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처음 '각시탈'의 남자주인공으로 주원이 캐스팅됐다고 했을 때 상당히 의외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주원이 주목받는 신인이라 해도 '제빵왕 김탁구'를 빼면 경험이 너무 일천한 편이죠. 물론 '제빵왕 김탁구'의 주인공이었던 윤시윤도 베테랑이라고 할 수는 없었지만 '각시탈'이라는 원작의 지명도로 볼 때 주원이 타이틀 롤을 맡는 것은 다소 어색해 보였습니다.

 

물론 그 뒤로 들려온 소문은 좀 더 기가 막힌 것이었습니다. '각시탈'이 항일 독립운동을 다룬 드라마이기 때문에 소위 'A급' 남자 배우들이 출연을 기피한다는 거였죠. 이미 한류스타가 된 주연급들은 고사하고(사실 이 드라마에 투입된 다른 물량을 셍각하면 한류스타급을 캐스팅하기는 애당초 힘들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게 하면 전체 제작비가 너무 올라가죠), 미래의 한류스타를 꿈꾸는 연기자들도 고개를 저었다는 얘깁니다.

 

업계 사람들에게는 이미 널리 퍼진 얘기였지만 이 이야기는 얼마 전 신현준이 '각시탈' 제작발표회장에서 입을 열어 온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참 씁쓸한 얘기가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고 있는 것은, '각시탈'이 처음은 아니라는 겁니다. 그동안 '한류'의 힘은 알게 모르게 한국 드라마에 영향을 미쳐왔습니다.

 

 

 

수익성만 놓고 보면 당연한 얘기일 수 있습니다. 이미 일본에서는 일본 드라마 '나와 스타의 99일'에 출연한 김태희를 놓고 일본 내에서 혐한류 파문이 있었던 것은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습니다.

 

 

 

 

결국 그 바람에 김태희를 모델로 썼던 일본 화장품 회사는 "김태희를 쓰지 말라"는 협박까지 받는 등 가볍지 않은 타격을 입었습니다.

 

아마도 '각시탈'의 기획안을 본 연기자들은 극중에서 신나게 일본 순사며 헌병을 때려눕히는 자신의 모습이, 먼 뒷날 일본에 진출해 '아이시테루'를 외칠 때 올가미가 되지 않을까 걱정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사실 일본에서의 한류 인기가 엄청난 수입의 원천이다 보니 이런 웃지 못할 일들은 예전부터 있어 왔습니다. 배용준 주연의 한류 드라마 '태왕사신기'를 기억하신다면 충분히 이해가 가실 일입니다.

 

요즘 드라마 '광개토태왕'을 봐도 당연한 얘기지만, 역사적으로 볼 때 광개토대왕의 가장 큰 적은 후연을 비롯한 북방민족 계열의 국가들입니다. 중국 역사에서는 5호16국 시대, 만주와 화북지방에서 명멸했던 왕조들이죠.

 

 

 

 

하지만 '태왕사신기'에서 광개토대왕 담덕의 가장 큰 적은 최민수가 거느리는 '화천회'라는 정체 불명의 초국가적 범죄단체(?)입니다. 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요즘은 그렇지 않지만 '태왕사신기' 방송 당시만 해도 중국이 상당히 중요한 한류 시장이었습니다. 또 이른바 동북공정과 관련, 중국은 한국 드라마 속의 중국 묘사에 매우 민감한 입장이었죠. 그 때문에 주인공 광개토대왕이 중국을 상대로 전쟁을 벌이는 내용이 '태왕사신기'에서 사라져 버린 것입니다. (이 당시에는 중국의 눈치 때문에 줄거리를 바꾸거나, 중국 내 촬영을 위해 대본을 두개 만들거나 하는 일들이 상당히 흔했습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태왕사신기'는 광개토대왕의 업적 중 하나인 왜군과의 전투를 삭제해 버렸습니다. 내물왕 때 신라에 침입한 왜군을 물리치고 신라를 사실상 보호국으로 만든 내용이 드라마에서는 전혀 다뤄지지 않습니다. 물론 이 역시 우연은 아니었죠.

 

심지어 '태왕사신기'에서 가장 핵심을 이루는 대결 또한 광개토대왕이 외적과 싸우는 내용이 아니라 같은 고구려인인 호개(당시 윤태영이 이 역할을 맡았죠)가 이끄는 반란군(?) 집단과의 내전이었습니다. 아마 이런 식의 서술이 바로 드라마 '태왕사신기'의 뒷심을 빼 놓은게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이런 사례들을 돌이켜 생각해 보면 연기자들이 '각시탈' 출연을 꺼렸다는 것은 전혀 놀랍지 않습니다. 오히려 당당히 이 역을 차지하고 열연을 펼치고 있는 주원을 칭찬할 일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런 분위기가 반대로, 드라마 속 국수주의를 부추기는 쪽으로 가는 것 역시 경계해야 할 일입니다. 일본에 대한 과거사 문제, 혹은 독도 문제에 대한 한 한국인이라면 분명한 입장을 취해햐 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현세 원작 '남벌' 같은 정신나간 국수주의 역시 반드시 극복해야 합니다.

 

일본에 살면서 귀화한 것도 죽을 죄고, 일본인에게 성폭행당한 여동생이 자결하지 않은 것도 죽을 죄고, 그 시체를 썩을 때까지 메고 다니는 것이 진정한 사랑이라는 식의 비정상적 마초 분위기는 '한류를 위해 항일 드라마에는 출연하지 않겠다'는 기회주의보다 더 위험합니다.

 

 

 

 

한국 연예인들을 '항일 연예인'으로 몰아가며 민족감정을 부추기는 세력이 일본 내에서 다수파가 아니듯, 한국에서도 일본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과민 반응을 보이는 세력 역시 기를 펴지 못하게 해야 합니다. 일부 할일 없는 사람들 중에는 최홍만이 일본 드라마에 출연한 일까지 비판의 대상으로 삼기도 하는 걸 보면, 결코 기우는 아닙니다.

 

이런 사람들에게는 '한민족 우수성의 상징'인 장훈 선수도 일본 드라마(1982년작 '료마가 간다')에서 일본 사무라이 역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는 얘기를 해 줘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문득 일본에서 김태희를 놓고 '반일 연예인'이라고 주장했던 근거가, 지난 2005년 김태희가 펼쳤던 독도 사랑운동 때문이라는 사실이 생각납니다.

 

당시 김태희는 동생 이완과 함께 스위스 홍보대사였는데, 그 기회에 스위스를 방문해 사람들에게 독도 사랑 티셔츠를 나눠주며 독도 홍보를 한 적이 있었죠.

 

어쩌면 이런 사실들이 앞으로 독도 사랑 운동에 방해가 될 지도 모르겠다는 무서운 상상이 스치고 지나갑니다. "야, 안돼. 나 다음 달에 일본에서 방송될 CF가 몇갠데." 만약 그런 한심한 생각을 갖고 있는 친구들이 정말로 있다면, 예전에 배용준이 '독도는 한국 땅'이라고 발언한 뒤 있었던 일들을 기억하기 바랍니다.

 

진정한 팬이라면, 자기가 사랑하는 스타의 소신을 이해하기 마련입니다.

 

 

 

 

한국 연예인이면 한국의 입장을 당당하게 옹호하는 것이 중요하듯, 내한하는 일본 연예인들을 붙잡고 "독도가 어디 땅이야, 응? 독도가 어디 땅이냐고?" 하고 시비를 걸어 봐야 누구에게도 도움되지 않습니다. 우리의 것을 지켜야 한다는 소신만큼이나, 국제 사회에서 한국 혼자 살아갈 수는 없다는 사실 또한 중요하니 말입니다.

 

 

 

 

728x90

올 여름 최대의 기대작 중 하나였던 리들리 스코트 감독의 '프로메테우스'가 국내 흥행 성적은 신통치 않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미국이라고 '프로메테우스'가 박스 오피스 1위를 하고 있지는 않더군요.

 

솔직히 '프로메테우스'를 기대하면서도 이 영화가 제임스 카메론 풍의 액션 블록버스터가 되지는 않을 거라는 점, 다시 말해 '아바타'같은 영화가 되지는 않을 거라는 점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짐작했을 것입니다. 흘러나오는 이야기를 들을 수록, '프로메테우스'는 '글래디에이터'보다는 '블레이드 러너'에 가까운 작품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샘솟았습니다.

 

마침내 영화는 아무나 쉽게 할 수 없는 웅대한 시각적 파괴력을 앞세워 개봉했습니다. 그리고 내용에 대해서는 역시 논란이 한창입니다. 이 영화를 옹호하는 측에서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평 자체가 불경스럽다"는 반응을 보일 정도입니다. 반면 지나간 스코트의 히스토리를 모르는 젊은 관객들은 '뭐야 이게'라는 반응도 서슴지 않고 있습니다. 그 사이에도 다양한 층위의 관객들이 있습니다.

 

대체 이 영화의 어떤 점이 이런 다양한 반응을 낳고 있을까요.

 

 

 

 

간략 줄거리. 우주 어딘가의 별에서 한 외계인이 자신의 몸을 흩뜨려 검은 씨앗(?)을 전파시키는 장면이 프롤로그로 주어집니다.

 

2085년, 웨일랜드사의 탐사선 프로메테우스가 먼 우주로 떠납니다. 목적은 인류 문명의 외계 기원을 탐사하기 위해서. 수년간의 수면 비행에서 깨어난 비행사들은 그들이 잠든 동안 우주선을 지켜 온 안드로이드 데이빗(마이클 패스벤더)를 만납니다.

 

비행의 책임자인 비커스(샤를리즈 테론)는 이 미션에 대해 어딘가 시니컬하고, 엘리자베스 쇼(노미 라파스)를 비롯한 탐사 팀의 학자들과 회사의 목적이 분명히 다르다는 선을 긋죠. 어쨌든 미지의 행성에 발을 디딘 이들은 지구라면 피라미드에 해당할 거대 유적(혹은 시설물)을 발견하고, 거기서 놀라운 문명의 흔적과 마주합니다.

 

 

 

 

개봉 전부터 에일리언의 프리퀄이네 아니네 말이 많았지만, 프리퀄의 정의를 뭘로 하건 이 영화가 리들리 스코트 감독의 1979년작 '에일리언'의 앞 이야기 인 것은 맞습니다. 이 영화를 통해 말 많던 스페이스 자키의 정체는 무엇인지, 우리의 뒤짱구 에일리언은 어떻게 해서 탄생하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단지 이 별이 '에일리언'에서 화물선 노스트로모 호의 승무원들이 갔던 그 별이냐, '프로메테우스' 첫 시퀀스에서 등장하는 별이 지구냐 아니냐 등에는 논란이 있는데, 여기에 대해 리들리 스코트는 좀 반칙을 합니다. 원작자는 작품을 던졌으면 그만이지,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장면을 만들어 놓고 해석 A와 B에 대해 '내 의도는 ....였다'는 식의 인터뷰를 너무 많이 했습니다. 이건 창작자의 역할은 독자나 관객 앞에 작품을 던져 놓는 것으로 끝나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하시는 움베르토 에코 선생이 봤다면 혼찌검이 날 일입니다. (심지어 그닥 독창적이라고 볼 수도 없는 외계인의 예수 파견설까지...)

 

아무튼 결론부터 말하자면, '심오함'이라든가 '철학적' 이라든가, '화제작'이라든가 하는 변설에 이끌려 이 영화를 보실 분들은 아예 안 보시는게 낫습니다. 이 영화는 매우 특이하고 야심적인, 놀라운 규모의 SF입니다. 처음부터 이 장르와 스코트에 애정이 없는 분들은 아무 감흥이 없을 것을 각오하셔야 합니다. 달리 말하면, 진입장벽이 꽤 있는 영화라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 2012년에 무슨 영화가 있었나...하고 회고할 때 이 영화가 빠진다면 좀 부끄러울 수도 있을 그런 영화죠.)

 

이하는 스포일러가 쑥쑥 튀어나올 겁니다. 하긴 뭐, 보고 나서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라는 분들이 많은 걸 보면 오히려 스포일러가 감상에 도움이 될지도.

 

 

 

 

사실 리들리 스코트의 '에일리언'에 대해서는 몇가지 오해가 둥둥 떠 다니고 있습니다. '스코트가 만든 에일리언 1편은 쫄딱 망하고 혹평에 시달렸는데 제임스 카메론이 만든 2편이 대박을 치면서 프랜차이즈가 살아났다'고 믿는 분들이 있는데, 사실이 아닙니다. 흥행 성적만 보더라도 1979년작 '에일리언'은 1천만달러 살짝 넘는 제작비로 6천만달러 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약 2천만달러를 투입해서 8천만달러를 벌어들인 1986년의 '에일리언2(Aliens)'에 비해 낫다고도 할 수 있는 성적입니다. 쫄딱 망하거나 욕을 먹었다면 카메론이 굳이 속편을 만들겠다고 하지도 않았겠죠.

 

아마도 '블레이드 러너'의 경우와 '에일리언'을 혼동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생긴 일인 듯 합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에일리언2'가 아무 사전 정보 없이 개봉했다가 호평을 받고, 여기 필 받아서 뒤늦게 개봉한 '에일리언'은 '뭐 이딴게 다 있어'라는 평을 얻었기 때문에... 국내 기준으로 그렇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적지 않죠. 저도 개인적으로 관객이 느낄 수 있는 재미 면에서는 '에일리언2'가 훨씬 앞선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어두운 우주선 안에서 승무원 일곱명이 차례 차례 잡아먹히는 내용은 단조롭고 지루하죠.

 

 

 

 

어쨌든 카메론이나 데이빗 핀처(에일리언3) 등의 노력으로 에일리언 시리즈는 전설의 흥행 시리즈가 됐고 비록 주인이 바뀌긴 했지만 원조집 사장인 스코트 옹은 뿌듯해집니다. 그리고 다른 레스토랑으로 잇달아 대박을 낸 터라, 이 기회에 '에일리언 원조집'을 대대적으로 오픈할 결심을 했습니다.

 

(뭐 중간 중간 '이건 에일리언 원조집(prequal)이 아니다'라는 식으로 언론플레이를 하기도 했지만, 아니면 뭐겠습니까. 이런 게 바로 허세...^^)

 

 

 

 

물론 백전노장 스코트 선생이 아무 준비 없이 그런 말을 하지는 않았을 겁니다. 그 '그럼 뭐겠습니까'에 대한 답으로 준비한 것이 바로 '인류의 시원을 찾아가는 대우주 파노라마'라는 것이었죠. 그래서 엄청난 규모의 세트와 함께 수만년을 오르내리는 웅대한 플롯이 마련됩니다.

 

하지만 문제는, 과연 이것만으로 감동할만큼 현대 관객들이 순진무구하냐는 데 있습니다. 인류의 외계 기원설이라는것이 그렇게 새로운 시각도 아닐 뿐만 아니라, 특히나 '신이 인간과 만물을 창조하셨다'는 관념을 수천년 동안 유지한 서구 기독교 사회가 아니라면 '야, 인간은 알고 보니 신이 만든 게 아니라 외계인이 뿌린 씨에서 태어난 거였어. 깜짝 놀랐지?'라는 말에 과연 얼마나 큰 정서적 타격을 입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 그 창조자는 누가 만들었을까?'하는 말 역시 뭐 그닥 큰 울림이 없습니다.

 

사실 대부분의 비 기독교 문화권 사람들(더 정확하게는 유일신 신앙이 보편화되어 있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인간을 신이 만들었건, 외계인이 만들었건, 우연히 단백질이 가득 찬 연못에 번개가 떨어진 뒤 수억년에 걸쳐 진화했건 별 큰 감회가 없는게 보통이죠. '뭐, 그랬나보지...'  

 

 

 

 

다만 여기에 스코트 감독은 또 하나의 층위를 보탭니다. '블레이드 러너'에서 보여줬던 인간의 피조물, 바로 안드로이드죠. 이미 인간보다 기억력, 분석력, 체력, 근력, 심지어 외모까지도 모두 우월해진 데이빗 같은 안드로이드는 서서히 생각하게 됩니다. '대체 왜, 이렇게 훌륭한 내가, 나를 창조했다는 이유로 인간 같은 보잘것 없는 존재에게 복종해야 하는 것일까?'

 

이런 관념은 이 영화를 지배하는 주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데이빗에게는 일단 웨일랜드 본인과 회사의 명령에 복종하는 동기가 있고, 그 밖에 자신의 지적 호기심을 달성한다는 동기가 있습니다. 인간의 몸을 숙주로 이용해 제법 위험해 보이는 외계 생물을 지구로 가져가려 하는 것은 이 두가지 모두를 충족시키는 것이죠.

 

아무튼 데이빗은 상당히 흥미로운 발언을 많이 합니다. '모든 아들들은 아버지의 죽음을 바라지 않나요?' 같은. 우주선이 수년을 날아오는 동안 혼자서 지구의 상고 문명을 모두 연구하고, 갖가지 고대 문자를 비교 분석해서 지구 최고의 석학이 된 데이빗에게 '생명'이란 사실 귀찮고 부담스러운 관념입니다. 그래서 외계인의 골이 터지는 장면을 보면서도 '쳇. (너조차도) 불멸의 존재는 아니었어' 라는 냉소적인 반응이 나오는 것이죠.

 

 

 

 

이 영화 최대의 떡밥은 웨일랜드와 데이빗이 잠에서 깨어난 '엔지니어'와 만나는 장면입니다. 대체 데이빗은 웨일랜드의 감격적인 인삿말을 어떻게 전달한 것일까요. 웨일랜드의 뜻대로 전달한 것인지, 아니면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한 것인지, 그리고 왜 엔지니어는 그런 파괴적인(^^) 반응을 보인 것인지는 참 궁금합니다.

 

이 대목에서 유일한 단서는 제목입니다. 다 아시다시피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에게 '신들의 입장에서는 주고 싶지 않았던' 불을 주는 바람에 바위벽에 매달리게 된 티탄 신족입니다. 이 영화와 관련해 이 신화를 인용하시는 분들이 1.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와는 다른 신족이고 2. 프로메테우스가 절벽에 묶인 것은 사실 불을 줘서가 아니라 제우스의 예언 요청을 거절했기 때문이고 3. 정작 프로메테우스는 절벽에 묶이지만 불을 전달받은 인류는 대홍수로 절멸의 운명을 맞는다는 점을 간과하곤 합니다.

 

대체 왜 엔지니어가 지구인들을 싫어하느냐는 질문도 자주 나오지만, 그건 신화에도 나오듯 '저깟 것들이 뭔데 불(혹은 지성)을 사용해?'라는 간단한 불쾌감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프로메테우스'나 '에일리언' 등의 인간들은 아예 노골적으로 안드로이드가 인간과 같은 외양, 때로 인간보다 뛰어난 지성을 보이는 것을 경멸하곤 하죠. 자신들의 피조물에 대한 무시는 때로 몇날 며칠을 공들여 만든 성냥개피 집을 자기 손으로 휙 허물어 버리거나, 늘 흥미롭게 지켜보던 개미집 표본에 물을 부어 수많은 개미들이 익사하는 광경을 즐거워하는 어린이의 모습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내가 만든 건데 어때? 죽이건 살리건 무슨 상관이야. 또 만들면 되지."

 

 

 

 

사실 '프로메테우스'가 수많은 이야깃거리를 만들고 보는 이로 하여금 여러가지 상념에 젖게 하는 것은 이 영화가 철학적이고, 심오하고, 압도적이어서 아니라(물론 비주얼은 진정 압도적입니다) 이 영화가 의도적으로 빈 칸이 많은 상태로 관객 앞에 던져졌기 때문입니다. 리들리 스코트는 그의 진짜 걸작이라고 할 수 있는 '블레이드 러너'에서 인공 지능과 인격이라는 것이 과연 어느 지점에서 만나고 헤어지는가에 대한 폭넓은 통찰을 보여 줬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블레이드 러너'의 설정 곳곳에 있는 여백(노골적으로 말하면 '구멍')에 얼마나 마니아들이 열광하는지, 그리고 그 열광이 얼마나 자신을 더 위대한 감독으로 만드는지를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프로메테우스'에 남겨진 여백들은 '블레이드 러너'의 경우보다 훨씬 의도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리들리 스코트가 관객들에게 하는 말이 제게는 이렇게 들립니다. "너희들에게 매력적인 캐릭터와 웅대한 설정, 압도적인 비주얼, 그리고 한 3년 너희끼리 치고 받을 수 있는 풍성한 떡밥을 주마. 나는 가끔씩 인터뷰를 통해 '나의 진정한 의도'를 흘려 주지."

 

 

 

 

새로운 리플리 역을 맡은 노미 라파스(Noomi는 누구나 '누미'라고 읽고 싶어지는 스펠링이지만 독일이나 북유럽권에서 oo는 '우' 보다는 '오'의 장음에 가깝다고 합니다. '특전 유보트'라는 한국어 제목으로 소개된 영화 'Das Boot'는 '다스 부트'가 아니라 '다스 보트'죠^^)는 강인하긴 하지만 너무 지나치게 초인적인 캐릭터라서 현실감이 떨어집니다(배를 절개한 뒤 스테이플러로 박고도 날아다니는 인간이라니...그거 참). 또 하나의 여성 캐릭터인 비커스는 샤를리즈 테론의 낭비였다는 여론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세련되고 매력적인 사이코패스 악당 데이빗(...사실 이런게 사이코패스가 아니면 뭐가 사이코패스겠습니까^^)는 이미 성공이 예견된 캐릭터였고, 이미 패스벤더는 매그니토 역을 통해 보여준 악역 잠재성을 유감없이 이 영화에서 펼칩니다.

 

(매력적이긴 하지만 굳이 흠을 잡자면, 77년생 치고는 노안이라는... 그런데 블레이드러너의 시대는 2019년. 이때 이미 넥서스들이 그렇게 발달해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2080년대의 데이빗, 2130년대의 비숍은 좀 발달이 정체된 느낌이 있습니다. 웨일랜드사가 타이렐 사의 기술을 계승하지 못했기 때문일까요.^^)

 

 

 

P.S. 스코트 형님의 입장은 '반드시 속편을 만든다' 는 것이라고 하는데, 과연 속편은 정말 예상대로 엘리자베스가 우주 괴물들을 데리고 엔지니어들을 멸종시키는 내용일까요.^^ 매우 궁금합니다. 어쨌거나 이제 뒤짱구 에일리언은 다시 못 보게 될 것 같으니 좀 아쉽습니다. 사진은 H.R.기거의 오리지널 디자인.

 


조 아래쪽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조여정 노출'이라는 검색어로 몇주째 인터넷 여론을 이끌고 있던 영화 '후궁: 제왕의 첩'을 조금 빨리 볼 수 있었습니다. 사실 '후궁'은 표면적으로 사극이고 조여정이 주인공이라는 점 외에는 '방자전'과는 거의 공통점이 없는 영화지만 워낙 마케팅 차원에서 '방자전'이 강조되다 보니 일부 관객들 사이에서는 같은 감독의 영화로 착각당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습니다. (노파심에서 강조하자면, '방자전', '음란서생'의 김대우 감독과 '번지점프를 하다', '혈의누', '후궁'의 김대승 감독을 혼동하시면 곤란합니다.^^ 이름이 비슷하긴 하군요.)

 

제목에 저렇게 써 놓고 본문은 '조여정이 주인공...'이라고 시작하니 이게 또 뭔 헛소리인가 하실 분들도 분명히 있을 겁니다. 물론 그렇다고 '조여정만 주인공이 아니고, 김동욱, 박지영도 주인공이었다'는 얘기를 하자는 건 아닙니다. 영화를 보신 분들은 느끼실 수 있겠지만, 이 영화의 주인공은 사람이 아닙니다. 바로 '스타일'이라는 괴물입니다.

 

 

 

 

대략 조선 초기 정도로 추정되는 시대. 왕의 배다른 동생 성원대군(김동욱)은 우연히 사냥길에 나섰다 머물게 된 참판(안석환)의 집에서 참판의 딸 화연(조여정)을 보고 한눈에 사랑에 빠집니다. 대략 화연과 그 집의 아들처럼 대접받는 식객 권유(김민준)가 예사롭지 않은 관계지만 성원대군의 눈에는 아무 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성원대군의 모친이며 왕의 계모인 대비(박지영)는 대군의 마음을 알면서도 간택령을 내려 화연을 왕의 후궁으로 들이고, 권유와 함께 도망쳤던 화연은 권유를 살려주는 조건으로 궁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바로 아들을 낳아 중전의 자리에 오릅니다.

 

5년 뒤, 병약했던 왕이 급사하고 성원대군이 왕위에 오릅니다. 대비가 수렴청정에 나서면서 선왕비 화연과 화연이 낳은 왕자는 권력자들의 눈엣가시가 되어 생명을 보장받을 수 없는 상황이 됩니다. 그리고 왕이 된 성원은 여전히 화연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이 상황에서 거세당한 권유가 내시가 되어 입궐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집니다.

 

 

 

 

이 정도까지의 줄거리는 이미 각종 기사나 TV 영화정보 프로그램을 통해 훨씬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사실, 제작진이 굳이 오마주라고 표현하고 있지는 않지만 일찌기 신성일 윤정희 주연, 신상옥 감독의 '내시(뒷날 이두용 감독에 의해 리메이크됩니다)'에서 오만석 구혜선 주연의 TV 사극 '왕과 나'에 이르기까지 관객들에게는 상당히 친숙한 이야기입니다.

 

'양가집 규수와 서로 사랑하던 젊은이가 여인을 궁에 빼앗기고 자신은 남성을 빼앗긴 몸이 되어 내시로 입궁, 권력의 희생양이 되어가고 있는 옛 연인을 바라보는 이야기' 말입니다. 물론 '후궁'은 이 익숙한 이야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이야기의 주체를 '내시'에서 '왕'과 '여자' 족으로 확장시킵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히 결말도 크게 달라집니다.

 

 

 

 

이런 변화는 당연히 '고전의 극복 혹은 재해석'이라는 강점을 갖고 시작합니다. 보는 사람들은 이미 익숙한 이야기를 깔고 거기에 새로운 이야기를 맛보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선왕의 여자를 사랑한 왕' 부분에서 조금은 무리가 있습니다. 웬만하면 성원대군의 욕망이 성취될 가능성 정도는 열어놓는 게 좋았을 것 같습니다.

 

물론 역사적으로 선왕의 여자를 탐한 왕 이야기는 드물지 않습니다. 측천무후도 당태종의 후궁이었지만 그 아들인 고종의 황후가 되었고 광해군도 선조의 후궁이었던 개시 김상궁을 총애했습니다. 하지만 '아들까지 낳은 형의 정궁'을 어찌 했다는 이야기는 찾아보기 힘들죠. 며느리였다가 시아버지의 여자가 된 양귀비도 최소한 아이는 없었습니다.

 

 

 

 

뭐 영국에서는 엘리자베스 여왕의 아버지 헨리 8세도 형의 아내였던 캐서린을 첫 왕비로 맞기도 합니다만, 최소한 우리나라에서는 형사취수가 일반적이었던 고구려 시대 이후로는 이런 예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혹시 이런 기록을 보신 분 있으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고려 때만 해도 부계만 다르면 남매끼리도 혼인을 하고, 이모나 삼촌과 결혼한 경우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지경이지만 '작은 아버지가 아버지가 된 경우'는 아직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제작진의 의도는 아마도 성원의 욕망이 절대 이룰 수 없는 것일 때 극적 갈등이 최고조에 달할 것이라는 것이었겠지만, 반대로 '너무 어처구니없는 욕망'이기 때문에 그 상황을 극복하지 못하는 왕(성원대군)에 대한 공감이 뚝 떨어지는 부작용도 낳을 수 있습니다(개인적으로는 이쪽 생각입니다). 물론 막장드라마에 익숙한 현대인들이라면 다를 수도 있을 것이고, 결국은 관객 개개인의 취향 문제입니다.

 

 

 

 

굳이 성원대군의 욕망이 아니더라도, 이미 '혈의 누'에서부터 김대승 감독에게 '조선시대라는 배경의 고증과 하고 싶은 이야기 사이의 완벽한 균형' 같은 것은 전혀 중요 관심사가 아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사극 영화의 예고편 배경음악으로 라흐마니노프가 쓰일 때부터 짐작됐죠^^) 이런 식의 문제제기는 사소한 딴지 이상으로는 여겨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상당히 많은 관객들에게도 그럴 것입니다.)

 

도입부에 얘기했듯 이 영화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부분은 예사롭지 않은 비주얼입니다. 도저히 조선시대 의상으로는 볼 수 없는 이색적인 의상과 공간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전하는 이야기로 일각에서는 왜색 의상설^^까지 나왔다고 합니다만, 이건 좀 무리한 얘기고, 오히려 이 비주얼에서 김대승 감독의 의도가 좀 더 분명해진다고 할수 있겠습니다.

 

 

 

 

이 영화 속의 낯선(?) 고전 의상들을 보다 보면 와다 에미('란', '영웅')나 '와호장룡'의 섭금첨(葉錦添, 티미 입)이 만들어 낸 탈국적적 내지는 범 동양적인 고전 세계가 자연스럽게 떠오릅니다. 특히 섭금첨이 미술을 맡고 풍소강 감독이 '햄릿'의 재해석을 시도했던 '야연'이 떠오르는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일 듯 합니다. '후궁'에서는 국내 최고의 미술감독으로 불리는 조상경씨가 이 역할을 맡았습니다.

 

 

 

 

 

이런 의상과 장중함이 강조된 궁 세트는 자연스럽게 관객을 지배합니다. 이 글의 제목을 정할 때 '스타일이 주인공'이라고 말한 것은 바로 이 부분을 말한 것입니다. 여기서 감독의 거대한 야심이 발현되고, 배우들의 연기를 압도하는 스타일이 등장합니다. (그것이 일반 관객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질지는 저도 궁금합니다.^)

 

 

 

 

반면 셰익스피어적인 조건을 갖췄으되 셰익스피어 등장인물들의 독백이나 방백을 빼앗긴 배우들에겐 이 영화 속 등장인물로 동화되는 것이 상당히 힘든 과제였을 것으로 보입니다. 굳이 배경 설명이 필요없는, 너무나 선명한 인물인 대비 박지영이 돋보인 것은 아마도 당연한 일일 것 같고 반대로 다소 무리한 설정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매력을 잃지 않았던 김동욱의 호연에도 큰 칭찬이 돌아가야 할 것 같습니다.

 

 

누드 연기를 부담으로 여기지 않은 조여정의 열연은 굳이 새로 거론할 이유가 있을까 싶습니다. 그 화려한 세트와 의상을 능가하는 존재감이랄까요(오히려 이런 얘기를 너무 많이 듣는 것이 부담이 아닐까 하는 생각...^^).

 

아무튼 이 영화를 보는 이유 1번이 '조여정'인 분들이라면 절대 실망하지 않으실 겁니다.

 

 

P.S. 이하는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는 궁금증입니다. 아직 영화를 안 보신 분들은 여기서 발길을 돌리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뭐 줄거리에 큰 영향이 없으니 스포일러는 아닐 수도 있습니다.^^

 

 

 

 

제목이 '후궁'이지만 사실 영화에 나오는 중요한 후궁은 조은지 한명 뿐입니다. 물론 조여정이 처음 입궁할 때 계비로 입궁한 것인지, 후궁으로 입궁한 것인지(아마도 후자일 것으로 생각되지만) 분명치 않지만, 후궁으로 입궁했다 해도 그 시절은 영화에서 전혀 다뤄지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목이 '후궁'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뭐 후궁이 사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대비전 지하의 그 비밀스러운 공간을 가리키는 말이라면 그것도 충분히 납득할만한 이야기가 될 수 있지만 친절하게 제목에 '제왕의 첩'이라는 해설까지 붙어 있고, 영어 제목도 'cocubine'으로 붙어 있고 보면(영화 제목에서 이 단어를 보는 건 '패왕별희' 이후 처음입니다), 충분히 제기될만한 의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대체 왜 제목이 '후궁'인 걸까요.^^

 

 

 

728x90

폐비 윤씨가 마침내 사약을 마시고 세상을 떠났습니다. 물론 드라마 '인수대비' 속의 이야기입니다.

 

1482년, 윤씨의 나이는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성종보다 2세 연상설과 12세 연상설이 있습니다), 드라마 '인수대비'가 12세 연상설을 따르고 있으니 성종이 25세, 윤씨는 37세로 추정됩니다. 성종 임금은 한창 피어나는 나이였던 반면 윤씨는 서서히 시들어가는 나이였던 셈이죠. 두 사람 사이에서 1476년 태어난 원자(뒷날의 연산군)는 갓 여섯살. 당연히 어머니의 운명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모른 채, 정현왕후(당시의 숙의 윤씨, 뒷날 중종이 된 진성대군의 어머니)를 친 어머니로 알고 성장합니다.

 

연산군이 왕이 되면 이 일을 그냥 넘기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너무도 자명한 일. 어쨌든 '폐비를 사사하라'는 결정이 내려진 이상 이 임무는 누군가 집행해야 합니다. 여기서 이세좌라는, 임무에 충실했을 뿐인 한 공무원의 운명이 결정됩니다.

 

만약 세자의 어머니에게 사약을 전하라는 조직의 결정이 내려지고 그 책임이 내게 맡겨질 때,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성종 13년 임인(1482, 성화 18) 8월 16일 (임자)

이세좌에게 명해 윤씨를 그 집에서 사사하게 하다

 

임금이 모화관(慕華館)에 거둥하여 열무(閱武)하고, 드디어 경복궁(景福宮)에 나아가서 삼전(三殿)에 문안하고 궁으로 돌아왔다. 영돈녕(領敦寧) 이상 의정부(議政府)·육조(六曹)·대전(臺諫)들을 명소(命召)하여 선정전(宣政殿)에 나아가서 인견하고 말하기를,
“윤씨(尹氏)가 흉험(凶險)하고 악역(惡逆)한 것을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당초에 마땅히 죄를 주어야 하겠지만, 우선 참으면서 개과 천선하기를 기다렸다.

 

기해년에 이르러 그의 죄악이 매우 커진 뒤에야 폐비하여 서인(庶人)으로 삼았지마는, 그래도 차마 법대로 처리하지는 아니하였다. 이제 원자(元子)가 점차 장성하는데 사람들의 마음이 이처럼 안정되지 아니하니, 오늘날에 있어서는 비록 염려할 것이 없다고 하지만, 후일의 근심을 이루 다 말할 수 있겠는가? 경들이 각기 사직(社稷)을 위하는 계책을 진술하라.하였다.

 

정창손(鄭昌孫)이 말하기를,

“후일에 반드시 발호할 근심이 있으니, 미리 예방하여 도모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고, 한명회(韓明澮)는 말하기를,
“신이 항상 정창손과 함께 앉았을 때에는 일찍이 이 일을 말하지 아니한 적이 없습니다.하였다.

 

정창손이 아뢰기를,
“다만 원자(元子)가 있기에 어렵습니다.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내가 만일 큰 계책을 정하지 아니하면, 원자(元子)가 어떻게 하겠는가? 후일 종묘와 사직이 혹 기울어지고 위태한 데에 이르면, 그 죄는 나에게 있다.하였다.

 

심회(沈澮)와 윤필상(尹弼商)이 말하기를,
“마땅히 대의(大義)로써 결단을 내리어 일찍이 큰 계책을 정하셔야 합니다.
하고, 이파(李坡)는 말하기를,
“신이 기해년(己亥年)에는 의논하는 데 참여하지 못하였습니다만, 대저 신첩(臣妾)으로서 독약을 가지고 시기하는 자를 제거하고 어린 임금을 세워 자기 마음대로 전횡(專橫)하려고 한 죄는 하늘과 땅 사이에 용납할 수 없습니다. 옛날 구익부인은 죄가 없는데도 한()나라 무제(武帝)가 그를 죽인 것은 만세(萬世)를 위하는 큰 계책에서였습니다. 그러니 이제 마땅히 큰 계책을 빨리 정하여야 합니다. 신은 이러한 마음이 있는 지 오래 됩니다만, 단지 연유(緣由)가 없어서 아뢰지 못하였습니다.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후일에 그가 발호(跋扈)하게 되면 그 후환이 어찌 크지 않겠느냐? 측천 무후(則天武后)가 조정의 신하들을 많이 죽였던 것은, 자기 죄가 커서 천하(天下)가 복종하지 않을 것을 알았기 때문에 자기의 위엄을 보이려고 한 것이다.
하였다.

 

이어서 좌우에게 묻기를,
“어떻게 하여야 하겠느냐?
하니, 재상(宰相)과 대간(臺諫)들이 같은 말로 아뢰기를,
“여러 의견들이 모두 옳게 여깁니다.
하였다. 이에 곧 좌승지 이세좌(李世佐)에게 명하여 (윤씨를)그 집에서 사사(賜死)하게 하고, 우승지 성준(成俊)에게 명하여 이 뜻을 삼대비전(三大妃殿)에 아뢰게 하였다.

 

이세좌가 아뢰기를,
“신은 얼굴을 알지 못하니, 청컨대 내관(內官)과 함께 가고자 합니다.
하니, 조진(曹疹)에게 명하여 따라가게 하였다. 이세좌가 나가서 내의(內醫) 송흠(宋欽)을 불러서 묻기를,

“어떤 약()이 사람을 죽일 수 있는가?
하니, 송흠이 말하기를,

"비상만한 것이 없습니다.하므로,

주서(注書) 권주(權柱)로 하여금 전의감(典醫監)에 달려 가서 비상을 가지고 가게 하였다.

 

저녁이 되자 전교하기를,
“이세좌는 오지 말고 그 집에 유숙하라.
하였다.

 

사신(史臣)이 논평하기를, “한명회의 말에, ‘항상 정창손과 함께 앉으면 일찍이 이 일을 말하지 않은 적이 없다.’ 하였으니, 이는 아마 후일을 염려해서 한 것일 듯하다. 그런데 전날 임금이 권경우의 아룀으로 인하여 돌아보며 물었을 적에는, 한명회가 이에 말하기를, ‘임금이 사용하던 것이면 비록 미천한 것이라도 외처(外處)에 둘 수 없는데, 하물며 국모(國母)이겠습니까?’ 하였다. 이는 무람없게 거처하는 것을 혐의(嫌疑)함이고 후일을 염려한 것은 아닌 듯하다. 그러니 앞뒤가 어찌 이렇게 서로 어긋나는가? 대신으로서 국가를 위하는 염려가 이와 같아서는 안된다.” 하였다.

이것이 운명의 8월16일 기록입니다. 그런데 이세좌가 처음부터 이 역할을 맡게 되어 있었느냐는 데에는 이설이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본래 허종, 허침 형제가 이 역할을 맡게 되어 있었는데 '지혜롭게' 그 운명을 피해 갔다는 것입니다.

 

서울 경복궁 입구에는 종침교라는 다리가 있었습니다. 지금도 그 자리에는 '종침교 터'라는 비석이 서 있을 정도로 꽤 유서깊은 다리입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이 다리는 연산군 및 폐비 윤씨의 운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허씨 문중에는 오래 전부터 전해오는 이야기라고 합니다.

 

 

 

 

1482년, 폐비의 운명이 풍전등화였던 시절 허종과 허침 형제는 조정의 중신으로 출근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당시 이들 형제의 누님(혹은 고모라고도 함)인 '백세 할머니'라는 지혜로운 여성이 "오늘은 조정에 어떻게 해서든 나가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형제가 이유를 묻자 백세 할머니는 '이미 조정에서 폐비의 일을 결정할 참인데 지금 입궐하여 폐비를 핍박하는 일에 관여하면 나중에 어찌 감당하겠느냐'고 했다. 문제의 심각성을 깨달은 형제는 입궐하다가 종침교(물론 당시엔 다른 이름을 썼을 것으로 추정)에 이르러 일부러 말을 다리 아래로 몰아 떨어져 부상을 이유로 입궐하지 않았다.

 

결국 허종 형제가 없자 조정에서는 숙질간인 이극균과 이세좌를 시켜 사약을 받들고 폐비에게 가게 했다. 뒷날 갑자사화가 일어나 연산군이 이극균과 이세좌의 집안을 멸문시킬 때 허종 허침 형제는 화를 피해 사람들이 백세 할머니의 지혜를 칭찬했고, 다리에 형제의 이름을 붙여 종침교라 불렀다...

 

는 것이 이른바 '종침교'의 고사입니다. 이것이 조선 왕조 500년을 지나면서도 미담으로 남았고, 오늘날까지도 '최고의 처신이란 바로 이런 것'이라는 식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그리 칭찬할 일은 아닙니다. 좋은 일이건 나쁜 일이건, 벼슬에 올라 임금의 뜻이 옳지 않다 생각되면 목숨을 걸고 간하고, 그래도 소용이 없으면 벼슬을 던지고 죄를 청하는 것이 사대부의 도덕률입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폐비에 반대해 처벌을 받았고(물론 그중 많은 사람들은 원자 즉위 후의 '뒷일'을 걱정해 보험에 들어 둔 것일 수도 있지만), 지난번 글에서는 그 이야기를 하면서 조선이라는 나라를 이끌어 온 선비의 기상을 칭찬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종침교의 고사는 결국 일신의 안위를 위해 직무유기를 시도한 공무원의 무사안일한 태도를 보여주는 이야기로 읽을 수 있습니다. 저 고사가 사실이라면(후세에 윤색된 것일 가능성도 물론 있습니다), 되려 임금의 명에 충실했던 이세좌만 고지식한 바보일 뿐이고, 잔머리를 굴리지 않은 죄로 뒷날 멸문의 화를 당한 셈입니다.

 

왠지 이 대목에서 6.25 당시 육군본부의 명령에 따라 한강 인도교를 폭파시킨 죄(?)로 그해 9월 총살당한 최창식 공병감의 모습이 겹쳐지기도 합니다.

 

 

 

물론 종침교의 고사는 역사에 전하는 바는 아니기 때문에 널리 알려져 있다 해도 실제로 두 사람이 말에서 굴렀는지는 알 수 없는 일입니다.

 

그리고 허침은 이미 형 허종과 함께 덕이 높은 선비로 알려져 있었으므로 성종이 세자의 스승으로 삼은 인물입니다. 폐비에 반대한 인물이라 세자의 스승이 되었건, 세자의 스승이라는 의리 때문에 폐비에 반대했건, 아무튼 태도의 일관성을 보인 사람인 것은 분명합니다. 아무튼 이런 일관된 입장 때문인지 갑자사화 때에는 당시 윤씨의 폐비와 사사에 찬성한 사람들을 벌 주라고 앞장서서 외치는 '정권의 나팔수' 역할을 맡기도 합니다.

 

실록의 기록입니다.

 

연산군 10년 갑자(1504,홍치 17)  45 (을축)

유순·허침 등이 폐비의 일을 상고하여 아뢰다

 

 유순(柳洵)·허침(許琛)·이집(李諿)·김수동(金壽童), 《실록(實錄)》을 상고하여 아뢰기를,

회릉(懷陵)이 폐위당할 때, 언문 글 쓴 자는 나인(內人)이기 때문에 상고할 수 없으며, 《실록》이 오르지 않은 것은 상고할 근거가 없습니다. 나인으로서 그 일에 간섭한 자는 권 숙의(權淑儀)·엄 숙의(嚴淑儀)·정 숙원(鄭淑媛)이며, 일을 의논한 사람은 전에 벌써 상고하여 아뢰고 빠진 자는 없습니다. 다만 언문을 가지고 온 자는 노공필(盧公弼)·성준(成俊)이었습니다.”

 

회릉이란 연산군이 생모 폐비 윤씨를 모신 능의 이름으로, 폐비 윤씨를 능호로 부른 것입니다. 즉 '폐비 윤씨'라는 뜻이죠. 언문을 가지고 왔다는 것은 당시 삼전이라 불렸던 세 대비(세조비, 덕종비, 예종비를 말함)가 폐위와 사사의 당위성을 말한 언문 편지를 전달한 것을 말합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준과 공필의 죄는 윤필상(尹弼商)과 벌이 같을 것이다.”

하였다. 순 등이 아뢰기를,

필상은 그 일에 참여하여 의논하였으니, 준과 공필은 이와 차이가 있습니다. 회릉이 폐위되어 사삿집에 거처할 때에 대사헌 채수(蔡壽)가 그것이 불가함을 간했습니다. 그리고 성종께서 의논하여 그 죄를 다스리고자, 공필을 명하여 가서 삼전(三殿)께 아뢰게 하니, 삼전께서 언문 편지를 붙여서 성종(成宗)께 아뢰게 하였으며, 준은 대사를 다 정한 후에 명을 받들어 삼전께 고하니, 삼전께서 언문 편지를 준에게 주어 아뢰게 하였습니다. 두 사람은 다만 삼전 및 성종의 명으로 왕복하며 회계(回啓)했을 뿐이요 건의한 일이 없으니, 그 죄는 필상과 차이가 있습니다.”

 

채수가 폐비가 곤궁하고 살고 있으니 양식과 옷을 대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가 죽을 위기를 모면했다는 이야기는 전에 한 바와 같습니다. 나머지는 윗글에 대한 보충.

 

하니, 전교하기를,

그 죄가, 필상과 함께 벌줄 수는 없다 하더라도, 역시 경하게 논할 수 없는 일이니, 그들의 죄를 의논해서 아뢰라.”

하였다. 순 등이 아뢰기를,

준과 공필은 직첩(職牒)을 거두고, 외방에 부처(付處)하며, 그 아들도 함께 직첩을 거두소서. 또 공필은 전에 벌써 외방에 부처하였으니 먼 고을로 옮겨 정배하소서.” (이하 생략)

 

이처럼 허침은 그저 '지혜롭게 난을 피한' 수준이 아니라, 갑자사화 때 가해자 측에서 폐비를 찬성하거나 방조한 대신들을 죄 주는데 주된 역할을 합니다. 그리 아름다운 행동은 아닙니다.

 

반면 이세좌는 역시 숙질간인 이극돈과 함께 연산군 즉위 후, 무오사화의 주역으로 역사에 나쁜 이름을 남깁니다. 뒷날 갑자사화 때 이세좌가 임인년의 일(폐비 사사)을 이유로 죽음을 당한 것은 억울하다 하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뒷날의 평가가 그리 곱지 않았던 것은 이른바 무오사화 때 김종직과 그 제자들을 처단하는 일에 앞장섰다는 과오를 후세의 사림들이 잊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튼 이처럼 허종, 허침 형제가 '지혜롭고 곧은 인물'로, 이세좌가 '운 없는 인물'로 사람들의 기억에 남은 것은 단지 그때 한 순간의 대처가 어땠느냐만으로 가려진 것은 아니고 그 사람들의 평생 삶이 두고 두고 후세 사람들의 평가를 받은 결과라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허종과 허침 형제가 평생 청백리로 이름을 남겼다는 것도 가산점을 받은 요인이겠죠.

 

물론, 아무래 그래도, '종침교에서 굴렀다'는 이야기가 마치 '좋은 처세'의 본보기처럼 전해지는 것은 역시 문제 있는 시각이라는 생각입니다. 사극의 진짜 교훈은 드라마 밖에서 찾아야 한다고나 할까요.

 

 

 

P.S. 어머니의 비극을 알게 된 뒤 연산군의 보복은 참으로 집요하고도 광기어린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참 알다가도 모를 것은 어머니를 몰아낸 주역으로 윤필상을 꼽아 처단했으면서도, 윤필상의 집안(파평 윤씨)이며 어머니를 '밀어내고' 중전의 자리에 오른 정현왕후에 대해서는 아무 보복을 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심지어 정현왕후의 아들인 진성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기기까지 했죠.

 

대체 무슨 이유에서였을까요. 이건 혹시 연산군이 미치지 않았다는 증거일까요?

 

 

 

 

728x90

전통적으로 한국 사극에서 여주인공과 관련된 킬러 콘텐트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하나는 목욕신이고, 다른 하나는 사약 신입니다. '인수대비'에서도 이번 주말 폐비 윤씨 역의 전혜빈이 약사발을 들이키고 최후를 맞을 전망입니다.

 

여주인공이 사약을 먹고 '피를 토하며' 죽어가는 장면은 그 자체로 강한 비주얼을 제공합니다. 시청자들이 왜 사람이 피를 토하고 죽는 장면을 좋아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아무튼 사약 신이 나오고 시청률 확보에 실패한 드라마는 없다는 것이 대략 정설입니다.

 

그런데 문득 이 대목에서 궁금증 하나가 고개를 들었습니다. 대체 왜 사람이 사약을 먹으면 피를 토하고 죽는 것일까요?

 

 

 

 

생각해보면 간단한 의문입니다. 우선 사람이 피를 토하려면 피를 흘려야 합니다. (....당연한 얘기라고 돌 던지지 마십쇼;;) 그럼 내출혈이 있어야 하는데, 칼에 찔리거나 총에 맞은 사람은 당연히 몸 속에서 피가 날 겁니다. 그럼 입으로 피를 토할 수 있겠죠. 뭐 물론 얼마 전 나온 얘기로는 배를 칼로 찔린다고 해도 거꾸로 매달지 않는 한 입으로 피가 나오기는 쉽지 않다고도 합니다만, 아무튼 가능하긴 할 겁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우리가 수많은 사극 속에서 보아 온 폐비 윤씨, 장희빈, 경빈 박씨 등 역사적인 팜므 파탈들은 대개 입으로 피를 토해 왔습니다.

 

 

 

 

 

 

따라서 그냥 '사약 먹는 장면이 나온다'는 말만 들어도, 소복 입은 여인이 곱게 약사발을 받쳐 들고, 사약을 들이킨 뒤 붉은 피를 토해 소복이 젖는 비주얼이 그려집니다.

 

하지만 이런 장면은 상당히 과장된 것입니다. 어쨌든 고증은 해야 하기 때문에, 후배 의사에게 전화를 걸어 봅니다. 내과 의사나 약사가 더 나을 수도 있겠지만, 아무튼 만만한 사람이 좋기 때문에 산부인과 의사에게 전화했습니다.

 

나: 통화 괜찮음?

의사: 네. 무슨 일로?

나: (불문곡직) 사람이 먹으면 피를 토하고 죽는 독이 뭐가 있냐?

의사: ....사극 쓰세요?

나: 묻는 말에 대답을 하세요.

의사: 글쎄요. 사실 피를 토하기가 쉽지 않아요. 농약 같은 걸 먹어도 시퍼런 약물을 토하지...

나: 그럼 먹자마자 대량 위 출혈을 일으키는 약물은 없나?

의사: 뭐든지 토하다 보면 피가 나오는 경우는 있어도 그러긴 쉽지 않을걸요.

나: 하긴 술먹은 다음날 토하다가도 피 나왔다는 사람이 있더라.

의사: ...암튼 간경변이 있는 사람은 식도 혈관이 상해서 쉽게 피를 토할 수도 있어요.

나: 그럼 강한 산이나 알칼리로 식도가 상하면 피를 토할수 있겠네?

의사: 그럴 수도... 그런데 그런걸 삼킬 수나 있을까요?

 

 

                                          (....삼킬 수 있냐고? 응?)

 

말 그대로 강한 알칼리, 즉 양잿물(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먹으면 피를 토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름이 '양'잿물인데서 알 수 있듯 이건 근현대 이후에 한국사에 편입된 물질이죠. 조선시대에 빨래할 때 쓰던 '잿물'이 과연 그 정도로 독성이 강했는지도 모르겠고, 뭣보다 잿물로 사약을 만들었다고 전해지지는 않는답니다.

 

폐비 윤씨 관련 역사 기록에는 왕이 '비상을 쓰라'고 했다고 나오고, 여기저기서 나오는 얘기로는 초오(草烏)라는 약재가 주로 사용됐다고 합니다. 초오는 미나리아재비과인 바곳이라는 식물의 뿌리로 만든 한약재. 바곳은 투구꽃이라고도 불렸다는군요.

 

투구꽃이라...

 

 

 

바로 영화 '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에 나오는 그 투구꽃입니다.

 

 

초오의 독성이 알려진 건 어제 오늘 일이 아니지만, '한약재'라는 이름 때문에 아직도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다는군요. 약과 독은 정말 한끗 차이.

 

2006년 3월 경기도 연천에 사는 마을 주민 20명이 투구꽃(초오)으로 담근 술을 나눠 마셨다가 집단 중독 증세를 일으킨 사례도 있다. 이는 식물성 천연 독 ‘아코니틴(aconitine)’에 중독된 경우였다. 아코니틴은 투구꽃(초오)에 함유된 독으로, 뿌리>꽃>잎>줄기 순으로 독성물질이 분포돼 있다. 특히 뿌리부분은 독성이 강해 과거에는 독화살 성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투구꽃의 뿌리부분을 말린 것을 한방에서는 ‘부자(附子)’라고 부르며 신경통, 관절염, 중풍 등의 치료에 사용하기도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8&aid=000208495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911554

 

초오가 사람을 죽일 수 있는 독인 것은 분명하지만, 문제는 초오가 마비독이라는 점입니다. 즉 초오 때문에 죽으려면, 호흡중추가 마비되어 죽는다는 거죠. 그러니까 초오를 먹으면 욱 하고 피를 토하며 쓰러져 죽는 것이 아니라, 눈빛이 흐려지면서 쓰러져서 움직이지 못하고 숨이 막혀 죽는 겁니다. 당연히... '충격적인 비주얼'은 기대하기 힘듭니다.

 

 

 

 

그럼 왜 사극에서 사약 마신 주인공들은 피를 토하고 죽어갈까요.

 

많은 사람들은 박종화 원작 소설 '금삼의 피'를 이런 장면의 효시라고 생각합니다. "폐비 윤씨가 사약을 먹고 피를 토한 뒤, 친정어머니 신씨가 그 피묻은 한삼 자락을 간직하고 있다가 뒷날 연산군에게 전하고, 어머니의 피를 본 연산군의 분노가 폭발하며 마침내 갑자사화의 피바람이 분다는 이야기"라고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신 바로 그 작품입니다.

 

하지만 '금삼의 피'를 실제로 읽어 보면, 그 '금삼(비단 한삼)'에 뿌려진 피는 폐비가 사약을 먹고 토한 피가 아니라, 원한의 피눈물이 방울방울 떨어진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기억을 더듬어 보시기 바랍니다. 윤씨가 피눈물을 닦은 수건을 어머니 신씨에게 장면이 분명히 나옵니다. 저도 어린 시절 이 부분을 읽으면서 아니 화끈하게 토한 피가 아니고 피눈물? 하고 살짝 실망(...;;;)한 기억이 납니다.

 

그럼 역사에는 사약을 먹고 피를 토했다는 기록이 있을까요. 사실 그 부분도, 딱 착각하기 좋게 돼 있습니다. '기묘록'의 기록입니다.

 

 

 

 

일찍이 성종(成宗) 기유년에 폐비 윤씨에게 사약을 내려 자결하게 했는데, 폐출되어 사약을 내린 일은 성종조에 나와 있다. 윤씨가 눈물을 닦아 피묻은 수건을 그 어머니 신씨(申氏)에게 주면서, “우리 아이가 다행히 목숨이 보전되거든 이것을 보여 나의 원통함을 말해 주고, 또 거동하는 길 옆에 장사하여 임금의 행차를 보게 해 주시오.” 하므로 건원릉(健元陵)의 길 왼편에 장사하였다. 인수대비(仁粹大妃)가 세상을 떠나자 신씨는 나인들과 서로 통하여 연산주의 생모 윤씨가 비명으로 죽은 원통함을 가만히 호소하고 또 그 수건을 올리니 폐주는 일찍이 자순대비(慈順大妃)를 친어머니인 줄 알고 있다가 이 말을 듣고 깜짝 놀라며 매우 슬퍼하였다. 시정기를 보고 성을 내어 그 당시 의논에 참여한 대신과 심부름한 사람은 모두 관을 쪼개어 시체의 목을 베고 뼈를 부수어 바람에 날려 보냈다.

 

(굵은 부분 원문: 尹氏以拭淚斑血帨。付其母申氏曰。吾兒幸保全。當以是告我哀冤

흔히 볼 수 없는 한자가 몇개 있습니다. 拭: 씻을 식,  帨: 수건 세.

吾兒, 즉 '내 아이'란 당연히 어린 세자, 즉 뒷날의 연산군을 가리킵니다.)

 

그러니까 여기도 문제의 한삼에 젖은 피는 토한 피가 아니라 피눈물의 피였다고 되어 있습니다. 다른 기록을 볼까요. 사실 조금 더 혼동하기 쉽게 돼 있죠. '파수편'입니다.

 

윤씨가 죽을 때에 약을 토하면서 목숨이 끊어졌는데, 그 약물이 흰 비단 적삼에 뿌려졌다. 윤씨의 어미가 그 적삼을 전하여 뒤에 폐주에게 드리니 폐주는 밤낮으로 적삼을 안고 울었다. 그가 장성하자 그만 심병(心病)이 되어 마침내 나라를 잃고 말았다. 성종(成宗)이 한 번 집안 다스리는 도리를 잃게 되자 중전의 덕도 허물어지고 원자도 또한 보전하지 못하였으니 뒷 세상의 임금들은 이 일로 거울을 삼을 것이다.

 

여기는 '토한 수건'이라고 되어 있지만 피를 토했다는 말은 역시 없습니다. '약을 토했다'와 '그 수건을 전달했다'는 맞지만 말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앞으로 방송되는 드라마에서 피 토하는 장면이 없어지거나 하지는 않을 듯 합니다. 다른 무슨 수단을 쓴다 해도 그만한 비주얼을 얻기는 힘들 것이기 때문입니다.

 

결론은 드라마는 드라마일 뿐.... 착각이나 오해는 하지 마시길.^^

 

그리고,

 

이 블로그의 인수대비 관련 글 모음입니다.

 

1. 계유정난은 어떻게 진행됐나  http://fivecard.joins.com/964
2. 폐비 윤씨는 정말 용안에 손톱자국을 냈을까? http://fivecard.joins.com/1003
3. 폐비 윤씨, 사약을 마시고 정말 피를 토했나? http://fivecard.joins.com/1004
4. 폐비 윤씨 사약이 남긴 공무원의 숙명 http://fivecard.joins.com/1007
5. 연산군, 정말 계산 없는 광인이었나?  http://fivecard.joins.com/1012
6. 인수대비 사후, 연산군은 어떻게 몰락했나 http://fivecard.joins.com/1015

 

그리고 긴 말 필요없이, 아래 추천 숫자 좀 눌러 주세요! ^

 

728x90

드라마 '인수대비'가 절정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중전 윤씨(전혜빈)는 아들을 빼앗기고 대비들과의 갈등이 극에 달해 정신을 잃을 지경이 됐고, 마침내 이번주 남편 성종(백성현)이 다른 후궁의 침소에 든 것을 참지 못해 달려들어 싸움을 벌이다 얼굴 손틉자국을 내게 됩니다.

'연산군의 어머니인 폐비 윤씨가 성종과의 사이가 원만치 못해 늘 싸움이 잦았고, 어느날 용안에 손톱 자국을 낸 것이 인수대비에게 알려지며 즉시 폐비에 처해졌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널리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정말로 남편인 임금의 얼굴에 상처를 냈을까요? 임금의 용안과 옥체는 그 무엇보다 귀중하게 여겨지던 것이 당시의 정서입니다. 아무리 제 정신이 아니었다고 해도 그런 일이 가능했을까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그런 기록은 분명히 있습니다. 게다가 임금이 폐비 윤씨를 때렸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말로만 전해지는 야사는 아닙니다.

아무튼 이럴때 가장 확실한 지침은 일단 조선왕조실록입니다. 성종실록에는 성종 10년, 1479년 6월2일 마침내 임금이 폐비를 결심한 내용이 전해집니다.

성종 105권, 10년(1479 기해 / 명 성화(成化) 15년) 6월 2일(정해) 1번째기사

전날 저녁 야대(夜對)를 파(罷)한 뒤에 임금이 급히 승지(承旨)를 불러 입내(入內)하도록 하더니, 조금 있다가 이를 중지시키고, 정승(政丞) 등을 불러 내일 이른 아침에 예궐(詣闕)하라고 명하였다. 이날 여명(黎明)에 영의정(領議政) 정창손(鄭昌孫)·상당 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청송 부원군(靑松府院君) 심회(沈澮)·광산 부원군(光山府院君) 김국광(金國光)·우의정(右議政) 윤필상(尹弼商)이 이르니, 임금이 선정전(宣政殿)에 나아가 인견(引見)하였는데, 승지·주서(注書)·사관(史官)이 모두 입시(入侍)하였다. 임금이 좌우(左右)를 돌아보고, 일러 말하기를,

“궁곤(宮壼)의 일을 여러 경(卿)들에게 말하는 것은 진실로 부끄러운 일이라 하겠다. 그러나 일이 매우 중대(重大)하므로 말하지 않을 수가 없다. 어제 입직(入直)한 승지(承旨)와 더불어 이를 의논하고자 하였으나, 생각하니 대사(大事)를 두 승지와 결단할 수 없으므로 이에 경들에게 의논하는 것이다. 옛사람이 이르기를, ‘선경 삼일(先庚三日) 후경 삼일(後庚三日)’이라고 하였으니, 내가 어찌 생각하지 않고 함이겠는가? 부득이하여서 그러는 것이다.

(선경삼일, 후경삼일이라는 것은 중대사일수록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얼마나 신중하게 결정한 것인가를 설득하는 과정입니다.)

지금 중궁(中宮)의 소위(所爲)는 길게 말하기가 어려울 지경이다. 내간(內間)에는 시첩(侍妾)의 방이 있는데, 일전에 내가 마침 이 방에 갔는데 중궁이 아무 연고도 없이 들어왔으니, 어찌 이와 같이 하는 것이 마땅하겠는가? 예전에 중궁의 실덕(失德)이 심히 커서 일찍이 이를 폐하고자 하였으나, 경들이 모두 다 불가(不可)하다고 말하였고, 나도 뉘우쳐 깨닫기를 바랐는데, 지금까지도 오히려 고치지 아니하고, 혹은 나를 능멸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이것은 비록 내가 집안을 다스리지 못한 소치(所致)이지마는, 국가(國家)의 대계(大計)를 위해서 어찌 중궁에 처(處)하게 하여 종묘(宗廟)를 받드는 중임(重任)을 맡길 수 있겠는가? 내가 만약 후궁(後宮)의 참소하는 말을 듣고 그릇되게 이러한 거조(擧措)를 한다고 하면 천지(天地)와 조종(祖宗)이 소소(昭昭)하게 위에서 질정(質正)해 줄 것이다. 옛날에 한(漢)나라의 광무제(光武帝)와 송(宋)나라의 인종(仁宗)이 모두 다 왕후(王后)를 폐하였는데, 광무제는 한 가지 일의 실수를 분하게 여겼고, 인종도 작은 허물로 인했던 것이지마는, 나에게 있어서는 그렇지 않다.

(다른 후궁의 침소에 왕이 들었는데, 그 침소에 중전이 나타났다는 이야기입니다. 조선시대 왕에게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죠.)


중궁의 실덕(失德)이 한 가지가 아니니, 만약 일찍 도모하지 않았다가 뒷날 큰 일이 있다고 하면 서제(噬臍)를 해도 미치지 못할 것이다. 예법(禮法)에 칠거지악(七去之惡) 이 있으나, 중궁의 경우는 ‘자식이 없으면 버린다.[無子去]’는 것은 아니다.”

하고, 드디어 ‘말이 많으면 버린다[多言去], 순종하지 아니하면 버린다[不順去], 질투를 하면 버린다[妬去]’라는 말을 외우고, 이어 이르기를,

“이제 마땅히 폐하여 서인(庶人)을 만들겠는데, 경들은 어떻게 여기는가?”

하였다. 정창손이 아뢰기를,

“이제 상교(上敎)를 받으니, ‘중궁이 실로 승순(承順)하는 도리를 잃어서 종묘(宗廟)의 주인을 삼는 것이 불가(不可)하다.’고 하였습니다. 상교가 이에까지 이르렀으니, 어떻게 하겠습니까?”

하고, 한명회가 이르기를,

“신(臣)은 더욱 간절히 우려(憂慮)합니다. 성상께서 칠거(七去)로써 말씀하시니, 신은 말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다만 원자(元子)가 있어서 사직(社稷)의 근본이 되는데, 어떻게 하겠습니까?”

하였다. 윤필상이 아뢰기를,

“사세(事勢)가 이에 이르렀으니 어찌할 수가 없습니다.”

하고, 심회가 이르기를,

“태종(太宗)께서 일찍이 원경 왕후(元敬王后)와 화합하지 못하여 한 전각(殿閣)에 벽처(僻處)하게 하고 그 담장을 높게 하였는데, 이것이 선처(善處)하는 도리였습니다. 지금도 역시 별궁(別宮)에 폐처(廢處)하도록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정창손과 윤필상이 이미 임금의 뜻에 따르기로 결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한명회와 심회는 궁 밖으로 내치는 폐서인은 온당치 않다는 입장입니다. 뒤에 보면 정창손마저도 '궁 밖으로 내보내는 것은 무리'라는 주장을 합니다. 그만치 이 폐비는 파격적인 조치였던 것이죠.)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경들은 사의(事宜)를 알지 못한다. 한(漢)나라 성제(成帝)가 갑자기 붕어(崩御)한 것은 누구의 소위(所爲)였던가? 대저 부덕(不德)한 사람은 비의(非義)한 짓을 많이 행하는 것인데, 일의 자취가 드러나게 되면 화(禍)는 이미 몸에 미친 뒤이다. 큰 일을 수행(遂行)함에 있어 만약 일찍 조처하지 아니하였다가 만연이 된 뒤에는 도모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만일 비상(非常)한 변이 생기게 되면 경들이 비록 나를 비호하고자 하더라도 미치지 못할 것이다.”

(한나라 성제는 본래 여색을 밝혀 많은 얘깃거리를 남겼습니다. 그중에서도 당대의 미녀인 조비연, 조합덕 자매를 총애했다고 전해지는데 이들은 성총을 잃지 않기 위해 왕과 다른 궁녀가 동침하면 그 궁녀를 죽이고, 심지어 다른 후궁이 낳은 아이까지도 사라지게 하는 마수를 썼습니다. 그런데도 성제를 그런 악행을 모른체 했고, 이들은 성제의 비호 속에서 더욱 더 못된 짓을 저질렀습니다. 

결국 어느날 성제는 조합덕의 침소에서 죽은 채 발견됩니다. 두 자매가 성제를 죽일 이유는 전혀 없었지만 - 두 자매는 아이가 없어 황제가 죽으면 자신들의 권세도 끝나는 입장이었으므로 - 아무튼 황제가 죽은 뒤 사방에서 두 자매의 죄를 묻는 상소가 빗발치자 어쩔 수 없이 자결해 버리고 맙니다.

이쯤 되면 성종이 중전 윤씨에 대해 갖고 있던 생각은 이미 정나미가 떨어지는 정도가 아니라, '저것을 곁에 두었다가는 내가 비명횡사할지도 모르겠다' 수준까지 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하였다. 도승지(都承旨) 홍귀달(洪貴達)이 아뢰기를,

“중궁의 실덕한 바가 가볍지 아니하니, 진실로 이를 폐하는 것이 마땅하겠습니다. 그러나 원자를 탄생(誕生)하였고 또 대군(大君)을 나았으므로 국본(國本)에 관계되는 바이니, 폐하여 서인으로 삼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 청컨대 위호(位號)를 깎아 내리어 별궁(別宮)에 안치(安置)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원자는 장차 세자(世子)로 봉(封)할 것인데, 어머니가 서인이 되면 이는 어머니가 없는 것이니, 천하(天下)에 어찌 어머니 없는 사람이 있겠습니까?”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강봉(降封)을 하면 이는 처(妻)로써 첩(妾)을 삼는 것이니 크게 옳지 못하다.”

하였다. 좌부승지(左副承旨) 김계창(金季昌)이 아뢰기를,

“중궁은 명(命)을 중국 천자(天子)에게 받아서 이미 위호(位號)가 정당하고 원자를 탄생하였으며, 또 국본이 되어 관계된 바가 매우 중하니, 갑자기 폐하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 옛날 송(宋)나라 인종(仁宗)은 곽후(郭后)를 폐하여 옥청궁(玉淸宮)에 두었으니, 원컨대 별궁에 옮겨 두고서 그 허물을 뉘우치기를 기다리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만약 그렇다고 하면 전일(前日)의 일도 경계할 줄 알아야 할 것이다. 근자(近者)에 또 그 침실(寢室)을 따로 하고 자신(自新)하기를 바랐으나, 그래도 고치지 아니하였는데, 능히 허물을 뉘우치겠는가? 만일 허물을 뉘우칠 기미가 있다고 하면 내가 어찌 감히 폐한다고 하겠는가?”

하였다. 좌승지(左承旨) 김승경(金升卿)이 아뢰기를,

“중궁이 전에도 잘못된 행동이 있어서 성상께서 이를 폐하고자 하였으니, 또한 조금이라도 반성하는 것이 마땅한데, 또 오늘과 같은 일이 있었으니, 뒷날 반드시 이것이 습관이 되어 잘못된 일을 할 것이므로, 한 나라의 모의(母儀)로서는 불가(不可)합니다.”

하고, 우승지(右承旨) 이경동(李瓊仝)이 아뢰기를,

“모후(母后)를 폐치(廢置)하고 어찌 경이(輕易)하게 사제(私第)로 돌아가게 하겠습니까? 더욱 미안(未安)한 일이 되겠습니다.”

하고, 우부승지(右副承旨) 채수(蔡壽)가 아뢰기를,

“성상의 하교(下敎)가 이러하니 신자(臣子)로서는 그 사이에서 감히 무어라고 말할 수가 없습니다.”

(요즘 드라마에 출연하고 있는 채수는 이렇게 폐비에 찬성해 간신으로 보이기도 합니다만, 뒷날 '폐비 윤씨가 어렵게 살아가고 있으니 물자를 대 주어야 한다'고 주장해 성종의 분노를 사 고문까지 당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소신이 강한 사람이었던 듯.)


하였다. 임금이 승지들에게 이르기를,

“출궁(出宮)시킬 여러가지 일을 차비하도록 하라.”

하니, 홍귀달·김승경이 아뢰기를,

“모든 일은 이미 갖추었습니다. 그러나 중궁은 이미 한 나라의 모의(母儀)로 있었는데, 사제(私第)로 돌려보내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

하고, 김계창이 이르기를,

“모시던 귀빈(貴嬪)이 비록 죄고(罪辜)에 저촉되었다 하더라도 오히려 사제로 돌려보내지 아니하는데, 하물며 왕비(王妃)이겠습니까? 원컨대 그대로 두고 여러 번 생각하소서.”

하니, 임금이 성을 내어 이르기를,

“경들은 출궁할 여러가지 일만 주선하면 그만인데, 무슨 말이 많은가?”

하였다. 정창손이 이르기를,

“이미 폐했는데, 어찌하여 반드시 다시 견책(譴責)을 가(加)하는 것입니까? 하물며 이미 중궁이 되어 한 나라의 모의가 되었고, 또 원자를 탄생하여 나라의 근본이 되었는데, 하루아침에 강등을 시키어 서인을 만들어 사제로 돌아가게 하면, 사론(士論)이 어떻하겠습니까? 청컨대 별전에 폐처(廢處)케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별전에 두면 따로이 견책하는 뜻이 없다. 만약 그 아들이 주기(主器)가 되면 마땅히 추봉(追封)할 것인데, 지금 서인을 만드는 것이 어찌하여 무엇이 상하겠는가?”

하였다. 심회가 말하기를,

“별전(別殿)에 폐처하는 것이 사제(私第)에 돌려보내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원컨대 다시 여러 번 생각하소서.”

하고, 윤필상이 이르기를,

“별전에 안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어찌 별전을 새로 건립하겠는가? 정승(政丞)들은 나가도록 하라. 내 뜻이 이미 정해졌으니, 결단코 고칠 수가 없다.”

하였다. 정승과 승지들이 그래도 계속하여 다시 생각하기를 청하니, 임금이 성을 내어 일어서면서 이르기를,

“경들이 물러나지 아니하면 내가 마땅히 안으로 들어가겠다.”

하고, 또 내관(內官)에게 명하여 승지를 불러 나가도록 재삼 말하니, 이에 모두 다 나갔으나, 홍귀달·김승경·이경동·김계창만이 머물러 나가지 아니하고, 다시 요청하다가 오래 되어서 나갔다. 얼마 있다가 중궁이 소교(小轎)를 타고 나가서 사제로 돌아 갔다.

(시일을 두지도 않고 당일 곧바로 폐비가 집행된 것입니다. 하지만 승지들은 굴하지 않습니다. 왕의 진노에도 굴하지 않는 선비들의 정신이 볼만합니다.)

홍귀달 등이 차비문(差備門) 안에 나아가 다시 아뢰기를,

“신(臣) 등이 반복하여 생각해 보니, 후궁이 비록 죄가 있어 견책(譴責)을 당하더라도 오히려 사제로 돌려보내지 아니하는데, 하물며 왕비이겠습니까? 이미 중궁의 정위(正位)가 되었고, 또 원자를 탄생하였는데, 이제 여염(閭閻)에 거처하면 소인(小人)들이 성음(聲音)을 접할 수 있을 것이니, 이는 매우 옳지 못한 것입니다. 청컨대 자수궁(慈壽宮)에 처하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전교(傳敎)하기를,

“사제에 폐거(廢居)하게 되면 모자(母子)가 서로 보는 것도 또한 인정(人情)에 기뻐하는 바이다. 그대들이 만약 혹시 다시 아뢰면 장차 대죄(大罪)를 가할 것이다.”

하였다.

홍귀달 등이 이르기를,

“우리 조정에서는 조종(祖宗) 이후로부터 이러한 일이 있지 아니하였으니, 후세(後世)에 반드시 오늘날의 일로써 법을 삼을 것입니다. 청컨대 경솔하게 거행하지 말고 다시 대비(大妃)께 아뢰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신이 비록 죄를 받는다 하더라도 차마 생각하고 있는 바를 말하지 않겠습니까? 오늘의 거조는 오직 신 등과 정승만이 알고, 외정(外庭)에서는 모두 다 알 수 없었으니, 청컨대 군신(群臣)을 임석(臨席)시켜 교서(敎書)를 반포(頒布)하고 종묘(宗廟)에 고한 연후에 폐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옛날 세종(世宗)께서 김빈(金嬪)을 폐할 때에도 오히려 교서를 반포하였는데, 하물며 왕비이겠습니까? 다만 전지(傳旨)만을 내리는 것도 예(禮)에 합당하지 못한 듯합니다. 종묘에도 오히려 고해야 하는데, 지금 대왕 대비(大王大妃)가 위에서 계시니, 더욱이 품(稟)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니, 전교하기를,

“교서(敎書)를 반포하고 종묘에 고하는 것은 아뢴 바가 마땅하다. 중궁의 정위는 길사(吉事)이었는데도 내가 오히려 군신을 참여시키지 아니했는데, 하물며 이러한 흉사(凶事)이겠는가? 권정례(權停禮)로써 행하도록 하라. 또 동부승지(同副承旨) 변수(邊脩) 외에는 모두 다 옥(獄)에 가두게 하라.”

하였다. 정승 등이 빈청(賓廳)에서 아뢰기를,

“승지들의 계옥(繫獄)은 무슨 일입니까?”

하니, 전지하기를,

“이미 정승들과 더불어 의논해 결정하였는데, 승지들이 오히려 대비(大妃)께 아뢰기를 청하였으니, 이는 다른 것이 아니고 윤씨(尹氏)를 구제하려는 것이다.”

하였다. 정창손·한명회가 아뢰기를,

“승지들이 무슨 다른 뜻이 있었겠습니까? 오늘은 일이 많으니 우선 용서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전교하기를,

“승지들이 대비께 아뢰기를 청한 것은 대비로 하여금 이를 중지하게 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내가 이미 두 번이나 아뢰었더니, 대비께서 하교(下敎)하기를, ‘내가 항상 화(禍)가 주상(主上)의 몸에 미칠까 두려워하였는데, 이제 이와 같이 되었으니, 나의 마음이 편안하다.’ 하였으니, 남의 자식 된 자가 부모(父母)로 하여금 그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 또한 옳지 않겠는가? 또 이는 이 한 집안의 정사이니, 내가 처치(處置)하는 데에 달려 있을 뿐이다. 대비께서 어찌 그릇되게 여기겠는가? 승지들은 육조(六曹)의 참의(參義)로 개차(改差)하도록 하라. 하였다.

일단 이날의 기록은 여기까지. 어쨌든 임금이 죄를 주겠다, 옥에 가두겠다고 협박을 해도 승지들은 '아닌 건 아닌 것'이라고 직간을 합니다.

 

 

조선시대에 대해 여러가지 이야기가 있습니다만, 왕조실록을 보다 보면 이 직간의 문화만큼은 누가 뭐래도 부정할 수 없는 강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임금이 죽음으로 협박을 해도 당시의 사대부들은 자신의 소신과 맞지 않으면 '그렇지 않다'고 정면에서 맞섰습니다.

임금은 고사하고 한낱 상사들의 눈치나 보는 요즘의 소시민들이 보기엔 참 대단한 기개가 아닐 수 없습니다. 물론, 이런 직언에 귀를 기울였던 당시의 왕들 역시 요즘의 윗사람들보다는 훨씬 행복했을 겁니다. 잘못을 저질러도 다른 사람들이 고쳐주지 않는 것만큼 위험한 일도 없겠죠.

어쨌든 아무리 실록을 훑어봐도 '윤비가 임금의 얼굴에 상처를 냈다'는 내용은 없습니다. 일설에는 '왕이 윤비를 때렸다'는 내용이 전해진다고도 하는데 이건 3일 뒤인 6월5일, 6월2일의 회의 때 없었던 백관들 앞에서 임금이 '너희들이 몰라서 그러는데 윤씨의 죄가 한두가지가 아니다'라고 털어놓는 과정에서 나오는 말입니다.

중요 부분만 발췌하면 이렇습니다.

지난 정유년에 윤씨(尹氏)가 몰래 독약(毒藥)을 품고 사람을 해치고자 하여, 건시(乾柿)와 비상(砒礵)을 주머니에 같이 넣어 두었으니, 이것이 나에게 먹이고자 한 것인지도 알 수 없지 않는가? 혹 무자(無子)하게 하는 일이나, 혹 반신불수(半身不遂)가 되게 하는 일, 그리고 무릇 사람을 해(害)하는 방법을 작은 책에 써서 상자 속에 감추어 두었다가, 일이 발각된 후 대비께서 이를 취하여 지금까지도 있다. 또 엄씨(嚴氏) 집과 정씨(鄭氏) 집이 서로 통하여 윤씨(尹氏)를 해치려고 모의한 내용의 언문(諺文)을 거짓으로 만들어서 고의로 권씨(權氏)의 집에 투입(投入)시켰는데, 이는 대개 일이 발각되면 엄씨와 정씨에게 해가 미치게 하고자 한 것이다. 항상 나를 볼 때, 일찍이 낯빛을 온화하게 하지 않았으며, 혹은 나의 발자취를 취하여 버리고자 한다고 말하였다. 비록 초부(樵夫)의 아내라 하더라도 감히 그 지아비에게 저항하지 못하는데, 하물며 왕비가 임금에게 있어서이겠는가? 또 위서(僞書)를 만들어서 본가(本家)에 통하여 이르기를, ‘주상(主上)이 나의 뺨을 때리니, 장차 두 아들을 데리고 집에 나가서 내 여생(餘生)을 편안하게 살겠다.’고 하였는데, 내가 우연히 그 글을 얻어보고 일러 말하기를, ‘허물을 고치기를 기다려 서로 보도록 하겠다.’라고 하였더니, 윤씨(尹氏)가 허물을 뉘우치고 말하기를, ‘나를 거제(巨濟)나 요동(遼東)이나 강계(江界)에 처(處)하게 하더라도 달게 받겠으며, 남방기(南方記)에서 발원(發願)한 대로 사람의 허물을 무량수불(無量壽佛) 앞에서 연비하여 이를 맹세하겠습니다.’라고 하므로, 내가 이를 믿었더니, 이제 도리어 이와 같으므로, 전일(前日)의 말은 거짓 속이는 말이었다.

曩在丁酉, 尹氏陰懷毒藥, 謀欲害人, 至以乾柿砒礵, 同置囊中, 安知不欲食我也? 或無子, 或半身不遂, 凡害人之方, 書諸小冊, 藏于篋中, 事覺, 大妃取之, 至今猶在。 又僞作嚴氏家與鄭氏家相通, 謀傾尹氏, 諺文, 故投于權氏之第, 蓋欲事覺, 害及兩氏也。 常見我, 未嘗和顔, 或言欲取我足跡, 而去之。 雖樵夫之妻, 尙不敢抗其夫, 況妃之於君乎? 又作僞書, 通于本家曰: ‘主上打我腮, 將率吾二子, 出居于家, 以安吾生也。’ 予偶得其書, 謂之曰: ‘俟改過, 乃相見。’ 尹氏悔過曰: ‘使處我於巨濟遼東江界, 亦所甘受, 願於南方記, 人過無量壽佛前, 燃臂以矢之。’ 予乃信之。 今反如此, 前日之言詐也。

腮가 뺨을 뜻하는 '뺨 시' 자였군요. 아무튼 가정폭력이 만만치 않았으니, 거꾸로 윤씨가 성종의 얼굴을 할퀴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어쨌든 성종은 만 22세의 혈기방장한 나이. 윤씨의 나이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성종보다 두살 많거나 열두살 많은(드라마 '인수대비'는 12세 연상설을 택했습니다) 나이입니다. 나이가 많으니 자신이 시들고 꽃다운 새 후궁들에게 임금을 빼앗긴다는 것이 견딜수 없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미 원자를 낳은 몸, 조금 마음을 누그러뜨리고 처신했더라면 연산군의 비극도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정작 중전이 성종의 뺨을 할퀴었다는 기록은 다른 책에 나옵니다. 1638년 나온 '기묘록'에는 이런 내용이 전해집니다.

성종조(成宗朝)에 공혜왕비(恭惠王妃)가 죽은 다음 숙의(淑儀) 윤씨를 올려서 비(妃)로 삼았다. 성화(成化) 병신년에 연산을 낳아 은총이 융숭하니, 교만하고 방자하여 여러 숙원(淑媛: 양가(良家)의 딸이었던 정씨(鄭氏)와 엄씨(嚴氏)를 말한다) 을 투기하였고 임금에게도 불손하였다. 하루는 임금의 얼굴에 손톱 자국이 있으므로 인수대비(仁粹大妃)가 크게 노하여, 천위(天威)를 격동시켰다. 임금이 외정(外庭)에 나가자 대신 윤필상(尹弼商) 등이 영합하여 의논을 올려 윤씨를 폐하여 친정으로 나가게 하였다.

成宗朝。王妃恭惠薨。陞淑儀尹氏爲妃。成化丙申生燕山。寵隆驕恣。妬忌諸媛不遜於上。一日聖顏有爪痕。仁粹妃 大怒。激成天威。出視外庭。大臣尹弼商等將順獻議。廢出私第。

 

뒷날의 '연려실기술'에서도 인용하고 있으니 근거 없는 얘기는 아닐 듯 합니다. 다만 드라마에서 볼 수 있듯 바로 그날, 그 '임금이 다른 후궁의 침소에 간 날' 몸싸움이 벌어져 손톱자국이 났는지까지는 알 수 없습니다.

어쨌든 손톱자국이 결정적인 역할을 해서 궁에서 쫓겨나는 몸이 된 중전 윤씨. 사실 이때까지만 해도 '죽음'까지 생각한 사람은 많지 않았을 듯 합니다. 그러나 결론은 사약으로 이어지고, 비극은 수십년 뒤까지 이어집니다.

물론 그 얘기는 나중에 잇겠습니다.



조 아래쪽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우연히 포털에서 '아역 김소현 손예진 닮은꼴 미모 화제'라는 얘기가 눈에 띄었습니다. 김소현이라면 '러브 어게인'에 김지수의 딸로 나오고 있는 처자. 1999년생이라는 무시무시한 출생 연도를 갖고 있는 만 13세 소녀입니다. 아닌게 아니라 '러브 어게인' 1회를 보다가 '어라, 저 이목구비가 예사롭지 않은 저 아이는 누구지?' 했던 참이었습니다.

 

문득 시대를 넘어 세상을 울리고 웃겼던 브라운관 속 소녀들의 모습이 뇌리를 스쳐 갔습니다. 그중 몇몇은 '잘 자랐다'는 말을 듣고, 또 다른 몇몇은 성인으로서의 모습이 어린 시절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기도 합니다.

 

아무튼 아역 시절 이미 레전드의 반열에 오른 분들을 한번 돌이켜 보자는 것이 이번 포스팅의 의도입니다.

 

 

 

 

사실 우리의 김소현 양은 상당히 아슬아슬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엄밀히 말해 아역이라고 불리려면 최소한 7~8세에는 데뷔를 해서 그 즉시, 혹은 10~12세 이전에 스타덤에 올라야 하는 법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각광받기 시작한 것이 15세 쯤이라면 방송계에서 통상 아역으로 분류하더라도 이미 하이틴 탤런트로 보아야 하는게 맞습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일단 '미모의 아역' 얘기를 할 때 15세 이후에 빛을 발한 분들은 제외합니다. 임예진 김혜수 강주희 뭐 이런 분들, 그리고 가까이는 송혜교 한지민 등이 '아역' 시절 떴지만 실제로는 아역이라고 볼 수 없는 분들입니다.

 

그렇게 해서 시작해 봅니다.

 

 

 

 

기억이 희미하실 분들부터 시작합니다. 맨 처음 강수연이 TV에 나왔을 때 - 아마도 TBC 어린이 드라마 중 한편이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많은 사람들이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그 당시까지 아역 배우의 기본 조건이라고 생각하던 동글동글하고 귀여운 얼굴에서 벗어난, 이목구비가 뚜렷한 어른 얼굴의 소녀가 등장해 있었기 때문입니다.

 

살짝 패인 보조개, 오똑한 콧날, 그리고 이미 '애기 소리'가 아닌 목소리(성인이 된 지금의 목소리와 거의 차이가 없었습니다). 한국 아역사에서 '미모'를 논하게 된 계기가 바로 강수연이라는 데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남달리 미모를 뽐냈던 이 소녀는 결국 베니스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받으며 일세의 국민 여배우로 떠오릅니다. 일각에서(방송이든, 연예 기사든) '잘 자란 아역' 운운 하는 얘기가 나올 때마다 그 리스트에 강수연이 빠져 있는 걸 보면 코웃음을 치게 됩니다. 그만치 그런 콘텐트를 만드는 사람들의 시야가 좁다는 걸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어린 시절의 미모, 연기력, 화제성, 그리고 성인이 된 뒤 연기자로서의 성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지금까지 한국에서 강수연을 능가할 아역 배우는 나오지 않았다고 봐야 할 듯 합니다.

 

 

 

(자료의 부족으로 강수연의 소시적 미모를 제대로 보여드릴 수 없어 아쉬울 뿐.)

 

 

 

나이는 강수연 보다 아래지만 강수연보다 먼저 데뷔한 아역 스타 가운데 윤유선을 빠뜨릴 수 없습니다.

 

윤유선은 강수연과 달리 '전형적인 어린이 얼굴'의 배우였습니다. 미모라고 부르는 게 미안할 정도의, '살인적인 귀여움'을 갖고 있던 어린이였습니다. 드라마도 드라마지만 '호돌이와 토순이' 등을 통해 진행자로도 주목받았죠.

 

성인 연기자로는 20대의 나날을 어물어물 지나가 버린 느낌이 있습니다만, 오히려 30대 이후에 연기자로도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40대에 접어들어서도... 어린 시절과 거의 차이가 없다는 슈퍼 동안의 대명사로 군림하고 있죠.

 

 

 

 

한동안 '강수연=예쁜 아역의 대명사'였던 시절에 종지부를 찍은 것이 바로 이상아였습니다. 일각에서는 '김지미의 어린 시절과 똑같다'는 말이 전해지는데 확인할 길이 없어 아쉽기도 합니다. 아무튼 영화 '길소뜸'에서 김지미의 어린 시절을 연기하며 이상아의 아역 시대는 화려하게 열렸습니다.

 

이 리스트에 있는 누구와 비교해도 어린 시절의 미모로는 감히 따를 사람이 없었던 이상아. 그런데 아역 시절 이상아는 가녀린 외모에 어울리지 않는 심한 허스키 보이스로 사람들의 기억에 남아 있기도 합니다. 어른이 되었을 때에는 엄청난 노력으로 목소리의 약점을 극복, 놀라운 의지의 소유자임을 증명하기도 했죠.

 

 

 

 

90년대 아역의 최고봉을 꼽자면 이재은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미모는 물론이고 아역 본연의 귀여움과 연기력 면에서 단연 발군이었죠.

 

특히 이재은의 강점은 한복을 입었을 때 드러나는 이마. 밥 먹는 옆에서 대본 한권을 읽어 주면 다시 볼 필요도 없이 줄줄 외웠다는 총명함까지, 당대의 이재은은 역대 최고를 다투기에 손색이 없었습니다. 성인이 된 뒤에는 주로 극성맞은 역할('인수대비'의 한명회 부인 같은...)을 맡고 있는데, 격세지감을 느끼게 됩니다.

 

 

 

 

비교적 근대(?)로 오면 문근영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저 맑디 맑은 눈망울에서 떨어지던 수정 같은 눈물방울을 기억하지 못하는 분들이 거의 없을테니 설명도 필요 없겠죠.

 

특히나 문근영은 10세 이하에서 20대 중반에 이르는 현재까지, 공백기나 쇠퇴기가 사실상 없었다는 점에서 매우 특이한 케이스입니다. 절정에 달했던 것은 13세 때인 2000년의 '가을동화' 지만 그 이전이나 이후, 문근영의 명성은 줄곧 상승곡선을 그렸습니다. 이른바 '국민여동생'이라는 말이 아깝지 않습니다.

 

 

 

 

문근영보다 세 살 아래, 문근영의 영향권 안에 있었다고 봐야겠지만 미모 하나만큼은 역시 레전드로 꼽아 아깝지 않은 소녀가 있었습니다. 바로 '반올림'의 고아라죠. 역시 13세때인 2003년 '반올림'으로 데뷔했습니다.

 

사실 스무살이 넘은 지금도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는 점도 그렇고, '아역 고아라'를 말할 때 과거형을 쓴다는 게 좀 어색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 점은 고아라에게 상당히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하죠. 뭐 성인 변신을 위한 확실한 작품을 아직 만나지 못했다는 점이 아쉽기도 하고.

 

(여담: 고아라에 비하면 유아인은 참 어른 얼굴이 된 셈이군요.^^)

 

 

 

 

위의 여섯 아역 스타들과 비교해 볼 때도 일단 미모를 따진다면 김소현은 충분히 경쟁력을 갖는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최근들어 갑자기 많은 작품('해품달' '옥탑방 왕세자' '러브 어게인')에 출연하며 관심이 집중됐다는 면도 있지만, '손예진 닮은꼴 미모'가 갑자기 거론되는게 그리 공허한 호들갑은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물론 10년, 20년 뒤에도 사람들의 기억에 남을 정도인지는 더 지켜봐야 알 수 있겠죠.

 

여러분이 직접 '아역 미모'의 순위를 매기신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합니다. 사실 제가 생각하는, 제가 지금까지 본 역대 최고의 아역은 이 친구입니다.

 

 

 

 

솔직히 아역을 평가할 때 '어른 얼굴'에 가까운 미모가 그리 중요하다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서신애를 능가할 아역을 지금까지는 못 본 듯 합니다. 귀여운 얼굴, 연기력, 어딘가 보고 있는 사람의 가슴을 무겁게 하는 청승맞은 눈빛까지... 완벽합니다.

 

P.S. 자료를 찾다 보니 이 아역이 눈길을 끄는군요. 누구일까요?

(눈썰미 있는 분이라면 금세 아실 수 있을 겁니다. 사실 지금 얼굴이 그대로 있죠.^^)

 

 

 

 

 

728x90

김지수가 일본 드라마 '동창회-러브 어게인 증후군'을 모태로 한 JTBC 수목드라마 '러브 어게인'의 주연으로 발탁됐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문득 생각난 작품이 있었습니다. 만들어지지는 않았지만 김지수는 2년 전, '도쿄 타워'라는 드라마의 주인공 물망에 오른 적이 있습니다.

'도쿄 타워'라는 제목은 좀 흔합니다.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건 아무래도 오다기리 조 주연의 영화 '도쿄 타워'(2007)죠. 어머니와 아들의 찐한 사랑 이야기인 이 영화는 같은 제목의 드라마를 모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김지수가 물망에 올랐던 2004년작 영화 '도쿄 타워'는 이와는 좀 다른 얘깁니다. 20대 초반 청년과 40대 유부녀(극중에선 엄마의 친구로 설정)의 비련 이야기였죠. 일본 최고의 인기남 중 하나인 오카다 준이치가 주인공이었습니다.


이 영화를 모태로 한 한국 드라마 '도쿄타워(물론 가칭입니다. 한국 드라마 제목을 '도쿄타워'라고 붙일 수는 없는 일... '남산 타워' 였으면 그것도 코미디였을 것이고...^^)'는 남녀 주인공까지 캐스팅되는 등 제작 초읽기 단계까지 갔지만 결국 만들어지지 못했습니다. 이유는 남자 주인공 물망에 올랐던 J군이 갑작스레 심각한 문제에 휘말렸기 때문입니다. 의혹은 사실로 밝혀졌고, J군은 긴 자숙에 들어갔고, 드라마는 무산돼 버렸습니다.

 

 



김지수가 출연한 그 많은 작품들 가운데 유독 이 두 작품을 놓고 얘기하는 이유는... 아마도 일본 문화에 관심있는 분들은 금세 눈치채실 수 있을 겁니다. 일본 드라마 '동창회'와 영화 '도쿄 타워'의 주인공이 구로키 히토미라는 같은 배우이기 때문입니다.

쿠로키 히토미라고 쓰는게 정확한 발음에 가깝겠지만 어쨌든 아직 한국의 일본어 표기법은 첫 음에서 '쿠'와 '구'는 모두 '구'로 쓰게 되어 있습니다. 1960년 생. 일본의 독특한 문화 요소인 다카라즈카 출신입니다. 모든 등장인물을 여성들이 소화하는 다카라즈카는 일본 연예계의 엘리트 코스로 불리기도 합니다. 구로키 히토미를 비롯해 '여왕의 교실', '보스'의 아마미 유키(아마도 '일본의 고현정'이라고 불러도 좋을 듯 합니다)나 미녀 배우 단 레이 같은 경우가 다카라즈카 출신의 대표적인 여배우로 꼽히죠.

 

 

 

 

다카라즈카의 특징은 남자 역을 맡은 배우는 미모와 관계 없이 다소 중성적이고 카리스마 있는 연기가 몸에 배고(아마미 유키를 보신 분이라면 충분히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반대로 여자 역 전문 배우는 여성스러움을 극대화한 연기의 달인이 됩니다. 구로키는 대표적인 다카라즈카의 여자 역할 배우였다고 합니다.

 

 

 

 

나이를 봐도 알 수 있지만 구로키는 스타가 된게 오래 전의 일입니다. 아마도 좀 나이드신 분들은 1990년대 말 일본 대중문화 개방의 물결과 함께 자주 거론됐던 '실락원'이라는 영화를 기억하실 지도 모르겠습니다.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한 '실락원'은 남편과 갈등을 겪던 청순한 유부녀가 훨씬 연상인 중년의 잡지 편집장과 불륜을 겪는 이야기입니다. 흔히 '일본의 안성기'라는 식으로 비교되는 야쿠쇼 코지가 남자 주인공을, 구로키 히토미가 여주인공을 맡았죠. 주인공들의 이름값에 비해 상당한 수위의 노출이 포함돼 있었기 때문에 일본에서도 화제였고, 국내 도입을 놓고 '수준높은 예술영화'냐 '왜색 에로영화'냐 하는 논란이 상당히 거셌습니다.

 


아무튼 이 영화가 1997년작이니 지금부터 15년 전. 이미 37세였던 구로키는 50대가 된 지금도 중년 여성의 로망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아마 국내 시청자들에게 알려진 드라마를 꼽자면 일본판 '하얀 거탑'을 들 수 있겠습니다. 이 드라마에서 구로키는 한국 드라마로 치자면 장준혁(김명민) 박사의 애인인 카페 사장(한국에선 와인바 주인) 역을 맡았습니다. 한국판에선 김보경이 연기한 역할이죠.

 


구로키는 올해도 '추정유죄'라는 드라마에서 주역을 맡았습니다.

출연작들을 훑어보면 배우의 이미지가 대략 그려집니다. 나이에 상관없이 '여자'의 느낌을 가진 배우죠. 특히 '세월이 흘러도 늙지 않는 여자'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일본을 대표하는 '방부제 복용 배우'의 이미지가 강합니다. '40대의 나이에도 20대 남자와 연애할 수 있는 여자'의 대표자로 꼽히기도 합니다.

 

일본 사람들이 특히 좋아하는 앙케이트 조사에서도 젊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모시고 싶은 여자 상사', 3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모델로 삼고 싶은 중년 여성' 등의 상위권에 단골로 뽑힙니다. 1991년 결혼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남편의 신상 등은 잘 알려지 있지 않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이 있으면 좀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여담이지만 일본 연예계와 연예 저널리즘의 관계는 한국인들의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경우도 대단히 많습니다. 가끔 보면 놀라울 때가 한두번이 아닙니다.)

 

 

 

 

 


이쯤 되면 김지수와 구로키 히토미의 비교가 그리 무리가 아니라는 것을 느끼시게 될 겁니다. 나이를 무시한 방부제 미모, '연하남'이라는 코드, 꾸준한 인기, 여성들의 선망. 물론 12년의 나이 차이가 납니다만, 구로키 히토미를 통해 대략 12년 후 김지수의 모습을 상상해 볼 수도 있을 듯 합니다.

 

아무튼 현재의 모습은 오늘 밤에도 방송되는 '러브 어게인'.^^

 

 

 



728x90

제목을 보시면 '응? 주지훈과 류정한이 무슨 관계지?' 하실 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드라마 마니아라면 다르시겠죠. 두 사람 모두 드라마의 거장 황인뢰 감독이 '깜짝 주인공'으로 캐스팅한 인물들이라는 점을 쉽게 아실 수 있을 겁니다.

 

드라마 제작 현장의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캐스팅 과정이야말로 진짜 드라마'라는 말을 합니다. 작가와 연출자가 처음 대본을 만지면서 생각했던 주인공들이 그대로 캐스팅되는 경우는 100에 하나가 될까 말까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처음 구상과는 전혀 다른 주인공이 등장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깜짝 신인이 '혜성과 같이 나타나서' 스타덤에 오르기도 합니다. 물론 이런 경우도 있고, '누가 봐도 망할 수가 없는 주인공'을 캐스팅한 드라마가 산산조각이 나는 경우도 흔합니다. 그것이 드라마의 세계죠.

 

 

 

 

최근 끝난 '아내의 자격'의 안판석 감독과 현재 방송중인 '러브 어게인'의 황인뢰 감독은 각기 일세를 풍미한 명 드라마 연출자로 유명합니다. 이 분들의 작품들 가운데서 신인 기용과 관련해 대조적인 경우가 문득 떠오릅니다.

 

안판석 감독은 '아내의 자격'의 주인공 이성재를 처음으로 주인공에 기용한 연출자입니다. 바로 1997년작인 드라마 '예스터데이'죠.

 

 

 

당초 이 드라마는 메인 주인공인 영호 역을 비워 놓고, 영호의 의붓형인 민수 역에 이종원을, 그리고 두 남자주인공을 갈라 놓는 여주인공 역으로 김소연을 캐스팅해놓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메인 주인공 캐스팅은 잘 되지 않았습니다.

 

결국 안 감독은 이종원을 영호 역으로 바꾸고 대신 민수 역에 거의 완전히 신인인 이성재를 기용하는 모험을 합니다. 이 작품으로 이성재는 호평을 받았고, 두 남자 사이에는 별 문제가 없었지만(오히려 강한 인상의 이종원이 선한 주인공으로, 선하고 유약한 인상의 이성재가 이종원에게 앙심을 품는 역으로 등장하며 신선한 느낌을 줬다는 평이 주류였죠) 대신 이종원과 김소연이 너무 나이 차이가 커 보이며 케미스트리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드라마는 크게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이와는 정 반대 케이스가 '궁'입니다. 궁은 일찌감치 김정훈을 남자 2번 격인 이율 역으로 캐스팅하고, 주인공으로 모델 출신 신인 주지훈을 캐스팅합니다. 당시 지명도로 보나, 인기로 보나 UN 출신의 김정훈이 주지훈보다 높은 급의 배우였죠.

 

당연히 김정훈을 메인 주인공으로 올려 놓고 두 배우의 역할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지만 제작진은 단호하게 그런 주장을 잘라 버렸습니다. 주지훈의 외모에 대해서도 어딘가 이상하다(지금 들으시면 깜짝 놀랄 얘기지만 '궁'이 방송되기 전에는 이런 얘기가 꽤 많았습니다)는 의견이 나왔지만, 역시 황인뢰 감독은 끄덕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궁'은 히트했고, 주지훈은 바로 톱의 자리에 올랐죠.

 

물론 이런 선택 때문에 '궁'은 히트하고 '예스터데이'는 실패했다는, 말도 안 되는 얘기를 하자는 건 아닙니다. 드라마가 성공하고 실패하는 데에는 엄청나게 많은 변수가 있기 마련이죠. 다만 당시 '궁'의 연출자가 황인뢰 감독이고, '궁'에 이어 다시 한번 남자 주인공에 드라마 경험이 한 번도 없는 신인을 기용한 거라는 점에서 유사점을 느낄 수 있다는 겁니다.

 

 

 

 

또 류정한이 연기 경력이 없는 신인이냐면 그건 또 아니고.^

 

최근 김무열 조정석 엄기준 주원, 멀게는 오만석 신성록 송창의 박건형 등등 뮤지컬계에서 내로라 하는 이름들이 드라마나 영화에 진출해 각광받고 있는 건 어제 오늘 얘기가 아닙니다. 그런 수많은 스타들 가운데서도, 뮤지컬 본령에서 류정한의 이름을 넘어선 연기자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있다면 조승우 정도?)

 

 

 

 

뮤지컬 출신 배우들이 성공하는 이유는 뭘까요. 아마도 가장 먼저 꼽을 수 있는 것이 안정된 발성입니다. 위의 연기자들 가운데서 목소리가 매력적이지 않은 배우는 없다고 봐도 좋을 것이고, 그 중에서도 류정한의 적당히 기름기 있는^^ 저음은 특히 매력적이죠. '러브 어게인'에서 보면 '과연 저런 목소리의 형사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좀 들긴 하지만, 아무튼 목소리 참 좋다는 데에는 이견을 달 수가 없습니다.

 

연기력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도 있을 수 있습니다. 대극장 무대에서의 연기와 클로즈업이 들어갈 수 있는 드라마/영화에서의 연기가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야구로 치자면 내야에서의 송구냐, 외야에서의 송구냐 정도 차이일 뿐, 기본적으로 어깨가 탄탄한 선수라면 어느 쪽이든 적응하게 되어 있습니다.

 

 

 

가능하면 류정한이 드라마에서도 노래하는 장면을 한번 정도 보여주면 기존의 팬들 외에 새로운 팬들을 확보하는 데에도 상당히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바람이 있었지만, 본인의 뜻과 다르다 보니 그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혹시 모르겠습니다. 뒤로 가면 한번쯤 가능할지도...^^) 뭐 뮤지컬 배우가 되고 싶었지만 강력계 반장이 된 형사... 괜찮지 않을까요.

 

그런 의미에서 류정한의 노래 한 곡.

 

 

 

만약 류정한을 드라마에서 처음 보신 분이라면, 지금은 드라마 속 역할 때문에 조용조용 나지막한 목소리로 속삭이는 남자라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노래를 들어 보시면 그 안의 열정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728x90

'어벤저스'라는 영화가 나오기 까지의 과정에 대해 미국 그래픽 노블('만화책'에 대한 공손한 표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니아들에게 물으면 '그걸 어떻게 한두시간에 설명하란 말이냐'는 표정을 짓곤 합니다.

물론 그 엄청나게 복잡한 계보와 역사(절대 정리되지 않습니다. 작가가 바뀔 때마다 새로운 우주가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를 일반 관객들이 이해할 필요는 절대 없습니다. 일단 '미국 만화'에는 DC 계열과 마블 계열이 있다는 것, 그리고 영화화를 기준으로 볼 때 DC 계열보다는 마블 계열이 훨씬 결속력이 강하다는 정도만 이해하시면 될 듯 합니다.

아니, 사실은 이런 사전 지식도 필요 없습니다. '아이언맨' 이후 '퍼스트 어벤저-캡틴 아메리카', '토르' 같은 영화들은 이미 '어벤저스'를 만들기 위한 밑밥이라는 점을 관객들에게 너무나 분명히 알렸기 때문입니다. 즉 위 두 편의 영화는 독자적으로 존재한다기 보다는 '어벤저스'의 사전 홍보 영상같은 의미라고 봐야겠죠.

 

줄거리. '어벤저스'는 가장 직접적으로, '토르'에서 이어집니다. 토르에게 한번 박살이 난 토르의 의붓동생 로키는 외계 전사 종족의 후원을 받게 되고, 자신만의 독특한 스파이 능력을 이용해 이 외계 전사들을 지구로 불러들여 지구인을 멸망시킬 계획을 실천에 옮깁니다.

한편 로키에게 큐브를 빼앗긴 퓨리 국장과 SHIELD는 슈퍼 히어로들의 연대를 통해 지구를 위협하는 적을 물리친다는 '어벤저 프로젝트'를 실천에 옮깁니다. 하지만 예상대로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배너 박사(헐크), 토르 등 개성 강한 히어로들은 절대 합심하지 못하고, 결국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사태가 빚어집니다.

사실 지금 리뷰랍시고 이 글을 쓰고 있지만 실상은 그냥 잡담이 될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그런 쪽이, 이 영화를 만든 사람들이나 보고 즐기는 사람들의 동기에 더 부합하는 일이 될 것 같기 때문입니다. 남들이 웃자고 하는 일에 죽자고 달려드는 것처럼 바보같은 일은 없겠죠.^^

굳이 볼까 말까를 물으신다면, 시원시원한 볼거리를 원하시는 분들은 당연히 보셔야 할 작품입니다. 뭣보다 한국형 히어로 아이언맨이 나오잖습니까.

배트맨이나 스파이더맨과는 다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어차피 잡담이니까 번호 붙여 정리합니다.

1. 영화의 전반부를 보다 보면 제작진의 고민이 그대로 관객에게 전해집니다. 사실 이 영화를 만드는 데 있어 가장 큰 장애는 '우리편이 너무 강하다'는 데 있습니다. 주인공들이 이미 신격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체 얼마나 강한 적을 붙여야 관객이 긴장하게 될까요?

이미 지나치게 강한 우리편과 듣보잡 상대편이 균형을 이루게 하는 방법 가운데 가장 간단한 해결책은 결국 '자중지란'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반부의 이야기는 참 바보같고 한심한 오해와 과민반응의 연속이라 보는 사람을 짜증나게 하기 쉽지만, 또 그럴 수밖에 없다는 제작진의 사정을 이해하고, 넓은 마음으로 얼른 전반부가 지나가기를 기대하는 것이 올바른 관객의 태도입니다.

 

                                ...너무 약한 적. 그래. 바로 너.

2. 사실 말이 나왔으니 얘긴데, 지금도 이미 너무 강한 어벤저스지만 여기에 같은 마블 코믹스 소속인 스파이더맨이나 X맨의 일부 멤버들까지도 포함될 수 있었다는 걸 생각하셔야 합니다. 물론 지금도 혼자서 잘 먹고 잘 살고 있는 스파이더맨이 굳이 이 판에 숟가락을 들고 낄 이유가 없고, X맨과의 연대는 안 그래도 복잡한 히스토리를 더욱 더 꼬이게 할 우려가 있으니, 지금 정도의 선에서 마무리한 것이 현명한 선택이란 생각입니다.

아무튼 1, 2번의 어려움을 생각하면 조스 웨든 감독의 솜씨는 인정하게 됩니다.

 

3. 사실 진정한 슈퍼히어로 연합이라면 아이언맨, 캡틴, 헐크, 토르 정도까지가 적당합니다. 이미 이 정도만 해도, 솔직히 토르는 신이고 다른 멤버들은 사람인데 토르와 아이언맨이 동등하게 치고받고 한다는 것부터 좀 불편하죠. 게다가 실전에서 가장 위력적인 멤버가 방패도 없고 맨살로 뛰어다니는 헐크라는 건 아무래도 좀 무리라는 생각이 듭니다만...

하지만 이보다 더 큰 문제는, 정작 실전에서 '히어로'인 캡틴 아메리카가 '아무 초능력 없는 진짜 사람'인 호크아이나 블랙 위도우에 비해 뭐 하나 뾰족하게 나은 게 없더라는 점입니다. 물론 그의 가장 큰 강점은 '무적의 방패'입니다만, 그 방패 없는 나머지 멤버들도 적들의 사격은 그냥 야구장 레이저 정도로밖에 여기지 않습니다(한방도 안 맞아요). 그 결과, 맨주먹으로 맞서는 캡틴은 그냥 명예 멤버 역할이나 하고 있습니다. 캡틴 아메리카의 팬들에겐 참 안타까운 일일수도...

 

 

4. 이 영화의 시각은 은근히 우익적입니다. 영화 도중 아이언맨은 SHIELD에서 외계의 에너지원인 큐브를 이용해 무기를 개발하고 있었다고 폭로하고, 캡틴 아메리카와 (권력기관 민간인 사찰의 직접적인 피해자인) 배너 박사가 "내 너희 기관원들이 하는 짓이 그렇게 음흉할 줄 알았어! 니들 나한테도 *****하게 했잖아!"라고 흥분합니다.

하지만 결론은 '그걸 니들이 알아봤자 이런 소란밖에 더 피워?'와 '입만 살아 있는 무책임한 히어로들보다는, 욕먹을 각오를 하고 묵묵히 아무도 모르는 위험에 대비하고 있었던 SHIELD가 짱'이라는 쪽.

 

5. 새로 추가된 배우가 워낙 없기도 하지만, 개인적으론 코비 스멀더스의 출연이 매우 반가웠습니다. 시트콤 'How I met your mother'의 미녀 로빈을 아시는 분들이라면 마찬가지로 반가우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 영화에선 별 존재감 없는 역이었지만 감독 조스 웨든이 극장판 '원더우먼'을 계획할 때 타이틀 롤을 맡기려고 했던 인재입니다. 물론 취소된 프로젝트. 아래 사진은 아마도 그 프로젝트에서 영감을 얻은 팬 아트인 듯 합니다.

완전히 박살난 TV판 원더우먼 리메이크는 대체 왜 그런 캐스팅을 했는지, 다시 한번 생각납니다. 거기에 비하면 코비 다이애나 프린스는 여신이군요.

6. '어벤저스'의 제작과 거의 확실한 '어벤저스2'의 예고에도 불구하고 '아이언맨3'가 2013년에 나올 예정이라는 건 역시 '어벤저스' 프랜차이즈가 아이언맨 없이는 존립 불가능한 상황이라는 걸 대변해 주기도 합니다. 아이언맨이 유재석인 '무한도전'이라고나 할까요. 아무리 전투력은 헐크가 최강이라도 결국 멋진 역할이나 재미있는 장면은 모두 아이언맨 차지. 애인이 나오는 캐릭터도 아이언맨 혼자 뿐.

이렇게 보면 '어벤저스'는 '아이언맨' 2편과 3편 사이의 간격을 메워 주는 '아이언맨 2.5' 의 역할이라고 보는게 좋지 않나 싶습니다.

그나저나 이렇게 전 우주적으로 놀게 된 아이언맨을 다시 지구 안으로 끌어들이려면 '아이언맨3' 제작진은 얼마나 더 고민해야 할까요.

 

7. 베스트 신은 헐크가 보여주는 '분노의 빨래 털기'.^^

   이 한 장면만으로도 입장료가 아깝지 않습니다. 후련합니다.

 

P.S. 대체 항공모함이 공중에 떠 있으면 얻을 수 있는 이점에는 뭐가 있을까요?

       어뢰에 맞지 않는다? 기뢰 공격을 피할 수 있다? ㅋ

       ('첼로리스트'는 워낙 많은 분들이 지적하신 터라 뭐 굳이.)

 

 


조 아래쪽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JTBC 새 수목드라마 '러브 어게인' 첫방이 나갔습니다. 탄탄한 줄거리와 배우들, 연출력이 뒷받침 된 드라마이다 보니 첫 방송이지만 반응도 괜찮았습니다. 4%대 시청률로 막을 내린 '아내의 자격'의 후속이라서인지 첫회가 2%대 시청률을 기록했습니다.

그런데 드라마를 보다 보니 가장 먼저 생각나는 건 드라마 줄거리보다 여주인공 김지수였습니다. 곰곰히 생각해 보니 제가 김지수를 TV에서 처음 본 게 1994년의 '종합병원'이더군요. 뭐 저 뿐만 아니고 거의 모든 분들이 그랬을 거라고 생각되는데, 놀랍게도 김지수의 모습이 그때와 별 차이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요즘 '뱀파이어녀' 혹은 '방부제녀'라는 말이 좀 장난스럽게 쓰이곤 하는데, 김지수야말로 진정한 뱀파이어족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이건 바로 이번주 월요일에 있었던 '러브 어게인' 제작발표회장에서 찍힌 김지수의 모습입니다. 김지수는 1972년생. 오는 10월이면 만 40세가 됩니다. 극중 설정 나이가 얼추 45세면 실제 나이에 비해 큰 무리는 아닐 듯 하지만, 저 비주얼로 45세...라는 것은 진짜 45세 전후의 여성들에겐 참 불쾌한 일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쨌든 서서히 거슬러 올라가 봅니다.

 

2008년작 '태양의 여자' 때 한 잡지와의 인터뷰 사진입니다.

'태양의 여자'가 벌써 4년 전 드라마라는 것도 그렇지만, 지금과 김지수는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뭐 4년 전이니 당연히 그럴 법 합니다. 

 

2005년작, 영화 '여자, 정혜' 때의 스틸입니다.

지금보다 살짝 어려 보이는 건 헤어스타일 탓인 듯도 하고... 아무튼 뭐 그닥 달라진 건 없는 얼굴입니다. 아무튼 중요한 건 지금부터 7년 전의 모습이라는 것. 

 

2001년작 드라마 '온달왕자들'에서의 모습. 자, 한번 맨 위의 사진과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어찌 보면 며칠 전에 찍힌 사진보다, 이 모습이 나이들어 보인다고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무려 11년 전의 모습입니다.

 

 일일드라마로 공전의 히트작이던 '보고 또 보고' 시절의 사진. 고인이 된 박용하가 옆에 있어 세월을 느끼게 하지만 아무튼 엊그제 찍은 사진이라고 해도 놀라지 않을 정도.

어쨌든 1998년, 지금부터 14년 전입니다.

 

1997년작 '내안의 천사' 시절. 오른쪽에는 장진영의 모습이 있습니다. 이 사진 역시 지금보다 조금 나이들어 보인다고도 할 수 있는 모습...^^

 

이게 실질적인 데뷔작인 '종합병원' 때의 모습입니다. 1994년. 진짜 데뷔작은 1993년의 '머나먼 쏭바강'이지만 아무튼 사람들이 기억하는 첫 작품은 이거라고 해야 할 듯 합니다.

 

이해 11월 경향신문의 인터뷰 기사에 실린 사진. 역시 지금과 다른 점이라면 살짝 남은 볼살 정도? 대개는 이 볼살이 빠지면서 좀 더 성숙한 분위기를 풍기기 마련이지만 김지수는 볼살이 없어지면서 오히려 점점 더 젊은 얼굴이 되어 간 듯 합니다.

어쨌든 제 느낌으로는 이 사진이 더 나이들어보입니다. 다른 분들에게도, 최소한 18년 전의 모습으로 보이지는 않을 듯 합니다.^^ 보통 사람들과 비하면 더욱 그렇고, 연예인들 가운데서도 18년 전의 모습과 지금의 모습이 이 정도인 사람은 몇이나 될지 모르겠습니다.

엊그제 김지수가 나온 드라마 '러브 어게인'의 티저 영상 가운데 김동률의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를 배경에 깐 버전이 공개됐습니다. 아마 드라마로는 4부 정도에 나오는 장면일 겁니다.

 

이 영상 속에 나오는 김지수와 다음 영상 속 김지수를 한번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쪽은 2001년 공개된 김동률의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 공식 뮤직비디오입니다. 공교롭게도 이 영상에서도 김지수가 주인공을 맡았습니다. 화장법이 요즘 유행과 좀 달라지긴 했지만 참 세월이 흘러도 이렇게 안 변할 수가 있나 싶더군요.

 

김지수가 데뷔한게 벌써 19년 전. 참 여러가지로 놀랍습니다.

뭐, 그냥 그렇다는 얘기죠.^


조 아래쪽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요즘 '미각스캔들'이라는 프로그램에 대한 포스팅을 꽤 자주 하고 있습니다. 제가 직접 공을 들인 프로그램이기도 하지만, 방송 내용이 생각할 거리를 많이 주기 때문입니다.

지난주(그러니까 어제) '미각스캔들' 방송 내용은 '기름대창의 진실'이었습니다. 양대창집이 인기인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고, 전에는 내장을 징그럽다고 먹지 않던 여자 손님들도 요즘은 그런 거리감을 내던진지 오래인 듯 합니다. 특히 젊은 여성층 가운데서는 '고기보다 내장이 더 좋다'는 분들도 적지 않습니다. 세월의 변화가 느껴집니다. 예전엔 여자친구에게 '곱창 먹으러 가자'고 하면 '이 사람이 날 뭘로 보나'하는 눈길을 느껴야 했는데...

하기야 호랑이가 사냥을 해도 제일 먼저 먹는 것이 내장이라고 하니 육고기보다 내장이 맛있다는 것은 자연계의 진리이자 포식동물의 본능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 내장 가운데서 곱창과 대창, 양에 대한 내용은 한번 눈여겨 볼만 하더군요.

특히나 그동안 고소한 맛으로 먹어왔던 대창의 진실을 아는 순간... 참 눈앞이 캄캄해지셨던 분들이 한둘이 아닐 겁니다.

일단 아는 것이 힘. 대체 대창이 뭐고 막창이 뭔지는 알고 나서 시작합시다. 먼저 소는 위가 네개 있다는 사실은 다들 알고 계시겠죠? 교과서에 나오는 소의 네 위 이름은 혹위-벌집위-겹주름위-주름위입니다. 하지만 이 위들이 식재료로 쓰일 때에는 순서대로 양, 절창, 천엽, 막창으로 불립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이런 명칭들이 흔히 그렇듯, 이 네 이름은 상당히 혼동됩니다. 일례로 양즙, 혹은 양곰탕이라고 불리는 음식에는 이 네가지가 모두 들어가는게 보통입니다. 2위인 절창은 그물 모양이 벌집 모양으로 진하게 박혀 있어 벌집이라고도 불리는데, 하동관 곰탕을 드셔 보신 분들에겐 절창이나 벌집보다 내포라는 이름이 더욱 익숙할 듯 합니다.

어쨌든 양은 흔히 구이, 절창은 탕, 천엽(처녑이라고도 쓰더군요)은 날로 기름장에 찍어 먹거나 탕, 막창은 구이로 먹는게 일반적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소 막창과 돼지 막창은 다르다는 것. 소는 제4위를 막창이라고 부르지만 돼지는 대장(큰창자)를 막창이라고 부릅니다. 원래는 똥창이라고 불렀다는데 듣기 좋은 이름으로 바꾼 거겠죠.

반대로 소는 작은창자를 곱창, 큰 창자를 대창이라고 간단히 구별합니다. 즉 우리가 그동안 먹어 온 소곱창은 대창과는 다른 부위입니다.

여기까지는 막연히 알고 있었는데, 대창이 그런 비밀을 갖고 있다는 건 처음 알았습니다. 일단 대창과 곱창 안에 들어 있는 것을 모두 '곱'이라고 통칭하는데, 곱창의 곱이 맛있는 내용물이라면 대창의 곱은 그냥 기름덩어리라는 것을 몰랐던 겁니다.

아니, 사실은 알았겠지만 - 그 입안에서 구운 곱창이 터지는 고소하고도 부드러운 맛에 그냥 진실을 규명하려는 의지를 잃어버린 겁니다. 엄밀히 말하면 곱일 수가 없는 것이, 손님상에 나오는 대창은 안팎을 뒤집은 것이기 때문에 그동안 곱이라고 생각했던 쇠기름은 원래 대창 밖에 주렁주렁 매달려 있었던 것이죠. 안이 아니라 거죽이었던 겁니다.

 

 

 

 

 

심지어 체인점 사장님은 대창을 먹지 않는다든가,

"우리야 잘 팔려서 좋지만 괜히 나중에 죄받을까봐 겁나지..."

대창을 파시는 분들이 죄책감을 느낀다, 이런 말씀을 듣고 나면 대창에 대한 애정이 싹 식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 하나의 팁은 양/대창 전문점에서 양 구이는 거의 이문이 남지 않을정도의 서비스 품목이라는 점. 사실 대창보다 양을 좋아하던 저로선 참 안타까운 일입니다. 이렇게 되면 양구이 가격이 대폭 올라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사실 자연계에서 육식동물들이 내장을 탐식하는 것은 위에서도 얘기했듯 맛도 맛이지만 지방 섭취에 대한 욕구가 상당히 크게 작용했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지방은 그 자체로 동물들에게 매우 중요한 영양소죠. 다만 영양상태가 과다하게 좋은 현대인들에게는 좋은 먹거리라고만 하기는 부담스럽습니다.

아무튼 이런 의미에서 '미각스캔들'은 참 괜찮은 프로그램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대창 마니아였던 장성규 아나운서의 충격이 커 보이더군요.^^

 

728x90

그동안 숨가쁘게 16회를 달려온 '아내의 자격'이 마침내 대단원의 막을 내렸습니다. 최종회에서 거둔 4.41%의 시청률(AGB닐슨, 수도권 유료가구 기준), 6.03%의 순간 최고 시청률은 개국 4개월을 맞은 방송사의 기록으로는 대단히 화려합니다. JTBC 개국 이후 최고 시청률일뿐만 아니라, 지난 20년간 지상파 3사 이외의 채널에서 방송된 드라마 중 최고 시청률로 보입니다.

이런 호성적을 기록한 프로그램인 만큼 마무리도 성대해야 했겠죠. 2012년 4월20일 밤 서울 마포구의 한 고기집에서 '아내의 자격' 종방연이 열렸습니다. 물론 안판석 감독, 정성주 작가와 김희애, 이성재, 장현성 등 드라마의 주역들이 모두 모였습니다. 3개월간의 숨가쁜 촬영이 마무리된 만큼 다들 홀가분한 모습이었습니다.

 

오후 7시 넘어 연기자와 주역들, 스탭들이 넓은 고깃집 뜰을 가득 메웠습니다.

 

안판석 감독님과 이성재.

정한용, 최은경, 이태란.

장현성, 임성민, 박혁권, 장소연이 보입니다. 뒤통수만 보이는 분이 이성재씨.

양해를 좀 구하자면 폰카로 찍은 사진들이라 화질이 영 엉망입니다. 카메라를 가져갔어야 하는데 하는 아쉬움이 계속... (다음번엔 꼭 카메라 가져가겠습니다.)

남선현 JTBC 사장님의 격려금 전달.

이어 주철환 JTBC 콘텐트본부장 진행으로 드라마의 주역들이 한마디씩 소감을 말하는 순서가 이어졌습니다. 안판석 감독 옆의 분이 바로 오랜만에 명성을 확인하게 된 정성주 작가. '아내의 자격' 속 수많은 명대사의 연금술사가 바로 이 분입니다.

물론 가장 눈길을 끈 것은 김희애. 최고의 공로자이자 여주인공인 김희애는 "참 연기가 하고 싶었는데... 도와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린다"는 취지의 인삿말을 했습니다. 김희애에게 박수를 보내던 사람들은 누가 처음이라고 할 게 없이 갑자기 '노래! 노래! 노래!'를 외치기 시작했습니다. 뭐 이런 상황에서 가끔 장난으로 하는 외침이죠.

대개 이런 경우 박수를 받은 주인공은 몇번쯤 빼는 척 하다가, 사람들로부터 몇번 '우우'하는 함성도 좀 더 듣다가, 마지못한 척 살짝 노래 한 소절을 부르는 정도로 성원(?)에 보답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여주인공, 김희애는 이런 클리셰를 거부했습니다. 바로 '노~래, 노~래, 노~래'라는 외침에 한 세번 정도 울려퍼지자 바로 노래 모드로 넘어가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무슨 노래일까요?

 

김희애 본인의 히트곡, '나를 잊지 말아요'였습니다.

1988년 3월, KBS 라디오 DJ 13명이 함께 낸 앨범 '우리 노래 어때요'에 수록된 이 노래는 당시 KBS '가요톱텐'의 3위까지 올라가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이미 '아내의 자격'팀 회식에서도 김희애는 이 노래를 불러 여신으로 등극한 적이 있었다는군요. 아무튼 노래가 절로 나올 정도로 김희애에게도 기분 좋은 하루였던 듯. 노래 실력은 동영상에 들어간 이 노래의 피날레 부분을 참고하시길.^^

아무튼 김희애는 이날 지난 2개월 동안 출연한 '아내의 자격' 대본에 대해 "마치 하느님이 다 내려다보고 쓰는 한마디 한마디 같았다"며 정성주 작가에 대한 존경을 표하기도 했습니다.

이밖에도 기억에 남는 한마디씩을 정리하면,

 

"나는 3개월 동안 안판석 감독의 아바타였다!"

이성재의 절규. 연출자의 여주인공 편애(?)에 대한 남주인공의 반발일까요.^^

 

"액션스타로 거듭나겠다"는 최은경.

유난히 이 드라마에서 액션 신이 많았죠.^^

 

결이 역의 임제노, "안녕하세요. 드라마에선 5학년부터 나왔지만 저 사실 중2에요."

옆의 재훈이는 본명이 손성준이랍니다. 

결이와 아빠는 원래 이런 사이....

 

이날 쫑파티 현장에서는 그동안 촬영장에서 스틸 팀이 촬영한 사진들을 죽 붙여 놓고 '자기 얼굴이 붙은 사진을 떼어 가세요'라고 써 놓은 코너가 눈길을 끌었습니다.

 

 

사진을 보다 보니 어느새 흘러간 시간이 피부로 느껴지더군요.

'아내의 자격'이 이렇게 끝났다는 아쉬움에 참석한 사람들은 늦게까지 술잔을 기울이며 아쉬움을 달랬습니다. 이태란의 말, "이렇게 분위기 좋은 스태프와 일해 본 기억이 그리 많지 않은 것 같아요. 언젠가 이 팀 그대로 다시 만나 작품을 해 보고 싶어요"라는 얘기처럼.

이렇게 해서 '아내의 자격'이 막을 내렸습니다.

 

'아내의 자격' 후속으로는 25일부터 새 수목드라마 '러브 어게인'이 방송됩니다.

첫사랑과의 재회라는 소재를 극대화하기 위해 김동률의 선율에 기댈 생각입니다.

신기하게도 이 노래의 오리지널 뮤직비디오에서 김지수가 주인공이었더군요.

김지수의 앳된(?) 모습을 다시 보실 수 있습니다.

(사실은 그보다 전혀 나이 먹지 않은 김지수에게 더 놀라게 됩니다.)

 

물론 그보다 앞선 23일, 바로 다음 월요일부터도 새 드라마 '해피엔딩'이 방송됩니다.

최민수 이승연 심혜진 박정철 소유진 소이현 강타 김소은.

이 정도면 호화 캐스팅이라는 말을 써도 부끄럽지 않을 것 같습니다.

다음주에도 JTBC 드라마는 계속됩니다.^^

조 아래쪽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먹는게 인생의 중요한 낙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으로서, 음식에 관심은 많지만 맛집 관련 블로깅은 상당히 자제해 왔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있어서는 아니고, 세상 천지의 맛집 고수들 사이에 감히 낄 자격이 있나 싶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최근들어 맛의 세계에 가끔씩이라도 관심을 기울이게 된 건 아무래도 '미각스캔들'이란 프로그램의 영향이 큽니다. 어느새 JTBC의 간판 프로그램 중 하나가 된 '미각스캔들'은 그 말하기 힘든 맛의 세계를 수업중인 무사처럼 성큼성큼 누비고 있습니다. 물론 그 선두에는 '트루맛쇼'의 김재환 감독이 있습니다.

 

'미각스캔들'의 사령관 역할을 하고 있는 김재환 감독은 연출 못잖게 문필가로도 명성을 날리고 있습니다. 얼마 전 '한겨레21'에 기고한 글 때문에 권 아무개씨의 말 많던 해외 경력이 다시 한번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기도 했죠. 카메라 못잖게 글도 매섭습니다.

 

 

 

 

 

그런 김재환 감독이 '미각스캔들' 홈페이지에 다시 글을 올렸습니다. 제목은 '최종병기 MSG'. 제목부터 의미심장합니다.

 

어떤 내용일지 대략 짐작이 가시겠죠. 하지만 생각보다 훨씬 놀라운 내용이 많으실 겁니다. 한번 읽어 보시죠.

 

MSG를 검색해보면 이런 설명이 나온다. 1908년 이게다 박사는 일본인이 좋아하는 국물 맛의 성분이 다시마의 글루타민산(Glutamic Acid)임을 밝혀내고 그 성분을 추출하는데 성공했다. 그는 자신의 발명품을 ‘아지노모도’란 이름으로 상품화했는데 그 강렬한 맛은 사람들을 단박에 사로잡았다.’ 요리사가 아니라 화학자가 발명한 마법의 맛, MSG(Monosodium Glutamate)의 시작이었다.

 

1960년대부터 MSG 과다섭취로 인한 두통, 메스꺼움 등 이른바 중국음식증후군에 대한 경고가 잇따랐고 유해성 논란이 끊이질 않지만 우리나라 식당에서는 절대 MSG의 마법을 포기할 수 없다. 한식 요리사들을 만나보면 순수하게 재료 본연의 맛을 우려내 국물을 내려면 지금 음식값으로 먹을 수 있는 게 별로 없을 거라고 말한다. 게다가 다들 화학조미료를 쓰는데 혼자 사용하지 않으면 MSG에 인이 박힌 소비자들이 그 식당을 외면할 것이다. 국제소비자연맹(IOCU)이란 단체는 10 16일을 ‘화학조미료 안 먹는 날’로 정했다는데 전 세계적으로 얼마나 많이 소비되면 이런 날까지 정했겠는가.

 

 

 

 

통계를 살펴보니, 우리나라 MSG생산량 중 국내출하량은 2006 1,910만 톤에서 2008 1,242만 톤으로 오히려 준 것으로 나타났다. 마트에 가보니 심지어 MSG를 주로 생산해 성장해온 회사에서도 MSG를 쓰지 않은 조미료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라면과 같은 가공식품에도 MSG를 뺐다는 문구가 큼직하게 붙어있다. 광고만 봐서는 다 웰빙이다.

 

그럼 정말 MSG 사용량이 줄었을까? No! 이건 식품회사들의 마케팅 꼼수다. 옛날에 잘나가던 연예인 MSG양이 전신성형하고 개명해서 다시 걸그룹으로 데뷔한 거다. 식품 뒷면의 성분표기를 보면, ‘복합양념’ ‘00 시즈닝’ ‘감칠맛 조미분’ ‘00 분말’ ‘00 베이스’ ‘향미증진제’란 다양한 명칭의 변형 화학조미료들이 첨가돼있다. 단지 MSG라 불리는 오리지널 ‘L-글루타민산나트륨’만 빠진 것이다. MSG를 기본 원료로 하는 복합조미료 생산량 통계를 보면 2006 2,910만 톤에서 2008 5,377만 톤으로 급증했다.

우리나라 식당과 식품회사들은 절대 최종병기 MSG를 포기할 수 없다. 먼저 포기하면 먼저 망한다. 만약 우리나라 모든 식당에서 한날 한 시에 화학조미료가 다 사라져 버린다면 어떻게 될까? 요리사와 식당의 수준이 확실히 드러나게 될 테니 무척 재밌을 것이다. 비싼 가격을 받는 유명 파스타 집에도 화학조미료를 쓰는 나라니 일반 식당들은 오죽 하겠는가.

 

TV는 화학조미료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천연조미료 식당’들을 좋아한다. 방송사 맛집 소개 프로그램의 스테디셀러 아이템이다. <트루맛쇼> 제작 당시 그 중 몇몇 음식점의 시료를 수거해 연구소에 테스트를 맡겨 보니 모두 다 꽤 많은 MSG가 검출되었다.

 

요즘은 정말 훌륭한 식당에서도 화학조미료를 쓴다. 수십 년째 종로구 팔판동에 있는 정육점 한 곳에서 최고 수준의 암소를 납품 받아온 우래옥과 하동관도 MSG를 사용한다. 주방에 들어가 식자재를 꼼꼼히 살펴본 황교익 선생님에 따르면 우래옥 평양냉면에 메겨진 11,000원이란 가격은 전혀 비싼 게 아니라고 한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최고의 식당에서 최상급 식재료로 맛을 낸 그 훌륭한 냉면 육수에도 최종병기 미원이 투하되는 게 우리나라 요식업의 현실이다. 우래옥에서는 손님들의 입맛이 간절히 원하니 어쩔 수 없다고 하고, 하동관에서는 젊은 사람들의 입맛에 맞춰 MSG를 쓰고부터 장사가 더 잘됐다고 하지만, 우리는 피부미인 김태희의 쌩얼도 보고 싶다.

 

내가 먹는 게 내 몸을 구성한다. 만약 당신이 좋은 식자재와 아주 적은 양의 화학조미료를 쓰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을 받는 양심적인 식당을 알고 있다면 주인 분에게 정말 감사해야 한다. 나만 알고 있는 좋은 밥집은 소중한 공간이고 은밀한 즐거움이다. TV따위는 거들떠보지도 않고 재료 본연의 맛에 집중하는 식당이 진짜 맛집이다. 그 식당이 문 닫지 않도록 자주 가서 드시라. 좋은 소비가 좋은 사람들을 격려한다. (끝)

 

 

 

사실 우리나라 사람들의 MSG에 대한 태도는 사뭇 이중적입니다. 먹는 음식에 MSG가 들어가 있다고 하면 눈을 크게 뜨고, 집에서 먹는 음식에 어머니나 아내가 MSG를 썼다고 하면 한숨을 쉬거나 잔소리를 합니다.

하지만 유명한 홍대앞 조폭떡볶이 집 조리 광경은 수만명이 봤을텐데, 그때문에 그 떡볶이의 매상이 떨어졌다는 얘기는 들어 본 적이 없습니다. 가게를 차려 들어가기 전, 트럭 장사를 할 때 이 집의 떡 리필 장면은 그 자체가 볼거리였습니다. 커다란 솥에 떡 한보따리를 넣고 나서 커다란 바가지로 설탕 한 바가지, 미원 한 바가지를 넣는게 순서였습니다. 네. 떡볶이가 괜히 맛있는게 아니었죠.

마찬가지로, 조금만 맛에 민감한 사람이라면, 그리고 자신이 MSG를 써서 음식을 만들어 본 사람이라면 밖에서 먹는 식당의 음식 맛에 MSG가 들어갔는지 안 들어갔는지 정도는 그리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습니다. 고급 식당과 저급 식당의 음식 맛 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 것이 바로 이 MSG의 마력이죠. 단지 고급 식당은 재료 7에 MSG 3으로 소기의 맛을 낸다면 하급 식당은 재료 3에 MSG 7로 비슷한 맛을 낸다는 차이가 있을 겁니다.

한국 음식에는 MSG가 많이 들어가지만 외국식 요리에는 안 들어갈거라고 순진하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천만의 말씀입니다. 유명한 양식 레스토랑에서도 베이스가 되는 닭 육수(치킨스톡)는 통조림 제품을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는 MSG가 듬뿍 들어 있죠.

 

 

태국이나 베트남에 가면 왜 이렇게 음식이 입에 짝짝 붙는지 모르겠다는 분들, 다 이유가 있습니다. 두 나라는 세계적으로 MSG의 생산/소비가 선두권에 있는 나라들입니다. 한국에서만 조미료 쓰는 게 아닙니다.

물론 MSG라는 물질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게 아니란 사실을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다시마, 새우, 꽃게 등 "집어넣기만 해도 국물 맛이 확 살아나는" 식재료들은 모두 MSG의 전물질이라고 할 수 있는 글루타민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습니다. 흔히 이들 '천연 재료'를 가공해서 만든 '천연 조미료'라는 것들 역시 성분은 화학 조미료와 마찬가지라는 얘깁니다.

결국 성분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사용하는 양이 문제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됩니다. 식품영양학자들은 'MSG가 해롭냐, 아니냐는 논쟁은 소금이 해롭냐 아니냐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소금을 넣지 않고 맛을 낸다는 건 불가능하겠지만, 그 소금도 많이 먹으면 고혈압이나 기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비유죠.

그래서 윗글에서도 '조금 쓰는 정도'를 문제삼지는 말자는 얘기가 나옵니다. 적당히 넣어서 우리의 입맛이 좀 더 풍요로워질 수 있다면, 굳이 그걸 배척할 이유는 없을 거라는 생각입니다. 다만 들이 붓듯 사용하는 식당들은 좀 자제할 필요가 있고, 소비자가 일단 현명해져야 그런 식당과 그렇지 않은 식당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달콤한 떡볶이를 1인분 2천원에 먹으려면 MSG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이건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5천원짜리 김치찌개를 먹으면서 주인이 MSG를 쓴다고 욕하면 그 또한 도둑놈 심뽀입니다. 그리고 혹시 MSG 거의 안 쓰고 좋은 재료로 맛을 내는 곰탕이 한 그릇에 2만원이라면(실제로 있습니다.^^), 그걸 도둑이라고 욕해선 안될 겁니다.

 

마지막으로 공지, '미각스캔들'은 매주 일요일 밤 11시에 방송됩니다.^^

 

 

이 사진이 안 들어가면 실망하실 분들이 꽤 많을 듯 하여... 이제 만족하시죠? ㅋ

 

조 아래쪽 네모 안의 숫자를 누르시면 추천이 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추천이 가능합니다. 한번씩 터치해 주세요~)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 좋은 포스팅을 만듭니다.

@fivecard5를 팔로우하시면 새글 소식을 더 빨리 알수 있습니다.

728x90

사실 '꽃등심'이라는 말을 처음 들어 본 건 한 20년 전 쯤 되는 것 같습니다. 그 전에는 그냥 등심구이, 그보다 더 전에는 '로스구이'라는 말이 보편적으로 쓰였죠. 그런데 어느샌가부터 '꽃등심'이라는 말이 쇠고기의 최고봉을 가리키는 말처럼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꽃살', '설화육' 같은 말들이 뒤이어 등장했죠.

물론 '꽃등심'이라는 말이 등장하고 한참 뒤까지도 고기를 먹으러 가서 '마블링'이라는 말을 쓰면 뭔가 대단히 아는 척 하는 것으로 비쳐지곤 했습니다. 그러던 것이 이제는 시골 고기집에 가도 마블링을 얘기하게 됐으니 상전벽해가 된 셈이죠.

이제는 삼척동자도 다 아는 마블링의 위력. 하지만 세상이 다시 한번 돌아 제자리로 왔습니다. 마블링이라는 것이 과연 가장 좋은 쇠고기의 절대적인 기준이냐는 질문을 던질 시점이 온 듯 합니다.

8일 방송된 JTBC '미각스캔들'에서는 '마블링 만능론'에 대해 의문을 던졌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한우 육질은 일단 A, B, C로 나뉘고, A급은 다시 1++A, 1+A, A급으로 나뉩니다. 그리고 이 1++를 붙일 수 있느냐 없느냐에는 바로 마블링의 모양이 절대적 역할을 합니다.

본래 마블링이란 기름과 물의 성질을 이용한 미술 기법입니다. 물 위에 유성 물감이 아른아른 번지는 모습이 매끈한 차돌 겉면의 무늬처럼 보이기 때문에 마블링이라고 불리게 된 것입니다. 쇠고기의 마블링은 눈꽃처럼 넓게 퍼지는 것을 최고로 치죠.

물론 그 마블링의 흰 색은 모두 지방입니다. 고기 끝에 뭉쳐 있다면 떼 버릴 지방이 고기 속에 골고루 퍼져 있으면(근내지방이라고 하죠) 박수를 받는 겁니다. 적당이 콕콕 마블링이 박힌 고기는 쉽게 질겨지지도 않고, 얇게 썰면 살코기와 지방이 사르르 녹아 버리는 느낌을 줍니다. 쇠고기 뿐만 아니고, 오도로라고 불리는 참치 뱃살에서도 마블링이 잘 된 것일수록 높은 품질로 쳐 주지만, 사실 취향에 따라선 느끼하게 여겨지기도 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 쇠고기의 마블링은 9단계 표로 표시됩니다. 이 도표와 비교해 볼 때 8,9 등급 이상이라야 1++ 판정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방송에서도 거론됐듯, 전체 도살우 중에서 1++ 등급을 받는 고기는 7.8% 정도라고 합니다. 12마리 중 1마리 꼴입니다.

사실 방송에서는 마블링 때문에 2, 3 등급을 받는 소들이 속출해 축산 농가들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는 쪽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엄밀히 말해 마블링의 가장 큰 페해는 먹는 사람의 건강입니다.

아시다시피 마블링이 많은 소는 절대 건강하지 않은 소입니다. 가능한 한 움직이지 않고 고열량의 먹이를 먹으면서, 심지어 알콜까지 섭취하게 해 만들어 낸 소가 근내 지방 축적이 많습니다. 사람으로 쳐도 운동따위는 뒷전으로 미루고 편안한 소파 위에서 뒹굴며 술과 고지방 음식을 먹은 사람들이 피둥피둥 살찌는게 당연한 얘기인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이 대목에서 잠시 묵념...)

방송에서는 막걸리를 소에게 먹이고 트로트를 들려주는 장면이 나왔지만, 일본에서도 최고급 무사시노 와규를 생산하는 농가에서는 오래 전부터 맥주를 먹이고 클래식을 듣게 한다는 이야기가 유명합니다.

이렇게 '기름기가 찬' 소의 고기를 먹으면 그 기름기는 다 어디로 갈까요. 당연히 사람의 몸에 마블링으로 박히기 됩니다. 물론 먹고 나서 모두 지방흡입으로 빨아 내실 분들에겐 전혀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런 형편이 아닌 분들이 1++ 고기를 포식하는 건 꽤 위험한 일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 - 사실 이 부분이 핵심인데 - 마블링만 박히면 정말 맛이 좋으냐 하는 의문을 던질 수 있습니다. 물론, 너무나 분명한 것은, 고기를 찍어 맛을 보지 않은 상태에서 마블링은 가장 확실한 척도가 될 수 있습니다. 삶거나 찌지 않는 경우. 그리고 숙성하지 않는 경우. 생고기를 구워 먹는 조리법에서 마블링의 신뢰도는 대단히 높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끔씩, '아니 보기는 좋은데 고기 맛이 왜 이래' 싶은 경우가 분명 있습니다. 네. 마블링은 폭설이 펄펄 내리는데도 구워 놓으면 그냥 기름덩어리 씹는 것 같은 경우 말입니다. 마블링=절대적인 맛의 기준이라는 믿음이 깨지는 순간입니다.

소위 '기름 맛'에 대한 호오가 상당히 엇갈린다는 부분도 마블링에 대한 신화를 깰 수 있는 요인입니다. 이를테면 최고 등급의 와규는 아래 보시는 사진처럼 거의 연분홍색입니다. 지방과 육질의 비율이 저 정도가 되면 불 위에 올려놓을 때 이미 '녹기' 시작하고, 혀에 얹어 놓으면 그냥 스윽 흘러넘어가 버립니다. 씹고 어쩌고 할 여유도 없죠.^^ 이런 맛을 좋아하시는 분들이 있으니 저런 와규가 그렇게 비싼 거지만, 개인적으로는 취향이 아닙니다.

기름 맛에 사람들이 얼마나 둔감한지를 보여주는 것이 바로 우리 주변에서 아직도 사라지지 않았다는 기름치입니다. 기름치라는 물고기는 살이 25% 이상이 지방이라 먹으면 설사나 복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이 기름치 사용이 사라지지 않고 있는 이유는, 이 기름치가 회로 먹을 때는 참치(물론 최저등급의 허연 참치살), 구워 먹을 때에는 메로와 혼동되기 쉽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즉 이 '기름 맛'을 진짜 맛과 구별하는 건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아울러, 저도 궁금한 맛입니다만 가끔 어른들이 말씀하시는 '콩 먹고, 쇠죽 먹고 자란 소고기 맛'은 분명 지금의 마블링 지글지글 고기맛과는 전혀 다른 세계라고 합니다. 실제로 최근 국내에서도 '유기농으로 기른 소' 들이 서서히 상품으로 등장하고 있죠.

물론 가격을 따져 보면 이 소들이 사료 먹여 기른 소보다 더 비쌀 수도 있겠지만(...계란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비싼게 당연한데, 한편에선 '비싼 수입 사료 안 먹여서 오히려 쌀 수도 있다'고 합니다), 왕년에 어르신들이 어렸을 때 드시던 '쫄깃하고 고소한 고기' 맛은 한번 보고 싶습니다. 몸에도 그 쪽이 훨씬 좋다니 말입니다.

P.S. 15일 방송되는 '미각스캔들'에서는 '대게의 비밀' 편이 방송됩니다. 동해안 대게 산지에서도 국산 대게는 실종되고 수입 대게가 국산으로 변신해 팔려나가고 있다는군요. 제가 좋아하는 음식이라 더 쇼킹합니다만....;;

+ Recent posts