 욕심을 말해볼까 이젠

내 가슴 속에 남은 건
이 낯선 시간들 내 눈에 눈물도 이 바다 속으로...
이 낯선 길 위로 조각난 풍경들
이런 내 맘을 담아서 네게 주고 싶은걸
IN THE EASTER ISLAND

이제 세상은 이 어둠을 내게 허락했고
비로소 작은 별빛이 희미한 나를 비출 때
차가운 바다 속에 내 몸을 담그니
내 가슴을 흔드는 잔잔한 물결뿐

해맑게 웃을때 나른한걸까
세상에 찌든 내 시크함을 조롱한걸까
나는 멍하니 이 산들바람 속에
성난 파도를 바라보고 있어

내 가슴 속에 남은 건
이 낯선 시간들 내 눈에 눈물도 이 바다 속으로...
이 낯선 길 위로 조각난 풍경들
이런 내 맘을 담아서 네게 주고 싶은걸
IN THE EASTER ISLAND

내가 돌아갔을 땐 너는 맨발로 날 기다리겠지
무릎을 세우고 초조하게 있지는 마
이달이 질 무렵 돌아가니까

내 가슴 속에 남은 건
이 낯선 시간들 내 눈에 눈물도 이 바다 속으로...
이 낯선 길 위로 조각난 풍경들
이런 내 맘을 담아서 네게 주고 싶은걸
IN THE EASTER ISLAND


가사가 상당히 서정적입니다.

이 노래를 듣고 가장 먼저 머리에 떠오른 노래는 이 노래였습니다.




크게 보아 '널 지우려 해'에서 이어지는 노래라고 말하면 너무 지나친 얘기가 될까요. 아무튼 '모아이'를 들어 보니 외계인이건, 서태지건, 멀리 떠났다 돌아온 사람이 이제 새로운 친구들을 사귈 때가 됐다고 판단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분은 어떠실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728x90


(1) 예전 블로그와 가장 달라진 점이 있다면 갖가지 통계가 가능하다는 겁니다.

우선 가끔 들여다보게 되는 건 리퍼러. 물론 다음 블로거뉴스가 전체의 70% 이상이니 그건 별 재미가 없고, 가끔씩 다른 분들의 블로그에서 링크나 트랙백을 타고 들어오는 숫자를 보게 되면 참 흥미롭습니다.




(2) 그 다음은 검색어. 어떤 검색어로 이 블로그에 찾아들어왔나를 보여주는 거죠. 종전의 블로그에서는 지원되지 않던 기능입니다. 이게 언제부터의 통계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무튼 현재 검색어 순위는 이렇습니다.

1. 52 송원섭
2. 30 장녹수 실제얼굴
3. 24 놈놈놈
3. 24 손태영 임신설 %...
3. 24 연예가중계손태영
4. 22 님은 먼곳에 노래
5. 18 월남전
6. 15 카드카운팅
7. 14 수애 수지큐
8. 10 송원섭의 스핑크스

1위는 제 이름인데... 이건 즐겨찾기나 rss를 싫어하시는 분들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검색에서 그냥 치면 나오는데 귀찮게 뭔 즐겨찾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에겠죠.^

아무튼 끊이지 않고 꾸준한 것이 바로 '장녹수 실제얼굴'과 '카드카운팅'입니다. 후자는 '21'을 최근에 보신 분들이 많으니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대체 '장녹수 실제얼굴'을 계속 검색해서 들어오는 분들은 누굴까요? (이 분도 즐겨찾기 대신 '장녹수 실제얼굴'을 이 블로그에 들어오기 위한 키워드로 삼고 있는 걸까요? ^^;;)



(3) 역시 광고로 돈 번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군요. 애드센스를 단 뒤 통계를 보면, 전체 방문자 중에서 광고에 주목하는 사람은 하루 0.1% 미만인 듯 합니다. 하긴 저 자신도 제가 애드센스를 달기 전까지는 다른 블로그에 광고가 붙어있다는 사실을 아예 감지하지 못했을 정도니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일 듯 합니다. 아무튼 이걸로 축재(^^)를 하려던 생각은 일찌감치 접어야 할 것 같네요.

(다음에서 수익쉐어 프로젝트를 내놨다고 하는데 그건 과연...?)

IT 쪽 포스팅을 하는 블로그들은 광고가 아니더라도, 현물지원(이 물건 좀 써 보시고 포스팅해 주세요)이나 심지어 현금지원(이 상품에 대해 쓰시면 얼마씩 드립니다)도 있다고 하던데, 블로그 소재가 안 좋은 모양입니다.

그렇다고 영화 광고를 유치할 수도 없고... (광고 하지도 않겠지만, 한다 쳐도 영화 광고를 한켠에 걸어 놓고 이 영화 별로라고 쓰는 건 광고주에 대한 예의가 아니죠.^^)

얼마 전 한 출판사에서 이 블로그를 통해 도서 마케팅을 하시고 싶다는 제의가 와서 당연히 그러마고 했습니다. 물론 보상은 책. 안 읽어보고 포스팅할 수는 없어서 지금 열심히 읽고 있습니다. 한 20분 정도에게 이벤트를 통해서 공짜 책을 나눠드릴 수 있을 것 같군요. 기대하세요!



'블로그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ECK CHECK CHECK EVENT! (종료됐습니다)  (69) 2008.07.31
정말 별 정신병자가 다 있군요  (26) 2008.07.30
08.07.10 지나가는 길에  (7) 2008.07.10
08.07.07 중간점검  (32) 2008.07.07
퀴즈 픽사 이벤트, 정답 공개  (58) 2008.06.27
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흥미로운 기사가 하나 떴습니다. 최근 개봉된 '다크 나이트'와 관련, 이 영화에 나오는 배트맨의 모습이 미국의 조지 W. 부시 대통령을 연상시킨다는 얘기더군요. 월 스트리트 저널(WSJ)에 실린 한 칼럼에 근거한 기사였습니다.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view.asp?page=1&gCode=int&arcid=0920984551&cp=nv

보다 보니 궁금해서 원문을 찾아 봤습니다. 그런데... 웃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일단 한글 기사를 좀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유를 금방 아실 수 있습니다.


<< ‘배트맨과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닮은 꼴. 미국 보수진영을 대표하는 월스트리트저널(WSJ)는 28일 이 같은 주장을 담은 유명 추리소설가 앤드류 클래번의 칼럼을 실었다. 그는 칼럼에서 “두 사람은 선악 구별만 하는 단순한 도덕 관념, 긴급 사태를 핑계로 타인의 인권을 침해하는 철면피라는 점이 똑같다”고 주장한다.

부시 대통령이 2001년 9·11 사건 직후 ‘테러와의 전쟁’을 선언하자 환호를 보낸 미국인들은 얼마 전 개봉된 영화 ‘배트맨:다크 나이트’편에 똑같이 열광하고 있다. 클래번에 따르면, 이 같은 미국인의 심리가 바로 보수 진영의 요람이다. 항상 정의의 승리를 위해선 모든 수단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여기는 사고방식이 네오콘(신보수주의)과 부시 정권을 낳았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특히 영화계가 보수주의를 더 한심하게 만들고 있다”며 “진보 진영이 부시 정권을 사실적으로 비판하는 반면, 보수 진영은 만화 캐릭터나 동원해 부시를 응원한다”고 지적한다. 배트맨 같은 블록버스터 ‘영웅’은 보수 이미지를 ‘단순·만용·일방주의’로 고착시킬 뿐이란다.

또한 진보 영화계가 얼핏 우월해 보이지만 진실의 한쪽 면만 부각시킨다는 점에선 보수 진영과 마찬가지라고 클래번은 꼬집었다. 테러리스트의 인권 침해 문제는 정면으로 다루면서도 테러에 희생당한 사람들의 인권엔 별 관심이 없어 보인다는 것이다. 그는 “새로 나온 배트맨 시리즈가 인기를 얻으면 얻을수록 미국 보수주의의 현재는 우울해진다”며 “이제 보수주의도 만화가 아닌 일상으로 돌아와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기자

>> (이상 국내 모 일간지 기사.)


이 기사를 봐선 앤드류 클래번이라는 사람은 부시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요? 자, 그럼 원문을 한번 보시겠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그냥 보시라는 얘기는 않겠습니다.^^ 제가 엉뚱한 번역을 했는지도 모르니 다들 한번 검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기사에서 굵게 표시한 부분을 원문에서 찾아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목: 배트맨과 부시의 공통점

폭력과 공포에 휩싸운 도시로부터 구원을 요청하는 외침이 흘러나온다. 플래시 불빛이 밤하늘을 비치고, 흘러가는 구름 표면에 박쥐의 심볼이 비쳐진다.

가만. 저건 박쥐가 아니군. 사실, 손가락으로 따라 그려보면... 그건 마치... W처럼 보인다.

현재 모든 박스 오피스 기록을 깨고 있는 '다크 나이트'는, 내가 보기에는 의심할 여지 없이, 거의 찬가의 수준으로 조지 W. 부시가 지금과 같은 테러와 전란의 시대에 보여온 강고한 의지와 도덕적인 용기를 찬양하고 있는 영화다. W(부시)처럼, 배트맨은 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테러리스트들과 맞서고 있다는 이유로 (부당하게) 비방당하고 또 혐오를 사고 있다. 또 W처럼, 배트맨은 때때로 긴급 상황을 처리가히 위해 국민들의 권리를 잠시 유보해 두어야만 할 때가 있다. 물론 상황이 해결되는 즉시 그가 훼손된 권리를 원상회복 시킬 것 역시 당연하지만.

그리고 W처럼, 배트맨은 때로 사람들이 그릇된 선택을 할 수도 있는 자유로운 사회 와 파괴에만 열중하는 범죄자 집단 사이에 도덕적인 동등함(moral equivalance) 같은 것이 존재한다는 건 말도 안 된다는 점을 알고 있다. 전자(자유 사회)는 비록 어리석음에 빠지더라도 고이 간직되어야 할 것이지만, 후자(범죄자 집단)는 반드시 지옥문 안에 갇혀 감시를 받아야 할 것들이다.

따라서 '다크 나이트'는 테러와의 전쟁에 대한 보수적인 시각의 영화다. 그리고 지난해의 '300'같은 영화들처럼, 부시 행정부가 하찮은 것들을 위해 타협할 수 없는 가치와 필요를 묘사함으로써 흥행에서도 성공했다.

반대로, 테러와의 전쟁에 대한 좌경 색채의 영화들 - '엘라의 계곡 (In The Valley Of Elah)', '렌디션(Rendition)''리댁티드(Redacted)' - 등은 도덕적 균형을 설교하고, 굴복을 옹호하며, 군과 그들의 사명을 비하하고, 미국과 이슬람 파시즘 사이의 차이를 구별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고, 개봉될때마다 '충격과 공포 작전(역주=Operation Shock and Awe: 2003년 이라크 침공 때의 작전명)' 수준으로 흥행에서 박살이 났다.

그렇다면 좌경 세력이 자신들의 영화를 직설적이고 사실적으로 만들면서 자유를 만끽한데 비해, 왜 할리우드의 보수주의자들은 자신들이 사실이라고 알고 있는 것들을 말하기 위해 마스크를 써야만(역주=배트맨 이야기를 빌려서) 했을까?  도덕심, 신앙, 자기 희생, 정의를 위해 싸우는 고귀함 등등, 우리를 지키는 데 힘을 더하는 보수적인 가치들은 대체 왜 '300', '반지의 제왕', '나니아 연대기', '스파이더맨 3'와 같이 판타지나 만화 원작의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것일까?

영화 제작자들이 이슬람 테러리즘을 사실주의적인 영화에서 다루게 되는 순간, 이런 가치들은 어디론가 사라져 버린다. 좋은 편은 나쁜 편과 구별할 수가 없고, 결국 우리를 보호해주는 영웅들이 모욕받는 쪽으로 결론이 내려진다. 대체 왜 이래야만 하나?

내게는 이런 질문들에 대한 대답이 바로 '다크 나이트'의 줄거리에 내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옳은 일을 하는 것은 매우 힘들고, 사실을 말하는 것은 위험하다. 많은 사람들이 이로 인해 미움을 받았고, 어떤 사람들은 죽음을 당했다. 물론 십자가에 못박힌 사람도 있다(역주=누구일까요?).

좌경세력은 우익의 도덕관을 단순하다고 비판한다. 그들은 도덕이란 상대적이며 미묘하고 복잡한 것이라고 말한다. 당연히, 그들은 그들 자신의 주장 안에서 이미 틀려 있다.

좌익이든 우익이든, 모든 미국인들은 자유가 노예보다 낫다는 것을, 사랑이 증오보다 낫다는 것을, 친절이 잔혹보다 낫다는 것을, 관용이 편견보다 낫다는 것을 알고 있다. 우리는 우리가 어떻게 이런 것들을 알게 되었는지, 늘 알지는 못하지만 아무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사실들을 알고 있다.

정말 문제가 복잡해지는 건 우리가 이런 가치들을, 이 가치들이 널리 통하지 않는 세계에서 지켜내야 할 때이다. 우리가 관용을 지키기 위해 관용을 베풀수 없는 상황, 친절의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불친절해져야 하는 상황, 우리가 사랑하는 것을 지키기 위해 증오를 품게 될 때 말이다.

스스로 이런 어려운 일들을 떠맡는 영웅들이 등장할 때면, 나머지 우리들은 그들로부터 등을 돌리려는 듯한 경향을 보인다. 우리의 도덕적인 모습을 보호하기 위해 그들을 비방하는 경향도 보인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평화적인 가치의 귀감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우리 편의)사나운 병사나 잔혹한 심문자들을 저주하고 심판받게 했다. 정작 우리의 가치들을 지킨 건 그들인데 말이다. 게리 올드먼이 연기하는 고든 경찰국장이 미움받는 배트맨에 대해 "그는 멀리 도망가야만 할 것이다. 우리가 그를 뒤쫓을테니까"라고 말하듯이.

이거야말로 진정한 도덕적 혼란이다. 우리의 예술계가 때때로 사람은 생명을 수호하기 위해 타자를 죽여야만 하고, 그들의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때로 그 가치를 침해해야 하고, 무비 스타들이 영웅인 적 하기 위해 우리의 아부의 조명 속에서 거들먹거리는 동안 진짜 영웅들은 어둠 속에서 축 처진 어깨로 살금 살금 도망치거나 모욕당해야만 할 때가 있다는 것을 보여줄 준비가 되어 있을 때라야, 그리고 그럴 때에만 우리는 부시 대통령에게 마땅히 받아야만 할 정당한 대우를 해줄 수 있고, 그때서야 테러와의 전쟁에 대한 참된 영화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아마도 이건 할리우드의 보수주의자들이 그들의 가면을 벗고, 낮의 햇살 속에서 자연스럽게 얘기할 수 있는 때일 것이다. (끝)



원문입니다. 주소는
http://online.wsj.com/article/SB121694247343482821.html?mod=sphere_ts&mod=sphere_wd


사용자 삽입 이미지


What Bush and Batman Have in Common
By ANDREW KLAVAN
July 25, 2008; Page A15

A cry for help goes out from a city beleaguered by violence and fear: A beam of light flashed into the night sky, the dark symbol of a bat projected onto the surface of the racing clouds . . .

Oh, wait a minute. That's not a bat, actually. In fact, when you trace the outline with your finger, it looks kind of like . . . a "W."

There seems to me no question that the Batman film "The Dark Knight," currently breaking every box office record in history, is at some level a paean of praise to the fortitude and moral courage that has been shown by George W. Bush in this time of terror and war. Like W, Batman is vilified and despised for confronting terrorists in the only terms they understand. Like W, Batman sometimes has to push the boundaries of civil rights to deal with an emergency, certain that he will re-establish those boundaries when the emergency is past.

And like W, Batman understands that there is no moral equivalence between a free society -- in which people sometimes make the wrong choices -- and a criminal sect bent on destruction. The former must be cherished even in its moments of folly; the latter must be hounded to the gates of Hell.

"The Dark Knight," then, is a conservative movie about the war on terror. And like another such film, last year's "300," "The Dark Knight" is making a fortune depicting the values and necessities that the Bush administration cannot seem to articulate for beans.

Conversely, time after time, left-wing films about the war on terror -- films like "In The Valley of Elah," "Rendition" and "Redacted" -- which preach moral equivalence and advocate surrender, that disrespect the military and their mission, that seem unable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America and Islamo-fascism, have bombed more spectacularly than Operation Shock and Awe.

Why is it then that left-wingers feel free to make their films direct and realistic, whereas Hollywood conservatives have to put on a mask in order to speak what they know to be the truth? Why is it, indeed, that the conservative values that power our defense -- values like morality, faith, self-sacrifice and the nobility of fighting for the right -- only appear in fantasy or comic-inspired films like "300," "Lord of the Rings," "Narnia," "Spiderman 3" and now "The Dark Knight"?

The moment filmmakers take on the problem of Islamic terrorism in realistic films, suddenly those values vanish. The good guys become indistinguishable from the bad guys, and we end up denigrating the very heroes who defend us. Why should this be?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seem to me to be embedded in the story of "The Dark Knight" itself: Doing what's right is hard, and speaking the truth is dangerous. Many have been abhorred for it, some killed, one crucified.

Leftists frequently complain that right-wing morality is simplistic. Morality is relative, they say; nuanced, complex. They're wrong, of course, even on their own terms.

Left and right, all Americans know that freedom is better than slavery, that love is better than hate, kindness better than cruelty, tolerance better than bigotry. We don't always know how we know these things, and yet mysteriously we know them nonetheless.

The true complexity arises when we must defend these values in a world that does not universally embrace them -- when we reach the place where we must be intolerant in order to defend tolerance, or unkind in order to defend kindness, or hateful in order to defend what we love.

When heroes arise who take those difficult duties on themselves, it is tempting for the rest of us to turn our backs on them, to vilify them in order to protect our own appearance of righteousness. We prosecute and execrate the violent soldier or the cruel interrogator in order to parade ourselves as paragons of the peaceful values they preserve. As Gary Oldman's Commissioner Gordon says of the hated and hunted Batman, "He has to run away -- because we have to chase him."

That's real moral complexity. And when our artistic community is ready to show that sometimes men must kill in order to preserve life; that sometimes they must violate their values in order to maintain those values; and that while movie stars may strut in the bright light of our adulation for pretending to be heroes, true heroes often must slink in the shadows, slump-shouldered and despised -- then and only then will we be able to pay President Bush his due and make good and true films about the war on terror.

Perhaps that's when Hollywood conservatives will be able to take off their masks and speak plainly in the light of day. (끝)

Mr. Klavan has won two Edgar Awards from the Mystery Writers of America. His new novel, "Empire of Lies" (An Otto Penzler Book, Harcourt), is about an ordinary man confronting the war on terror.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가 눈이 삐었나 이곳 저곳 해외 블로거들의 주장을 살펴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아닌 것 같습니다. 확실한 건... 그렇습니다. 클래번이라는 작가가 엄청난 부시 빠에다 열렬한 공화당 지지자였다는 거죠.

대체 어떻게 저런 원문에서 그런 기사가 나왔는지 참 궁금하기만 합니다. 결론은 없습니다. 아무튼 참 믿을 게 별로 없는 세상이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p.s. 시간이 좀 남아서 저걸 다 번역하긴 했지만, 절대로 내용에 공감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평소에 참 접해 볼 기회가 없던 주장이라 좀 신선하긴(^^) 하더군요. 실제로 미국인들 중에는 저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꽤 있겠구나 하는 생각도.
 
...그런데 대체 얼마나 빠심이 깊어야 저 사인이 W로 보일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p.s. 2. 이런 기사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출처(Foreign Policy)는 제가 예로 든 기사와 다르더군요. 혹시라도 착오 없으시길.





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류가 죽었네 살았네, 일본 바이어들이 발길이 끊어졌네 하는 사람들을 볼 때마다 하는 얘기가 있습니다. 일본에서 가장 인기있는 한류 상품은 뭘까요. 복잡할 게 없습니다. 한류 스타들이 나오는 콘텐트, 특히 드라마입니다. 영화도 좋긴 하지만 아무래도 파급 효과나 위력 면에서는 드라마에 비할 바가 아니죠. 그럼 '겨울연가'의 빅 히트 이후로 대체 한국의 자랑스런 한류 스타들은 얼마나 많은 콘텐트를 만들었을까요.

소위 4대천왕의 마지막 드라마 작품들입니다.


이병헌, 2003년 올인 (2009년 방송 예정 아이리스)

장동건, 2000년 이브의 모든것

배용준, 2002년 겨울연가 (2007년 태왕사신기)

원빈, 2000년 가을동화


이렇습니다. 한마디로 물건이 없는데 뭘 사라는 겁니까.

이 대목에서 가정을 한번 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배용준의 데뷔작 <사랑의 인사>부터 모든 출연작이 일본에서 없어서 못 파는 히트상품이 된 마당에, 2003년 이후에 배용준이 출연한 드라마가 단 한편이라도 있었다면, 그 드라마의 가격은 과연 어떻게 됐을까요.

불행히도 그런 기회를 사소한 이유로 놓쳐버린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욘사마로 가는 마지막 비상구'를 놓친 사람들

요즘 '욘사마'의 가치를 모르는 사람이 있다면 좀 모자란 사람이거나 세상 돌아가는 걸 잘 모르는 사람 취급을 받기 마련이다. 연예계에 아무런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동아시아를 뒤흔드는 배용준의 위명은 익히 알고 있기 때문.

이런 '욘사마의 치세'는 NHK가 드라마 <겨울연가(일본 방송명은 <겨울 소나타>)>를 지상파로 방송하기 시작한 지난 2004년 4월3일부터 2년간 흔들림 없이 지속되고 있다. 이미 위성방송을 통해 여러 차례 방송되며 마니아들을 양산했던 <겨울연가>가 지상파에서도 위용을 떨치며 배용준을 '신'의 자리에 올려놓은 것이다.

<겨울연가> 폭풍 이후 한국의 배용준 관련 소프트웨어는 동이 났다. 배용준이 신인 시절부터 지금까지 출연한 모든 드라마와 영화가 일본의 특수 상품이 된 것. 업자들의 입장에서 안타까운 것은 배용준이 2002년 <겨울연가> 이후로 현재 일본에서 방송중인 <태왕사신기> 외에는 드라마에 출연한 적이 없었다는 거였다.

그런데 '욘사마 신화'가 탄생하기 불과 3개월 전인 2004년 1월, 아주 사소한 문제로 배용준의 출연을 거절한 드라마가 있었다. 제목은 <폭풍 속으로>. 그 사연은 이렇다.

한국 TV 드라마계에서 2003년은 최완규 작가-유철용 PD-그리고 이병헌의 해였다. 바로 <올인> 두 글자로 요약할 수 있었다. 다른 화제작도 많았지만, 이병헌-송혜교 커플의 탄생을 비롯해 '올인'보다 더 국민적 관심이 쏠렸던 드라마는 없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유 콤비는 2004년을 맞아 또 하나의 야심찬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었다. <폭풍속으로>는 최완규 작가가 젊은 시절 푹 빠져 있었다는 외화 <야망의 계절(Rich men, Poor men)>을 원안으로 한 작품. 어느 모로 보나 빈틈없고 철저한 엘리트인 형과 잡초처럼 자라난 동생의 이야기로, 원작격인 <야망의 계절>에서는 피터 시트라우스와 닉 놀테가 형제로 출연해 톱스타가 됐다.

<폭풍 속으로> 제작진은 형제 중 동생 역할을 배용준에게 제의했고, 배용준은 선뜻 '하고 싶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런데 배용준은 막상 구체적인 이야기로 들어가자 독특한 제의를 했다. '시놉시스(드라마 기획안)가 지나치게 형 역할 중심으로 쓰여진 것 같으니, 동생 중심으로 다시 써 달라'는 요구였다.

사실 그리 일반적이지는 않은 요청이었다. 시놉시스는 어차피 대본을 쓰기 전에 관계자들에게 드라마가 갖고 있는 대략의 골격을 설명해주는 정도의 용도로 쓰일 뿐, 정작 방송될 때에는 시놉시스와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 가는 드라마도 비일비재하다. 제작진도 이미 동생이 실질적인 주인공이었기 때문에 배용준에게 제의를 한 것이었고, 형 역할을 제의받은 몇몇 톱스타는 '동생이 주인공인 드라마'라며 출연을 거절했을 정도다. 게다가 그때까지 대본이 이미 나와 있던 것도 아니고, 그때부터 더욱 동생 중심으로 대본을 쓰면 그만인 일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시놉시스를 다시 써 달라'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아무 의미가 없는 일. 그런데도 배용준은 '당장 보기에 좋지 않다'며 계속해서 수정을 요구했다. 그런 사소한 것 하나라도 꼭 짚어 넘어가야 하는 꼼꼼한 성격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아무튼 별 것 아닌 문제가 자존심 대결로 발전하면서 결국은 출연 자체가 물 건너간 일이 되고 말았다. 배용준의 입장은 "그거 고치는 데 돈이 드냐. 그만한 일도 못 해주느냐"는 것이었고 제작사 측은 "그게 무슨 의미가 있냐. 공연히 까다롭게 군다"는 것이라 의견차가 좁혀지질 않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올인>의 성공으로 한껏 자신감에 차 있던 최-유 콤비는 사실 이런 문제를 그리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당시 박신양과 이정재라는 만만찮은 카드들이 <폭풍 속으로>'의 형제 역할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었기 때문. 그러나 배용준 카드가 사라지자 우여곡절 끝에 이정재의 캐스팅도 불발됐고, 어찌어찌 하다가 이 역할은 <다모>로 가능성을 보인 신인 김민준에게 돌아갔다. 형 역할도 당초 예상과는 달리 김석훈이 맡았다.

그로부터 1개월 뒤, 제작진은 아직 신인 티를 벗지 못한 김민준의 연기를 볼 때마다 다 잡았다 놓친 배용준을 그리워해야 했다. <폭풍 속으로>는 20%대로 수준급의 시청률을 보였지만 배용준은 이내 '욘사마'라는 아호를 달고 먼 하늘로 날아올랐다.

만약 <폭풍속으로>가 '배용준의 최신작'이라는 꼬리표를 달았더라면 이 드라마는 도대체 얼마에 일본으로 팔려나갔을까. 지금도 <폭풍 속으로>와 관련된 몇몇 사람들은 한숨을 내쉬며 말한다. "그때 그거 좀 그냥 고쳐 줄 걸." (끝)






- 결국 '폭풍속으로'도 25%대의 '준수한' 시청률을 기록하며 끝났지만 제작진의 눈에는 얼마나 배용준이 밟혔을까요. 물론 최완규 작가는 그 뒤로도 '해신'과 '주몽'을 히트시켰고 현재도 '식객'이 엄청난 돈을 벌어들일 준비를 하고 있지만, 그래도 아직 저 때 생각을 하면 아쉬움을 감추지 못합니다. 앉아서 100억원대의 돈을 날린 셈이니까요.





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티아이 스레이를 나서서 씨엠립으로 돌아오는 동안 니르낫은 우리 부부의 침묵이 좀 부담스러웠던 모양이다. 즉 30분이면 다 보고 나올 수밖에 없게 만든(주요 조각들은 손상을 우려해 멀리서나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반티아이 스레이를 보려고 추가 요금까지 받으면서 비포장도로를 한시간이나 달려왔느냐는 비난으로 침묵을 해석한 듯 니르낫은 당초 예정에 없었던 프레 룹을 들렀다.

프레 룹은 앙코르 와트를 연상시키는 5탑형 사원으로, 대지 위로 우뚝 솟아오른 규모가 어쩐지 피라미드를 연상키는 거대 유적이다. 물론 앙코르 와트와 마찬가지로 역시 정면에서는 세개의 탑만 보인다.특히 위 사진에서도 보듯 층층이 쌓아올린 돌은 붉은 색을 띤 라테라이트(뭔지는 모른다)라서 매우 선명한 느낌을 준다. 나중에 자세히 설명을 읽어 보면 이 사원 역시 해질녘에 들르면 사원의 붉은 빛이 석양을 맞아 타오르는 듯한 붉은색으로 보인다고 한다.(앙코르 유적지는 왜 죄다 해질녘 아니면 해뜰때가 가장 멋지다는 것인지.... 투덜투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사진보단 좀 더 붉은 빛이 강조된 사진. 앙코르 와트의 3층을 오르는 것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살짝 가파른 계단을 오르면 주위 경관이 매우 훌륭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뽀나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꼭내기층에서 입구 쪽을 내려다 본 모습. 중앙 문 쪽에 있는 흰 사람의 모습이 유적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나 그 반대쪽은 폐허에 가깝다. 다행히 주위에 큰 나무는 없었는지 타 프롬처럼 되진 않았다. 타 프롬이 뭐냐고? 잠시 후면 아시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무튼 고만고만한 밀림 한 가운데서 우뚝 솟아오른 프레 룹에서 돌아보는 조망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날씨가 좋으면 앙코르 와트도 보인다고 하나 이날은 그 정도는 아니었다.점심 식사 후에 들른 곳은 앙코르 와트와 함께 앙코르 지역 관광의 핵심을 이루는 타 프롬(사실은 따 쁘롬이라고 읽어야 제 맛이다). 안젤리나 졸리의 <툼 레이더>에 나와서 새삼 눈길을 끌었던 타 프롬은 거대한 유적지가 어디선가 날아온 씨앗 하나에서 자란 나무들에 의해 제멋대로 훼손된 현장을 그대로 보존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론대로라면 타 프롬은 지금도 계속 성장하는 나무들 때문에 변형되고 있어야 하지만 자세히 보면 대부분의 나무 뿌리들을 제거해서 현재의 모습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무튼 타 프롬은 인간의 야망과 비전에 의해 설계된 거대한 문명이 자연의 힘 앞에서는 얼마나 무력하게 무너져내리는지를 보여준다는 면에서 매우 독특하고 매력적인 관광지가 아닐 수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식의 사진을 본 사람들이 많을 게다. 이런 식으로, 돌담 위에 씨앗 하나가 떨어져서 나무로 자라나는 것 까지는 좋은데 어떻게 저렇게 머나먼 돌담 아래까지 저 굵은 뿌리를 내려 보낼 수 있었을까. 참 불가사의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아무튼 눈으로 보고 있으니 믿을 수밖에.물론 이 다음 사진에 비하면 이 장면은 사실 약과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식물의 힘+세월의 힘이라고 설명할 수밖에. 식물은 하나의 생명체지만 실제로는 거대한 기업과도 같다. 사방으로 물을 구하기 위해 뻗어나간 뿌리들 가운데서도 몇개는 경쟁에서 지고 뿌리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뒤 흔적만 남아 있다. 수익성을 보장받지 못해 폐쇄된 사업 부문처럼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돌담 위에서 나무가 자라고, 점점 나무가 커 지면서 나무의 무게를 감당하기 힘들어진 돌담은 다시 무너져 내린다. 이제 사원은 인간이나 인간이 거기에 담았던 의미로부터 점점 멀어지고 만다. 천년도 안 되는 시간 속에서 나무는 자신의 자리를 찾았고, 좀 더 충분한 시간만 주어진다면 나무들은 이깟 유적 따위는 도저히 찾을 수 없는 원시림 속으로 돌려보낼 수도 있을 것이다.

아무튼 이렇게 녹색으로 채색된 사원은 묘한 매력을 풍겨낸다. 사실 나무그늘이 많고 감춰진 듯 보물찾기 할 수 있는 공간이 많아서 앙코르 지역의 사원들 중에서 가장 오래오래 머물고 싶은 공간이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